KR101428330B1 -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330B1
KR101428330B1 KR1020120154561A KR20120154561A KR101428330B1 KR 101428330 B1 KR101428330 B1 KR 101428330B1 KR 1020120154561 A KR1020120154561 A KR 1020120154561A KR 20120154561 A KR20120154561 A KR 20120154561A KR 101428330 B1 KR101428330 B1 KR 10142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urface treatment
upward
roll
bend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753A (ko
Inventor
김현주
김만규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3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6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of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64Uncoi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02Roll bending; vertical bending of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오프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평탄하게 하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에 의해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압연하는 벤더롤 및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의 표면처리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스트립의 산세조 진입 및 맨드렐 권취가 원활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표면처리 효율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Equipment and mehtod for treating surface of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트립의 표면처리 효율 및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열간 압연된 스트립은 그 표면에 약 5~15um 두께의 스케일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스케일층을 제거하기 위해 주로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고온의 강산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열연 스케일을 스트립의 표면에서 제거하는 별도의 표면 처리 공정을 두고 있다.
도 1에는 개략적인 표면 처리 공정(1)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1)을 살펴보면, 우선 맨드렐(2)에 감겨 있던 스트립(S)이 권출되고 절단부(3)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표면처리조(4)로 유입되게 된다.
표면처리조(4)는 스트립의 종류나 제조 공정마다 일부 차이가 있으나, 통상 산세조(4a), 수세조(4b) 및 건조조(4c)로 이뤄진다. 절단부(3)에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스트립(S)은 먼저 산세조(4a)로 투입되어 표면의 스케일이 제거되고, 이후 수세조(4b)를 거쳐 산이 제거된 뒤에, 건조조(4c)에서 스트립(S)의 표면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후 스트립(S)은 스트립의 이송 속도 편차를 보상하는 루퍼(5 ; looper) 단계를 거친 후, 다시 한번 절단부(6)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 후 대기 중에서 산화방지를 위해 오일러(7)에서 표면에 오일이 도포된 뒤에 맨드렐(8)에 다시 감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1)에 있어서 스트립 통판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의 자중(W)에 의해 선단부가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스트립(S) 선단부의 처짐으로 인해, 스트립의 선단부(S)가 산세조(4) 내의 롤 등의 설비와 충돌하거나 끼여 통판성을 악화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표면 처리 공정(1) 전체의 생산성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3)에서 스트립(S)이 절단될 때, 스트립(S)의 선단부는 그 모서리의 형상이 각진 형태로 되어 있어, 맨드렐(8)에서의 그립이 용이하지 않아 표면 처리 공정(1) 전체의 생산성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트립(S)의 일부를 분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할 공정을 거쳐 분할된 스트립(S)에 대해 상술한 표면 처리 공정(1)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술한 표면 처리 공정(1)상의 절단부(3)에서 컷업 쉬어(cut-up shear)를 사용하여 스트립(S)을 분할해야 하나, 후자의 경우 컷업 쉬어에서의 스트립(S) 절단을 위한 시간(대략 10초에서 20초)동안 표면 처리 공정(1)이 정지되어야 하므로, 스트립(S)은 산세조(4a) 내에서 과도한 산처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표면 처리 공정(1)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스트립의 표면처리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스트립의 산세조 진입 및 맨드렐 권취가 원활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스트립의 표면처리 효율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페이오프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평탄하게 하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에 의해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압연하는 벤더롤 및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더롤은, 짝수개의 하부롤 및 상기 짝수개의 하부롤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홀수개의 상부롤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인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페이오프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평탄하게 하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에 의해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압연하는 벤더롤 및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더롤과 상기 표면처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테이퍼 쉬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벤더롤과 상기 표면처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일부를 절단하는 스트립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립 절단부는, 스트립의 이동 중에 연속적으로 절단 가능토록, 드럼 쉬어 또는 플라잉 쉬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스트립의 표면처리 방법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스트립을 평탄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벤딩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선단부가 상향 벤딩된 스트립을 표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벤딩 압연하는 단계 이후에, 스트립의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탄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벤딩 압연하는 단계 이후에, 스트립 이송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스트립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스트립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레벨러(leveller)에 의해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벤더롤을 추가하고 스트립을 압연함으로써, 스트립의 선단부가 산세조 내의 롤 등의 설비와 충돌하거나 끼여 통판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쉬어(taper shear)를 추가하여 스트립의 선단부를 테이핑함으로써, 텐션릴의 멘드렐 세그먼트에서의 그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립 절단부를 종래의 컷업 쉬어(cut-up shear) 방식에서 드럼 쉬어(drum shear) 방식 또는 플라잉 쉬어(flying shear) 방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스트립 표면처리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스트립의 과산세를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표면 처리 공정의 정지 시간을 없애, 표면 처리 공정 전체 및 스트립 제품의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립 표면처리 공정에 대한 개략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트립 표면처리 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전체 공정도이다.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벤더롤에 의해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벤딩하는 상태(X)가 도시된 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절단부의 드럼 쉬어에 의해 스트립의 이동 연속성이 보장되며 스트립의 일부가 절단되는 상태(Y)가 도시된 도이다.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테이퍼 쉬어에 의해 스트립의 선단부가 테이핑된 상태(Z)가 도시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스트립 표면처리 방법에 대한 작업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스트립의 표면처리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스트립의 산세조 진입 및 맨드렐 권취가 원활하게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트립 표면처리 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전체 공정도이다. 그리고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벤더롤에 의해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벤딩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절단부의 드럼 쉬어에 의해 스트립의 이동 연속성이 보장되며 스트립의 일부가 절단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고,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테이퍼 쉬어에 의해 스트립의 선단부가 테이핑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2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는 페이오프릴(21)에서 권출되는 스트립(S)을 평탄하게 하는 레벨러(40)와 상기 레벨러(40)에 의해 평탄화된 스트립(S)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압연하는 벤더롤(50) 및 상기 벤더롤(50)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S)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립(S)을 표면처리하기 위해 우선 페이오프릴(21)로부터 스트립(S)을 권출하고, 권출된 스트립(S)은 이송롤러(미도시)를 따라 상기 레벨러(40)로 유입된다. 상기 레벨러(40)에서는 유입된 스트립(S)을 전반적으로 평탄화하게 되는데, 이는 이송롤러상에서의 이동과 상기 표면처리부(80)에의 진입이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레벨러(40)는 스트립(S)의 이송경로상에 상,하로 복수의 열로 배치된 가압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40)를 통과하며 평탄화된 스트립(S)은 상기 레벨러(40)의 다음 단계에 배치된 상기 벤더롤(5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벤더롤(50)은 스트립(S)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스트립(S)이 상기 표면처리부(80)로 이동하는 동안 중력에 의한 자중으로 선단부가 하방으로 처지는 양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벤더롤(50)에서 스트립(S)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벤딩하는 정도는 스트립(S)의 이동과정 중에 자중에 의한 하방 처짐량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벤더롤(50)은 스트립(S)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짝수개의 하부롤(51) 및 상기 짝수개의 하부롤(51)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홀수개의 상부롤(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더롤(50)을 통과하는 스트립(S)은 상기 상부롤(53)과 상기 하부롤(51)간의 지그재그 배열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선단부가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이때 스트립(S)의 종류에 따라 선단부의 자중에 의한 하방 처짐량 차이는 상기 상부롤(53)과 상기 하부롤(51)간의 상하 배치 간격 또는 좌우 배치 간격이 조절함으로써, 이를 보상하는 스트립(S) 선단부의 상방 벤딩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벤더롤(50)을 통과하여 선단부가 상방으로 구부러진 스트립(S)은 상기 벤더롤(50)의 다음 단계에 배치된 상기 표면처리부(80)로 진입되어 스트립(S) 표면에 형성된 산화스케일이 제거되게 된다.
스트립(S)의 선단부가 상기와 같이 상방 조정됨에 따라, 이동 중에 스트립(S)의 선단부에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표면처리부(80)에 진입될 때는 스트립(S)의 이송방향에 수평하게 위치하게 되어 표면처리부(80) 내의 롤 등의 설비와 충돌하거나 끼여 통판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벤더롤(50)과 상기 표면처리부(8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벤더롤(50)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S)의 일부를 절단하는 스트립 절단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절단부(60)에서는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스트립(S)을 분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 절단부(60)는 스트립(S)이 이송롤러(미도시)상을 이동하는 도중에 정지시키지 않으며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드럼 쉬어(drum shear) 또는 플라잉 쉬어(flying she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스트립 절단부(60)가 드럼 쉬어 방식을 구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스트립(S)은 이송롤러(미도시)상에서 정지되지 않고 이송되면서, 드럼 쉬어에 장착된 절단블레이드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할되게 된다.
따라서 조업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스트립(S)의 표면처리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벤더롤(50)과 상기 표면처리부(8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벤더롤(50)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S)의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테이퍼 쉬어(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트립 절단부(6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테이퍼 쉬어(70)는 상기 스트립 절단부(60)와 상기 표면처리부(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트립 절단부(60)에서 절단한 스트립(S)의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절삭하게 될 것이다.
도 3c에서와 같이 스트립(S)의 선단부가 테이퍼지게 절삭되면, 차후 맨드렐(29)에 권취될 때 그립이 용이하게 되어, 권취 실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균일한 권취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이제 선단부가 테이퍼지게 절삭된 스트립(S)은 상기 표면처리부(80)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표면처리부(80)는 산세조(81), 수세조(83) 및 건조부(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스트립(S)은 상기 산세조(81)로 유입되어 표면에 형성된 산화스케일을 제거하기 된다. 상기 산세조(81)의 다음 단계에는 상기 수세조(83)가 배치되며, 상기 수세조(83)는 상기 산세조(81)를 통과한 스트립(S)의 표면에 남은 염산이나 황산 등의 강산을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는 강산이 그대로 스트립(S) 표면에 남아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 작업 환경이 오염되고 작업자가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수세조(83)의 다음 단계에는 상기 건조부(85)가 배치되며, 상기 수세조(83)를 통과한 스트립(S)의 표면을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세 단계를 거치면서 스트립(S)은 표면처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후 스트립(S)은 루퍼(looper) 설비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표면처리부(80)에서 스트립(S)이 공급되는 속도와 최종 맨드렐(29)에서의 권취 등과 관련하여 스트립(S)이 배출되는 속도간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스트립(S)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루퍼 설비(23)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기알려진 구조일 수 있으며, 일 예로는 스트립(S)을 지지하는 상부롤(미도시)과 하부롤(미도시)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켜 스트립(S)을 보관하는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루퍼 설비(23)를 거친 스트립(S)은 제2 스트립 절단부(25)에서 다시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될 수 있으며, 이후 오일러(oiler) 설비(23)로 진입하여 표면에 재산화 방지용 오일이 도포된 후 다시 맨드렐(29)에 권취되어 최종 제품으로 생산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스트립 표면처리 방법에 대한 작업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스트립의 표면처리 방법에 의한 일 실시예는 스트립(S)을 평탄하게 하는 단계(S1)와 상기 평탄화된 스트립(S)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벤딩 압연하는 단계(S2)와 스트립(S) 이송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스트립(S)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S3)와 스트립(S)의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단계(S4) 및 상기 선단부가 상향 벤딩된 스트립(S)을 표면처리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페이오프릴(21)에서 권출된 스트립(S)은 우선적으로 상기 레벨러(40)로 진입하여,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한 이송 및 상기 표면처리부(80)로의 진입이 원활하도록 평탄화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1).
상기 레벨러(40)에서 평탄화된 스트립(S)은 상기 레벨러(40)의 다음 단계인 상기 벤더롤(50)로 진입하여 선단부가 상방으로 벤딩처리된다. 이는 스트립(S)의 선단부가 중력에 의한 자중으로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상기 표면처리부(80)에 진입할 때 롤 등의 설비에의 충돌이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2).
상기 벤더롤(50)에서 선단부가 상방으로 벤딩된 스트립(S)은 상기 레벨러(40)의 다음 단계에 배치된 상기 스트립 절단부(60)로 진입되며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 절단부(60)는 드럼 쉬어나 플라잉 쉬어로 구현되어 스트립(S) 이송의 연속성을 유지하게 된다(S3).
상기 스트립 절단부(60)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된 스트립(S)은 상기 스트립 절단부(60)의 다음 단계에 배치된 상기 테이퍼 쉬어(70)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테이퍼 쉬어(70)에서 스트립(S)의 선단부는 테이퍼지게 절삭되게 된다. 이는 차후 맨드렐(29)에서의 그립을 용이토록 한다(S4).
상기 테이퍼 쉬어(70)에서 선단부가 테이퍼지게 절삭된 스트립(S)은 이제 상기 표면처리부(80)로 유입되어 산세조(81), 수세조(83) 및 건조부(85)를 거치며 표면에 형성된 산화스케일이 제거되게 된다(S5).
이후 상기와 같이 루퍼 설비(23), 제2 스트립 절단부(25) 및 오일러 설비(27)를 거치고 맨드렐(29)에 다시 권취되면서 최종 제품으로 생산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 및 방법을 통해 스트립의 표면처리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스트립의 산세조 진입 및 맨드렐 권취가 원활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표면처리 효율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1...페이오프릴 40...레벨러
50...벤더롤 51...하부롤
53...상부롤 60...스트립 절단부
70...테이퍼 쉬어 80...표면처리부
81...산세조 83...수세조
85...건조부

Claims (8)

  1. 삭제
  2. 페이오프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평탄하게 하는 레벨러; 상기 레벨러에 의해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압연하는 벤더롤; 및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더롤은, 짝수개의 하부롤 및 상기 짝수개의 하부롤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홀수개의 상부롤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3. 페이오프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평탄하게 하는 레벨러; 상기 레벨러에 의해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압연하는 벤더롤; 및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더롤과 상기 표면처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테이퍼 쉬어;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롤과 상기 표면처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벤더롤에 의해 상방으로 압연된 스트립의 일부를 절단하는 스트립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절단부는, 스트립의 이동 중에 연속적으로 절단 가능토록, 드럼 쉬어 또는 플라잉 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6. 스트립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트립을 평탄하게 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벤딩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선단부가 상향 벤딩된 스트립을 표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벤딩 압연하는 단계 이후에, 스트립의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절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벤딩 압연하는 단계 이후에, 스트립 이송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스트립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의 표면처리 방법.


KR1020120154561A 2012-12-27 2012-12-27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2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561A KR101428330B1 (ko) 2012-12-27 2012-12-27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561A KR101428330B1 (ko) 2012-12-27 2012-12-27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53A KR20140084753A (ko) 2014-07-07
KR101428330B1 true KR101428330B1 (ko) 2014-08-07

Family

ID=5173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561A KR101428330B1 (ko) 2012-12-27 2012-12-27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7743A (zh) * 2018-04-24 2018-11-13 日照钢铁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钢的生产工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6624B (zh) * 2021-10-28 2023-11-21 攀钢集团攀枝花钢钒有限公司 热连轧钛及钛合金带卷的板形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892A (ja) * 1995-01-05 1996-07-23 Sumitomo Metal Ind Ltd ステンレス鋼等の鋼板酸洗設備
JP2000176504A (ja) * 1998-12-16 2000-06-27 Nkk Corp 熱延鋼帯のスキンパスミル
JP2005125334A (ja) * 2003-10-21 2005-05-19 Nippon Steel Corp 熱延板の酸洗装置列および酸洗方法
KR20100015723A (ko) * 2007-03-21 2010-02-12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금속 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892A (ja) * 1995-01-05 1996-07-23 Sumitomo Metal Ind Ltd ステンレス鋼等の鋼板酸洗設備
JP2000176504A (ja) * 1998-12-16 2000-06-27 Nkk Corp 熱延鋼帯のスキンパスミル
JP2005125334A (ja) * 2003-10-21 2005-05-19 Nippon Steel Corp 熱延板の酸洗装置列および酸洗方法
KR20100015723A (ko) * 2007-03-21 2010-02-12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금속 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7743A (zh) * 2018-04-24 2018-11-13 日照钢铁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钢的生产工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53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537188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Warmband mit verbesserten Qualitätseigenschaften
EP288509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e giess-walz-verbundanlage
AT51407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llen Ausfördern von Grobblechen aus einem Walzwerk
EP3150294B1 (en) Cut-to-length steel coil processing line with stretcher leveler and temper mill and method
DE102013213418B4 (de) Zwischenstraßenbereich einer Gieß-Walz-Verbundanlage
EP2585236B1 (de) Verfahren zum streckbiegerichten
KR101428330B1 (ko) 스트립의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DE2539216A1 (de) Abbeiz- und walzstrasse
JP4669777B2 (ja) 連続処理設備の速度制御方法
EP3461924A1 (en) Passivation system comprising an expelling device
DE112013000850T5 (de) Oberflächenbearbeitungssystem für ein Blechband in kaltem Zustand und Bearbeitungsverfahren für dasselbe
EP3816307A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flat steel plates
EP254344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gnesiumband
DE3029669C2 (de) Verfahren zur Einstellung des Härtegrades eines für die Herstellung von Weißblech bestimmten, kaltgewalzten Blechbandes
EP182058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zu einem Coil wickelbaren Metallbandes
TWI799028B (zh) 冷軋鋼板的製造方法及製造設備
JP3924276B2 (ja) 薄手広幅厚板材の矯正方法
JP6102517B2 (ja) リーダーストリップ付きコイル、リーダーストリップ付きコ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KR101585800B1 (ko) 이송 테이블의 이송 속도 제어 장치
CN112203961B (zh) 用于对带形材料覆层的真空覆层设备和方法
JP6922668B2 (ja) 熱間圧延方法、及び熱間圧延機列
DE2830253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apeln von Bandteilen von Walzbändern
KR101196254B1 (ko) 용접와이어용 강판의 연속 슬리팅 및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용 강판스트립의 제조방법
PL234712B1 (pl) Sposób cięcia wzdłużnego pasków z blachy stalowej
JP2020059050A (ja) 圧延設備及び鋼板の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