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911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911B1
KR101878911B1 KR1020170146528A KR20170146528A KR101878911B1 KR 101878911 B1 KR101878911 B1 KR 101878911B1 KR 1020170146528 A KR1020170146528 A KR 1020170146528A KR 20170146528 A KR20170146528 A KR 20170146528A KR 101878911 B1 KR101878911 B1 KR 10187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olid
frame
solids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오
Original Assignee
홍정오
홍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오, 홍정기 filed Critical 홍정오
Priority to KR102017014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드럼(20); 및 상기 드럼(20)의 내부에 나선형으로 배치되고 단절구간을 포함하여 불연속으로 형성된 배리어(100);를 포함하여,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과 고형을 분리하되 상기 배리어(100)에 의하여 고형물의 이동을 촉진하여 고액 분리의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Solid-liquid separator for food garbage disposal}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고, 그러한 수분은 음식물쓰레기의 무게와 부피를 대부분 차지한다.
종래에 알려진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수분은 수처리 장치에 의하여 정화시키며, 분리된 고형물은 잔존하는 수분을 탈수하여 건조한 후에, 사료,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거나 일반 쓰레기로 처리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는 건더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건더기는 파쇄 장치를 거치면서 작은 크기로 잘게 갈릴 수 있고, 작게 갈린 찌꺼기는 앞서 설명된 고형물일 수 있다.
한편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대용량인 경우에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처리단계별로 처리시간을 비슷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처리 단계에서 단위 중량당 1시간이 소요되었다면,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에서 단위 중량당 1시간 내에 처리되어야 한다. 만약, 고액분리단계에서 고액분리장치의 성능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경우에 지체될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전체 과정에서 처리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도록 하는 고액 분리 단계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6224호(2002.05.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0824호(2014.08.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885호(2014.01.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3893호(2011.09.0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1131호(1999.06.2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되, 고형물의 흐름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분과 고형물의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드럼(20);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관통되어 배치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드럼(20)의 안쪽에 쏟아내도록 하는 이송 파이프(40); 상기 드럼(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분을 받는 수분 드레인 호퍼(50); 및 상기 드럼(20)의 바깥쪽 하측에 배치되어 고형물을 받는 고형물 호퍼(60);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20)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받아들이는 도입부(91); 미세 홀(94)이 형성되어 수분을 바깥쪽으로 통과시키는 분리부(92); 상기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과 분리된 고형물이 배출되는 종단부(93); 및 상기 분리부(92)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구간에서 단절되어 불연속으로 형성되는 배리어(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배리어(100)는, 고형물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고형물이 배출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1 예각(a1)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배리어(100)는, 고형물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고형물이 유입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2 예각(a2)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배리어(100)는, 15도 내지 30도의 리드 각(b)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배리어(100)는, 표면에 매끄럽게 가공된 표면 개질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배리어(100)는, 표면에 서로 이격 되고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미세 돌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분리부(92)는, 내측 방향으로 각뿔 형태로 돌출된 내향 융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분리부(92)는, 상기 도입부(91)와 연결되는 쪽의 제1 내경(c1)보다 상기 종단부(93)와 연결되는 쪽의 제2 내경(c2)이 더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이송 파이프(40)는, 상기 드럼(20)의 센터 실린더(26)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드럼(20)의 안쪽에서는 상기 분리부(92)의 안쪽 면을 향하여 구부려지며, 상기 이송 파이프(40)의 토출부(42)는 상기 드럼(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분리부(92)는, 단면 형상이 단축(w1)과 단축(w2)을 갖는 비 진원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분리부(92)의 중심(o1)은 상기 드럼(20)의 회전 중심(o2)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편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설치된 서포터 프레임(16); 상기 서포터 프레임(16)의 바깥쪽으로 둘러싸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이격되어 배치된 스탠딩 프레임(120); 및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커넥터 프레임(1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은, 내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공명 홀(134)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디스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배치되는 간격이 불균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디스크(132)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공명 홀(134)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디스크(132)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공명 홀(134)이 서로 다른 제 각각의 위치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또는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과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의 사이에 댐퍼 패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퍼 패드(140)는, 표면에 제1 요철(1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철(142)의 일부에 통기 그루브(144)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 프레임(16), 상기 커넥터 프레임(120) 및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댐퍼 패드(140)와 접촉하는 쪽에 상기 제1 요철(142)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요철(146)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드럼(20)의 외주연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2 가이드 플랜지(21, 22);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플랜지(21)와 접촉하여 상기 드림(20)이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1 롤링 유닛(23);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플랜지(22)와 접촉하여 상기 드림(20)이 다른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2 롤링 유닛(24); 및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20)의 단면판(27)과 접촉하여 상기 드림(20)이 상기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3 롤링 유닛(25);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고형물이 드럼 안쪽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고형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고, 이로써 수분과 고형물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단위시간당 처리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드럼이 회전될 때에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작업 환경을 좀 더 쾌적하게 구현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드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드럼의 내부 구성을 보이도록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드럼에서 배리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드럼에서 배리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와 이송 파이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진동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 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하우징(10), 드럼(20), 이송 파이프(40), 수분 드레인 호퍼(50), 고형물 드레인 호퍼(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고액분리장치의 골격과 함체를 이루는 구성이다.
상기 드럼(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파이프(40)는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관통되어 배치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드럼(20)의 안쪽에 쏟아낼 수 있다.
상기 이송 파이프(4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 탱크(30)와 연결될 수 있고, 이송 파이프(40)의 중간에 중간 밸브(44)가 구비될 수 있다. 버퍼 탱크(30)에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고액분리장치의 전 단계 공정을 거친 음식물쓰레기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전 단계 공정은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부수는 분쇄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중간 밸브(44)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개폐가 가능한 것으로써,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작업을 실시할 때에 개방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드레인 호퍼(50)는 상기 드럼(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분을 받을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드럼(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중력에 의하여 상기 드럼(20)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된 수분은 상기 수분 드레인 호퍼(50)에 의하여 모일 수 있고, 다른 수처리장치로 연결되어 수처리장치에 의하여 정화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호퍼(6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바깥쪽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은 입자의 크기가 수분보다 크므로, 드럼(20)의 외주면 쪽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걸러지며, 걸러진 고형물은 바깥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어 고형물 호퍼(60)에 떨어질 수 있다. 즉, 고형물 호퍼(60)는 상기 드럼(20)에서 배출되는 고형물을 받아 낼 수 있고, 받아 내어진 고형물은 고형물 이송장치(70)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이송장치(7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 형태의 컨베이어일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20)이 2개로 구비되는 경우에 2개의 드럼(20)에서 배출되는 고형물이 하나의 고형물 이송장치(70)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이송장치(70)에서 이동되는 고형물은 탈수 공정 및 압착 공정으로 이송되어 수분이 더욱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고, 이후에 비료, 사료 등으로 재활용되거나 일반쓰레기처럼 취급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드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드럼의 내부 구성을 보이도록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면이다.
상기 드럼(20)은, 음식물쓰레기가 이동되는 경로에 따라 도입부(91), 분리부(92), 종단부(93) 및 배리어(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입부(91)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받아들이는 부분일 수 있고, 외주 부분이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92)는 미세 홀(94)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미세 홀(94)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통과될 수 있다. 한편, 고형물은 입자가 미세 홀(94)보다 클 수 있고, 이로써 분리부(92)에서 수분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종단부(93)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과 분리된 고형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100)는 상기 분리부(92)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구간에서 단절되어 불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100)는 드럼(20)이 회전될 때에 고형물을 상기 드럼(20)의 종단부(93) 쪽으로 이송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배리어(100)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드럼(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드럼(20)의 축 방향으로 고형물을 이동시킬 수 있고, 고형물이 드럼(20)의 내부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럼(20)의 회전속도를 대략 20 rpm 내지 30rpm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고형물은 원심력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다. 즉, 고형물이 배리어(100)에 이끌려 드럼(20)과 함께 회전되다가 상측 부분에 도달하거나 도달하기 직전에 중력에 의하여 낙하할 수 있다.
고형물은 회전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수분과 분리가 활성화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종단부(93)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배리어(100)가 복수의 구간에서 단절부가 형성되어 불연속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고형물이 배리어(100)에 의하여 이동시킬 때에, 단절된 구간에서 뒤집어져 뒤섞일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고형물과 수분의 분리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배리어(100)의 구성에 의하여 고형물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뒤집거나 특정한 구간에서 뒤섞이도록 하는 작용을 구현함에 따라 고형물에 포함된 수분을 좀 더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나아가 단위 시간당 고액 분리 처리용량을 대용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배리어(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드럼에서 배리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100)는, 고형물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고형물이 배출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1 예각(a1)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배리어(100)를 쉽게 넘칠 수 있어 고형물의 이송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배리어(100)가 고형물이 배출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1 예각(a1)을 이루는 구성은 음식물쓰레기에 수분 함량이 다소 적을 때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배리어(100)는, 고형물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고형물이 유입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2 예각(a2)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배리어(100)의 안쪽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고, 이로써 수분이 드럼(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분리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배리어(100)가 고형물이 유입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2 예각(a2)을 이루는 구성은 음식물쓰레기에 수분 함량이 많을 때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배리어(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도 내지 30도의 리드 각(b)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드 각(b)은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배리어(100)가 상기 분리부(92) 내주면에서 진행되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기둥 형상의 상기 드럼(20)의 축에 수직한 평면(V)에 대해 상기 배리어(100)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b)를 의미한다.
상기 리드 각(b)이 작을수록 고형물의 이송 속도는 느려질 수 있고, 상기 리드 각(b)이 클수록 고형물의 이송 속도는 빠를 수 있다.
상기 배리어(100)의 리드 각(b)이 15도 이상이면, 고형물의 이송 속도를 안정적인 유지하여 수분과 고형물의 분리 처리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100)의 리드 각(b)이 30도 이하이면, 수분과 고형물의 분리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고형물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배리어(1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매끄럽게 가공된 표면 개질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면 개질은 샌드 블라스트 공법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로써, 고형물의 일부가 배리어(100)의 표면에 달라붙거나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고형물을 좀 더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배리어(1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서로 이격 되고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미세 돌기(104)가 형성될 수 있다. 미세 돌기(104)는 수분 또는 고형물과의 마찰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로써 고형물의 이송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배리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드럼에서 배리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92)는, 내측 방향으로 각뿔 형태로 돌출된 내향 융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향 융기(110)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각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고형물과 부딪히고, 고형물을 뒤섞을 수 있다. 즉, 상기 내향 융기(110)는 앞서 설명된 배리어(10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고형물과 부딪히는 작용을 부가함으로써 더욱 활발하게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드럼(20)은 분리부(92)의 형상이 테이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92)는, 상기 도입부(91)와 연결되는 쪽의 제1 내경(c1)보다 상기 종단부(93)와 연결되는 쪽의 제2 내경(c2)이 더 큰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드럼(20)이 회전될 때에, 원심력에 의하여 고형물이 분리부(92)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종단부(93)와 연결되는 쪽, 즉 출구 쪽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고형물이 출구 쪽으로 이동속도가 가속될 수 있고, 나아가 수분과 고형물의 분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드럼과 이송 파이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드럼의 또 다른 실시예와 이송 파이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상기 이송 파이프(4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센터 실린더(26)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드럼(20)의 안쪽에서는 상기 분리부(92)의 안쪽 면을 향하여 구부려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파이프(40)는 상기 이송 파이프(40)의 토출부(42)가 상기 드럼(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9에서는 토출부(42)의 중심선과 이송 파이프(40)의 중심선이 둔각(d)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도 9의 도면을 참조하면, 드럼(20)이 화살표 방향으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출부(42)에서 음식물쓰레기가 토출 될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드럼(20)의 회전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토출 될 수 있다. 즉, 음식물쓰레기가 드럼(20)의 내주면과 부딪힐 때에 작용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의 이송 속도가 저하되지 않고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부(42)는 끝부분이 경사지는 형태로 잘린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로써 토출부(42)에서 음식물쓰레기가 토출 될 때에 드럼(20)의 회전 방향과 순방향을 이룰 수 있다. 즉, 음식물쓰레기가 드럼(20)의 내주면과 부딪힐 때에 작용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의 이송 속도가 저하되지 않고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분리부(9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단축(w1)과 단축(w2)을 갖는 비 진원인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드럼(20)이 회전될 때에, 고형물의 일부가 분리부(9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이동될 수 있는데, 이때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변화됨에 따라 각 구간별로 원심력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그러한 원심력의 차이로 인하여 드럼(20)의 떨림이 발생될 수 있으며, 드럼(20)의 떨림은 고형물이 상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좀 더 쉽고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다. 즉, 고형물을 뒤섞이거나 흔들어 줌으로써 고형물이 어느 특정한 구간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92)의 중심(o1)은 상기 드럼(20)의 회전 중심(o2)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편향된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드럼(20)은 무게 중심이 편향되는 것으로써 드럼(20)이 회전될 때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은 고형물이 분리부(92)의 내주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거나 털어내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고형물이 털리는 과정에서 고형물과 수분은 더욱 활발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진동 소음을 저감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에서 진동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서포터 프레임(16), 스탠딩 프레임(120) 및 커넥터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 프레임(16)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은 상기 서포터 프레임(16)의 바깥쪽으로 둘러싸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은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에 의하여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에 붙들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은, 내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공명 홀(134)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디스크(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은 하우징(10)과 서포터 프레임(16)에 진동 에너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에너지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를 경유하여 스탠딩 프레임(120)에 전달 될 수 있지만, 진동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명 홀(134)에 의하여 감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디스크(132)가 구성된 구간의 단면적과 디스크(132)가 존재하지 않은 구간의 단면적은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단면적 차이로 인하여, 소음 에너지 또는 진동 에너지는 좁은 공간에서 넓은 공간을 진행될 때에 급격하게 감소될 수 있고, 디스크(132)가 반복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음 감소의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배치되는 간격이 불균일한 구성일 수 있다. 소음 에너지는 사물에 부딪히면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반사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132)의 배치 간격이 불균일한 경우에 소음 에너지는 반사될 때에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지 못하고 분산되면서 소음 에너지가 급격하게 소멸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디스크(132)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공명 홀(134)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진동 에너지는 사물에 부딪히거나 공기에 파장을 일으키면서 이동되는데, 공명 홀(134)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에, 진동 에너지의 일부는 통과되고 일부는 반사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소멸하거나 급격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디스크(132)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공명 홀(134)이 서로 다른 제 각각의 위치에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 에너지는 사물에 부딪혀 사물을 진동시키거나 공기를 진동시키는 파장을 일으켜 전파되는 데, 디스크(132)와 공기층은 파장의 전달 능력에 차이가 있고, 이러한 능력 차이로 인하여 진동 에너지는 온전하게 전파되지 못하고 난반사를 일으키며, 난반사 되는 진동 에너지는 다른 진동 에너지와 간섭이 발생하여 상쇄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댐퍼 패드(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 패드(14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또는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과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패드(14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제1 요철(14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요철(142)의 일부에 통기 그루브(14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터 프레임(16),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 및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댐퍼 패드(140)와 접촉하는 쪽에 상기 제1 요철(142)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요철(14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 패드(140)가 상기 서포터 프레임(16), 상기 커넥터 프레임(120) 및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중에 어느 하나와 밀착되는 경우에, 제1 요철(142)과 제2 요철(146)이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접촉 면적이 대단히 넓어질 수 있다. 즉, 드럼(2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 에너지가 물질에 접촉되어 진동 에너지 형태로 전달될 때에, 넓은 접촉면에서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으로써 원천적인 진동에너지를 좀 더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댐퍼 패드(140)에 전달된 진동 에너지는 댐퍼 패드(140)의 자체에서 상당부분이 감쇄될 수 있다.
한편, 진동 에너지에 의하여 댐퍼 패드(140)와 상기 서포터 프레임(16), 상기 커넥터 프레임(120) 및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중에 어느 하나가 접촉 부분에서 마찰될 수 있고, 마찰된 부분에는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열은 댐퍼 패드(140)를 경화시킬 수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댐퍼 패드(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기 그루브(14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 그루브(144)를 통하여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즉 지속적으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열을 실시간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이로써 댐퍼 패드(140)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기대수명보다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드럼(20)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의 드럼(20)은, 제1, 2 가이드 플랜지(21, 22) 및 제1, 2, 3 롤링 유닛(23, 24, 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가이드 플랜지(21, 2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의 외주연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가이드 플랜지(21)와 제2 가이드 플랜지(22)는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링 유닛(23)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플랜지(21)와 접촉하여 상기 드림(20)이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롤링 유닛(23)은 복수로 구성되어 드럼(20)을 떠받칠 수 있다.
상기 제2 롤링 유닛(24)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플랜지(22)와 접촉하여 상기 드림(20)이 다른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제2 롤링 유닛(24)은 제1 롤링 유닛(23)과 마찬가지로 복수로 구성되어 드럼(20)을 떠받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제1 롤링 유닛(23)은 드럼(20)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롤링 유닛(24)은 드럼(20)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 롤링 유닛(25)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20)의 단면판(27)과 접촉하여 상기 드림(20)이 상기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드럼(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한쪽에만 전동 유닛이 구비될 수 있는데, 드럼(20)이 회전될 때에 전동 유닛에 의하여 드럼(20)이 전동 유닛 쪽으로 당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3 롤링 유닛(25)은 드럼(20)의 단면판(27)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드럼(20)이 제 자리 위치를 유치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드럼(20)은 모터(84)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모터(84)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풀리(8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20)은 센터 실린더(26)의 외주연에 제2 풀리(8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풀리(81)와 상기 제2 풀리(82)는 전동 유닛(8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풀리(81, 82)는 체인스프로킷일 수 있고, 상기 전동 유닛(83)은 체인일 수 있다. 이로써 모터(84)의 동력에 의하여 정확한 회전수로 드럼(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음식물쓰레기에 수분 함량이 적을 때 유리한 것으로써 드럼(20)을 정해진 회전 속도로 일정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2 풀리(81, 82)는 외주면이 평탄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전동 유닛(83)은 평 벨트일 수 있다. 이로써 제1 풀리(81)와 전동 유닛(83)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드럼(20)이 회전될 때에 인위적인 진동이 발생될 수 있는데, 그러한 진동이 발생될 때에 제1 풀리(81)와 전동 유닛(83)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모터(84)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작용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드럼(20)의 종단부(93) 쪽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커버(12)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12)는 커버 힌지(14)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소망에 따라 커버(12)를 닫거나 걷어 올릴 수 있다.
상기 커버(12)를 닫으면 소음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고형물 또는 수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에 수분함량이 많은 경우에 커버(12)를 닫고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를 열면 고형물의 배출 과정을 실시간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에 수분함량이 적은 경우에 커버(12)를 열고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커버
14: 커버 힌지 16: 서포터 프레임
20: 드럼 21, 22: 제1, 2 가이드 플랜지
23, 24, 25: 제1, 2, 3 롤링 유닛 26: 센터 실린더
30: 버퍼 탱크 40: 이송 파이프
42: 토출부 44: 중간 밸브
50: 수분 드레인 호퍼 60: 고형물 호퍼
70: 고형물 이송장치 81, 82: 제1, 2 풀리
83: 전동 유닛 84: 모터
91: 도입부 92: 분리부
93: 종단부 94: 미세 홀
100: 배리어 102: 표면 개질부
104: 미세 돌기 110: 내향 융기
120: 스탠딩 프레임 122: 프레임 연결부
130: 커넥터 프레임 132: 디스크
134: 공명 홀 140: 댐퍼 패드
142, 146: 제1, 2 요철 144: 통기 그루브

Claims (17)

  1.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드럼(20);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관통되어 배치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드럼(20)의 안쪽에 쏟아내도록 하는 이송 파이프(40);
    상기 드럼(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분을 받는 수분 드레인 호퍼(50); 및
    상기 드럼(20)의 바깥쪽 하측에 배치되어 고형물을 받는 고형물 호퍼(60);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20)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받아들이는 도입부(91);
    미세 홀(94)이 형성되어 수분을 바깥쪽으로 통과시키는 분리부(92);
    상기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과 분리된 고형물이 배출되는 종단부(93); 및
    상기 분리부(92)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구간에서 단절되어 불연속으로 형성되는 배리어(100);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100)는, 고형물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고형물이 배출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1 예각(a1)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100)는,
    고형물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고형물이 유입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92)의 표면에 대하여 제2 예각(a2)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100)는, 15도 내지 30도의 리드 각(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100)는, 표면에 매끄럽게 가공된 표면 개질부(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100)는, 표면에 서로 이격 되고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미세 돌기(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92)는, 내측 방향으로 각뿔 형태로 돌출된 내향 융기(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92)는,
    상기 도입부(91)와 연결되는 쪽의 제1 내경(c1)보다 상기 종단부(93)와 연결되는 쪽의 제2 내경(c2)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파이프(40)는,
    상기 드럼(20)의 센터 실린더(26)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드럼(20)의 안쪽에서는 상기 분리부(92)의 안쪽 면을 향하여 구부려지며,
    상기 이송 파이프(40)의 토출부(42)는 상기 드럼(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92)는,
    단면 형상이 단축(w1)과 단축(w2)을 갖는 비 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92)의 중심(o1)은 상기 드럼(20)의 회전 중심(o2)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설치된 서포터 프레임(16);
    상기 서포터 프레임(16)의 바깥쪽으로 둘러싸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이격되어 배치된 스탠딩 프레임(120); 및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커넥터 프레임(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은,
    내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공명 홀(134)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디스크(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배치되는 간격이 불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디스크(132)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공명 홀(134)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크(132)는, 디스크(132)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공명 홀(134)이 서로 다른 제 각각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프레임(16)과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또는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과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의 사이에 댐퍼 패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패드(140)는, 표면에 제1 요철(1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철(142)의 일부에 통기 그루브(144)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 프레임(16), 상기 스탠딩 프레임(120) 및 상기 커넥터 프레임(130)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댐퍼 패드(140)와 접촉하는 쪽에 상기 제1 요철(142)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요철(1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의 외주연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2 가이드 플랜지(21, 22);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플랜지(21)와 접촉하여 상기 드럼(20)이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1 롤링 유닛(23);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플랜지(22)와 접촉하여 상기 드럼(20)이 다른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복수의 제2 롤링 유닛(24); 및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20)의 단면판(27)과 접촉하여 상기 드럼(20)이 상기 한쪽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3 롤링 유닛(25);
    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용 고액분리장치.
  17. 삭제
KR1020170146528A 2017-11-06 2017-11-06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KR10187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28A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7-11-06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28A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7-11-06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911B1 true KR101878911B1 (ko) 2018-09-20

Family

ID=6371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28A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7-11-06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30A (ko) 2019-10-22 2021-05-03 혁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KR20220147927A (ko) 2021-04-28 2022-11-04 디티엘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고액 분리장치
KR20230001313A (ko) 2021-06-28 2023-01-04 김일복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47B1 (ko) * 2008-01-07 2009-02-04 최태영 필터의 연속 자동 세정이 가능한 원심식 고형물 탈수장치
KR101217741B1 (ko) * 2012-06-08 2013-01-31 주식회사 이앤에프 고액분리기용 드럼스크린을 갖춘 오니농축장치
KR101425200B1 (ko) 2013-01-23 2014-08-01 주식회사 지티 고액분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47B1 (ko) * 2008-01-07 2009-02-04 최태영 필터의 연속 자동 세정이 가능한 원심식 고형물 탈수장치
KR101217741B1 (ko) * 2012-06-08 2013-01-31 주식회사 이앤에프 고액분리기용 드럼스크린을 갖춘 오니농축장치
KR101425200B1 (ko) 2013-01-23 2014-08-01 주식회사 지티 고액분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30A (ko) 2019-10-22 2021-05-03 혁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KR20220147927A (ko) 2021-04-28 2022-11-04 디티엘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고액 분리장치
KR20230001313A (ko) 2021-06-28 2023-01-04 김일복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91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KR101744700B1 (ko)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0954222B1 (ko)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316410B1 (ko) 회전 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장치
CN102698845B (zh) 卧式碎浆机
CN202590913U (zh) 卧式碎浆机
US20110048255A1 (en) Press screw separator
KR101667958B1 (ko)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JP5102390B2 (ja) バルブ排出装置
KR102404168B1 (ko) 슬러지 파쇄기 및 이를 사용한 파쇄 방법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6964432B (zh) 一种高效固体污水处理剂加工系统
JP2000042437A (ja) 解砕粉砕整粒装置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2018041U (zh) 一种固体废物处理装置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0126745A (ja) 生ごみ減量処理機
CN102793026A (zh) 一种茶叶解块机
CA2314526C (fr) Tambour destine a un appareil de traitement de dechets et appareil correspondant
KR102085362B1 (ko) 폐각 분쇄 장치
CN211026447U (zh) 一种苦荞筛分装置
KR20000000709A (ko) 음식물찌꺼기의 분쇄장치 및 방법
KR100996537B1 (ko) 족답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
KR10242343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