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258A -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 Google Patents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258A
KR20170087258A KR1020160007001A KR20160007001A KR20170087258A KR 20170087258 A KR20170087258 A KR 20170087258A KR 1020160007001 A KR1020160007001 A KR 1020160007001A KR 20160007001 A KR20160007001 A KR 20160007001A KR 20170087258 A KR20170087258 A KR 20170087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arum
strains
lactic acid
subsp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선
오영지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7258A/ko
Publication of KR2017008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23Y2220/67
    • A23Y2280/15
    • C12R1/01
    • C12R1/2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제주 민속주 오메기술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으로서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갖는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으로,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 가능하며,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P. pentosaceus SW01 (KJ871078), Lb. pentosus SW02 (KJ886570),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3 (KJ886571), Lb. sakei subsp. sakei SW04 (KJ886572), P. acidilactici SW05 (KJ886573),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6 (KJ886574) 또는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7 (KJ817426) 중의 어느 하나를 마련하여, 오메기술만의 독특한 맛과 풍미를 더해주는 더 많은 유산균의 분포도의 탐색 및 우점종 변화에 대한 분석에 따라 제주도를 대표하는 전통술인 오메기술과 함께 지방 특유의 전통 민속주에서도 우리나라 전통의 생물자원을 확보하고, 다양한 기능성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Omegisool and probiotic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주 민속주 오메기술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으로서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갖는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 발효유의 과학적 효능이 20세기 초 메치니코프에 의해 발견된 이래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우수한 유용 효능을 가지고 있는 발효유의 인기는 기능성을 위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발효유의 대표적 기능성은 주로 유산균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유산균 함유 제품은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법에 '유익한 유산균의 증식, 장내 유해미생물의 억제, 장내 연동운동, 정장작용'이 기능성으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유산균 섭취에 따른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 유당불내증 완화, 혈중 콜레스테롤 저감, 설사 저감, 면역 체계 증진, 감염 조절, 항균 역할, 항암 효과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유산균의 기능적 특성은 균주별로 다르다는데 이견이 없으므로 같은 종이라고 해서 같은 효과를 주장할 수는 없으며 균주 특성 및 효과에 대한 좀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효유 이용을 위한 유산 균주의 개발은 많은 가능성을 가지며, 최근 들어 한국인 장 내용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여 이를 식품 및 의약품에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모두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선발 기준에 따라 내산성, 내담즙성, 병원성균 증식 억제능 등의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균주의 선발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는 다양한 탄수화물과 설탕을 젖산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식품산업에서 사용되어 왔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 유제품의 신맛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면역력 향상, 장 기능 개선, 그리고 성장을 위해 손상된 조직을 재건에도 유용하다. 또한, pH를 낮추어 부패방지제로서 작용한다. 프로바이오틱스의 가장 흔한 형태는 발효된 유제품과 프로바이오틱스가 강화된 식품이며, Kefir(우유 발효 음료), 요구르트, Sauerkraut(발효된 독일식 김치), 한국김치 등의 유산균도 프로바이오틱스의 건강효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균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류에 대한 연구는 발효유제품으로부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락토코커스 속(Lactococcus sp.) 등과 특히 김치로부터 분리된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등과 같은 유산균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가 있으나, 그 수가 많지 않으며 또한 각 미생물이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류의 기능성 입증에 대한 연구 또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전통발효식품인 막걸리는 다른 발효식품과는 달리 쌀에서 유래한 성분이 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여 다양한 미생물들이 함유되어 있고, 알코올 발효가 진행되면, 유산균에게 환경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생존전략적으로 다당류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면서 pH 내성, 저장성 및 항생제 내성 등을 갖고 있어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 가능하며, 장내효소활성,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그람양성균이며, 통성혐기성(Facultative anaerobes)이고, 막대(rod)형태를 가지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카탈라제(Catalase) 시험결과는 음성반응이고, 유산(Lactic acid) 및 유기산을 생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PL-11 균주(KFCC11427P)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페디오코커스 아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M76균주(기탁번호: KACC91683P)를 배양하여 균체 배양액을 얻는 단계, 상기 균체 배양액을 열탕 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탕 처리한 균체 배양액으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하고 에탄올을 첨가한 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침전물에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하고 유리당을 제거하여 정제된 세포외다당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췌장 베타 세포 증식 및 췌장세포의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M76균주로부터 생산되고, 글루코오스로 구성되며, 50kDa 내지 70kDa의 평균분자량을 갖는 세포외다당류의 생산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3791호(2011.10.0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355호(2014.07.10 등록)
그러나 현재까지 쌀로 제조된 막걸리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한 선행 연구가 있지만, 오메기술을 이용한 유산균의 선행연구는 거의 미미하다.
또한, 이러한 오메기술에서 분리한 유산균으로부터 생산된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주 민속주 오메기술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을 달성할 수 있는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균주는 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고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W03(KJ88657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균주는 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고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SW05(KJ88657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 가능하며,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P. pentosaceus SW01 (KJ871078), Lb. pentosus SW02 (KJ886570),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3 (KJ886571), Lb. sakei subsp. sakei SW04 (KJ886572), P. acidilactici SW05 (KJ886573),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6 (KJ886574) 또는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7 (KJ817426) 중의 어느 하나인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는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되며,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W03(KJ886571)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는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되며,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갖는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SW05( KJ886573)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건강 보조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하면, 오메기술만의 독특한 맛과 풍미를 더해주는 더 많은 유산균의 분포도의 탐색 및 우점종 변화에 대한 분석에 따라 제주도를 대표하는 전통술인 오메기술과 함께 지방 특유의 전통 민속주에서도 우리나라 전통의 생물자원을 확보하고, 다양한 기능성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메기술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오메기술에서 분리된 SW01 내지 SW07의 균주에 대해 NJ 분석(neighbor-joining analysis)을 통하여 작성된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 기초 계통 발생 트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3시간 동안 낮은 pH에 노출된 후 분리된 균주의 생균 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산성 조건(pH 2, 2.5, 3) 하에서 3시간 배양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제주 지역은 지형적 특성상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좁쌀, 수수, 맥류 등을 원료로 하여 술을 빚었기 때문에 술 빚는 방법 및 용기가 독특하고 제주의 전통주만이 갖는 독자적인 특색을 지니게 되었다. 일 예로, 제주의 전통주인 좁쌀주(오메기주, 고소리주)는 좁쌀을 갈아 둥근 모양의 오메기떡을 만든 다음 누룩과 함께 발효 및 숙성시켜 전통주를 제조하였는데, 이는 원료 특성상 당화력이 낮고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좁쌀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발효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메기술은 익반죽한 차조 가루 반죽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끓는 물에 삶아 으깬 다음 누룩을 넣고 고루 섞은 후 떡 삶은 물을 식혀서 부어 60일 이상 발효시킨 술이다. 위에 맑은 술만 걸러낸 것이 오메기 청주이며 밑에 가라앉은 것을 떠내어 체에 밭친 것을 오메기술(막걸리, 탁배기)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메기술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따뜻한 곳에 1개월 정도 두면 노란 물이 떠오르는데, 하루에 4∼5회 저어 주어야 술맛이 고르다. 누룩 기운이 떨어지면 한 번 더 오메기떡에 누룩을 풀어 넣고 발효시킨다. 오메기술은 탁주를 만드는 술떡의 이름인 '오메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떡으로 만든 술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를 마련하는 것이다.
제주 무형문화재 제 3호로 제주 지역의 전통주인 오메기술은 신맛이 강한 알코올 음료로서 주로, 제주지역의 성읍민속마을에서 유일하게 생산되는 고유의 전통주이다. 밭농사 중심의 제주 지방에서 수확되는 좁쌀을 주원료로 하며, 좁쌀가루로 만든 오메기떡과 스타터인 누룩을 섞어 발효하여 음용하는 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오메기술에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이하 'LAB'라 한다)을 분리하였다. 즉, 제주 문화재로 지정된 오메기술의 장인 김 을정 할머니로부터 획득하였다.
연속적으로 희석한 샘플을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 BPB)를 포함하는 MRS 한천 배지(Difco Co, Sparks, MD, USA)에 도말 하였고 콜로니(colony) 주변에서 강한 황색을 띠는 유산균 균주(LAB isolates)를 선택하였다.
7종의 LAB을 SW01 내지 SW07로 지정하였다. 모든 균주를 20% 글리세롤이 보충된 10%(v/v) 탈지 우유 배양액에서 -80℃로 유지하였다. LAB 균주를 MRS 배양액(broth)에서 두 번 계대 배양함으로써 사용 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W01 내지 SW07로 지정된 7종의 LAB의 유전자 서열은 표 1 내지 표 7과 같다.
표 1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시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W01의 16S rRNA 부분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2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SW02의 16S rRNA 부분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3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W03의 16S rRNA 부분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표 4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SW04의 16S rRNA 부분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표 5는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SW05의 16S rRNA 부분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표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W06의 16S rRNA 부분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표 7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W07의 16S rRNA 부분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상기 7종의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다음의 등록번호(accession number)로 GenBank에 기탁되었다. 즉, P. pentosaceus SW01 (KJ871078, 2014년 8월 23일 기탁), Lb. pentosus SW02 (KJ886570, 2014년 8월 30일 기탁),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3 (KJ886571, 2014년 8월 30일 기탁), Lb. sakei subsp. sakei SW04 (KJ886572, 2014년 8월 30일 기탁), P. acidilactici SW05 (KJ886573, 2014년 8월 30일 기탁),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6 (KJ886574, 2014년 8월 30일 기탁) 및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7 (KJ817426, 2014년 8월 14일 기탁)로 GenBank에 기탁되었다.
상기 균주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에 대해 시험하였다.
상기 균주의 탄수화물 발효 패턴을 또한 API 50 CHL 배양액 시스템 (BioMerieux, 프랑스)을 이용하여 37℃에서 확정하였다. 유전학적 동정은 프라이머 27F(50-AGA GTT TGA TCC TGG CTC AG-30) 및 1492R(50-GGT TAC CTT GTT ACG ACT T-30)을 이용하여 분리 LAB의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함으로써 수행되었다. PCR(Polymerase-Chain-Reaction) 생성물을 PCR 정제 키트를 이용하여 정제하였으며, 솔젠트사(SolGent, 대전, 대한민국)에 의하여 양방향으로 염기 서열화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일부 염기 서열을 GenBank의 뉴클레오티드 데이터 베이스의 염기 서열과 비교하였다. 다중 유전자 염기 서열을 Mega 6 소프트웨어 패키지(Tamura, Stecher, Peterson, Filipski, & Kumar, 2013 )의 CLUSTAL 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치하였다. 표준 균주(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종)에 대한 16S rRNA 염기 서열을 EZ Taxon-edatabase(http://eztaxon-e.ezbiocloud.net) (Kim 등, 2012) 및 NCBI-BLAST 프로그램으로부터 획득하였다. 키무라 2-매개 변수 거리 보정 모델 (Kimura's two-parameter distance correction model)이 채용된 NJ 방법(neighbor-joining method (Saitou & Nei, 1987))을 사용하여 계통 발생 트리(phylogenetic trees.)를 작성하였다. 1000개의 복제물(replications)에 대해 부트스트랩 분석을 수행하여 트리 구조(Felsenstein, 1985)를 추정하였다.
다음에 상기 균주에 대해 내 산성(Acid tolerance)을 평가하였다.
상기 균주들(isolates)의 내 산성은 고바야시(Kobayashi), 도야마(Toyama) 및 (Terashima)의 방법(1974)을 약간 변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균주들의 액체 배양물을 0.1N 염산으로 산도가 pH 2.0, 2.5, 및 3.0으로 조절한 펩신 보충 MRS 배양액(pepsin supplemented MRS broths)로 배양하였다. 37℃에서 3시간 배양한 후에, 낮은 산도에서 생존한 생균 수를 상기 평판법(plate count method)으로 MRS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 균주 Lb. rhamnosus(ATCC 53103)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생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생존율(%) =[염산을 함유한 MRS에서 생존한 세포 수(log CFU/mL)/초기 배양된 세포 수(log CFU/mL)]×100.
다음에 상기 균주에 대해 내 담즙성(Bile salt tolerance)을 시험하였다.
이 시험은 pH 2.0, 2.5, 및 3.0에서 식사 후 위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산성 조건에서 3시간 동안 생존한 균주들의 내 담즙성은 1% 또는 0.3% 담즙 함유 MRS 배양액(SigmaeAldrich,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위액에서 3시간 동안 배양 후, 시험 유기체(test organisms)는 MRS 배양액에 함유된 담즙 1% 또는 0.3%에 노출되었다. 내 담즙성(bile salt tolerance)은 37℃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배양 후, MRS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생균 수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되었다. 표준 균주 Lb. rhamnosus(ATCC 53103)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생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생존율(%) =[0.3% 담즙을 함유한 MRS에서 생존한 세포 수(log CFU/mL)/초기 배양된 세포 수(log CFU/mL)]×100.
다음에 시험관에서 부착능(In vitro adhesion property)을 시험하였다.
HT-29 세포를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획득하였다. HT-29 세포를 10% 소 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0.1 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시그마)에서 배양하였다. 부착능(adhesion) 시험은 HT-29 세포를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였고, 5% CO2 및 95% 대기압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되었다. 24시간 배양으로부터 획득된 LAB 세포를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두 번 세척한 후 107 내지 108CFU/mL의 농도로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DMEM에 재현탁하였다. 이러한 박테리아 현탁액을 HT-29 세포의 단층에 접종하였다. 5% CO2 및 95% 대기압에서 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상기 웰(well)을 PBS로 세 번 세척하여 박테리아 현탁액 및 DMEM을 제거하였으며, 1% 트리톤 X-100 용액((SigmaeAldrich, St. Louis, MO, 미국)으로 처리하여 부착된 박테리아를 분리하였다. 최종 생존 LAB 세포 수(부착 LAB)를 MRS 한천 배지를 사용하여 평판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부착능(adhesion property)은 부착율(adhesion percentage)로 표현되었다.
부착율(%)=[부착 셀 수(logCFU/Ml)/초기 셀 수(logCFU/mL)]×100
다음에 상기 균주에 대한 안전성 시험으로서 먼저 항균제 감수성 시험(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을 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이 상술한 7종 분리 균주 대해 배양액 마이크로 희석법(broth microdilution method)을 통해 수행하였다.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은 0.125-256μg/mL의 농도로 암피실린(ampicill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카나마이신(kana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테트라 사이클린(tetracycline)을 이용하여 Klare 등에 의하여 형성된 유산균 감수성 시험 배지(LAB susceptibility test medium, LSM) 배양액 제제(broth formulation)로 확정되었다. 표준 균주를 MRS 배양액로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맥팔랜드 표준 계수 1(McFarland standard No. 1)의 탁도로 조절하였으며, LSM 배양액으로 1000배 희석하였다. 각 균주를 96-웰 플레이트에서 항생제 50㎖와 혼합하였고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시켰다. MIC는 균주의 가시적인 성장을 억제하는 항생제의 최소 농도로 정의하였다. MIC 판정 기준(breakpoint) 값은 유럽 식품 안전청의 권고안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s recommendations, EFSA) (2012), Danielsen 및 Wind (2003), 그리고 Danielsen, Simpson, O'Connor, Ross 및 Stanton (2007)에 따라 측정되었다.
다음에 상기 균주에 대한 용혈(Hemolysis)을 시험하였다.
MRS 배양액에서 24시간 동안 배양된 LAB 균주를 5%(w/v)의 양의 탈 섬유소 혈액(Kisan Biotec사, 한국)을 함유하는 트립틱 소이 한천 배지(Difco 사, Sparks, MD, 미국)에 이식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용혈 활성(hemolytic activity)은 콜로니(colonies) 주위의 가수 분해 클리어 영역(clear zone)(β 용혈), 상기 콜로니 주위의 부분 가수 분해 및 녹색 색조 영역(α용혈), 또는 상기 콜로니 주위의 비 영역(γ 용혈)을 관찰함으로써 설명하였다. γ용혈은 음성으로 여겨 졌다.
다음에 상기 균주에 대해 DPPH 라디칼 소거 효과(DPPH radical-scavenging effect) 시험을 하였다.
균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을 MRS 배양액에서의 24시간 배양물 얻어진 각 균주의 상등액(supernatants)으로 결정하였다. 100mL의 배양물을 0.4mM의 DPPH 용액 100mL와 96-웰 플레이트에서 혼합하여 암소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샘플의 흡광도(absorbance)를 517nm에서 측정하였다.
소거 활성의 계산은 다음 식으로 하였다.
소거 활성(%) = [1-(샘플의 A517/블랭크의 A517)]×100%.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 데이터에 대해 통계 분석을 실행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18.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SPSS, Chicago, IL, 미국). 데이터는 터키 시험(Tukey's test)에 의한 다중 비교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오메기술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오메기술은 약 108 CFU/mL의 LAB을 함유하는 것을 적용한다.
오메기술의 발효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효 직후의 유산균 수는 3.2×107 CFU/mL 였다. 발효액을 4, 10, 20, 30℃의 온도에서 보관하였을 때 유산균 수의 변화는 4℃와 20℃의 저온에서는 108 CFU/mL정도로 유지된 반면, 30℃의 고온에서는 초기에 급격한 증식을 보인 후 3~4일 이후에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효모의 수는 1.2×106-3.6×107 CFU/mL을 나타내어 주모로서 효모배양액을 넣지 않고 전통적으로 담금한 것으로서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숙성에 따른 산도변화는 유산균수의 증가와 상관관계를 보여 저온(4, 10℃)에서는 7일째 각각 1.26%과 1.44%로 증가하였고, 20℃에서는 4일째 1.26%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pH는 5.1에서 4.7로 낮아지다가 5일 이후 약간 상승하여 산도변화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점도는 본 발효 직후 육안관찰 시와 동일하게 2.4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시작되면서 4°C에서는 대체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했고, 7일째에 2.7로 가장 높은 cP값을 보였다. 10, 20, 30°C에서는 숙성 4일째 최대 cP값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색도는 4℃와 30℃에서의 L값은 각각 103.7과 101.2까지 증가하기도 하였으나 증가의 폭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10℃와 20℃에서는 숙성 2일 만에 103.08-108.48 정도로 높아져 색도가 많이 밝아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의 경우에는 4℃와 30℃에서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10℃에서는 3일째 a값이 -0.39±0.03, 20℃에서는 1일째 -0.62±0.07로 가장 높은값을 보였고 그 후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본 발효 직후, 10.56-19.53 정도로 나타났으나, 숙성 과정이 경과됨에 따라 숙성 온도에 관계없이 급격히 낮아져 7일째 2.82-1.07 정도로 감소하여 황색도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즉, 후발효에 의해 색이 점차 밝아지고 투명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새콤한 맛이 특징인 오메기술의 후 발효 기간 동안 20, 30℃보다 10℃의 저온에서 천천히 발효과정을 진행할 때 더 오랫동안 그 맛과 색 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7종의 유산균(LAB)을 BPB를 갖는 MRS 배지를 이용하여 오메기술로부터 선별 분리하였다. 모든 균주는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카탈라아제 음성균(catalase-negative) 및 산화 효소 음성균(oxidase-negative)이고, BPB를 갖는 MRS 상에서 황색 영역을 나타내었다. 균주의 탄수화물 발효 패턴을 API 50 CHL 시스템 키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생화학 검사 결과가 표 8에 기술되어 있다.
표 8은 SW01 내지 SW07의 유산균에 대하여 생화학적인 동정과 유전학적 동정 방법으로서 API 50 CHL 시스템과 16S rRNA 분석을 나타내며,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5종과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의 2종의 유산균이 동정되었다.
Figure pat00008
SW01 내지 SW07의 균주는 포도당, 과당, 마노스(mannose), 갈락토오스를 발효시킬 수 있지만, 어떠한 균주도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아리비톨, 에리트리톨, 이노시톨 또는 자일리톨를 발효시킬 수 없었다. API 50 CHL 발효 패턴은 균주의 말토오스(maltose), 락토스(lactose), 수크로스(sucrose) 및 라피노즈(raffinose)를 발효시키는 능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생화학적인 분석에 따르면, SW01 및 SW05는 잠정적으로 페디오코크스 균(Pediococcus)으로 동정 되었다. SW01은 구균 모양이고, 아라비노스 및 타가토스를 발효하였지만, 락토스, 수크로스, 또는 라피노즈를 활용하지는 않았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SW05의 형태적인 특징을 살펴 본 결과, MRS 배양액에서 단 구균 또는 사륜 구균으로 나타났으며, 말토오스, 리보오스, 및 수크로오스로부터 산을 생성할 수 있었다.
도 2는 오메기술에서 분리된 SW01 내지 SW07의 균주에 대해 NJ 분석(neighbor-joining analysis)을 통하여 작성된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 기초 계통 발생 트리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대장균은 외집단으로 선택되고, 스케일 바 (0.02)는 사이트 당 염기 치환 비율을 나타내고, 1000 복제에 대한 결정 부트 스트랩 확률은 백분율로 나타낸다.
SW01 내지 SW07의 균주는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 및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의 두 개의 속(genera)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 되었다. 이들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를 염기 서열화함으로써 SW01 및 SW05 균주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시우스 및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와 각각 99%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상동 성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표 8 참조).
나머지 5종의 유산균, 즉 SW02, SW03, SW04, SW06 및 SW07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종으로 동정 되었으며. SW02 및 SW04는 Lb. pentosus(GenBank의 염기 서열에 대해 100% 상동 성을 나타냄) 및 Lb. sakei subsp. sakei(GenBank의 염기 서열에 대해 99% 상동 성을 나타냄)로 각각 동정 되었다. SW03, SW06 및 SW07는 Lb. plantarum subsp. plantarum(GenBank의 염기 서열에 대해 99% 이상의 상동 성을 나타냄)으로 동정 되었다. 이들 균주 들은 비록 같은 종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 되었지만 다른 탄수화물 발효 패턴을 보여주었다.
LAB의 탄수화물 발효 패턴은 그들의 생리적인 조건 및 발효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자연적인 돌연변이가 발효 패턴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Ahrne, 1991, Nigatu, Ahrn_e, & Molin, 2000). Boyd, Antonio, and Hillier(2005)는 같은 종의 공생 유산균은 다른 탄수화물 발효 패턴을 보여 줌을 보고한 바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의 내 산성을 평가하였다.
내 산성은 위장관에 작용하기를 바라는 임의의 균주에 대하여 필요한 속성이다. 인공 위액에서 생존 능을 시험관(in vitro)으로 평가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3시간 동안 낮은 pH에 노출된 후 분리된 균주의 생균 수를 나타낸다.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ecies)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SW04의 두 균주의 생균 수는 pH가 2.0, 2.5 및 3.0에서 3시간 동안 인공 위액에 노출된 후 109 CFU/mL로 유지되는데, 이는 산성 조건에서 저항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두 균주, 즉 SW03 및 SW07는 낮은 pH에서 높은 저항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pH 2.5에 3시간 동안의 노출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W06의 약 1 log 감소를 가져왔다. 모든 균주 중,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 SW05는 3시간 동안의 pH 2.5에서 가장 높은 생존 능력을 보여줬다(도 4 참조). 대부분의 균주의 생존율은 각 pH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산성 조건(pH 2, 2.5, 3) 하에서 3시간 배양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 결과는 세 실험 ± 표준 편차 평균으로 나타내고, 다른 소문자(a-d)로 동일 pH 시리즈에서 평균은 유의한 차이(P <0.05)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의 내 담즙성을 시험하였다.
담즙 염은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막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살아 있는 세포에 해롭다. 균주의 내 담즙성은 소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선별하기위한 필수적인 특성으로 여겨지고 있다.
SW01 내지 SW07의 균주의 내 담즙성은 담즙 염을 함유한 MRS 배양액로 24시간 또는 48시간 배양 후의 균주의 생존율로 표현되었다(담즙 사용, SigmaeAldrich).
표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W01 내지 SW07의 균주는 일반적으로 담즙 염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다. 표 9는 0.3%와 1% 담즙(황소의 담즙)과 MRS에 보충액에서 SW01 내지 SW07의 균주의 생존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또 표 9에서, a는 LAB 균주가 3시간(시뮬레이션 위액 주스- pH 2, 2.5, 3) 동안 37℃에서 배양하고 그 후 황소의 담즙 0.3, 1%를 포함하는 MRS 배양액에서 접종한 것이고, b는 생존 세포 수는 24, 4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 후 MRS 한천에서 계수된 생존 세포 수를 나타낸다. 결과는 세 번 실험의 ± 표준 편차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48시간 후,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W02는 4-5 log 감소를 보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세 개의 분리 균주인 SW03, SW06 및 SW07는 담즙 염 조건에서 그들의 생존능(viability)를 유지하였다. 균주들의 담즙 염에 대한 저항성은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든 균주를 3시간 동안 인공 위액으로 처리한 후 담즙 염 조건하에서 배양시켰다. 그러나 대부분의 산 및 담즙 염 내성 실험 연구는 독립적으로 수행되었다. 위장관에서 LAB의 생존은 이들 두 시험이 개별적으로 수행되었는지 함께 수행되었는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이는 산 스트레스(acid stress) 상태에 있는 LAB이 소장으로 분비되는 담즙의 노출에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산과 담즙 염 시험은 식품 내 프로바이오틱(probiotic) LAB의 적용을 위한 검사 단계에서 함께 결합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담즙 환경에서는 24시간과 48시간 동안 SW06 균주가 가장 큰 내담즙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HT-29 세포에서의 부착 능(Adhesion to HT-29 cells)을 평가하였다.
Caco-2 또 HT-29와 같은 장 점막 세포에 대한 부착은 새로운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부착 특성(adhesive property)을 평가하기 위한 전제 조건 검사 수단으로 간주된다(Blum 등, 1999).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의 균주의 소장 점막 세포에 대한 부착 능은 HT-29 세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Lb. rhamnosus GG은 대조구로서 이용하였다.
상기 7종의 균주의 부착 능은 표 10에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10
표 10에서, 문자 a-e는 터키 시험에 의해 P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분리된 LAB 균주는 다양한 부착 레벨을 보여줬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시우스 SW01 및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 SW05는 HT-29 세포에 대해 65% 이상의 부착 능을 보여줬다. 상기 부착 능은 2종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의 균주 사이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P. pentosaceus Q3가 HT-29 세포에 아주 잘 부착된다는 Jensen, Grimmer, Naterstad 및 Axelsson(201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W02는 HT-29세포에 대해 가장 낮은 부착 능을 보여줬다. Adlerberth 등(1996)과 Tallon, Arias, Bressollier 및 Urdaci (2007)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의 부착 특성은 균주와 매트릭스(matrix)에 따라 달라지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W03 및 SW07의 두 균주는 같은 종의 SW06보다 더 강한 부착 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tivity)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프로바이오틱 특성의 평가 기준의 하나로서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분석하였다. 표 11은 오메기술로부터의 SW01 내지 SW07의 균주의 DPPH 소거 가능성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11
표 10에서, 문자 a-d는 터키 시험에 의해 P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 균주 대부분의 무세포(cell-free) 상등액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 줬지만, 대조구 Lb. rhammosus의 활성보다는 낮았다. 24시간 배양시 항산화 활성은 균주들 사이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다. 페디오코커스 균주 SW01 및 SW05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범위는 30.41±7.10% 내지 39.64±2.93%이다.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W06에서 56.3%로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다른 균주들의 라디칼 소거 활성보다 상당히 높은 값이다(P < 0.05). 임의의 LAB은 글루칸(glucan), 프룩탄(fructan) 및 글루코- 및 프룩토- 올리코당(gluco- and fructo-oligosaccharides)과 같은 엑소폴리사카라이드(exopolysaccharides, EPS)를 생성한다. LAB의 무세포 상등액으로부터 획득된 EPS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Kodali & Sen (2008); Liu, Tseng 등(2011).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안전성 평가를 실행하였다.
먼저, 용혈 활성(Hemolytic activity)을 평가하였다.
용혈 활성 및 항생제 내성의 부재는 프로바이오틱 균주(FAO / WHO, 2002)의 선택에 대한 안전성 전제 조건으로 간주된다. 분리된 균주는 5% 양 혈액을 함유한 트립틱 소이 한천(tryptic soy agar)에서 배양될 때 β-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6종 균주는 γ-용혈성을 가졌다. 적혈구의 용혈은 γ-용혈성 세균에 의해 나타나지 않았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시우스 SW01은 부분 용혈인 α-용혈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결과는 Leuconostoc 및 Pediococcus 종에는 β-용혈 및 α-용혈 중 어떠한 용혈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Colaninno (2008)와 Riebel 및 Washington (1990)에 의한 연구와 일치하였다.
다음에 항균제 감수성(Antibiotic susceptibility)을 측정하였다.
7종의 분리 균주의 MIC을 5종의 항생제, 즉 세포벽 억제제 (암피실린) 및 단백질 합성 억제제(클로람페니콜, 카나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및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해 측정하였다.
표 12는 오메기술에서 분리된 SW01 내지 SW07 균주에 대해 항생제의 MIC 값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12
표 12에서, Am : 암피실린, Cl : 클로람페니콜, Km : 카나마이신, Sm : 스트렙토 마이신, Te : 테트라 사이클린을 나타내고, 문자 a는 MIC가 육안상으로 세균 성장을 억제하는 항생제의 최소 농도이고, 문자 b에서 BP1은 EFSA(2012)에 의해 제공된 중단점이고, 문자 c의 BP2는 Danielsen과 Wind (2003) 및 Danielsen 등(2007)에 의해 제공된 중단점이며, 문자 d의 n.r은 EFSA(2012) 판정 기준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SW01 내지 SW07 균주는 EFSA(2012)(BP1), Danielsen과 Wind (2003) 및 Danielsen 등(2007)에 의해 주어진 판정기준을 바탕으로 암피실린에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두 종의 락토바실로스 종 SW06과 SW07은 클로람페니콜에 항생제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페디오코커스 종은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페디오코커스 종은 항생제 감수성의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EFSA 판정기준은 Danielsen 및 Wind (2003) 판정기준보다 낮으며, 페디오코커스 종은 속으로 한정된다. Danielsen 등(2007)은 6종의 페디오코커스 종의 MIC 값을 나타내었다. BP2에 따라,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W02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W06는 4종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에 항생제 감수성을 보였다.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W02를 제외한 가나마이신(kanamycin)과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과 같은 항생제에 대한 균주의 저항성은 보통 MIC 값에 의하여 측정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높았다. 가나마이신 및 스트렙토마이신과 같은 아미노글리코시드(aminoglycoside)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은 LAB의 고유의 성질로 간주하였다(Danielsen & Wind, 2003). 일반적으로, 항생제 내성은 안전성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전이 가능한 경우 위협적일 수 있다(Sharma, Tomar, Goswami, Sangwan, & Singh, 2014). 그러므로 이러한 박테리아의 게놈에 항생제 내성 인자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분리된 균주가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하기 전에 항생제 내성의 전이 가능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심도 깊은 추가 연구도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요건을 골고루 갖추면서 그 생리적 특성을 고려, 종합하여 선별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W03과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 SW05를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높았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바이틱스로서 가능성이 있는 7종의 LAB이 오메기술로부터 분리되었다. 상기 균주들은 GenBank에 기탁된 P. pentosaceus SW01 (KJ871078), Lb. pentosus SW02 (KJ886570),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3 (KJ886571), Lb. sakei subsp. sakei SW04 (KJ886572), P. acidilactici SW05 (KJ886573),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6 (KJ886574) 및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7 (KJ817426)이며, 이러한 식물 유래 락토바실로스(Lactobacillus) 및 페디오코쿠스(Pediococcus) 모두는 산 및 담즙 내성, 높은 수준의 항생제 활성 및 HT-29 세포에 대한 높은 부착 능을 포함하는 인 비트로 프로바이오틱 효과(In vitro probiotic effects)를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 중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W03과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 SW05는 위장 조건에서 우수한 내성을 보여 줬다. 상기 두 종의 균주는 용혈 활성을 보여 주지 않고 있으며, 강한 항산화 능력, 높은 부착 능을 보여 줬다. 상기 균주들의 산 및 담즙 저항성은 적절한 식품을 선택함으로써 잠재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W03과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 SW05를 각각 분리 또는 혼용하여 식품 또는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항균 효과를 갖는 유산균을 마련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 SW05 균주에 대한 항균특성 결과 동종의 유산균을 저해하는 특성을 보인 바, 박테리오신 생산에 대한 탐색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박테리오신의 특성과 유사한 항균 피크를 보였으며 또한, 균 상등액의 중화 전 항균효과는 중화 후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 SW05 균주의 대사 산물로서 다양한 유기산과 항균물질에 의한 복합효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오메기술만의 독특한 맛과 풍미를 더해주는 더 많은 유산균의 분포도의 탐색 및 우점종 변화에 대한 분석에 따라 제주도를 대표하는 전통술인 오메기술과 함께 지방 특유의 전통 민속주에서도 우리나라 전통의 생물자원을 확보하여 프로바이오틱으로의 가능성 등 다양한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산 및 담즙 저항성은 적절한 식품과 동물 사료용 프로바이오틱스를 마련할 수 있다.

Claims (6)

  1. 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고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W03(KJ886571) 유산균 균주.
  2. 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고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SW05(KJ886573) 유산균 균주.
  3.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 가능하며,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P. pentosaceus SW01 (KJ871078), Lb. pentosus SW02 (KJ886570),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3 (KJ886571), Lb. sakei subsp. sakei SW04 (KJ886572), P. acidilactici SW05 (KJ886573),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6 (KJ886574) 또는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SW07 (KJ817426) 중의 어느 하나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균주.
  4.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되며,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W03(KJ886571)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바이오틱스.
  5.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되며,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갖는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SW05( KJ886573)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바이오틱스.
  6. 청구항 제3항 또는 청구항 제4항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건강 보조식품.
KR1020160007001A 2016-01-20 2016-01-20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KR20170087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01A KR20170087258A (ko) 2016-01-20 2016-01-20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01A KR20170087258A (ko) 2016-01-20 2016-01-20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258A true KR20170087258A (ko) 2017-07-28

Family

ID=5942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001A KR20170087258A (ko) 2016-01-20 2016-01-20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725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415B1 (ko) * 2018-12-17 2020-03-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 활성 및 항균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균주
KR102100369B1 (ko) * 2019-03-18 2020-04-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57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78B1 (ko) * 2019-03-20 2020-04-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347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77B1 (ko) * 2019-03-18 2020-04-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산화 활성,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57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63B1 (ko) * 2019-03-18 2020-04-1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329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67B1 (ko) * 2019-03-18 2020-04-1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103306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89354A (ko) * 2020-12-21 2022-06-28 강원도 신규한 김치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랜타룸 afy-10 및 이를 포함하는 주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415B1 (ko) * 2018-12-17 2020-03-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 활성 및 항균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균주
KR102100369B1 (ko) * 2019-03-18 2020-04-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57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77B1 (ko) * 2019-03-18 2020-04-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산화 활성,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57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63B1 (ko) * 2019-03-18 2020-04-1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329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67B1 (ko) * 2019-03-18 2020-04-1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10330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78B1 (ko) * 2019-03-20 2020-04-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3472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89354A (ko) * 2020-12-21 2022-06-28 강원도 신규한 김치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랜타룸 afy-10 및 이를 포함하는 주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 et al. Evaluation of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and Pediococcus strains isolated from Omegisool, a traditionally fermented millet alcoholic beverage in Korea
KR20170087258A (ko)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Ji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exopolysaccharide-producing Weissella confusa VP30 from young children’s feces
Barrios-Roblero et al. Antifung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beverages with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Ratanaburee et al. Selection of γ‐aminobutyric acid‐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potential as probiotics for use as starter cultures in T hai fermented sausages (N ham)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80110397A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Thubiani et al. The Prebiotic Properties of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Seeds in Stimulating Probiotic Lactobacillus.
KR102000475B1 (ko)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저해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ny12-2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CN106635916B (zh) 东方醋酸菌yzd-09及其应用
KR101451810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255 균주
EP2011859B1 (en)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se-positive strain and a complex of fructan-containing exopolysaccharides synthesized by the strain
KR1009914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1005747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CN105505815B (zh) 一株抗衰老功能的粘膜乳杆菌
WO2015146133A1 (ja) ワイセラ属乳酸菌
Hossain et al. Antipathogenic action and antibiotic sensitivity pattern of the borhani-associated lactic acid bacterium Weissella confusa LAB-11
KR20170050527A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2015012583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s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신바이오틱스 기능성 막걸리
KR20140087518A (ko)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배양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09447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rc1506 균주 및 이의 용도
Srigopalram et al. Isolation, in vitro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its role on Italian ryegrass silage quality enhancement.
KR101696670B1 (ko) 내산성, 내담즙성 및 세포 부착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lp5193,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품
KR20140134021A (ko)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3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01

Effective date: 2019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