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86B1 - 번짐 교정기구 및 영상 포착장치 - Google Patents

번짐 교정기구 및 영상 포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86B1
KR101426086B1 KR1020080003238A KR20080003238A KR101426086B1 KR 101426086 B1 KR101426086 B1 KR 101426086B1 KR 1020080003238 A KR1020080003238 A KR 1020080003238A KR 20080003238 A KR20080003238 A KR 20080003238A KR 101426086 B1 KR101426086 B1 KR 10142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optical axis
shaft
moving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593A (ko
Inventor
유따까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6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번짐 교정기구는 렌즈 그룹의 광축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샤프트와, 제1 안내 샤프트를 지지하는 기부 프레임과, 제1 안내 샤프트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기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과, 광축 및 제1 방향 모두와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를 통해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에 렌즈 그룹을 보유하는 제2 교정 이동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사실상 동일 평면에 있도록 배치된다.
번짐 교정기구, 영상 포착장치, 안내 샤프트, 기부 프레임, 교정 이동 프레임

Description

번짐 교정기구 및 영상 포착장치{BLUR CORRECTION MECHANISM AND IMAGE CAPTURE APPARATUS}
본 발명은 번짐 교정기구 및 영상 포착장치에 대한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와 스틸 카메라와 같은 몇몇 영상 포착장치는 렌즈 그룹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렌즈 그룹을 이동시킴으로 번짐을 교정하기 위한 번짐 교정기구를 내장한다(일본 특허출원 공개 JP2001-117129호 참조, 특허 문서 1).
이런 번짐 교정기구에는 기부 프레임(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에 대해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개의 가동 프레임이 마련된다. 이들 가동 프레임은 번짐을 교정하기 위해 가각 안내 샤프트에 의해 인도되면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특허 문서 1에 개시된 번짐 교정기구에서, 직교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한 쌍의 안내 샤프트는 소위 "비틀림" 위치에 놓이는데, 이 위치에서 안내 샤프트들은 광축 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공간을 차지한다.
따라서, 번짐 교정기구의 두께는 안내 샤프트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증가됨으로써 소형화를 방해한다.
특히, 렌즈 배럴이 소위 침동식(retractable)인 경우, 번짐 교정기구는 렌즈 배럴 내부에 침동 기구와 함께 배열된다. 렌즈 배럴 내부에 배열되는 구성요소의 수가 많기 때문에, 렌즈 배럴은 광축 방향으로 두터워지며, 이에 따라 광축 방향으로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높다.
따라서,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번짐 교정기구와 영상 포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번짐 교정기구와 영상 포착장치는 모두 렌즈 그룹의 광축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샤프트와, 제1 안내 샤프트를 지지하는 기부 프레임과, 제1 안내 샤프트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기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과, 광축 및 제1 방향 모두와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를 통해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에 렌즈 그룹을 보유하는 제2 교정 이동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사실상 동일 평면에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번짐 교정기구와 영상 포착장치에서, 한 쌍의 안내 샤프트는 광축 방향으로 사실상 동일한 위치에 놓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는 광축과 직교하는 사실상 동일한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광축 방향으로 번짐 교정기구의 길이를 저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샤프트 지지부와 제2 샤프트 지지부가 제1 교정 이동 프레임 상에 마련될 수 있는데, 제1 샤프트 지지부는 제1 안내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1 관통공을 갖고 제2 샤프트 지지부는 제2 안내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2 관통공을 갖는다.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은 광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제1 몰드와 제2 몰드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제1 몰드와 제2 몰드 각각에는 관통공 형성 돌기가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관통공 형성 돌기들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캐비티 내로 수지 용해물을 장입하기 위해 제1 및 제2 몰드가 접합된 동안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의 제조를 촉진하고 생산비 절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샤프트 지지부와 제2 샤프트 지지부가 제1 교정 이동 프레임 상에 마련될 수 있는데, 제1 샤프트 지지부는 제1 안내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1 관통공을 갖고 제2 샤프트 지지부는 제2 안내 샤프트가 통과하는 제2 관통공을 갖는다. 제1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 중 하나는 제1 샤프트 지지부 또는 제2 샤프트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 중 다른 것은 제1 샤프트 지지부 또는 제2 샤프트 지지부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는 제1 교정 이동 프 레임가 이동하는 동안 서로 이동되지 않고 안내 샤프트들 중 하나만이 이동된다. 결국, 샤프트들 중 하나의 종방향 길이가 이동량만큼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포착장치에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 샤프트와 제2 안내 샤프트는 광축과 직교하는 사실상 동일한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광축 방향으로 번짐 교정기구의 길이를 저감하며, 이에 따라 영상 포착장치의 두께 저감을 실현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번짐 교정기구와 영상 포착장치는 광축 방향으로 렌즈 배럴을 소형화하고 생산비를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스틸 카메라에 적용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스틸 카메라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와 그 밖의 설비에 합체된 다양한 유형의 영상 포착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후방/상/하/좌/우측 방향은 스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을 하는 동안 촬영자가 보게 되는 방향을 지시한다. 따라서, 사물측은 전방이 되고 촬영자측은 후방이 된다.
또한, 전방/후방/상/하/좌/우측 방향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는 이들 방향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포착장치(1)는 장치 본체(2)와, 전후 방향(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치 본체(2)에 의해 지지되는 렌즈 배럴(3)을 포함한다. 렌즈 배럴(3)은 소위 침동식으로서, 예컨대 비촬상 동안에는 장치 본체(2)에 수용(도1 참조)되는 반면 예컨대 촬상 동안에는 장치 본체(2)에서 전방으로 돌출(도2 참조)한다.
이런 침동식 렌즈 배럴(3)을 가짐으로써, 비촬상 동안의 소형화(두께 저감)와 촬상 동안의 양호한 광학 성능 보장을 양립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 본체(2)는 다양한 필수 구성요소가 예컨대 수평으로 긴 모양의 편평한 하우징(4)(도1 내지 도3 참조) 내부와 외부에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장치 본체(2)의 전면 상에는 플래시(5)와 뷰파인더 창(6)이 있다. 장치 본체(2)의 상부면 상에는 셔터 버튼(7)과 모드 절환 다이알(8)과 전원 버튼(9)이 있다. 장치 본체(2)의 측면(우측면) 상에는 그 개폐를 통하여 전지(미도시)가 장치 본체(2)에 설치되거나 장치 본체(2)에서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전지 커버(10)가 있다. 장치 본체(2)의 이면 상에는 뷰파인더(11), 줌 스위치(12), 표시 화면(13), 작동 버튼(14, 14, …) 및 단자 커버(15)가 있다. 단자 커버(15) 내부에는 전원 단자, 입/출력 단자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3)은 고정부재(16)와, 고정부재(16)에 고정된 고정링(17)과, 고정링(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 실린더(18), 전후 방향(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캠 실린더(18)에 의해 지지되는 제1 가동부(19)를 포함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6)는 전후 방향으로 대면하고 대 략 판상인 보드부(20)와 보드부(20)의 하단부에서 전방 돌출한 장착 돌기(21)를 갖는다.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열공(20a)이 보드부(20)의 대략 중간 구역에 형성된다. 전방 개방된 베어링 리세스(20b)가 보드부(20)의 하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우측 단부에 형성된다. 전방 돌출한 안내 샤프트부(20c)가 보드부(20)의 좌우 방향으로 볼 때 대략 중간 구역의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안내 샤프트(22)가 보드부(20)의 베어링 리세스(20b) 상으로 장착된다.
스프링 걸림 스트립(21a)이 장착 돌기(21)의 전방 단부 상에 마련된다.
초점 모터부(23)가 장착 돌기(21) 상에 장착된다. 초점 모터부(23)는 모터(24)와, 모터 장착판(25)과, 모터(24)의 모터축으로 작용하는 리드스크류(26)와, 리드스크류(26) 상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재(27)를 갖는다.
초점 모터부(23)에서, 모터 장착판(25)은 장착 돌기(21) 상에 장착된다.
초점 모터부(23)는 초점 이동부(28)를 전후 방향, 즉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초점 이동부(28)는 초점 렌즈 그룹(30)이 보유 아암(29)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보유 아암(29)은 환형 렌즈장착부(31)와, 렌즈장착부(31)에서 하방 우측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한 판형 아암부(32)와, 아암부(32)에서 전방 돌출한 지지 원통부(33)를 갖는다.
초점 렌즈 그룹(30)은 렌즈 장착부(31) 상으로 장착된다.
스프링 걸림 스트립(32a)이 아암부(32)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다. C형 지지 스트립(32b)이 아암부(32) 상에 마련된다.
초점 이동부(28)가 고정부재(16)와, 안내 샤프트(22)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원통부(33)와, 안내 샤프트부(20c)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스트립(32b)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초점부(28)가 고정부재(1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아암부(32)의 일부는 초점 모터부(23)의 너트부재(27)에 의해 고정되고 장력 코일 스프링(34)이 고정부재(16)의 스프링 걸림 스트립(21a)과 초점 이동부(28)의 스프링 걸림 스트립(32a) 사이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초점 이동부(28)는 장력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된다.
초점 모터부(23)의 모터(24)가 리드스크류(26)를 회전시키기 시작하면, 너트부재(27)는 리드스크류(26)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초점 이동부(28)는 안내 샤프트(22)와 안내 샤프트부(20c)에 의해 안내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촬상부(35)가 고정부재(16)의 이면에 장착된다(도4 참조). 촬상부(35)는 보유 프레임부재(36)와 예컨대 CCD(전하결합소자, 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이 보유 프레임부재(36)에 의해 보유된 촬상 장치(37)를 갖는다. 촬상부(35)에서, 보유 프레임부재(36)는 고정부재(16) 상에 장착되고 촬상 장치(37)는 고정부재(16)의 배열공(20a)에 배열된다(도6 참조).
차광기(38)들이 고정부재(16)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도4 참조). 차광기(38)는 광축 방향으로 초점 이동부(28)의 위치 검출을 수행한다.
고정링(17)은 고정부재(16)의 전면 상에 장착된다(도4 및 도5 참조). 고정 링은 대략 원통 형상의 원통형 기부(39)와, 원통형 기부(39)의 우단측 상에서 하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유닛 가압부(40)와, 원통형 기부(39)의 좌단측 상에서 하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케이스 장착부(41)를 갖는다.
원통형 기부(39)에서, 도시 안된 기어 배열공이 케이스 장착부(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기부(39)의 내면 상에는 선형 경사 안내홈(39a, 39a, 39a)들과 회전 안내홈(39b)이 연속으로 형성된다. 선형 경사 안내홈(39a, 39a, 39a)들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다. 회전 안내홈(39b)은 선형 경사 안내홈(39a, 39a, 39a)의 전방 단부에서 계속되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개방된 선형 안내홈(39c, 39c, 39c)도 원통형 기부(39)의 내면에 형성된다.
케이스 장착부(41)는 전방 단부에 배치된 전/후로 대면하는 전면부(41a)와 전면부(41a)에서 이어지는 좌/우로 대면하는 측면부(41b)를 갖는다. 케이스 장착부(41)는 하방 및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링(17)이 고정부재(16)에 장착된 상태에서, 안내 샤프트(22)는 유닛 가압부(40)에 의해 전방에서 가압되고 초점 모터부(23)는 그 전면이 덮힌다.
고정링(17)이 고정부재(16)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긴 모양의 전동기어(42)가 케이스 장착부(41)의 전면부(42)와 고정부재(16)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도10 참조). 전동기어(42)는 원통형 기부(39)의 기어 배열공에 배열된다.
케이스 본체(43)가 고정링(17)의 케이스 장착부(41) 상에 장착된다(도4 및 도5 참조). 도10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43)는 전방 반부(44)와 후방 반부(45)가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전방 반부(44)에는 상향 장착 단차부(44a)가 그 전면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전방 반부(44)에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절취된 센서 장착부(44b)도 마련된다. 전방 반부(44)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센서 배열공(44c)이 센서 장착부(44b)에 추가로 형성된다.
후방 반부(45)에는 그 이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장착 돌기(45a)가 마련된다. 전방 반부(45)에는 후방으로 개방되고 요입된 센서 장착부(45b)도 제공된다. 후방 반부(45)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센서 배열공(45c)이 센서 장착부(45b)에 추가로 형성된다.
모터(46)가 케이스 본체(43) 상에 장착되며 차광 블레이드(47)와 워엄 기어(48)가 모터(46)의 모터축에 고정된다(도4 참조). 모터(46)가 케이스 본체(43) 내부에 배열된 상태에서, 모터축, 차광 블레이드(47) 및 워엄 기어(48)는 케이스 본체(43) 내부에 배열된다.
도시 안된 전동기어 그룹이 케이스 본체(43) 내부에 배열된다. 전동기어 그룹은 워엄 기어(48) 및 전동기어(42)와 맞물린다.
모터(46)가 시동되면, 차광 블레이드(47)와 워엄 기어(48)는 모터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고 구동력이 워엄 기어(48)에서 전동기어 그룹을 거쳐 전동기어(42)로 전달된다.
예컨대 차광기와 같은 한 쌍의 센서(49, 49)가 케이스 본체(43) 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센서(49)는 검출체(49b)가 기판(49a) 상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9a, 49a)들이 외부에서 케이스 본체(43)의 센서 장착부(44b, 45b) 쪽으로 가압되고 검출체(49b, 49b)들이 각각 센서 배열공(44c, 45c) 안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센서(49, 49)들은 장착 편평 스프링(50)에 의해 이동된다.
장착 편평 스프링(50)은 긴 모양의 판상 부재가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하 대면하는 최하부측 기부면부(51)와, 기부면부(51)의 전방 및 후방 단부 모서리 모두에서 상향 돌출하는 센서 가압부(52, 53)와, 전방측 센서 가압부(52)의 상부 모서리에서 후방 돌출하는 결합부(54)와, 결합부(54)의 후방 모서리에서 상향 돌출하는 가압부(55)와, 후방측 센서 가압부(53)의 상부 모서리에서 후방 돌출하는 연결부(56)와, 연결부(56)의 후방 모서리에서 상향 돌출하는 가압부(57)와, 각각의 가압부(57)의 상부 모서리에서 전방 돌출하는 결합부(58)로 형성된다.
서로 인접한 방향으로 돌출한 양각된 돌기(52a, 53a)들이 각각 센서 가압부(52, 53) 상에 마련된다.
장착 편평 스프링(50)은 센서 가압부(52, 53)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됨으로써 케이스 본체(43) 상으로 장착된 다음 탄성 복원된다. 장착 편평 스프링(50)이 케이스 본체(43)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부(55, 57) 이외의 부분들은 케이스 본체(43)의 외면과 면 접촉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 스 본체(43)의 센서 장착부(44b, 45b)에 배열된 센서(49, 49)들의 기판(49a, 49a)들은 각각 외부로부터 장착 편평 스프링(50)의 돌기(52a, 53a)에 의해 가압되면서 고정됨으로써, 센서(49, 49)들이 케이스 본체(43)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장착 편평 스프링(50)에는 케이스 본체(43)의 장착 돌기(45a)가 연결부(56) 및 결합부(58) 사이에 개재되고 가압부(55, 5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고정링(17)과 고정부재(16)에 의해 가압된다. 이 경우, 가압부(55)와 전방 반부(44)의 전면 사이와 가압부(57)와 후방 반부(45)의 장착 돌기(45a) 사이에는 각각 간극(59, 60)이 형성된다.
모터(46)가 회전될 때, 차광 블레이드(47)는 회전되고 센서(49, 49)들은 차광 블레이드(47)의 회전과 함께 차광 및 광 통과 간의 절환을 검출함으로써 모터(46)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포착장치(1)에서는 각각 센서(49, 49)를 가압하기 위한 센서 가압부(52, 53)와, 외면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고정링(17) 및 고정부재(16)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55, 57)와, 가압부(55, 57)가 가압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43)와 결합하는 결합부(54, 58)를 갖는 장착 편평 스프링(50)에 의해 케이스 본체(43)에 센서(49, 49)들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43)에 센서(49, 49)들을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접착제를 도포하는 동안 렌즈나 그 밖의 구성요소에 접착제가 튀거나 침투하는 것과 같은 불편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시간과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공구가 필요없게 됨으로써, 조립 시간 및 비용의 저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센서(49, 49)의 교체와 같은 보수 작업이 케이스 본체(43)에서 장착 편평 스프링(50)을 제거하여 쉽게 수행될 수 있음으로 해서 보수 성능을 개선한다.
또한, 영상 포착장치(1)에서, 가압부(55, 57)는 각각 케이스 본체(43)를 사이에 개재한 고정링(17)과 고정부재(16)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케이스 본체(43)가 장착된 부재가 가압부(55, 57)를 가압하기 위한 부재로서 공유되어 구성요소의 공유에 의해 구성요소의 수를 저감한다.
또한, 센서(49, 49) 쪽으로 돌출한 가압 돌기(52a, 53a)들은 각각 장착 편평 스프링(50)의 센서 가압부(52, 53) 상에 마련됨으로써 케이스 본체(43)에 대한 센서(49, 49)의 보유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장착 편평 스프링(50)은 장착 편평 스프링(50)의 가압부(55, 57)와 케이스 본체(43)의 외면 사이에 간극(59, 60)이 형성되도록 케이스 본체(43) 상에 장착됨으로써, 케이스 본체(43)에 대한 장착 편평 스프링(5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캠 실린더(18)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링(17)에 의해 지지된다(도4, 도6 및 도9 참조).
캠 실린더(18)는 그 형상이 대략적으로 환형이며 그 외주연면의 후방단부의 부분에 랙 기어(18a)를 갖는다. 캠 실린더(18)의 외주연면 상에는 안내될 돌기(18b, 18b, 18b)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캠 실린더(18)의 내주연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홈(18c)이 그 후방단부에 형성된다. 캠 실린더(18)의 내주연면에는 각각 소정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18d, 18d, 18d)와 안내부(18e, 18e, 18e)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8d, 18d, 18d)와 안내부(18e, 18e, 18e)는 각각 홈 형상이다.
캠 실린더(18)는 고정링(17)과, 선형 경사 안내홈(39a, 39a, 39a) 또는 회전 안내홈(39b)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돌기(18b, 18b, 18b)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 실린더(18)는 돌기(18b, 18b, 18b)들이 선형 경사 안내홈(39a, 39a, 39a)을 따라 활주할 때 회전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 캠 실린더(18)는 돌기(18b, 18b, 18b)들이 회전 안내홈(39b)을 따라 활주할 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한다.
캠 실린더(18)가 고정링(17)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랙 기어(18a)는 고정부재(16)와 고정링(17)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기어(42)와 맞물린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43)에 의해 보유된 모터(46)가 회전될 때, 그 구동력은 전동기어 그룹과 전동 기어(42)를 거쳐 랙 기어(18a)로 전동되어 모터(46)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캠 실린더(18)를 회전시킴으로써, 캠 실린더(18)는 회전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고정링(17)에 대해 회전한다.
고정링(17)은 선형 안내부(6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형 안내부(61)를 지지한다. 선형 안내부(61)는 환형부(62)가 환형부(62)에서 전방 돌출한 안내 돌기(63, 63, 63)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환형부(62)에는 안내 대상이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외향 돌출한 돌기(62a, 62a, 62c)들이 마련된다. 또한, 환형부(62)에는 각각 돌기(62a, 62a, 62c)의 전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외향 돌출한 지지 돌출 스트립(62b, 62b, 62b)이 마련된다.
안내 돌기(63, 63, 63)에는 각각 전방 및 외향 개방된 활주홈(63a, 63a, 63a)들이 형성된다.
선형 안내부(61)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링(17)과, 각각 선형 안내홈(39c, 39c, 39c)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돌기(62a, 62a, 62a)에 의해 지지된다. 선형 안내부(61)는 캠 실린더(18)의 지지홈(18c)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돌출 스트립(62b, 62b, 62b)에 의해 캠 실린더(18)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캠 실린더(18)가 회전될 때, 선형 안내부(61)의 돌기(62a, 62a, 62c)들은 각각 선형 안내홈(39c, 39c, 39c)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캠 실린더(18)는 선형 안내부(61)에 대해 회전되는 반면, 캠 실린더(18)가 고정링(17)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선형 안내부(61)는 캠 실린더(18)와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부속 링(64)이 고정링(17)의 전방 반부 상에 장착된다(도4 및 도6 참조).
캠 실린더(18)는 제2 가동부(65)를 지지한다(도6 참조). 제2 가동부(65)는 중간 가동부(66) 및 중간 가동부(66) 상에 장착된 광량 조절장치(67)를 포함한다.
중간 가동부(66)는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기부 프레임(68)에 장착되거나 기부 프레임(68)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된다(도13 내지 도16 참조).
기부 프레임(68)은 원형 판재부(69)와, 원형 판재부(69)의 외주연부 상에 마 련되는 지지면부(70, 70, 70)들을 갖는다. 지지면부(70, 70, 70)들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광-통과 개구(69a)가 원판부(69)의 중간에 형성된다. 후방 돌출한 장착 프레임부(69b, 69b, 69b)들이 원판부(69)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마련된다. 장착 프레임부(69b, 69b, 69b)들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 지지면부(70, 70, 70)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배치된다.
원판부(69)의 전면 상에는 베어링부(69c, 69c)들이 광-통과 개구(69a) 아래에 마련되고 베어링부(69d)가 광-통과 개구(69a) 위에 마련된다. 베어링부(69c, 69c)들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원판부(69)의 외주연면 상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외향 돌출한 피안내부(69e, 69e, 69e)들이 마련된다.
기부 프레임(68)의 지지면부(70, 70, 70)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홈부(70a, 70a, 70a)가 형성된다.
편평 요크(71, 71, 71)가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원형부(69)에 고정된다. 요크(71, 71)는 각각 원형부(69)의 전면 상에서 하단부에 근접한 위치와 좌측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된다. 구동 자석(72, 72)이 각각 요크(71, 71)의 전면 상에 고정된다.
기부 프레임(68)의 전면측 상에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이 제1 안내 샤프트(73)와 제1 보조-안내 샤프트(74)를 거쳐 좌우 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도13 및 도14 참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에는 그 중간부에 광-통과 개구(75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은 그 하단부에 제1 샤프트 지지부(76)가 마련되고 그 상단부에 제1 보조-샤프트 지지부(77, 77)가 마련되고 그 좌측 단부에 제2 샤프트 지지부(78)가 마련되고 그 우측 단부에 제2 보조-샤프트 지지부(79, 79)가 마련된다. 제1 샤프트 지지부(76)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76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샤프트 지지부(78)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공(78a)이 형성되어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 지지부(76)의 제1 관통공(76a)의 중심부(P)와, 제2 샤프트 지지부(78)에는 제2 관통공(78a)의 중심부(Q)와, 제1 보조-샤프트 지지부(77, 77)의 구멍들의 중심부(R) 중 어느 것이라도 광축과 직교하는 사실상 동일 평면에 위치되며, 제2 보조-샤프트 지지부(79, 79)는 제1 샤프트 지지부(76), 제2 샤프트 지지부(78) 및 제1 보조-샤프트 지지부(77, 77)보다 더 전방에 배치된다.
제1 안내 샤프트(73)는 제1 샤프트 지지부(76)의 제1 관통공(76a)으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보조-안내 샤프트(74)는 제1 보조-샤프트 지지부(77, 77)에 고정된다. 제2 안내 샤프트(80)는 예컨대 억지 끼움에 의해 제2 샤프트 지지부(78)의 제2 관통공(78a)에 고정된다. 제2 보조-안내 샤프트(81)는 제2 보조-샤프트 지지부(79, 79)에 고정된다.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은 베어링부(69c, 69c)에 고정된 제1 안내 샤프트(73)의 양 단부와 베어링부(69d)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보조-안내 샤프트(74)의 중간부에 의해 기부 프레임(68)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은 제1 안내 샤프트(73)에 대해 활주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 지지부(76)의 제1 관통공(76a)의 중심부(P)와 제2 샤프트 지지부(78)의 제2 관통공(78a)의 중심부(Q)는 광축과 직교하는 사실상 동일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이들 관통공에 삽입된 제1 안내 샤프트(73)의 샤프트 중심과 제2 안내 샤프트(80)의 샤프트 중심도 각각 광축과 직교하는 사실상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제2 샤프트 지지부(78)는 광축 방향으로 분리된 제1몰드(200)와 제2 몰드(300)에 의해 형성된다(도18 및 도19 참조).
제1 몰드(2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후방 돌출한 관통공 형성 돌기(201, 201, …)가 마련된다.
제2 몰드(3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전방 돌출 관통공 형성 돌기(301, 301, …)가 마련된다.
제1 몰드(200)와 제2 몰드(300)는 캐비티(400, 400)를 형성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접합된다(도18 참조). 이 경우, 제1 몰드(200)의 관통공 형성 돌기(201, 201, …)는 제2 몰드(300)의 관통공 형성 돌기(301, 301, …)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교호하도록 접촉된다.
수지 용해물(500, 500, …)이 캐비티(400, 400, …) 내로 장입되며, 수지 용 해물(500, 500, …)이 경화된 후 제1 몰드(200)가 제2 몰드(300)에서 분리됨으로써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을 형성한다(도19 참조). 제2 샤프트 지지부(78)의 제2 관통공(78a)은 서로 교호하며 접촉하는 관통공 형성 돌기(201, 201, …)와 관통공 형성 돌기(301, 301, …)에 의해 소위 "핀치-오프(pinch-off)"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2 샤프트 지지부(78)의 제2 관통공(78a)은 제1 몰드(200)와 제2 몰드(300)를 이용하여 핀치-오프 형상으로 쉽게 형성됨으로써,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그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공(78a)을 핀치-오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 관통공(78a)은 간단한 몰드 구성을 이용하여 고도로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제2 샤프트 지지부(78)의 제2 관통공(78a)이 제1 몰드(200)와 제2 몰드(300)를 이용하여 핀치-오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1 샤프트 지지부(76)의 제1 관통공(76a)이 두 몰드를 이용하여 핀치-오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공(76a)과 제2 관통공(78a) 모두는 각각 두 개의 몰드를 이용하여 핀치-오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샤프트 지지부(77, 77)와 제2 보조-샤프트 지지부(79, 79)도 핀치-오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은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이 상하 방향(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을 지지한다(도14 및 도15 참조).
렌즈 그룹(83)이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대략 중간부에 장착된다.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에는 좌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후방 돌출한 지지 원통부(82a, 82a)들과 우측 단부에 후방 돌출한 지지 돌기(82b)가 마련된다.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은 각각 좌측 단부와 바닥 단부에 형성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경 개구(82c, 82c)를 갖고 각각 대경 개구(82c, 82c)에 근접 형성된 소경 개구(82d, 82d)를 갖는다.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에서, 지지 원통부(82a, 82a)는 제2 안내 샤프트(80)의 양 단부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돌기(82b)는 제2 보조-샤프트(81)의 중간부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은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과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이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대경 개구(82c, 82c)는 각각 기부 프레임(68)에 고정된 구동 자석(72, 72)의 전면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84)이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전면에 장착된다(도15 및 도16 참조). 회로 기판(84)은 전/후방으로 대면하는 기지면부(84a) 및 기지면부(84a)의 상단부에서 돌출한 제1 연결면부(84b)를 포함한다.
기지면부(84a)에는 각각 하단부와 좌측 단부에 일체로 구동 코일(85, 85)이 마련된다. 홀 요소(84d, 84d)들이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과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위치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 코일(85, 85)에 인접한 기지면부(84a) 상에 장착된다.
도시 안된 회로 배선이 제1 연결면부(84b) 상에 형성되고 다양한 회로 배선이 구동 코일(85, 85)에 접속된다.
회로기판(84)에서, 기지면부(84a)는 접착제 등으로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전면에 장착되고 제1 연결면부(84b)는 도시 안된 각각의 동력 구동 회로에 접속된다. 회로기판(84)이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 코일(85, 85)들은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대경 개구(82c, 82c) 내부에 배치되고 홀 요소(84d, 84d)들은 각각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소경 개구(82d, 82d) 내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이 구동 자석(72, 72)이 고정된 기부 프레임(68)에 의해 지지되고,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이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에 의해 지지되고, 회로기판(84)이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략 L 형상의 외측 요크(86)가 접착제 등에 의해 기부 프레임(68)의 전면 상에 장착됨으로써, 중간 가동 벨트(66)를 형성한다(도16 참조).
번짐 교정기구(87)는 상술한 요크(71, 71)와, 구동 자석(72, 72)과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과, 제1 안내 샤프트(73)와, 제1 보조-안내 샤프트(74)와, 제2 안내 샤프트(80)와, 제2 보조-안내 샤프트(81)와,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과, 구동 코일(85, 85)과, 외측 요크(86)로 형성된다(도13 참조).
번짐 교정기구(87)에서 동력 구동회로가 구동 코일(85, 85)로 구동 전류를 공급하면,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방향에 대응하는 소정 방향으로 구동 코일(85, 85) 과 구동 자석(72, 72)에 의해 추력이 발생하며, 이 추력에 의해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과 내부에 렌즈 그룹(83)을 보유한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은 제1 안내 샤프트(73)와 제1 보조-안내 샤프트(74)에 의해 안내되면서 좌우 방향(제1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또한, 이런 추력에 의해서, 내부에 렌즈 그룹(83)을 보유한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은 제2 안내 샤프트(80)와 제2 보조-안내 샤프트(81)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렌즈 그룹(83)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영상 번짐을 방지하도록 초점 위치를 교정한다.
자석(72, 72)들도 홀 요소(84d, 84d)들을 위치 검출하기 위한 자석으로서 기능하고 홀 요소(84d, 84d)뿐 아니라 구동 코일(85, 85) 모두와 대면하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번짐 교정 작업이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될 때,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은 제2 안내 샤프트(80)의 양 단부에 대해 활주된다. 따라서, 번짐 교정기구(87)에서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의 제2 샤프트 지지부(78)에 제2 안내 샤프트(80)의 양 단부 이외의 부분을 고정하고, 제2 안내 샤프트(80)의 양 단부에 대해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제2 안내 샤프트(80)의 양 단부의 일 측 상에 지지 원통부(82a, 82a)에 대해 활주용 간극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결국,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의 이동 동안에는 유격이 발생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번집 교정 작업의 신뢰도를 향상한다.
광량 조절장치(67)는 중간 가동부(66)의 이면측에 장착되고 양 구성 요소는 제2 가동부(65)를 형성한다(도20 및 도21 참조).
도6과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동부(65)에서, 기부 프레임(68)의 지지 원통부(70, 70, 70)에 형성된 지지 홈부(70a, 70a, 70a)는 선형 안내부(61)의 안내 돌기(63, 63, 63)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안내부(69e, 69e, 69e)도 각각 캠 실린더(18)의 가이드부(18d, 18d, 18d)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2 가동부(65)는 캠 실린더(18)의 회전에 의해 그 위치가 피안내부(69e, 69e, 69e)에 대해 변화되며 선형 안내부(61)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렌즈 배럴(3)에서, 선형 안내부(6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 아니지만 환형부(62)와 환형부(62)에서 돌출한 복수의 안내 돌기(63, 63, 63)로 형성됨으로써 선형 안내부(61)에 대한 제2 가동부(65)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제2 가동부(65)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 안내부(6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선형 안내부(61)의 하나의 안내 돌기(63), 즉 하방 좌측으로 벗어난 안내 돌기(63)[도22에 도시된 안내 돌기(63A)]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도록 구동 코일(85, 85)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가동부(65)가 캠 실린더(18)의 회전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선형 안내부(61)가 캠 실린더(18)와 일체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구동 코일(85, 85)은 안내 돌기(63A)와 충돌하지 않음으로써, 렌즈 배럴(3) 내부에 배열된 번짐 교정기구(87)와 그 밖의 기구들 간의 충돌을 쉽게 방지하고 렌즈 배럴(3)의 소형화도 실현한다.
또한, 영상 포착장치(1)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제2 가동부(65)를 안내하기 위 한 수단으로서 선형 안내부(61)의 안내 돌기(63, 63, 63)를 이용하고 캠 실린더(18)와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선형 안내부(61)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예컨대 렌즈 배럴(3) 내부에 고정된 안내 샤프트가 제2 가동부(65)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선형 안내부(61)의 이동량만큼 광축 방향으로 렌즈 배럴(3)의 길이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세 개의 안내 돌기(63, 63, 63)가 선형 안내부(61) 상에 마련됨으로써, 선형 안내부(61)는 제2 가동부(65)를 큰 힘으로 보유하게 되어 광축 방향으로 수행되는 제2 가동부(65)의 이동을 안정화시킨다.
위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세 개의 안내 돌기(63, 63, 63)가 선형 안내부(61) 상에 마련된 예를 설명했지만, 안내 돌기(63, 63, 63)의 수는 세 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선형 안내부(61)는 환형부(62)가 안내 돌기(63, 63, 63)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구성 요소의 갯수 및 생산비의 절감을 실현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포착장치(1)에서 번짐 교정기구(87)의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 샤프트(73)와 제2 안내 샤프트(80)는 광축과 직교하는 사실상 동일한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렌즈 배럴(3)의 크기 저감뿐 아니라 광축 방향으로 번짐 교정기구(87)의 길이 저감을 실현한다.
또한, 번짐 교정기구(87)에서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이 제1 안내 샤프트(73)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안내 샤프트(80)가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이 이동하는 동안 제 1 안내 샤프트(73)와 제2 안내 샤프트(80)가 서로 이동되지 않고 제2 안내 샤프트(80)만이 이동된다. 결국, 샤프트들 중 하나의 종방향 길이는 이동량만큼 단축될 수 있다.
제2 가동부(65)의 광량 조절장치(67)는 기부 프레임(68)의 이면측 상에 장착된다(도20 및 도21 참조).
광량 조절장치(67)는 소정의 부재가 기부 몸체(88)에 의해 지지되거나 그 위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도20, 도21, 도23 및 도24 참조).
기부 몸체(88)는 수지재로부터 대략 환형으로 형성되며,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측 상에서 외주연부(89) 이외의 부분에 전방 개방된 얕은 깊이의 부착 리세스(90)를 갖는다. 기부 몸체(88)는 부착 리세스(90)가 형성된 부분이 외주연부(89)보다 얇도록 형성된다.
후방 개방된 홈 형상 노치(88a)가 박벽부(88b)를 제공하기 위해 기부 몸체(88)의 이면측의 일부에 형성되며(도20 참조), 박벽부(88b)는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된다.
결합 가능한 포획부(89a, 89a, 89a)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기부 몸체(88)의 외주연부(89) 상에 마련된다(도23 및 도24 참조). 장착 돌기(89b, 89b, 89b)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기부 몸체(88)의 외주연면 상에 마련된다.
후방 개방된 성형공(89c, 89c, 89c)이 기부 몸체(88)의 외주연부(89)에 형성되며(도26 참조), 이들 성형공(89c, 89c, 89c)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성형공(89c, 89c, 89c)의 전방 단부는 각각 부착 리세스(90)와 연통된 장착홈(89d, 89d, 89d)으로서 형성된다.
기부 몸체(88)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장착홈(89d, 89d, 89d)을 포함하는 성형공(89c, 89c, 89c)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제1 몰드(600)와 제2 몰드(700)에 의해 형성된다(도27 및 도28 참조).
제1 몰드(600)에는 후방 돌출한 장착홈 형성 돌기(601, 601, 601)가 마련된다.
제2 몰드(700)에는 전방 돌출한 장착홈 형성 돌기(701, 701, 701)가 마련된다.
제1 몰드(600)와 제2 몰드(700)는 캐비티(800, 800)를 형성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접합된다(도27 참조). 이 경우, 제1 몰드(600)의 장착홈 형성 돌기(601, 601, 601)는 제2 몰드(700)의 장착홈 형성 돌기(701, 701, 701)와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수지 용해물(900, 900, …)이 캐비티(800, 800, …) 내로 장입되며, 수지 용해물(900, 900, …)이 경화된 후 제1 몰드(600)가 제2 몰드(700)에서 분리됨으로써 기부 몸체(88)를 형성한다(도28 참조). 장착홈(89d, 89d, 89d)을 포함하는 성형공(89c, 89c, 89c)은 서로 접촉하는 장착홈 형성 돌기(601, 601, 601)와 장착홈 형성 돌기(701, 701, 701)에 의해 소위 "핀치-오프(pinch-off)"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장착홈(89d, 89d, 89d)들을 포함하는 성형공(89c, 89c, 89c)들은 제1 몰드(600)와 제2 몰드(700)에 의해 핀치-오프 형상으로 쉽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부 몸체(88)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그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착홈(89d, 89d, 89d)을 포함하는 성형공(89c, 89c, 89c)을 핀치-오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착홈(89d, 89d, 89d)들은 간단한 몰드 구성을 이용하여 고도로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부착 리세스(90)에는 대경 관통공(90a)이 형성되어 있다(도25 참조). 부착 리세스(90)에는 관통공(90a) 둘레의 위치에 전방 돌출한 필터 회전 중심 샤프트(90b)와 전방 돌출한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 90d)가 마련된다. 부착 리세스(90)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호형 관통공(90e, 90f)들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 회전 중심 샤프트(90b)와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 90d)는 그 사이에 관통공(90a)을 두고 대략적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 90d)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관통공(90e)은 필터 회전 중심 샤프트(90b)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관통공(90f)은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 90d) 사이에 배치된다.
기부 몸체(88)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그 부착 리세스(90)의 외주연부를 따라 전방 돌출한 배열 단차(90g, 90g, 90g)가 마련된다.
커버판(91), 제1 분리기(92) 및 제2 분리기(93)가 기부 몸체(88)의 전면측에 장착된다(도24 참조).
커버판(91)은 예컨대 금속재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대면하는 커버부(94)와 커버부(94)의 외주연부에서 후방 돌출한 장착 돌출 스트립(95, 95, 95)을 포함한다.
커버부(94)의 중심부에는 기부 몸체(88)의 관통공(90a)보다 작은 광-통과 구 멍(94a)이 형성된다. 커버부(94)에는 모두 후방으로 양각된 것으로서 제1 활주 돌기(94b, 94b)와 제2 활주 돌기(94c, 94c)가 마련된다(도23 및 도29 참조).
제1 활주 돌기(94b, 94b)와 제2 활주 돌기(94c, 94c)는 광-통과 구멍(94a)을 사이에 두고 대략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원호 형상이다. 제1 활주 돌기(94b, 94b)와 제2 활주 돌기(94c, 94c)는 서로 다른 돌출량, 즉 양각도를 가지며, 제1 활주 돌기(94b, 94b)가 제2 활주 돌기(94c, 94c)보다 높다.
커버부(94)의 외주연부를 따라 샤프트 삽입공(94d, 94e, 94f)과 호형 삽입공(94g, 94h)이 형성된다. 샤프트 삽입공(94d)과 샤프트 삽입공(94e, 94f)은 광-통과 구멍(94a)을 사이에 두고 대략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반면, 샤프트 삽입공(94e, 94f)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삽입공(94g)은 샤프트 삽입공(94d)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삽입공(94h)은 샤프트 삽입공(94e, 94f)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제1 활주 돌기(94b, 94b)들은 그 중심으로서 샤프트 삽입공(94f)을 갖는 원들의 원호로 형성되는 반면, 제2 활주 돌기(94c, 94c)들은 그 중심으로서 샤프트 삽입공(94e)을 갖는 원들의 원호로 형성된다.
커버부(94)의 소정 위치에는 돌기(94i, 94i)들이 후방 양각되도록 마련된다.
결합 가능한 구멍(95a, 95a, 95a)들은 각각 장착 돌기 스트립(95, 95, 95)에 형성된다.
제1 분리기(92)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재나 금속재로 판상으로 제조되며 그 중간부에 커버판(91)의 광-통과 구멍(94a)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구멍(92a)을 갖는다. 제1 분리기(92)의 외주연부를 따라 샤프트 삽입공(92b, 92c, 92d)과 호형 삽입공(92e, 92f)이 형성된다. 샤프트 삽입공(92b)과 샤프트 삽입공(92c, 92d)은 구멍(92a)을 사이에 두고 대략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반면, 샤프트 삽입공(92c, 92d)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삽입공(92e)은 샤프트 삽입공(92b)에 인접 배치되고 삽입공(92f)은 샤프트 삽입공(92c, 92d)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분리기(93)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재나 금속재로 판상으로 제조되며 그 중간부에 커버판(91)의 광-통과 구멍(94a)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구멍(93a)을 갖는다. 제2 분리기(93)의 외주연부를 따라 샤프트 삽입공(93b, 93c)과 호형 삽입공(93d, 92e)이 형성된다. 샤프트 삽입공(93b)과 샤프트 삽입공(93c)은 구멍(93a)을 사이에 두고 대략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삽입공(93d, 93e)은 각각 샤프트 삽입공(93b, 93c)에 인접 배치된다.
제2 분리기(93)의 외주연부를 따라 외향 돌출한 장착 돌기(93f, 93f, 93f)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기부 몸체(88)는 제1 광량 조절 블레이드로 이용되는 셔터 블레이드(96, 97)와 제2 광량 조절 블레이드로 마련된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셔터 블레이드(96, 97)는 판형 재료로 형성되며 각각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작업공(96b, 97b)과 샤프트 삽입공(96a, 97a)을 갖는다. 이들 샤프트 삽입공과 작업공은 셔터 블레이드(96, 97) 각각의 일 단부에 형성된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는 시트부재(100, 100)가 예컨대 광-저감 필터(99)의 양면에 예컨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시트부재(100, 100)에는 각각 제1 분리기(92)의 구멍(92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구멍(100a, 100a)이 형성된다. 따라서, 광량 조절 블레이드(98)에서 광-저감 필터(99)는 원형 구멍(100a, 10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된다. ND(중립 밀도: neutral density) 필터가 광-저감 필터(99)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광량 조절 블레이드(98)의 일 단부에는 샤프트 삽입공(98a)과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작업공(98b)이 형성된다(도23 참조).
제2 분리기(93)는 장착홈(89d, 89d, 89d) 안으로 장착 돌기(93f, 93f, 93f)를 삽입(도32 참조)하기 위해 그 전체 몸체가 절곡되어(도31 참조) 탄성 복원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제2 분리기(93)에 의해 기부 몸체(88)의 부착 리세스(90) 상에 장착되어 배열된다. 기부 몸체(88) 상에 장착된 제2 분리기(93)는 부착 리세스(90)의 전면과 면접촉을 하게 된다(도33 참조). 이 경우, 기부 몸체(88)의 필터 회전 중심 샤프트(90b)와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는 각각 제2 분리기(93)의 샤프트 삽입공(93b, 93c)으로 삽입된다.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는 제2 분리기(93) 바로 외측에 배치된다.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는 기부 몸체(88)와, 샤프트 삽입공(98a)에 삽입되는 기부 몸체(88)의 필터 회전 중심 샤프트(90b)에 의해 그리고 지지대로서 필터 회전 중심 샤프트(90b)를 이용하여 제2 분리기(93)의 전면측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광량 조절 블레이드(98)가 기부 몸체(8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제1 분리 기(92)는 기부 몸체(88)의 배열 단차부(90g, 90g, 90g) 상에 장착되어 배열된다. 따라서,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는 제1 분리기(92)와 제2 분리기(93) 사이에서 활주하며 회전 가능하다.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는 시트부재(100, 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저감 필터(99)의 양면에 고정된 세 개의 시트 구성을 가짐으로써, 광-저감 필터(99)가 제1 분리기(92)와 제2 분리기(93) 사이에서 회전하는 동안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에서는 ND 필터가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로 사용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광량 조절 블레이드(98)가 반드시 ND 필터일 필요는 없으며, 그 개구 직경이 제1 분리기(92)의 구멍(92a) 크기보다 작은 홍채 블레이드이거나 홍채 블레이드 및 ND 필터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분리기(92)가 기부 몸체(88)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 블레이드(96, 97)는 기부 몸체(8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터 블레이드(96, 97)는 그 하나가 다른 것과 부분적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기부 몸체(88)에 의해 그리고 샤프트 삽입공(96a, 98a)에 삽입된 기부 몸체(88)의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 90d)에 의해, 그리고 지지대로서 각각 셔터 회전 중심 샤프트(90c, 90d)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터 블레이드(96, 97)가 기부 몸체(8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커버판(91)이 기부 몸체(88) 상에 장착된다. 커버판(91)은 장착 돌기 스트립(95, 95, 95)의 결합 가능한 구멍(95a, 95a, 95a)과 결합하는 결합 가능한 포획부(89a, 89a, 89a)에 의해 기부 몸체(88)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셔터 블레이드(96, 97)는 커버판(91)과 제1 분리기(9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이 경우, 커버판(91)의 돌기(94i, 94i, …)들은 제1 분리기(92)의 전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커버판(91)과 제1 분리기(92) 사이에 셔터 블레이드(96, 97)의 이동 공간을 보장한다. 돌기(94i, 94i, …)들은 셔터 블레이드(96, 97)의 중심 궤적에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판(91)의 제1 활주 돌기(94b, 94b)와 제2 활주 돌기(94c, 94c)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셔터 블레이드(96)는 제1 활주 돌기(94b, 94b)를 따라 활주하고 셔터 블레이드(97)는 제2 활주 돌기(94c, 94c)를 따라 활주한다.
이처럼, 광량 조절 장치(67)에서, 커버판(91)의 제1 활주 돌기(94b, 94b)와 제2 활주 돌기(94c, 94c)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셔터 블레이드(96)와 셔터 블레이드(97)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보유될 수 있다. 결국, 셔터 블레이드(96, 97)들은 회전 동안 거의 서로 충돌하지 않음으로써 원활한 작업을 실현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활주 돌기(94b, 94b)들은 그 중심으로서 샤프트 삽입공(94f)을 갖는 원들의 원호로 형성되는 반면, 제2 활주 돌기(94c, 94c)들은 그 중심으로서 샤프트 삽입공(94e)을 갖는 원들의 원호로 형성됨으로써, 회전 동안 제2 활주 돌기(94c, 94c)와 제1 활주 돌기(94b, 94b)에 대한 셔터 블레이드(96, 97)의 마찰 저항이 거의 변하지 않게 되어 셔터 블레이드(96, 97)의 원활한 작업을 실현한다.
광량 조절장치(67)에는 제1 분리기(92)와 제2 분리기(93) 사이에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를 배열하고 제1 활주 돌기(94b, 94b)와 제2 활주 돌기(94c, 94c)를 갖는 커버판(91) 및 제1 분리기(92) 사이에 셔터 블레이드(96, 97)를 배열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마찰 저항이 작은 측면 상에 셔터 블레이드(96, 97)를 배열함으로써, 정밀한 회전을 필요로 하는 셔터 블레이드(96, 97)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렌즈 배럴(3)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신뢰성을 개선한다.
제1 액츄에이터(101)와 제2 액츄에이터(102)가 기부 몸체(88)의 이면에 장착된다(도23 참조).
제1 액츄에이터(101)는 요크부재(103)와 요크부재(103)에 의해 보유되는 코일(104) 및 구동 아암(106)을 갖는다. 구동 아암(106)은 기부(106a)와 기부(106a)에서 전방 돌출한 아암부(106b)를 포함한다. 자화된 자석(105)이 구동 아암(106)의 기부(106a)에 의해 일체로 보유된다.
제2 액츄에이터(102)는 요크부재(107)와, 요크부재(107)에 의해 보유되는 코일(108) 및 구동 아암(110)을 갖는다. 구동 아암(110)은 기부(110a)와 기부(110a)에서 전방 돌출한 아암부(110b)를 포함한다. 자화된 자석(109)이 구동 아암(110)의 기부(110a)에 의해 일체로 보유된다.
제1 액츄에이터(101)와 제2 액츄에이터(102)는 코일(104, 108)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여 코일(104, 108)과 자석(105, 109) 사이에서 추력이 발생하고 이들 추력은 각각 코일(104, 108)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구동 아암(106, 110)을 회전시키도록 동작된다.
제1 액츄에이터(101)와 제2 액츄에이터(102)는 가압판(111)에 의해 후방에서 가압되면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기부 몸체(88)의 위치에 기부 몸체(88) 상으로 장착된다. 가압판(111)은 대략 U 형상이고 예컨대 나사 체결에 의해 기부 몸체(88)에 고정된다. 가압판(111)은 기부 몸체(88)의 박벽부(88b) 이외의 부분에 고정된다(도20 및 도21 참조).
제1 액츄에이터(101)와 제2 액츄에이터(102)가 기부 몸체(88)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 아암(106)의 아암부(106b)는 기부 몸체(88)의 삽입공(90f), 제2 분리기(93)의 삽입공(93e), 제1 분리기(92)의 삽입공(92f), 셔터 블레이드(96, 97)의 작업공(96b, 97b) 및 커버판(91)의 삽입공(94h)의 순서로 구멍에 삽입되는 반면, 구동 아암(110)의 아암부(110b)는 기부 몸체(88)의 삽입공(90e), 제2 분리기(93)의 삽입공(93d), 광량 조절 블레이드(98)의 작업공(98b), 제1 이격자(92)의 삽입공(92e) 및 커버판(91)의 삽입공(94g)의 순서로 구멍에 삽입된다.
구동 아암(106)이 제1 액츄에이터(10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때, 작업공(96b, 97b)의 개구 모서리는 아암부(106b)에 의해 가압되고 셔터 블레이드(96, 97)는 코일(104)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 아암(110)이 제2 액츄에이터(10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때, 작업공(98b)의 개구 모서리는 아암부(110b)에 의해 가압되고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는 코일(108)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배선판(112)가 가압판(111)의 이면에 장착된다(도4 참조). 배선판(112)은 코일(104, 108)에 연결되어 코일(104, 108)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렇게 구성된 광량 조절장치(67)는 기부 프레임(68)의 장착 프레임부(69b, 69b, 69b)와 결합하는 기부 몸체(88)의 외주연면을 따라 마련된 장착 돌기(89b, 89b, 89b)에 의해 중간 가동부(66) 상으로 장착되며, 제2 가동부(65)는 중간 가동부(66)와 광량 조절장치(67)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량 조절장치(67)에서 광량 조절 블레이드(98)는 기부 몸체(88)에 장착된 제2 분리기(93)와 제1 분리기(92)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기부 몸체(88)의 관통공(90a)은 제2 분리기(93)의 구멍(93a)보다 크게 제조되고 기부 몸체(88)의 이면 상에 배열된 부재, 즉 초점 이동부(28)의 보유 아암(29)은 보유 아암(29)이 관통공(90a)의 증가된 크기만큼 관통공(90a)으로 삽입되는 위치까지 멀리 이동될 수 있다(도33 참조). 결국, 광축 방향으로 렌즈 배럴(3)의 두께 저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분리기(93)는 소위 핀치-오프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홈(89d, 89d, 89d)으로 장착 돌기(93f, 93f, 93f)를 삽입하도록 탄성 변형된 제2 분리기(93)에 의해 기부 몸체(88) 상에 장착됨으로써, 기부 몸체(88)에 대한 제2 분리기(93)의 장착과 함께 장착홈(89d, 89d, 89d)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광량 조절장치(67)에는 기부 몸체(88)의 장착홈(89d, 89d, 89d)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 돌기(93f, 93f, 93f)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2 분리기(93)의 외주연부를 따라 마련됨으로써, 기부 몸체(88) 상에서 제2 분리 기(93)의 장착 조건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광량 조절장치(67)에서 커버판(91)은 금속재로 제조되며, 셔터 블레이드(96, 97)가 활주하는 제1 활주 돌기(94b, 94b)와 제2 활주 돌기(94c, 94c)가 마련됨으로써, 셔터 블레이드(96, 97)의 작업 동안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게 되어 작업의 신뢰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전력 소모를 저감시킨다.
제1 가동부(19)는 렌즈 그룹(114)이 이동 프레임(113)에 보유되도록 형성된다(도4 및 도6 참조). 도34 및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113)은 전/후방 대면하는 판상 환형부(115)와 환형부(115)의 외주연 모서리를 따라 마련되는 주연면부(116)를 포함한다. 주연면부(116)는 환형부(115)에서 전후 방향 모두로 돌출한다.
이동 프레임(113)에서, 전방 개방된 전면 리세스(113a)와 후방 개방된 이면 리세스(113b)는 환형부(115)에서 전후 방향 모두로 돌출된 주연면부(116)에 의해 형성된다.
렌즈 그룹(114)은 환형부(115)의 중간부에서 렌즈 홀더(117)를 거쳐 장착된다.
주연면부(116)의 외주연면 상에는 외향 돌출된 피안내부(116a, 116a, 116a)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주연면부(116)의 내주연면에서 환형부(115)보다 더 후방 측 상에는 내향 돌출된 지지 리지(116b, 116b, 116b)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지지 돌출 리지(116b, 116b, 116b)들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주연면부(116)의 후방 단부 상에는 외향 개방된 삽입 노치(116c, 116c, 116c)들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가동부(19)에서, 이동 프레임(113)의 주연면부(116)의 내주연면에 마련된 지지 돌출 리지(116b, 116b, 116b)들은 각각 선형 안내부(61)의 안내 돌기(63, 63, 63)의 활주홈(63a, 63a, 63a)들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며, 주연면부(116)의 외주연면에 마련된 피안내부(116a, 116a, 116a)들도 각각 캠 실린더(18)의 안내부(18e, 18e, 18e)들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1 가동부(19)는 안내부(18e, 18e, 18e)들에 대한 피안내부(116a, 116a, 116a)들의 위치를 캠 실린더(18)의 회전에 의해 변경시킴으로써 선형 안내부(61)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후 방향(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렌즈 배리어(118)가 제1 가동부(19)의 전면측에 장착된다(도4 및 도6 참조). 렌즈 배리어(118)는 한 쌍의 개폐부재(119, 119)가 원형 홀더(120)에 의해 지지되고 개폐부재(119, 119)의 작업을 통해 광로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원형 홀더(120)는 전면부재(120a)와 이면부재(120b)가 각각 그 전면과 이면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렌즈 배리어(118)에서, 원형 홀더(120)의 외주연부는 이동 프레임(113)의 주연면부(116)의 전면에 장착되고 개폐부재(119)는 이동 프레임(113)의 전면 리세스(113a)에 배치된다.
렌즈 배리어(118)가 제1 가동부(19)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조 링(121)이 이동 프레임(113)과 원형 홀더(120)의 외면측에 장착된다.
렌즈 배럴(3)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 조절장치(67)의 제1 액츄에이터(101), 광량 조절장치(67)의 제2 액츄에이터(102) 및 초점 조절부(28)의 보유 아암(29)의 아암부(32)는 광축 방향에서 볼 때 각각 선형 안내부(61)의 안내 돌기(63, 63, 63)들 중 인접한 돌기들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량 조절장치(67)와 초점 이동부(28)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가동부(19)와 제2 가동부(65)를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선형 안내부(61)의 안내 돌기(63, 63, 63)들은 제1 액츄에이터(101), 제2 액츄에이터(102) 및 보유 아암(29)과 충돌하지 않음으로써 배열 공간의 효과적 이용에 기초한 소형화를 실현한다.
박벽부(88b)는 제2 가동부(65)의 기부 몸체(88) 상에 형성되며, 가압판(111)은 대략 U 형상으로 기부 몸체(88)의 박벽부(88b) 이외의 부분에 고정되며(도21 참조), 보유 아암(29)이 전방 이동될 때, 아암부(32)는 박벽부(88b)를 형성하기 위해 노치(88a) 안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초점 이동부(28)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16)와 제2 가동부(65)는 서로 인접 배열됨으로써 렌즈 배럴(3)의 두께 저감을 광축 방향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선형 안내부(61)의 한 안내 돌기(63)[도22에 도시된 안내 돌기(63A)]는 번짐 교정기구(87)의 구동 코일(85, 85)들 사이에 광축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구동 코일(85, 85)들과 안내 돌기(63A) 간의 충돌이 방지되어 렌즈 배럴(3)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선형 안내부(61)의 안내 돌기(63, 63, 63)들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 가동부(19)와 제2 가동부(65)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작업을 안정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렌즈 배럴(3)에서, 제1 가동부(19), 제2 가동부(65) 및 초점 이동부(28) 중 어느 것이라도 후방측 이동단에 위치된 상태는 렌즈 배럴(3)이 장치 본체(2)에 수용되는 수축 위치이다(도6 참조). 수축 위치에서, 렌즈 배럴(3)은 장치 본체(2)로부터 전방 돌출하지 않는다(도1 참조).
렌즈 배럴(3)이 수축 위치(도6 참조)에서 광각 위치(도36 참조)로 이동할 때, 캠 실린더(18)는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선형 안내부(61)는 캠 실린더(18)와 일체로 전방 이동된다. 제1 가동부(19)와 제2 가동부(65)가 캠 실린더(18)의 회전에 의해 전방 이동될 때, 제1 가동부(19)의 전방 이동량은 큰 반면 제2 가동부(65)의 전방 이동량은 작다.
렌즈 배럴(3)이 광각 위치에서 텔레포토 위치로 이동할 때(도37 참조), 캠 실린더(18)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제2 가동부(65)는 제1 가동부(19)에 인접하도록 캠 실린더(18)의 회전에 의해 전방 이동된다. 텔레포토 위치에서, 제2 가동부(65)는 각각 이동 프레임(113)에 형성된 삽입 노치(116c, 116c, 116c)에 삽입된 기부 프레임(68) 상에 마련된 피안내부(69e, 69e, 69e)에 의해, 그 일부가 배제된(도37 참조) 상태로 제1 가동부(19)의 이면 리세스(113b) 내부에 위치된다(도35 참조).
초점 이동부(28)는 제1 가동부(19)와 제2 가동부(65)의 구동원에 독립적인 구동원에 의해 작동되며, 수축 위치에서 텔레포토 위치까지 각각의 상태에서, 초점 기능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초점 렌즈 그룹(30)에 의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동부(19)의 렌즈 그룹(114), 제2 가동부(65)의 렌즈 그룹(83) 및 초점 이동부(28)의 초점 렌즈 그룹(30)은 줌 작업 및 초점 작업을 위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 렌즈 그룹으로서 이용된다. 렌즈 그룹(114)은 제1 렌즈 그룹으로서 기능하고 렌즈 그룹(83)은 제2 렌즈 그룹으로서 기능하고 초점 렌즈 그룹(30)은 제3 렌즈 그룹으로서 기능한다. 렌즈 그룹(114), 렌즈 그룹(83) 및 초점 렌즈 그룹(30) 중 어떤 렌즈 그룹이라도 복수의 렌즈로 된 조합이거나 단일 렌즈일 수 있다.
렌즈 배럴(3)이 텔레포토 위치에서 광각 위치로 이동할 때, 캠 실린더(18)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술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가동부(65)는 제1 가동부(19)에서 멀어지도록 후방으로 이동된다. 렌즈 배럴(3)이 광각 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이동될 때, 캠 실린더(18)는 마찬가지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선형 안내부(61)와 일체로 후방 이동되며, 제1 가동부(19)와 제2 가동부(65)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2 가동부(65)의 기부 프레임(68)에서 외주연면은 복수의 편평부로 절단되며,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은 좌향 대면하는 제1 편평면부(68A)로 형성되고 우측으로 벗어난 하부면은 하방 우측에 사선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2 편평면부(68B)로 형성된다.
구동 코일(85)의 종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제1 편평면부(68A)와 구동 코 일(85)을 정렬함으로써 구동 코일(85)에 유익한 배열 공간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편평면부(68B)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의 이동 행정의 우측 단부와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홀 센서(84d)는 인접 구동 코일(85)에 대해 제2 편평면부(68B)측(우측)에 배열된다. 외면 형상이 작은 홀 센서(84d)를 외면 형상이 큰 구동 코일(85)보다 제2 편평면부(68B) 쪽으로 배열함으로써, 배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가동부(65)에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은 제1 안내 샤프트(73)에 의해 안내되면서 좌측에 배치된 구동 코일(8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은 제2 안내 샤프트(80)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측에 배치된 구동 코일(8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좌측에 배치된 구동 코일(85)을 인접 홀 센서(84d)보다 제1 안내 샤프트(73) 쪽으로 배열하고 하측에 배치된 구동 코일(85)을 인접 홀 센서(84d)보다 제2 안내 샤프트(80) 쪽으로 배열함으로써, 좌우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 코일(85)과 좌우 방향 안내를 위한 제1 안내 샤프트(73)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 코일(85)과 상하 방향 안내를 위한 제2 안내 샤프트(8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75)과 제2 교정 이동 프레임(82)은 이동 동안 거의 충동하지 않게 되어 원활한 작업을 실현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원용된 것으로 2007년 1월 12일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7-004736호에 관련된 요지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각 부품과 구성요소의 특정 구조와 형상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단지 설명 목적의 일 예로서 제공된 것이며 이들 형상과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1은 도2 내지 도37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포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렌즈 배럴이 장치 본체에 수용된 영상 포착장치의 사시도.
도2는 렌즈 배럴이 장치 본체에서 돌출한 영상 포착장치의 사시도.
도3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도시한 영상 포착장치의 사시도.
도4는 렌즈 배럴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렌즈 배럴의 확대 사시도.
도6은 수축 위치에 있는 렌즈 배럴의 확대 단면도.
도7은 고정부, 초점 모터부 및 초점 이동부를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8은 초점 모터부 및 초점 이동부가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9는 고정링, 캠 실린더 및 선형 안내부를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10은 케이스 본체가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11은 케이스 본체와 이에 장착될 다양한 부재들을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12는 케이스 본체가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13은 도14 내지 도16과 함께 중간 이동부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그 전체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14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이 기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15는 제1 교정 이동 프레임과 제2 교정 이동 프레임이 기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16은 분해된 형태의 외측 요크와 그 밖의 부재들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17은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의 확대 단면도.
도18은 도19와 함께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을 성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몰드와 제2 몰드가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접하게 되고 수지 용해물이 캐비티 내부로 공급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19는 제1 몰드와 제2 몰드가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0은 광량 조절장치에서 분리된 중간 가동부의 확대 사시도.
도21은 제2 가동부의 확대 사시도.
도22는 선형 안내부의 안내 돌기들과 다른 구성요소들 간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23은 광량 조절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24는 광량 조절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25는 기부 본체의 확대 사시도.
도26은 기부 본체의 확대 사시도.
도27은 도28과 함께 기부 본체를 성형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몰드와 제2 몰드가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접하게 되고 수지 용해물이 캐비티 내 부로 공급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8은 제1 몰드와 제2 몰드가 기부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9는 커버판과 셔트 블레이드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30은 광량 조절 블레이드의 확대 사시도.
도31은 제2 분리기가 기부 본체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32는 제2 분리기가 기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33은 광량 조절 블레이드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
도34는 가동 프레임과 기부 프레임을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35는 가동 프레임, 기부 프레임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확대 정면도.
도36은 광각 위치에 있는 렌즈 배럴의 확대 단면도.
도37은 텔레포토 위치에 있는 렌즈 배럴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영상 포착장치
2: 장치 본체
3: 렌즈 배럴
4: 하우징
16: 고정부재
17: 고정링
18: 캠 실린더
19: 제1 가동부
20: 보드부
21: 장착 돌기
22: 안내 샤프트
23: 초점 모터부
24: 모터
25: 모터 장착판
26: 리드스크류
27: 너트부재
30: 초점 렌즈 그룹

Claims (4)

  1. 렌즈 그룹을 해당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번짐 교정을 행하는 번짐 교정기구로서,
    상기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소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지지하는 기부(base) 프레임과,
    상기 기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에 함께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렌즈 그룹을 보유하는 제2 교정 이동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상기 기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사실상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상기 제1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貫通孔)을 가진 제1 샤프트 지지부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진 제2 샤프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이 광축 방향에서 분리되는 제1 몰드와 제2 몰드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제1 몰드와 상기 제2 몰드 각각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캐비티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는 몰드끼리의 충돌 시에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다르게 접촉하는 관통공 형성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한쪽을 형성하도록 한, 번짐 교정기구.
  2. 렌즈 그룹을 해당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번짐 교정을 행하는 번짐 교정기구로서,
    상기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소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지지하는 기부 프레임과,
    상기 기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에 함께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렌즈 그룹을 보유하는 제2 교정 이동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상기 기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사실상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상기 제1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을 가진 제1 샤프트 지지부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진 제2 샤프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 및 상기 제2 안내 샤프트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제1 샤프트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샤프트 지지부에 고정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 및 상기 제2 안내 샤프트 중 다른쪽을 상기 제1 샤프트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샤프트 지지부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번짐 교정기구.
  3. 렌즈 그룹을 해당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번짐 교정을 행하는 번짐 교정기구를 갖춘 영상 포착장치로서,
    상기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소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지지하는 기부 프레임과,
    상기 기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에 함께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렌즈 그룹을 보유하는 제2 교정 이동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상기 기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사실상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상기 제1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을 가진 제1 샤프트 지지부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진 제2 샤프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이 광축 방향에서 분리되는 제1 몰드와 제2 몰드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제1 몰드와 상기 제2 몰드 각각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캐비티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는 몰드끼리의 충돌 시에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다르게 접촉하는 관통공 형성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한쪽을 형성하도록 한, 영상 포착장치.
  4. 렌즈 그룹을 해당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번짐 교정을 행하는 번짐 교정기구를 구비한 영상 포착장치로서,
    상기 렌즈 그룹의 광축에 직교하는 소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지지하는 기부 프레임과,
    상기 기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교정 이동 프레임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에 함께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렌즈 그룹을 보유하는 제2 교정 이동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상기 기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를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사실상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교정 이동 프레임에 상기 제1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을 가진 제1 샤프트 지지부와, 상기 제2 안내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진 제2 샤프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 및 상기 제2 안내 샤프트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제1 샤프트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샤프트 지지부에 고정하고,
    상기 제1 안내 샤프트 및 상기 제2 안내 샤프트 중 다른쪽을 상기 제1 샤프트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샤프트 지지부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영상 포착장치.
KR1020080003238A 2007-01-12 2008-01-11 번짐 교정기구 및 영상 포착장치 KR101426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4736 2007-01-12
JP2007004736A JP4573134B2 (ja) 2007-01-12 2007-01-12 ブレ補正機構及び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93A KR20080066593A (ko) 2008-07-16
KR101426086B1 true KR101426086B1 (ko) 2014-07-31

Family

ID=3961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238A KR101426086B1 (ko) 2007-01-12 2008-01-11 번짐 교정기구 및 영상 포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95099B2 (ko)
JP (1) JP4573134B2 (ko)
KR (1) KR101426086B1 (ko)
CN (1) CN101221340B (ko)
TW (1) TWI3653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9771B2 (ja) * 2007-01-12 2008-12-03 ソニー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WO2012056654A1 (ja) * 2010-10-26 2012-05-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TWI422951B (zh) * 2011-02-22 2014-01-11 Preoptix Jiangsu Co Ltd 光圈調整裝置
KR101285412B1 (ko) * 2011-12-21 2013-07-19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TWI477878B (zh) * 2012-06-13 2015-03-21 Ability Entpr Co Ltd 補正機構及應用其之鏡頭模組
TWI459128B (zh) * 2012-06-20 201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光學防手震驅動結構
WO2016163692A1 (en) 2015-04-09 2016-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CN114755779B (zh) * 2020-12-25 2024-05-28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驱动装置、照相装置以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3170A (ja) * 2005-03-01 2006-09-14 Pentax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868A (ja) * 1995-05-08 1996-11-22 Canon Inc 像ブレ防止装置
JP3697471B2 (ja) * 1998-04-28 2005-09-2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
JPH11337802A (ja) * 1998-05-26 1999-12-10 Minolta Co Ltd ファインダ変倍カムの保持構造
JP2001117129A (ja) 1999-10-21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次元駆動装置とそれを用いた像ぶれ補正装置
JP3917104B2 (ja) * 2003-04-25 2007-05-23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6098531A (ja) * 2004-09-28 2006-04-13 Pentax Corp 像ぶれ補正機構とカメラ
JP4587810B2 (ja) * 2005-01-05 2010-11-24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4600754B2 (ja) * 2005-03-28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TW200730997A (en) * 2006-02-10 2007-08-16 Asia Optical Co Inc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3170A (ja) * 2005-03-01 2006-09-14 Pentax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93A (ko) 2008-07-16
TWI365350B (en) 2012-06-01
JP2008170793A (ja) 2008-07-24
US20080170127A1 (en) 2008-07-17
JP4573134B2 (ja) 2010-11-04
US7995099B2 (en) 2011-08-09
CN101221340B (zh) 2010-09-29
CN101221340A (zh) 2008-07-16
TW200839420A (en)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86B1 (ko) 번짐 교정기구 및 영상 포착장치
JP4189771B2 (ja)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US7154682B2 (en) Optical apparatus
US6452732B1 (en) Filter change-over device
JP4403516B2 (ja) 検出素子の取付構造及び撮像装置
US7551369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US20100260493A1 (en) Image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20060052372A (ko) 렌즈 경동 및 상기 렌즈 경동을 구비한 카메라 및 렌즈경동의 조립 방법
JP2002169074A (ja) レンズ鏡筒
US7751699B2 (en) Image blur correcting mechanism and image-capture apparatus
JP2011175290A (ja)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8170796A (ja) 沈胴式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H11231201A (ja) 光軸調整機構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8170792A (ja) 沈胴式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5428385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6251467A (ja) 撮像装置
JP2001004898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2011151590A (ja) 光学フィルタ装置、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13007869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1017930A (ja) レンズ装置
KR20110047537A (ko)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JP2001215551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