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200B1 - 고액분리기 - Google Patents

고액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200B1
KR101425200B1 KR1020130007341A KR20130007341A KR101425200B1 KR 101425200 B1 KR101425200 B1 KR 101425200B1 KR 1020130007341 A KR1020130007341 A KR 1020130007341A KR 20130007341 A KR20130007341 A KR 20130007341A KR 101425200 B1 KR101425200 B1 KR 10142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creen
screen
drum
soli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
조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 조종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
Priority to KR102013000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의 폐색현상을 방지하고, 고형분과 수분의 분리효율을 높이며, 처리 성능 및 처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드럼스크린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주입관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여과봉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삼각 단면의 봉이고, 상기 여과봉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여과봉의 외부면 중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는 일면이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주면 접선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여과봉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므로, 슬러리에 포함된 고형분이 탈수 슬롯에 끼는 폐색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는 여과봉의 일면이 드럼스크린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므로, 폐색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형분과 수분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액분리기{SOLID AND LIQUID SEPARATOR}
본 발명은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크린의 폐색현상을 방지하고, 고형분과 수분의 분리효율을 높이며, 처리 성능 및 처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고액분리기는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장치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체와 액체가 혼합된 슬러리(slurry)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고액분리기는 탈수방법에 따라 원심 분리기, 경사판 분리기, 드럼 필터 분리기 등으로 구분된다.
원심 분리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즉, 드럼(drum) 형태의 여과통을 회전시켜 탈수하고, 스크루(screw) 등을 이용하여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을 배출하는 방식의 고액분리기이다.
경사판 분리기는 경사지게 설치된 여과스크린에 슬러리를 통과시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는 방식의 고액분리기이다.
드럼 필터 분리기는 원통형의 드럼 필터 내부에 슬러리를 공급하고, 드럼 필터를 통해 수분이 분리된 고형분(드럼 필터의 내부 여과스크린에 부착되어 회전되는 고체)을 고압의 세척수나 세척공기로 수거하는 방식의 고액분리기이다.
그런데 상술한 방식의 고액분리기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원심 분리기는 여과통의 회전속도와 탈수효율이 비례하는 구조이므로, 여과통을 빠르게 회전시킬수록 탈수효율이 높아진다. 하지만, 고속으로 회전하는 여과통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므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고속으로 회전하는 여과통의 부피를 증대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게다가, 탈수된 고형물에 의해 여과통이 쉽게 막혀 대량의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경사판 분리기와 드럼 필터 분리기는 수분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며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탈수효율이 매우 낮으며, 여과스크린을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하는 세척해야 하므로 분리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의 폐색현상을 방지하고, 고형분과 수분의 분리효율을 높이며, 처리 성능 및 처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액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액분리기는,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드럼스크린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주입관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봉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삼각 단면의 봉이고, 상기 여과봉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여과봉의 외부면 중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는 일면이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주면 접선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여과봉의 일면 중 한 쪽 모서리는 상기 접선의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쪽 모서리는 상기 접선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트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수단은, 상기 서포트 수단은, 상기 드럼스크린에 접촉되는 메인 롤러 및 상기 드럼스크린과 이격되는 서브 롤러로 이루어진 서포트 롤러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L자 형상의 고정 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 롤러가 장착된 이동 브라켓과, 상기 수직부재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이동 브라켓에 접촉되는 조절스크루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포트 수단은 상기 메인 롤러에 이상이 생길 경우 상기 조절스크루를 죄거나 풀어 상기 이동 브라켓을 상기 드럼스크린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서브 롤러가 상기 드럼스크린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리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는 드럼스크린은 둘레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드럼스크린의 여과봉은 삼각 단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여과봉의 일면이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되 그 일면이 드럼스크린의 내주면 접선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다수의 여과봉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므로, 슬러리에 포함된 고형분이 탈수 슬롯에 끼는 폐색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는 여과봉의 일면이 드럼스크린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므로, 폐색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형분과 수분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스크린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트 수단의 메인 롤러에 이상이 생길 경우 서브 롤러가 드럼스크린에 접촉하여 드럼스크린의 회전을 지지하므로 대량의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액분리기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처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기 중 드럼스크린, 구동 수단, 세척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기 중 드럼스크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드럼스크린의 여과망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C부분의 확대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액분리기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스크린(200)과, 드럼스크린(200)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300)과, 드럼스크린(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트 수단(400)과, 드럼스크린(200)을 세척하는 세척 수단(50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다수의 형강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 하부에는 수직 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수평 프레임(11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또한, 수평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고액분리과정에서 고형분 및 수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130)가 설치된다.
케이스(130)는 드럼스크린(200)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중공의 직육면체로 형성되되, 드럼스크린(200)에서 분리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케이스(130)의 개방된 하면에는 배수판(140)이 설치되고,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는 도어(150)가 설치된다. 배수판(140)은 드럼스크린(200)에서 분리된 수분을 모아 배출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도어(150)는 케이스(130)의 전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130)의 내부에 위치된 드럼스크린(200)의 작동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드럼스크린(200)은 외부에서 공급된 슬러리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는 드럼(drum) 형태의 여과스크린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드럼스크린(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라이너(210,220)와, 한 쌍의 라이너(210,220) 사이에 설치된 여과망(230)과, 한 쌍의 라이너(210,220) 중 공급 측 라이너(210)에 마련된 체인 링(240)과, 공급 측 라이너(210)와 체인 링(240)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주입관(25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라이너(210,220)는 중 공급 측 라이너(210)는 일단이 밀폐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 측 라이너(220)는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급 측 라이너(210)와 배출 측 라이너(220)의 외주면에는 서포트 수단(도 7의 400)의 서포트 롤러(410)와 접촉되는 가이드 레일(212,222)이 마련된다. 또한, 배출 측 라이너(220)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의 배출구(224)가 결합된다.
상술한 한 쌍의 라이너(210,220)를 포함하는 드럼스크린(200)은 케이스(130)의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스(130)의 양 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라이너(210,220)는 수평 프레임(110)에 설치된 서포트 수단(400)에 안착되며, 라이너(210,220)와 서포트 롤러(도 7의 410)의 접촉을 통해 드럼스크린(200)의 회전을 지지한다.
여과망(230)은 드럼스크린(200)의 각 부분(210~250) 중에서 고형분과 수분이 실질적으로 분리되는 부분이다. 여과망(230)은 드럼스크린(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드럼스크린(2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여과봉(232)을 포함한다(도 5 참조). 여과봉(232) 사이에는 탈수 슬롯(234)이 마련되어 슬러리에서 분리된 수분을 드럼스크린(200)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여과망(230)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배플(도 4의 236,baffle)이 설치되어 드럼스크린(200)의 내부로 주입된 슬러리를 배출구(224) 측으로 강제 이송시킨다.
상기 여과봉(232)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 단면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여과봉(232)의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이고, 여과봉(232)의 밑면(232a)이 드럼스크린(20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드럼스크린(200)의 내측을 향하는 여과봉(232)의 밑면(232a)은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드럼스크린(200)의 중심(미도시)과 드럼스크린(200)의 내주연(c) 상의 접점(P)을 잇는 선분은 반지름(r)이고, 접점(P)을 지나며 반지름(r)에 수직인 선은 접선(T)이며, 여과봉(232)의 밑면(232a)과 접선(T) 사이의 각도를 θ라고 하면, 여과봉(232)의 밑면(232a)은 접선(T)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처럼 여과봉(232)을 기울어지게 배치할 경우 슬러리에 포함된 고형분이 탈수 슬롯(234)에 끼는 폐색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여과봉(232)의 밑면(232a)이 드럼스크린(200)의 회전방향(d)을 향하도록 기울일 경우 폐색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형분과 수분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여과봉(232)의 밑면(232a)과 접선(T) 사이의 각도는 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인 링(240)은 구동 수단(300)의 스프로킷 휠(320)과 맞물려 구동 수단(300)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드럼스크린(200)에 전달하는 종동 수단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한 쌍의 원판(242)과, 원판(242)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연결핀(244)으로 이루어진다(도 5참조). 연결핀(244)은 스프로킷 휠(320)의 기어 홈(32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원판(242)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스프로킷 휠(320)의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구조의 체인 링(240)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파손 등의 이상이 생길 경우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주입관(250)은 드럼스크린(200)의 내부로 슬러리를 주입하는 수단이다. 주입관(25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이며, 공급 측 라이너(210)와 체인 링(240)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주입관(250)의 일단에는 다른 배관(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252)가 형성되고, 드럼스크린(200)의 내부에 위치된 주입관(250)의 타단에는 토출구(도 3의 254)가 마련된다. 이때, 토출구(254)의 개구(256)는 드럼스크린(200)의 회전방향(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토출구(254)의 개구(256)를 드럼스크린(200)의 회전방향(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할 경우 고형분과 수분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폐색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구동 수단(300)에 대해 살펴보면, 수평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310)와, 구동 모터(310)의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된 스프로킷 휠(320)을 포함한다. 스프로킷 휠(320)은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 이빨(322)이 형성된 체인 기어이다. 다수의 기어 이빨(322) 사이에는 체인 링(240)의 연결핀(244)이 삽입되는 기어 홈(32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스프로킷 휠(320)은 기어 홈(324)의 직경이 연결핀(24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드럼스크린(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트 수단(400)에 이상이 생겨 드럼스크린(200)의 회전중심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스프로킷 휠(320)과 체인 링(240)이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프로킷 휠(320)은 MC 나일론 제작된다. MC 나일론 재질의 스프로킷 휠(320)은 경량이며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스프로킷 휠(320)과 체인 링(240)이 맞물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포트 수단(400)은 드럼스크린(200)에 접촉되어 드럼스크린(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트 롤러(410)를 포함한다. 서포트 롤러(410)는, 평상시 드럼스크린(200)에 접촉되는 메인 롤러(412)와, 메인 롤러(412)의 고장 등 이상 발생시 드럼스크린(200)에 접촉되는 서브 롤러(414)로 구성된다. 메인 롤러(412)와 서브 롤러(414)의 외주면에는 드럼스크린(200)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416)가 설치된다.
서포트 롤러(410)는 브라켓(420)에 설치된다. 브라켓(420)은, 수직부재(422a)와 수평부재(422b)로 이루어진 L자 형상의 고정 브라켓(422)과, 수평부재(422b)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포트 롤러(410)가 장착된 이동 브라켓(424)과, 이동 브라켓(424)을 고정하는 고정볼트(426)로 구성된다. 이때, 메인 롤러(412)와 서브 롤러(414)는 이동 브라켓(424)에 설치되되, 서브 롤러(414)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422)과 이동 브라켓(424)의 접촉면(428)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고정 브라켓(422)에는 이동 브라켓(424)을 이동시키는 조절스크루(430)가 설치된다. 이 조절스크루(430)는 수직부재(422a)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일단이 이동 브라켓(424)에 접촉되어, 조절스크루(430)를 죄거나 풀 경우 이동 브라켓(424)을 드럼스크린(200)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서포트 수단(400)에 따르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메인 롤러(412)가 마모될 경우 조절스크루(430)를 죄면 이동 브라켓(424)이 드럼스크린(200) 측으로 이동하여 메인 롤러(412)를 드럼스크린(200)에 밀착시킨다. 이때, 메인 롤러(412)와 서브 롤러(414)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고정 브라켓(422)과 이동 브라켓(424)의 접촉면(428)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이동 브라켓(424)을 드럼스크린(200) 측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메인 롤러(412)만 접촉될 뿐 서브 롤러(414)는 접촉되지 않는다. 즉, 서브 롤러(414)는 메인 롤러(412)의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만 드럼스크린(200)에 접촉된다.
세척 수단(500)은 드럼스크린(200)에 끼인 고형분을 제거하는 수단이다. 도 4와 도 8을 참조하면, 세척 수단(500)은 드럼스크린(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세척 파이프(510)를 포함한다. 세척 파이프(510)의 일단에는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520)가 설치되고, 세척액을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 노즐(530)이 세척 파이프(510)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세척 파이프(510)의 일단에는 세척 파이프(510)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540)와, 세척 파이프(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5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세척 수단(500)은 드럼스크린(20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세척 노즐(530)이 드럼스크린(200)의 여과망(230)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므로, 세척 노즐(530)에서 분사된 세척액이 여과봉(232) 사이의 탈수 슬롯(234)로 직접 유입되어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세척 노즐(530)이 세척 파이프(510)를 따라 설치되므로 세척 파이프(510)의 왕복운동만으로도 여과망(230) 전체를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세척 파이프(510)의 왕복운동거리는 인접하게 위치된 한 쌍의 세척 노즐(530)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10: 수평 프레임
120: 수직 프레임 130: 케이스
140: 배수판 150: 도어
200: 드럼스크린 210: 공급 측 라이너
220: 배출 측 라이너 230: 여과망
240: 체인 링 250: 주입관
300: 구동 수단 310: 구동 모터
320: 스프로킷 휠 400: 서포트 수단
410: 서포트 롤러 420: 브라켓
430: 조절스크루 500: 세척 수단
510: 세척 파이프 520: 펌프
530: 세척 노즐 540: 액추에이터
550: 가이드 롤러

Claims (13)

  1.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드럼스크린;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주입관; 및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봉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삼각 단면의 봉이고, 상기 여과봉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여과봉의 외부면 중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는 일면이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주면 접선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여과봉의 일면 중 한 쪽 모서리는 상기 접선의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쪽 모서리는 상기 접선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과봉의 일면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주면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스크린의 회전을 지지하는 서포트 수단을 더 포함하는 고액분리기.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수단은, 상기 드럼스크린에 접촉되는 메인 롤러 및 상기 드럼스크린과 이격되는 서브 롤러로 이루어진 서포트 롤러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L자 형상의 고정 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 롤러가 장착된 이동 브라켓과, 상기 수직부재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이동 브라켓에 접촉되는 조절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롤러에 이상이 생길 경우 상기 조절스크루를 죄거나 풀어 상기 이동 브라켓을 상기 드럼스크린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서브 롤러가 상기 드럼스크린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조절스크루가 설치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스크루 조작시 상기 이동 브라켓이 이동하며 상기 메인 롤러를 상기 드럼스크린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결합된 스프로킷 휠과, 상기 드럼스크린에 마련되며 상기 스프로킷 휠과 맞물리는 체인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인 링은, 한 쌍의 원판과, 상기 원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원판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연결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 휠은 MC 나일론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스크린에 끼인 고형분을 제거하는 세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세척 파이프와, 상기 세척 파이프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세척 파이프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세척 노즐과, 상기 세척 파이프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세척 파이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의 일단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주입관의 타단에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개구는 상기 드럼스크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KR1020130007341A 2013-01-23 2013-01-23 고액분리기 KR10142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341A KR101425200B1 (ko) 2013-01-23 2013-01-23 고액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341A KR101425200B1 (ko) 2013-01-23 2013-01-23 고액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200B1 true KR101425200B1 (ko) 2014-08-01

Family

ID=5174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341A KR101425200B1 (ko) 2013-01-23 2013-01-23 고액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2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9836A (zh) * 2016-07-28 2016-10-12 浙江明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固液分离用改良型双重分离机
CN106039829A (zh) * 2016-07-28 2016-10-26 浙江明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固液分离用双重分离机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8-09-20 홍정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KR20190051381A (ko) 2017-11-06 2019-05-15 황성일 고액분리기
KR20190060830A (ko) * 2016-10-14 2019-06-03 갈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원심 펠렛 건조기
WO2021187680A1 (ko) * 2020-03-17 2021-09-23 조종일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CN115624814A (zh) * 2022-12-21 2023-01-20 山西省五台县锦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施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001Y1 (ko) 2001-02-23 2001-07-03 전상근 분리형 고액분리기
KR100850184B1 (ko) 2007-04-08 2008-08-04 문일성 진공을 이용한 고액분리기
KR20090028134A (ko) * 2007-09-14 2009-03-18 윤광호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20110010271A (ko) * 2009-07-24 2011-02-01 주식회사 지티 고액 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001Y1 (ko) 2001-02-23 2001-07-03 전상근 분리형 고액분리기
KR100850184B1 (ko) 2007-04-08 2008-08-04 문일성 진공을 이용한 고액분리기
KR20090028134A (ko) * 2007-09-14 2009-03-18 윤광호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20110010271A (ko) * 2009-07-24 2011-02-01 주식회사 지티 고액 분리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9836A (zh) * 2016-07-28 2016-10-12 浙江明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固液分离用改良型双重分离机
CN106039829A (zh) * 2016-07-28 2016-10-26 浙江明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固液分离用双重分离机
KR20190060830A (ko) * 2016-10-14 2019-06-03 갈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원심 펠렛 건조기
KR102264870B1 (ko) * 2016-10-14 2021-06-14 갈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원심 펠렛 건조기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8-09-20 홍정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KR20190051381A (ko) 2017-11-06 2019-05-15 황성일 고액분리기
WO2021187680A1 (ko) * 2020-03-17 2021-09-23 조종일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KR20210115984A (ko) 2020-03-17 2021-09-27 조종일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CN115624814A (zh) * 2022-12-21 2023-01-20 山西省五台县锦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施工装置
CN115624814B (zh) * 2022-12-21 2023-03-03 山西省五台县锦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施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200B1 (ko) 고액분리기
KR101565240B1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2288764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1209709B1 (ko) 스크류 이송식 슬러지 농축 장치
KR102026687B1 (ko) 고추 이물질 세척기
KR20130046145A (ko) 탈수장치
KR100828314B1 (ko) 이물질 여과장치
CN110921739A (zh) 一种高效回转格栅机
CN105150406B (zh) 立式摩擦脱水机
KR100868533B1 (ko) 협잡물 제거용 이중 드럼스크린장치
KR101100740B1 (ko) 원심 분리장치
CN111450601B (zh) 一种防堵塞污水过滤装置
CN108862415A (zh) 一种扰流防堵塞的污水处理装置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CN208555261U (zh) 一种滚筒式洗药机
KR20030081643A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CN109047164A (zh) 一种药材清洗脱水装置
CN213435084U (zh) 一种旋转式固液分离机
KR20110010271A (ko) 고액 분리기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CN210869808U (zh) 一种蔬菜脱水机
KR200354089Y1 (ko)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CN110420498A (zh) 一种脱水式转鼓格栅机
KR200383012Y1 (ko)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