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660B1 -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 Google Patents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660B1
KR101425660B1 KR1020120129010A KR20120129010A KR101425660B1 KR 101425660 B1 KR101425660 B1 KR 101425660B1 KR 1020120129010 A KR1020120129010 A KR 1020120129010A KR 20120129010 A KR20120129010 A KR 20120129010A KR 101425660 B1 KR101425660 B1 KR 101425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atose
bacterium
human
carbon source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866A (ko
Inventor
이신호
박창수
강경명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6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6Processes using, or culture media containing,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12Q1/045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타가토오스를 탄소원으로 함유하는 배양배지를 제공함으로써 인체장내 유해균은 생장하지 않으면서 인체장내 유용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카세이만을 선택적으로 생장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Cuture medium containing D-tagatose and identification method of intestinal microflor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육탄당인 D-타가토오스는 가장 근래에 발견된 감미료로서 지의류인 Stercular setiger의 gum질 성분이며 D-갈락토오스의 이성질체로서 이화학적 특성과 갈색화 반응(browning reaction)의 특성이 D-프록토스(D-fructose)와 비슷한 케토오스이다. D-타가토오스는 갈락토오스(galactose)의 이성질체로서, 설탕의 감미 약 90%를 보유하면서 설탕이 가지는 칼로리의 약 15-30%만 가지는 저칼로리 단당으로서 유럽, 미국을 비롯하여 한국에서도 안전한 기능성 원료로서 인정되어 비만 및 당뇨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건강 유지를 위한 저칼로리 감미료 개발에 높은 잠재적 활용 가치를 보유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칼로리 감미료로서 올리고당, 에리스리톨, 자이리톨등이 이용되어지고 있지만 D-타가토오스는 이러한 감미료와는 달리 설사유발과 같은 부작용도 없으며 감미에 있어서도 기존의 감미료와 거의 차이가 없기에 차세대 저칼로리 감미료 개발 소재로서 그 활용 가치는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쥐의 식이 실험에서 30%의 수크로스(sucrose)와 D-타가토오스를 각각 투여하였을 때 수크로스를 투여한 실험쥐의 경우 중량이 20%이상 증가한 반면 D-타가토오스를 투여한 실험쥐는 오히려 중량이 15% 감소되었다는 보고를 통해 체중감소에 효과적인 감미료임이 증명된바 있다. 이러한 특성들로 비만, 당료병 같은 성인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초콜릿, 껌, 빵, 설탕 등에 설탕 대신 넣어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게 해주는 건강 감미료이며, 설탕 과잉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는 물질이며 현재 미국 FDA에서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인정받았다.
D-타가토오스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7027887호에 D-타가토오스를 첨가하는 감미제에 대하여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D-타가토오스의 인체장내 유용균과 유해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장내세균 검정용 D-타가토오스가 함유된 배지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탄소원으로 D-타가토오스가 함유된 인체장내세균 배양배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배양배지에 인체장내 유해균인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살모넬라 티피뮤리늄(Salmonella typhimurium),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틱쿠스(Vibrio parahaemolytic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지너스(Listeria monocytogenes), 스코필라코코스 아우리어스 속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균주를 각각 접종하여 생장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이와 별도로 인체장내 유용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류코노톡 시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균주를 각각 접종하여 생장촉진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D-타가토오스를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인체장내유해세균의 생장은 억제되고, 유용균의 생장은 촉진하는 배지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D-타가토오스가 함유된 배양배지에서의 인체장내유해세균의 생장억제 효과 나타낸 그래프이다(A: Pseudomonas fluorescens, B: Salmonella typhimurium, C: Vibrio parahaemolyticus, D: Listeria monocytogenes, E: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 탄소원 무첨가, □: glucose, *: D-tagatose).
도 2는 본 발명 D-타가토오스가 함유된 배양배지에서의 인체장내유용균의 생장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Lactobacillus plantarum, B: Lactobacillus brevis, C: Leuconostoc citreum, D: Lactobacillus acidophilus, E: Lactobacillus casei. ◇: 탄소원 무첨가, □: glucose, *: D-tagatose).
본 발명에 사용한 탄소원으로는 CJ 제일제당에서 판매하는 D-타가토오스, 시그마에서 구입한 글루코오스 및 수크로오스를 사용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장내 유용균은 Lactobacillus(L.) plantarum KCCM 11322, L. brevis KCCM 11509, Leuconostoc(Leu.) citreum KCCM 12030, L. bulgaricus LB-12(Hansen`s Lab, Denmark), L. casei LC-01(Hansen`s Lab, Denmark), 병원성 및 유해세균은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KCCM 12255,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7100,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Salmonella typhimurium KCCM 11806,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인체장내 유해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D- 타가토오스의 영향
인체장내세균들의 탄소원 이용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PYF를 변형한 modified-Petone-Yeast-Filds 배지(m-PYF)를 사용하였고 그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m-PYF mdium에 각각의 탄소원 D-타가토오스 또는 글루코스는 0.22 ㎛ membrane filter(Millipore Co., MA, USA)로 제균한 뒤 각각 0.5%(w/v) 첨가하여, 인체장내세균을 각각 2.5%가 되도록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정치배양 하였다. 배양액의 흡광도(Optical Density)를 분광광도계(Pharmacia Biotech Ultrospec 1000, Cambridege, UK) 600 nm 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3번 실험을 반복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본 발명 D-타가토오스 함유 배양배지 조성표
Component Amount
Yeast extract 10 g
peptone 5 g
L-cystein HCl 0.5 g
Tryptone 5 g
Salt solution 40 mL
CaCl2 0.2 g
NaHCO3 1 g
MgSO4 0.2 g
NaCl 2 g
K2HPO4 1 g
D.W. upto 1000 mL
m-PYF medium에 0.5%(w/v) D-tagatose 또는 glucose 및 탄소원이 첨가되지 않은 PYF 배지에 각각의 균을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단독배양하였고, 시간별로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체의 성장곡선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와 같은 인체유해균은 글루코스 첨가군에서 배양 24시간째에 흡광도 1.28-1.64 범위를 나타내며 성장을 하였으나, D-tagatose 첨가군과 탄소원이 없는 대조군의 흡광도가 비슷하거나 낮게 측정되어 D-tagatose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인체장내 유용균 L. plantarum, L. brevis, Leu. citreum, L. acdiophilus, L. casei의 성장곡선은 도 2에 나타냈다. L. plantarum, L. brevis, Leu. citreum는 glucose 첨가군에서 배양 24시간째 모두 1.30-1.44를 나타내며 성장을 하였고, 탄소 무첨가배지와 D-타가토오스 첨가배지에서는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는 탄소 무첨가배지에서는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D-본 발명 D-타가토오스 첨가군에서는 글루코스 첨가배지와 같은 성장 곡선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상기 두 균주는 D-타가토오스를 당원으로 사용하여 생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본 발명 D-타가토오스를 탄소원으로 함유하는 배양배지에서는 인체장내 유해균은 생장하지 않고 인체장내유용한 유산균 중 락토바실러스 카세이만을 선택적으로 생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통계처리
본 실험의 결과는 SPSS system(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 software package(version 12.0)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p<0.05수준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data 상호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D-타가토오스를 탄소원으로 함유하는 배양배지는 인체장내 유해균은 생장하지 않으면서 인체장내 유익 유산균인 L. casei만이 D-타가토오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생장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세균 배양용 배지에 있어서, 탄소원으로 D-타가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장내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
  2. 제 1항 기재의 유산균 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 균주를 포함하는 인체장내 유해세균을 접종한 다음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배양액.
  3. 제 1항 기재의 D-타가토오스를 탄소원으로 함유하는 유산균 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인체장내 유해세균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체의 성장곡선을 측정하는 것이 특징인 인체장내 유해세균 검정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장내 유해세균이 Staphylococcus 속, Listeria 속, Vibrio 속, Salmonella 속, Pseudomonas 속 병원미생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장내 유해세균 검정방법.
  5. 제 1항 기재의 D-타가토오스를 탄소원으로 함유하는 유산균 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인체장내세균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체의 성장곡선을 측정하는 것이 특징인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장내세균이 Staphylococcus 속, Listeria 속, Vibrio 속, Salmonella 속, Pseudomonas 속, Lactobacillus 속, L. brevis 속, Leuconostoc 속, Lactobacillus 속의 세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정방법.
KR1020120129010A 2012-11-14 2012-11-14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KR10142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10A KR101425660B1 (ko) 2012-11-14 2012-11-14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10A KR101425660B1 (ko) 2012-11-14 2012-11-14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866A KR20140061866A (ko) 2014-05-22
KR101425660B1 true KR101425660B1 (ko) 2014-08-05

Family

ID=5089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010A KR101425660B1 (ko) 2012-11-14 2012-11-14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9834A (zh) * 2015-10-22 2016-01-06 上海理工大学 细菌鉴定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513B2 (ja) * 1990-08-30 1995-08-09 味の素株式会社 サルモネラ属細菌の迅速検出方法
JPH0773509B2 (ja) * 1988-05-23 1995-08-09 味の素株式会社 ビブリオ属細菌の迅速検出方法
KR100818360B1 (ko) 2007-03-16 2008-04-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이의 생산을 위한 배지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82522A (ko) * 2007-12-04 2009-07-31 (주)나래바이오테크 선택적 생장과 생화학적 반응을 동시화한 살아있는 세균의검출방법 및 장치
JP7073509B2 (ja) 2018-02-11 2022-05-2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移動体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509B2 (ja) * 1988-05-23 1995-08-09 味の素株式会社 ビブリオ属細菌の迅速検出方法
JPH0773513B2 (ja) * 1990-08-30 1995-08-09 味の素株式会社 サルモネラ属細菌の迅速検出方法
KR100818360B1 (ko) 2007-03-16 2008-04-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이의 생산을 위한 배지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82522A (ko) * 2007-12-04 2009-07-31 (주)나래바이오테크 선택적 생장과 생화학적 반응을 동시화한 살아있는 세균의검출방법 및 장치
JP7073509B2 (ja) 2018-02-11 2022-05-2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移動体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9834A (zh) * 2015-10-22 2016-01-06 上海理工大学 细菌鉴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866A (ko)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9398B2 (en) Probiotic Bifidobacterium strains
RU2553547C2 (ru) ШТАММ Bacillus subtilis, ВЫРАБАТЫВАЮЩИЙ ПЕПТИД С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В МАТЕРИАЛ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ШТАММА
US20060121015A1 (en) Probiotic bifidobacterium strains
Koh et al. Optimization of a fermented pumpkin-based beverage to improve Lactobacillus mali survival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pproach
US20230172248A1 (en) Novel lactic acid bacteria having excellent immune function enhancement effect, and food composition,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nd probiotics comprising same
US11801276B2 (en) Microorganism having ability to degrade ethanol and acetaldehyde, and composition and kit each including the same
KR20170087258A (ko)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KR101223213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s 균주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KR20140022506A (ko) 면역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GB-LP1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방법
US20120207713A1 (en) Probiotic bifidobacterium strains
KR20180118363A (ko)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118362A (ko)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9914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Huang et al. Metabolic properties,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tonio et al. Bifidobacteria as potential functional starter cultures: a case study by MSc student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of Foggia, Southern Italy)
KR100707102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김치 유산균,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425660B1 (ko)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Kumar Bajaj et al. Bioprospecting for functionally-proficient potential probiotics
KR102164198B1 (ko)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인판티스 in0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Inayah et 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zeae as probiotic and starter culture for tamarillo fermented product
JP2007028920A (ja) 発酵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73897B1 (ko) 내산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13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868777B1 (ko) Rs3 유형의 저항 전분에 대해 분해능이 있는비피도박테리움 아도레스센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JP6052721B2 (ja) 新規乳酸菌
KR101302465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