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643A -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 Google Patents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643A
KR20030081643A KR1020020019974A KR20020019974A KR20030081643A KR 20030081643 A KR20030081643 A KR 20030081643A KR 1020020019974 A KR1020020019974 A KR 1020020019974A KR 20020019974 A KR20020019974 A KR 20020019974A KR 20030081643 A KR20030081643 A KR 20030081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pipe
filter cylinder
solid
sewage slud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3050B1 (ko
Inventor
김정근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테크
김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3787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8164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테크, 김정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테크
Priority to KR10-2002-001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0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액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체와 액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소정속도로 회전하는 여과통체 및 상기 여과통체의 내면에 스크래퍼를 구비한 고형물 제거수단이 설치되어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체와 액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액분리방법 {Solid and liquid separator of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sludge and swine wastes, and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액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체와 액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소정속도로 회전하는 여과통체 및 상기 여과통체의 내면에 스크래퍼를 구비한 고형물 제거수단이 설치되어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체와 액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액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폐수 및 하수, 그리고 양돈분뇨에는 슬러지 등과 같은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는 관계로 이러한 고형물을 분리, 제거시키지 않고는 정화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없으므로 사전에 고액 분리과정을 통하여 고형물을 제거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정화과정에 앞서 고액 분리기능을 하는 종래 장치로서는,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형물이 제거된 상태의 탈리여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시킨 원통체의 내부에 여과통체를 고정시키고, 이 내부에는 여과통체 내주면에 밀접되도록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용 스크류 브러쉬를 설치하며, 여과통체의 스크류 브러쉬 선단 측에는 소정압력 이상에서만 개방되는 슬러지 배출구를 형성시키는 구조를 갖는 장치가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스크류 브러쉬 회전으로 날개가 여과통체 내주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긁어 전방으로 밀어 압축시키면서 가압 배출시키는 구조이므로, 여과통체에 많은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여과통체 형상의 변형 및 손상을 야기시키며 가압력에 의해 고형물이 미세하게 분쇄되어 여과통체를 빠져나가므로 탈리여액의 탁도가 증가되어 후단 정화과정에서 정화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유입된 하폐수 및 양돈분뇨는 공급 압력으로만 배출되므로 그 배출속도가 느리고 이에 맞게 스크류 브러쉬의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고형물의 제거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유입부위에 근접한 여과통체에만 고형물이 집중 부착되므로 여과통체의 고형물 분리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 특개소 61-90800호에는, 원통형 드럼벽과 이에 연결되는 원추형 드럼벽을 갖고 탈수가 완료된 슬러지가 반송스크류에 의해 원추형 드럼벽으로부터 배출되는 데칸터형 스크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된 슬러지의 일부를 상기 원통형 드럼벽과 원추형 드럼벽 사이의 이행영역에서 스크류 나사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재순환 또는 환류시킴으로써 슬러지의 탈수를 개선시킨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데칸터형 스크류 원심분리기는 원통형 드럼벽, 원추형 드럼벽, 슬러지와 시약의 공급관, 탈수된 슬러지와 액체의 출구, 및 상기 원통형 드럼벽과 원추형 드럼벽 사이의 이행영역에서 반송스크류의 스크류 나사산의 외주에 설치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고액 분리장치는 액체와 고형물을 탈수, 분리할 때에 고액분리는 잘 되었으나 고형물이 드럼 내주벽에 달라붙는 경우가 많아서 스크류의 회전시에 고형물 이송 및 재순환을 방해하는 주원인이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간섭을 일으켜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한국특허 제0143165호에는 소정속도로 회전하는 여과통체에서 원심력에 의해 오수와 슬러지가 분리되고, 상기 여과통체의 내면에 근접되도록 소정갯수의 슬러지용 스크류 브러쉬를 설치하여 스크류 브러쉬 개체가 자진하는 상태에서 전체 스크류 브러쉬가 한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통체 내면에 고착된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오수의 슬러지 분리제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에서 고체와 액체를 신속하게 분리하며, 분리된 고형물(탈수케익)을 장치의 마모없이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액분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는, 베이스(1)상에 고정 설치되며,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탈수 분리하여 케익형태로 배출시키는 탈수케익 배출구(12) 및 탈수 분리된 여액을 배출시키는 여액 배출구(11)가 저면에 구비된 커버체(10); 상기 커버체(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된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에 포함된 액체를 원심력으로 분리시키는 여과통체(20); 상기 여과통체(20)내를 관통하고,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여과통체내에 유입시키는 유입관(40); 및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40)의 외측둘레 길이방향에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1); 상기 유입관(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 선상으로 설치되며, 지지봉(31)에 의해 양측이 관통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2); 상기 고정프레임(32)이 결합되는 지지봉(31)의 전후측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프레임(3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33); 상기 지지봉(31) 일단에 체결 설치되어 고정프레임(32)을 포함하는 탄성스프링(3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34); 상기 고정프레임(32)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고정판(35); 및 상기 고정판(35)에 착탈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체(20) 내면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부채꼴 형상의 스크래퍼(36)로 이루어진 고형물 제거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방법은, 베이스(1)상에 고정 설치되며,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탈수 분리하여 케익형태로 배출시키는 탈수케익 배출구(12) 및 탈수 분리된 여액을 배출시키는 여액 배출구(11)가 저면에 구비된 커버체(10); 상기 커버체(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된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에 포함된 액체를 원심력으로 분리시키는 여과통체(20); 상기 여과통체(20)내를 관통하고,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여과통체내에 유입시키는 유입관(40); 상기 유입관(40)에 고정 설치되고 여과통체(20) 내면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부채꼴 형상의 스크래퍼(36)를 갖는고형물 제거수단(30);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 및 탈수케익 운반용 컨베이어 밸트(63)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동모터(M)를 전동시키고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회전시키는 단계; 하폐수 및 양돈분뇨를 상기 유입관(40)을 통해 여과통체(20)내에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하폐수 및 양돈분뇨가 원심력에 의해 탈수 분리되고 여액은 여과통체(40)의 간극을 통해 여과되고 커버체(10)에 따라 여액 배출구(11)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유입관(40)에 고정 설치되어 유입관(40)과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고형물 제거수단(30)의 스크래퍼(36)가 원심력에 의해 여과통체(20) 내면의 탈수케익을 제거하여 탈수케익 배출구(12)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배출된 탈수케익을 컨베이어 밸트(63)를 이용하여 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제거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부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제거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10 : 커버체
11 : 탈리여액 배출구,12 : 탈수케익 배출구
20 : 여과통체,30 : 고형물(탈수케익) 제거수단
31 : 지지봉,32 : 고정 프레임
33 : 스프링,34 : 너트
35 : 고정판,36 : 스크레퍼
40 : 유입관,63 : 컨베이어 밸트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징은, 여과통체 및 유입관을 각각 다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여과통체 내에서 유입물질에 원심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유입물질의 공급압력에 무관하게 액체 및 고체의 분리능력이 매우 뛰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여과통체 내주면에 부착된 고형물(탈수케익)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하는데 있다. 특히, 유입관에 고정 설치되어 유입관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고형물이 이송 및 수거되기 때문에, 고형물 제거에 있어 여과통체에 압력이 발생되지 않아 여과통체의 변형 및 고형물의 유탈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과정을 거친 탈리여액의 탁도는 감소되고, 후속 정화처리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 장치는 하기 부재들을 포함한다.
베이스(1)상에 고정 설치되며,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탈수 분리하여 케익형태로 배출시키는 탈수케익 배출구(12) 및 탈수 분리된 여액을 배출시키는 여액 배출구(11)가 저면에 구비된 커버체(10);
상기 커버체(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된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에 포함된 액체를 원심력으로 분리시키는 여과통체(20);
상기 여과통체(20)내를 관통하고,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여과통체내에 유입시키는 유입관(40); 및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
상기 유입관(40)의 외주연에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배출공이 60∼120°의 간격으로 3∼6개 형성되어 있어, 여과통체(20)내로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분사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유입관(40)의 외주연을 따라 90°의 동간격으로 4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동력전달부재인 풀리(61, 62)를 통해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M)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M)는 베이스(1)상에 설치된 고액분리장치와 평행한 위치에서 가동되나, 이해를 돕기 위해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여과통체(20)의 내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체(2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고형물 제거수단(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제거수단(30)은 유입관(40)의 외측둘레 길이방향에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1); 상기 유입관(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 선상으로 설치되며, 지지봉(31)에 의해 양측이 관통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2); 상기 고정프레임(32)이 결합되는 지지봉(31)의 전후측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프레임(3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33); 상기 지지봉(31) 일단에 체결 설치되어 고정프레임(32)을 포함하는 탄성스프링(3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34); 상기 고정프레임(32)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고정판(35); 및 상기 고정판(35)에 착탈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체(20) 내면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부채꼴 형상의 스크래퍼(36);로 구성되며, 이의 분해사시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A-A부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35)은 고정프레임(32)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에 의해 6개에서 9개까지 다수개 고정 설치되며,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공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고정프레임(32)에 6개의 고정판(35)과 스크래퍼(36)가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35)과 고정 설치되는 스크래퍼(36)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외형의 형상은 고정판과 유사하면서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고정판과 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35)과 스크래퍼(36)의 형상은 부채꼴 형상으로 자유롭게 형성되며, 여과통체(20)의 호의 형상과 일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32)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판(35) 및 스크래퍼(36)는 고정프레임(3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유입관(40)의 중심선상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고정판(35) 및 스크래퍼(36)는 이웃하는 각도상의 고정프레임(32)측에 설치된 또 다른 고정판(35) 및 스크래퍼(36)에 대하여 스파이럴 각도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32)은 유입관(40)의 중심에 대하여 60∼120°간격으로 일정하게 3∼6개로 설치되며, 도 1에는 120°의 동간격으로 3개의 고정프레임(32)이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입관(40)으로 하폐수 슬러지 또는 양돈분뇨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게 되면 구동모터(M)에 연동된 동력전달부재인 풀리(61, 62)의 회전에 의해 유입관(40)에 고정된 고형물 제거수단(30)과 여과통체(20)가 회전되게 되는데, 이 때 유입관(40)의 풀리(62)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고형물 제거수단(30)의 회전속도가 여과통체(20)의 회전속도 보다 적정비율로 빠르게 한다. 그 이유는 여과통체(20)와 고형물 제거수단(30)의 회전비가 동일하면 여과통체(20)내에서의 스크래퍼(36)의 위치가 불변하게 되어 내면 전체의 고형물을 제거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여과통체(20)의 속도를 고형물 제거수단(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시켜도 효과는 동일하다. 여기서, (61)은 여과통체(20)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시켜 주기 위한 풀리이고, (62)는 유입관(40)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시켜 주는 풀리이다.
이와 같이 여과통체(20)내로 고액분리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이 유입되고 여과통체(20)와 유입관(40)이 회전되면, 유입관(40)에 고정된 고형물 제거수단(30)이 유입관(40)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고형물 제거수단(30)의 고정프레임(32)이 회전하면서 고정프레임(32)에 연결된 모든 스크래퍼(36)들이 동시에 회전된다. 즉, 모든 스크래퍼(36)는 일방향으로 전체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회전에 따라 고정프레임(32)이 원심력에 따라 탄성스프링을 이용하여 여과통체(20)의 내부 직경방향으로 확장 이동범위를 가짐으로써, 스크래퍼(36) 들이 여과통체(20) 내면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여과통체(20)내에 유입된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는 원심력에 의해 고형물(탈수케익)을 제외한 액체(탈리여액)는 여과통체(20) 밖으로 유출되어 커버체(10) 내주면에 부딪혀 하방으로 집수되어 여액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고, 여과통체(20)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형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통체(20) 내주면에 매우 근접상태로 위치되어 회전하는 스크래퍼(36)에 의해 여과통체(20)에서 분리 이탈되면서 스크래퍼(36)의 회전 진행방향, 즉 탈수케익 배출구(12)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밀려나가는 고형물은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별도의 수거 장치인 컨베이어 벨트(63)를 타고 수거된다. 이 때, 고정프레임(32)에 고정되는 고정판(35)과 스크래퍼(36)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형물을 배출구(12)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고형물 제거수단(30)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된 고형물을 긁어주는 역할을 하는 스크래퍼 또는 브러쉬 등이 여과통체 내면과 마찰로 의해 마모되고 이로 인하여 간격이 발생되어 여과통체(20) 내면에 부착된 고형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2), 고정판(35) 및 스크래퍼(36)가 일체가 되어 고형물 제거수단(3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33)이 이완되면서 여과통체의 내면과 근접하여 스크래퍼(36)에 의해 여과통체의 내면에 부착된 고형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마찰마모에 의한 스크래퍼와 여과통체 내면과의 간격발생이 방지되면서 고형물 제거효율을 그대로 유지하고, 장치를 오랜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36)는 우레탄, PE, 일반고무, 테프론, PVC, FRP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형물을 제거시킬 때 여과통체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고체와 액체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가 매우 신속할 뿐만 아니라, 고형물(탈수케익)을 여과통체 내주면에 고르게 분산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소정속도로 회전되게 한 여과통체 내면에 고형물 제거수단을 밀접되도록 설치하여 여과통체 내면과 고형물 제거수단 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간격이 원심력에 의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장치를 오랜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시켜 후단 정화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7)

  1. 베이스(1)상에 고정 설치되며,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탈수 분리하여 케익형태로 배출시키는 탈수케익 배출구(12) 및 탈수 분리된 여액을 배출시키는 여액 배출구(11)가 저면에 구비된 커버체(10); 상기 커버체(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된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에 포함된 액체를 원심력으로 분리시키는 여과통체(20); 상기 여과통체(20)내를 관통하고,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여과통체내에 유입시키는 유입관(40); 및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40)의 외측둘레 길이방향에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1);
    상기 유입관(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 선상으로 설치되며, 지지봉(31)에 의해 양측이 관통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2);
    상기 고정프레임(32)이 결합되는 지지봉(31)의 전후측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프레임(3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33);
    상기 지지봉(31) 일단에 체결 설치되어 고정프레임(32)을 포함하는 탄성스프링(3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34);
    상기 고정프레임(32)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고정판(35); 및
    상기 고정판(35)에 착탈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체(20) 내면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부채꼴 형상의 스크래퍼(36)로 이루어진 고형물 제거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40)의 외주연에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배출공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2)에 설치되는 고정판(35) 및 스크래퍼(36)는 고정프레임(3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40)의 중심선상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고정판(35) 및 스크래퍼(36)는 이웃하는 각도상의 고정프레임(32)측에 설치된 또 다른 고정판(35) 및 스크래퍼(36)에 대하여 스파이럴 각도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36)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32)이 원심력에 따라 여과통체(20)의 내부 직경방향으로 확장 이동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2)은 유입관(40)의 중심에 대하여 60∼120°간격으로 3∼6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7. 베이스(1)상에 고정 설치되며,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탈수 분리하여 케익형태로 배출시키는 탈수케익 배출구(12) 및 탈수 분리된 여액을 배출시키는 여액 배출구(11)가 저면에 구비된 커버체(10); 상기 커버체(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된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에 포함된 액체를 원심력으로 분리시키는 여과통체(20); 상기 여과통체(20)내를 관통하고,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를 여과통체내에 유입시키는 유입관(40); 상기 유입관(40)에 고정 설치되고 여과통체(20) 내면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부채꼴 형상의 스크래퍼(36)를 갖는 고형물 제거수단(30);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 및 탈수케익 운반용 컨베이어 밸트(63)를 포함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동모터(M)를 전동시키고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여과통체(20) 및 유입관(40)을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회전시키는 단계;
    하폐수 및 양돈분뇨를 상기 유입관(40)을 통해 여과통체(20)내에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하폐수 및 양돈분뇨가 원심력에 의해 탈수 분리되고 여액은여과통체(40)의 간극을 통해 여과되고 커버체(10)에 따라 여액 배출구(11)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유입관(40)에 고정 설치되어 유입관(40)과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고형물 제거수단(30)의 스크래퍼(36)가 원심력에 의해 여과통체(20) 내면의 탈수케익을 제거하여 탈수케익 배출구(12)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배출된 탈수케익을 컨베이어 밸트(63)를 이용하여 운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방법.
KR10-2002-0019974A 2002-04-12 2002-04-12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KR10044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974A KR100443050B1 (ko) 2002-04-12 2002-04-12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974A KR100443050B1 (ko) 2002-04-12 2002-04-12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058U Division KR200281706Y1 (ko) 2002-04-12 2002-04-12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643A true KR20030081643A (ko) 2003-10-22
KR100443050B1 KR100443050B1 (ko) 2004-08-04

Family

ID=3237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974A KR100443050B1 (ko) 2002-04-12 2002-04-12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05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85B1 (ko) * 2013-06-25 2014-02-05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KR20160025215A (ko) 2014-08-27 2016-03-08 (주)엠엠코리아 고액분리를 통한 탈수장치
CN113121084A (zh) * 2021-06-17 2021-07-16 山东恒基农牧机械有限公司 一种污泥浓化设备
CN113663396A (zh) * 2021-09-09 2021-11-19 沙洋天一药业有限公司 一种固液高速分离的炎琥宁注射液生产筛滤设备
CN113716728A (zh) * 2021-10-11 2021-11-30 浙江圣效化学品有限公司 滤孔动态设置的对羟基苯甲酸生产污水处理系统
CN115215480A (zh) * 2022-07-22 2022-10-21 江西勇骏实业有限公司 一种环保型退镀分离用沉淀物清理分离装置
CN116508659A (zh) * 2023-07-04 2023-08-01 江苏爱索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粪污还田的固液分离式水肥一体机
CN117566828A (zh) * 2024-01-16 2024-02-20 吉林省农业科学院(中国农业科技东北创新中心) 一种基于畜禽养殖用污水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740B1 (ko) 2009-06-08 2011-12-29 주식회사 두리에프에스 원심 분리장치
KR101118820B1 (ko) 2011-10-13 2012-03-21 윤남식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
KR101276389B1 (ko) 2012-02-19 2013-06-19 김동욱 저속 원심 탈수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85B1 (ko) * 2013-06-25 2014-02-05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KR20160025215A (ko) 2014-08-27 2016-03-08 (주)엠엠코리아 고액분리를 통한 탈수장치
CN113121084A (zh) * 2021-06-17 2021-07-16 山东恒基农牧机械有限公司 一种污泥浓化设备
CN113121084B (zh) * 2021-06-17 2021-09-07 山东恒基农牧机械有限公司 一种污泥浓化设备
CN113663396A (zh) * 2021-09-09 2021-11-19 沙洋天一药业有限公司 一种固液高速分离的炎琥宁注射液生产筛滤设备
CN113716728A (zh) * 2021-10-11 2021-11-30 浙江圣效化学品有限公司 滤孔动态设置的对羟基苯甲酸生产污水处理系统
CN115215480A (zh) * 2022-07-22 2022-10-21 江西勇骏实业有限公司 一种环保型退镀分离用沉淀物清理分离装置
CN116508659A (zh) * 2023-07-04 2023-08-01 江苏爱索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粪污还田的固液分离式水肥一体机
CN116508659B (zh) * 2023-07-04 2023-09-15 江苏爱索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粪污还田的固液分离式水肥一体机
CN117566828A (zh) * 2024-01-16 2024-02-20 吉林省农业科学院(中国农业科技东北创新中心) 一种基于畜禽养殖用污水处理设备
CN117566828B (zh) * 2024-01-16 2024-03-19 吉林省农业科学院(中国农业科技东北创新中心) 一种基于畜禽养殖用污水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050B1 (ko)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KR100443050B1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CA2108759C (en) Solid-liquid separator
KR20150114000A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1258805B1 (ko) 고액분리장치
KR101100740B1 (ko) 원심 분리장치
KR100794850B1 (ko) 차속 조정이 가능한 고액 분리기
KR200281706Y1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CN219681942U (zh) 一种水环境治理的污泥处理装置
KR20160070643A (ko) 오폐수 필터링 장치
AU2015244013A1 (en) Rotary fan press with auger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200383012Y1 (ko)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JP3375073B2 (ja) 固液分離装置
CN113304534A (zh) 一种智能制造用工业污水过滤排放装置
KR100617461B1 (ko)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KR100566423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200369851Y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212610206U (zh) 一种粪污处理用固液分离装置
KR101476825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탈리액 처리장치
KR100383820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이물질 처리장치
KR100216480B1 (ko) 폐액속에 함유된 미세협잡물 처리기
KR0143165B1 (ko) 오수의 슬러지 분리제거장치
RU2085253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322

Effective date: 201310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066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322

Effective date: 201310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121

Effective date: 201409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915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121

Effective date: 20140905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3000001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925

Effective date: 201501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300002085;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925

Effective date: 201501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116

Effective date: 201505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3000001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116

Effective date: 201505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