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021A -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 Google Patents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021A
KR20140134021A KR1020130053606A KR20130053606A KR20140134021A KR 20140134021 A KR20140134021 A KR 20140134021A KR 1020130053606 A KR1020130053606 A KR 1020130053606A KR 20130053606 A KR20130053606 A KR 20130053606A KR 20140134021 A KR20140134021 A KR 20140134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kimchi
food
sake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경
서상영
송은주
최소라
안민실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5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021A/ko
Publication of KR2014013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발효음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은 Lactobacillus sakei C-11, L. sakei M-5,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L. buchneri BK-1 및 P. inopinatus BK-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본 발명에 따라 분리 및 동정된 유산균주 5종은 장내 생존성, 인공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 더 나아가 항균 활성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urease에 대한 억제력 또한 높다. 따라서, 발효음료 등과 같은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functional lactic acid bacteria oriented from Kimchi and fo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에 관한 것으로 장내 생존성과 담즙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식품은 근래 식품산업과 소비자에게 새롭게 다가서는 화두로써 크게 성장할 산업분야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전통발효 식품인 김치류, 장류, 젓갈류, 전통주류 등은 원래 원료에 있지 않은 물질이 새로이 생성되면서 특수한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김치는 비타민과 섬유질뿐 아니라 유산균이 풍부하여 미 헬스지에 세계 5대 건강음식의 하나로 선정될 만큼 그 기능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상기온, 원료가격 상승에 따른 원재료 가격급등에도 불구하고 09년 대비 10% 증가한 98.4백만불을 기록하였다(농수산물무역정보 통계자료). 지금까지 전통발효식품 제조공정은 천연 미생물에 의한 자연발효과정을 거쳤으나, 고품질 전통발효식품의 생산, 또는 표준화 제조공정을 위하여서는 접종균 스타터의 이용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수 전통 발효식품을 수집하고 유용미생물의 분리 및 분리미생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품질고급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건강지향적인 식품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인삼 등의 천연 소재를 젖산균에 발효시켜 맛, 풍미 및 생리활성이 강화된 식품 제조법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음료 등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는 좋은 소재로 부상하고 있으나 당근, 마늘 이외의 발효제품의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김치로부터 발효 식품, 두부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actobacillus sakei C-11, L. sakei M-5,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L. buchneri BK-1 및 P. inopinatus BK-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 buchneri BK-1 및 P. inopinatus BK-3은 pH 2.5로 조정된 위액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이며, 상기 P. inopinatus BK-3은 0.3% oxgall을 첨가한 인공담즙산에서 증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유산균의 기탁번호는 하기와 같다.
균 주 명 L. sakei M-5 L. sakei C-11 L. mesenteroides M-17 P. inopinatus BK-3 L. buchneri BK-1
등록번호 JQ425646 JQ517277 JQ517278 JQ612701 JQ612702
본 발명은 상술한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하며, 상기 식품은 혼합과채음료와 같은 발효식품 또는 두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분리 및 동정된 유산균주 5종은 장내 생존성, 인공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 더 나아가, 항균 활성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생존을 위해 분비하는 urease에 대한 억제력 또한 높다. 따라서, 발효음료 등과 같은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유산균과 다른 균주들의 16S rDNA 염기서열 유연관계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김치유산균의 인공위액 내성(A: L. buchneri BK-1, B: L. sakei M-5, C: P. inopinatus BK-3 , D: L. sakei C-11, E: L. acidophilus(대조), F : L. mesenteroides M-17)을 테스트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김치유산균의 인공담즙산 내성(A: L. buchneri BK-1, B: L. sakei M-5, C: P. inopinatus BK-3 , D: L. sakei C-11, E: L. acidophilus(대조), F : L. mesenteroides M-17) 테스트 결과이다.
도 4는 2ug/ml 농도에서 김치유산균의 H. pylori urease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4ug/ml 농도에서 김치유산균의 H. pylori urease 억제 활성 테스트 결과이다.
도 6은 당 종류별 발효음료의 품질 특성 결과이다((좌 : pH, 우: 유산균수)
도 7은 혼합과채발효음료의 저장 중 pH 변화 그래프이고, 도 8은 혼합과채발효음료의 저장 중 생균수 변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표시되는 약어는 본 명세서 내에서 별도의 다른 지칭이 없다면 당업계에서 통용되어, 이해되는 수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표시되는 약어는 본 명세서 내에서 별도의 다른 지칭이 없다면 당업계에서 통용되어, 이해되는 수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김치로부터 강력한 2% CaCO3 분해 능력을 보이는 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5종의 유용한 김치 유래 유산균(이하 김치 유산균)을 발견하였다. (Lactobacillus sakei C-11, L. sakei M-5,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L. buchneri BK-1, P. inopinatus BK-3)
방법 및 재료
김치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자는 김치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서 전북 지역의 가정집, 마트 등에서 최적으로 발효된 김치를 총 5종 수집하였다. 수집된 김치 시료를 마쇄하고 여과 후 적정 배율로 희석하였다. 희석액은 Lactobacilli MRS(Difco Co., France)배지에 도말후 24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는 2% CaCO3가 첨가된 MRS 배지에 접종하여 투명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선별하고 gram염색을 하여 현미경하에서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분리된 균을 카탈라아제/옥시 테스트(catalase/oxy test(KisanBio Co., Korea)) 및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최종 동정하였다.
인공위액 저항
인공위액은 Kobayashi 방법에 따라 1N HCl을 사용하여 pH 2.5로 조정한 MRS 브로쓰(broth)에 펩신(pepsin) 1%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을 37 MRS 브로쓰(broth)에서 24시간 배양시킨 후 15ml 튜브에 넣고 3,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버리고 균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균에 상등액과 동일한 양의 인공위액을 넣은 후 37 shanking incubator에서 2시간 배양한 후 희석배수에 따라 MRS 한천배지에 0.5ml 도말하여 37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펩신(pepsin)을 첨가하지 않고 pH를 맞추지 않은 브로쓰(broth)를 이용하였다.
인공담즙산 저항성
인공담즙액은 브로쓰 배지에 0.3% oxgall(Difco) 용액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인공위액을 거친 배양액을 인공담즙액이 있는 테스트 튜브에 첨가하여 37/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총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oxgall이 첨가되지 않은 각각의 broth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Helicobacter pylori 생육 저해 활성 측정
H. pylori 표준균주는 헬리코박터은행에서 분양받아 10% bovine serum(KisanBio Co., Korea)이 첨가된 brucella (Difco Co., France) 액체배지에 1% 접종하여 37, 10% CO2 인큐베이터에서 미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600nm에서 흡광도를 1.5로 맞춘 후 이 중 200ul를 취하여 브루셀라(brucella) 평판배지에 도말하였다. H. pylori가 도말된 브루셀라 평판배지에 멸균된 종이 디스크(diameter 8.00mm, Advantec Co., Japan)를 올리고 50ul씩 종이 디스크에 분주하였다. CO2 인큐베이터에서 37/24시간 미호기적으로 배양하여 디스크 주위의 억제환의 생성유무를 확인한 후 억제환의 크기를 3회 이상 측정하였다.
H. pylori urease 억제 활성 측정
H. pylori 표준균주들을 brucella 액체배지에 계대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10,000rpm, 10분, 4)하여 상징액을 제거 후 PBS로 2회 세척하고 동량의 PBS를 가하여 현탁 시킨 후 이를 brucella 액체배지에 2%(v/v) 접종하였다. 여기에 김치유산균 배양액을 각각 2ug/ml, 4 ug/ml 농도로 첨가하여 37, 10% CO2 incubator에서 24시간동안 미호기적으로 배양한 후 이를 urea broth에 5% 접종하여 3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면서 30분 간격으로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urea broth에 유산균 배양액을 첨가하지 않고 H. pylori만 접종하여 배양한 것으로 하였으며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실시예 1
유효 유산균 분리 및 동정
김치로부터 분리된 23종의 유산균 중 2% CaCO3 분해 능력이 탁월한 5개의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분리균주는 그람양성의 간균으로 카탈라아제 음성이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동정 결과 Lactobacillus sakei C-11, L. sakei M-5,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L. buchneri BK-1, P. inopinatus BK-3로 최종 명명하였다. 상기 각 유산균의 기탁번호(국제유전자은행)와 그 기능성은 하기 표와 같다.
균 주 명 L. sakei M-5 L. sakei C-11 L. mesenteroides M-17 P. inopinatus BK-3 L. buchneri BK-1
등록번호 JQ425646 JQ517277 JQ517278 JQ612701 JQ612702
염기수(bp) 1475 1474 1452 1228 1036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유산균과 다른 균주들의 16S rDNA 염기서열 유연관계 비교한 결과이다.
실시예 2
혼합과채발효음료
사과, 당근, 사탕무, 연근, 콜라비, 도라지, 토마토 착즙액을 4:2:1:1:1:0.5:2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당근은 끓는 사과식초에서 1분간 데치기를 한 후 착즙기로 마쇄, 착즙하였다. 공시균주로는 자체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Lactobacillus sakei C-11, Pediococcus inopinatus BK-3를 사용하였다.
이후, 과즙 혼합액에 식염을 0.2% 되게 첨가하고 glucose, fructose, sucrose, fructooligosaccharide(대상)를 각각 당도가 20brix 되게 첨가하였다. 식염은 fructooligosaccharide를 15% 함유하는 과채즙에 식염농도를 0, 0.1, 0.2, 0.4, 0.8% 되게 첨가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각 균주를 MRS 배지 5ml에 접종하여 30에서 48시간 배양하고 당과 식염이 첨가된 과채즙에 0.01%로 접종하여 25에서 9일간 발효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음료는 총 유산균수를 측정하고 pH meter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한 다음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굴절당도계를 사용하여 당도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는 20~40대 성인남녀 15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순위합에 의해서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예 1
인공위액 저항성
유산균이 프로바이오틱스로 정장작용의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단 소화관 내에서 생존하여야 한다. 순수한 위액의 pH는 1.4~2.0 정도로 거의 대부분 미생물은 여기에서 사멸하게 된다. 하지만 섭취한 음식물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다소 pH가 높아져 미생물의 사멸률이 어느 정도 감소하게 된다. 본 실험예에서는 pH 2.5로 조정된 인공위액에서 김치 유산균들의 내성을 확인하였다.
도 2는 김치유산균의 인공위액 내성(A: L. buchneri BK-1, B: L. sakei M-5, C: P. inopinatus BK-3 , D: L. sakei C-11, E: L. acidophilus(대조), F : L. mesenteroides M-17)을 테스트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 buchneri BK-1과 P. inopinatus BK-3가 대조구보다 높은 생존력을 보였으며 특히 P. inopinatus BK-3는 대조구와 같은 100%의 생존율을 보여 장내 생존력이 탁월한 균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인공담즙산 저항성
섭취된 생균제가 장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위를 거쳐 췌장과 십이지장을 통과하게 된다. 이 부위에서는 분비되는 담즙액에 대한 내성 또한 생균제가 가져야할 중요한 특성이다.
도 3은 김치유산균의 인공담즙산 내성(A: L. buchneri BK-1, B: L. sakei M-5, C: P. inopinatus BK-3 , D: L. sakei C-11, E: L. acidophilus(대조), F : L. mesenteroides M-17) 테스트 결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0.3% oxgall을 첨가한 인공담즙산에서 김치유산균의 내성을 확인한 결과 P. inopinatus BK-3가 인공담즙산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구보다 균수가 더 많이 증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P. inopinatus BK-3가 20여 종의 다양한 소화효소를 분비함으로 인한 여러 가지 탄소원들을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인공위액을 통과한 P. inopinatus BK-3는 인공담즙산에 대하여 내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증식됨으로서 목적부위인 장에 도달하여 생균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실험예 3
H. pylori 생육 저해 활성
유산균의 H. pylori 생육저해 기능은 유산균이 생성하는 H. pylori에 대한 항균물질과 젖산에 의한 낮은 pH 등의 복합적인 작용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MRS 배지에서 유산균 배양 후 상징액에 의한 생육 저해능을 종이 디스크(paper disk)법으로 관찰한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김치 유산균 5종 중 H. pylori 52에 대한 L. mesenteroides M-17의 억제환의 크기는 16.380.19 mm 였으며 이때 균체 배양액의 pH는 3.8이었다. 특히 대조구로 사용한 시판 균주 L. acidophilus 대비 최대 24.4% 이상 억제활성이 증가되는 특성을 보여 항균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H. pylori u rease 억제 활성
H. pylori 분비하는 urease는 위액의 강한 산성 조건에서도 pH를 상승시켜 H. pylori가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산균의 H. pylori urease 활성 저해능은 H. pylori의 생육 억제효과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
도 4는 2ug/ml 농도에서 김치유산균의 H. pylori urease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4ug/ml 농도에서 김치유산균의 H. pylori urease 억제 활성 테스트 결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 pylori 배양액에 유산균 배양액을 2 ug/ml 농도로 첨가 시에는 L. mesenteroides M-17 등 4균주가 H. pylori만 배양한 처리에 비하여 평균 약 25% 이상 더 높은 urease 활성 억제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H. pylori 배양액에 유산균 배양액을 4 ug/ml 농도로 첨가 시에는 L. mesenteroides M-17등 3 균주의 urease 활성 억제력이 유산균 배양액 무처리에 비해 평균 약 56.2% 이상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당 종류별 발효음료의 품질 특성
유산균의 생육, 산생성능, 관능적으로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의 종류와 농도를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당을 실시예 2의 발효음료에 첨가하여 발효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도 6은 당 종류별 발효음료의 품질 특성 결과이다.(좌 : pH, 우: 유산균수)
도 6을 참조하면, 당을 첨가하지 않은 과채즙의 초기 당농도는 8.5Brix였고, 여기에 각각의 당을 20Brix가 되게 첨가한 후 25에서 9일간 발효하였다. pH는 발효초기 4.5~4.9이던 것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발효 9일째 3.62~3.77까지 감소하였는데 당 종류간에 pH 변화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발효 초기 유산균수는 3.5∼8.3 x 107cfu/ml이던 것이 발효 3일째 급격하게 증가하여 9.3~1.0 x 1011cfu/ml까지 증가하였다가 6일째부터 서서히 감소하였다. 유산균수의 변화는 Fructooligosaccharide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수를 유지하였으며 Sucrose, Fructose, Glucose, 무처리 순이었다(도 6, 우).
기호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Fructooligosaccharide 처리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첨가와 올리고당 첨가는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하기 표 참조).
기호도 Control Glucose Fructose Sucrose Fructooligosaccharide
종 합 2.78±0.47c 3.10±0.39b 3.29±0.24b 4.10±0.57a 4.14±0.74a
실험예 6
식염 농도별 발효음료의 품질 특성
실시예 2의 혼합과채즙에 식염을 각각 0.1, 0.2, 0.4, 0.8%로 첨가하여 발효특성을 관찰한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의 결과를 참조하면, 유산균은 식염농도가 0.2%일 때 가장 생육속도가 빨랐고 pH 저하 정도와 적정산도의 증가 속도는 모든 구에서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아 본 과채즙 발효에 사용된 0.2~0.5%의 식염 농도는 과채즙의 발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채주스에 0.5% 식염 첨가시 식염을 첨가하지 않는 과채주스보다 pH 저하속도가 빠르다고 한 보고와도 일치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기호도는 0.2, 0.1, 0, 0.4, 0.8% 순이었고, 5%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실험예 7
저장성
유산균 음료는 상당기간 저온 유통되므로 저장기간내의 생균수를 포함한 품질 변화가 중요하다. 따라서 발효된 혼합과채음료를 4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pH 및 생균수 변화를 9일 동안 조사하였다.
도 7은 혼합과채발효음료의 저장 중 pH 변화 그래프이고, 도 8은 혼합과채발효음료의 저장 중 생균수 변화 그래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저장기간 중의 pH는 3.8로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시중에 판매되는 발효유의 3.9~4.2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도 7). 생균수는 저장초기에 2.7 x 108 cfu/ml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중에 약간 감소하여 2.3 x 108 cfu/ml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중에 판매되는 발효유에 비해 1.5배 이상 많은 유산균을 함유하는 것으로 생균수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여 발효음료의 제품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도 8)
실험예 8
기능성 유산균 함유 두부
실험예 8-1
균주 선별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술한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으로 두부 제조의 응고제를 대체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두부 응고제로서 적합한 대용 균주를 하기 조건에 따라 선별하였다.
- 시험재료 : 강황 잎
- 분리배지 : Lactobacilli MRS agar, Manitol agar (2% CaCO3 함유)
- 배양조건 : 희석평판법, 30, 48시간 정치배양 산생성 우수 균주 분리
- 조사항목 : 응고력
하기 표는 균주 종류 및 첨가량별 응고력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pat00003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Lactobacilli paracajei , Lactobacilli sakei C-11은 화학응고제(GDL)과 유사한 응고력을 나타내고 있어 두부 제조 시 화학 응고제 대용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8-2
유용 균주를 응고제로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유산균을 응고제로 사용하여 국내산 대두로서 두부를 제조하고, 대조군으로 화학응고제를 사용하여 두부를 제조하였다. 본 실험예에 따른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시험재료 : 국내산 대두
- 대 조 구 : glucono--lactone(GDL, 화학응고제)
- 제조방법 : 대두→수세→12시간 침지→8배 증류수→마쇄→두유제조→균주 첨가 →압착, 응고
- 조사항목 : 수율, pH, 산도, 탁도, 경도
하기 표는 각각 균주 종류와 첨가량별 두부수율과, 균주 종류와 첨가량별 품질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유용균주 이용 두부 제조시 수율을 화학응고제와 비교해 본 결과 Lactobacilli paracajei 7%, Lactobacilli sakei C-11 79%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김치유래 기능성 유산균은 발효식품(혼합과채음료) 또는 두부 등에 사용되어, 항균 활성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생존을 위해 분비하는 urease에 대한 억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Lactobacillus sakei C-11, L. sakei M-5,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L. buchneri BK-1 및 P. inopinatus BK-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 buchneri BK-1 및 P. inopinatus BK-3은 pH 2.5로 조정된 위액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 inopinatus BK-3은 0.3% oxgall을 첨가한 인공담즙산에서 증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유산균의 기탁번호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Figure pat00006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상기 기능성 유산균에 의하여 발효된 발효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KR1020130053606A 2013-05-13 2013-05-13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20140134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06A KR20140134021A (ko) 2013-05-13 2013-05-13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06A KR20140134021A (ko) 2013-05-13 2013-05-13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021A true KR20140134021A (ko) 2014-11-21

Family

ID=5245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606A KR20140134021A (ko) 2013-05-13 2013-05-13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0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107A (ko) * 2019-08-21 2019-09-04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유산균을 이용한 블랙베리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25822A1 (ko) * 2019-12-17 2021-06-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7286060A (zh) * 2023-09-15 2023-12-26 哈尔滨美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株低温清酒广布乳杆菌及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107A (ko) * 2019-08-21 2019-09-04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유산균을 이용한 블랙베리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25822A1 (ko) * 2019-12-17 2021-06-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7286060A (zh) * 2023-09-15 2023-12-26 哈尔滨美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株低温清酒广布乳杆菌及应用
CN117286060B (zh) * 2023-09-15 2024-05-14 哈尔滨美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株低温清酒广布乳杆菌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9182207B (zh) 一株具有调节血糖和胆固醇水平等益生功能的嗜酸乳杆菌La-SJLH001及其应用
KR20130028710A (ko)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KR101792780B1 (ko)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다이어트 건강기능성 식품
KR101647049B1 (ko) 해조류의 유산균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산균 발효액
CN110157650B (zh) 一株分离自母乳的乳双歧杆菌m8及其应用
KR20170087258A (ko) 오메기술에서 선별 분리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JP2014209921A (ja) 発酵飲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261264A (zh) 一株副干酪乳酪杆菌pc804及其应用
CN115340965A (zh) 一株副干酪乳酪杆菌pc724及其应用
KR101451810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255 균주
KR1009914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20140134021A (ko)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식품
JP5212641B2 (ja) ウメ乳酸発酵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Phromthep et al. Survivability of immobilized Lactobacillus plantarum cells within bacterial cellulose in mamao juice
EP2615927B1 (en) Method of production of fermented, pro-healthy fruit beverages
JP5128183B2 (ja) 新規乳酸菌株、発酵飲食品および発酵飲食品の製造方法
KR20150032379A (ko) Gaba 생산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4-12 균주 및 이를 함유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828494B1 (ko)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JP6921350B1 (ja) ヤエザクラの花から分離した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及びその利用
KR101302465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식품
JP2020061978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シウ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KR101696670B1 (ko) 내산성, 내담즙성 및 세포 부착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lp5193,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품
CN112813006A (zh) 植物乳杆菌及其在果蔬汁发酵中的应用
JP3925502B2 (ja) 新規な乳酸菌と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発酵豆乳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