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012Y1 -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3012Y1 KR200383012Y1 KR20-2005-0002913U KR20050002913U KR200383012Y1 KR 200383012 Y1 KR200383012 Y1 KR 200383012Y1 KR 20050002913 U KR20050002913 U KR 20050002913U KR 200383012 Y1 KR200383012 Y1 KR 2003830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shaft
- link member
- hollow
- hollow rotating
- fix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치의 외부에서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대한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소음 없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 통체 및 스크레이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는,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회전축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조절봉과; 상기 중공회전축을 관통하여 중공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 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공회전축상의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프레임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중공회전축 상의 회전지점으로부터 고정프레임상의 회전지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회전지점을 상기 중공회전축의 외주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갖으며, 상기 제1 링크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공 회전축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결합하는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외부에서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대한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소음 없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 통체 및 스크레이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 화장실이나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화장실에서 수거되는 분뇨나 오니 또는 가축의 분뇨나 축산폐수 등은 일차적으로 각 가정이나 산업체에 설치된 오수 정화시설 또는 정화조 등에서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 또는 오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런데, 오수, 분뇨, 오니 등 처리 대상물(이하, 이를 "오니"로 통칭하기로 한다.)은 다량의 수분에 슬러지 등과 같은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형물을 분리 제거하지 않고는 정화 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없으므로, 정화 처리 공정 중에는 슬러지 등을 탈수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는 고액 분리장치로, 예전에는 2매의 엔드리스 여과포 벨트가 다수의 로울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2매의 여과포 사이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로울러에 의해 가압 탈수되는 벨트 프레스 방식이나, 외주면에 스크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코운축이 여과 통체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운축의 직경이 전방으로 갈수록 커지면서 탈수실의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슬러지가 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서서히 압축되면서, 슬러지 중의 수분은 여과 통체를 통해 분리되고,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가 케이크 상태로 배출되는 스크류 프레스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벨트 프레스 방식이나 스크류 프레스 방식은 슬러지를 가압하여 탈수하는 방식으로, 장치가 복잡화, 대형화되어 제작비가 많이 들고, 탈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탈수 효과가 낮아서 배출되는 케이크에 많은 수분이 잔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데칸터형 탈수기라 하여, 원심력을 이용해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서, 소형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저속에서도 탈수 효과가 우수한 고액분리장치가 개발되어 점차 그 사용 범위를 넓혀 가고 있으며, 본 고안자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이 분리되어 여과 통체에 부착되는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443050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도 1은 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스크레이퍼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스크레이퍼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바, 그 전체적인 구성은, 프레임(1)과,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2)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여과 통체(2)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를 배출공(2a)을 통해 여과 통체(2)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3)과; 여과 통체(2)를 감싸도록 프레임(1)상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5b)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5)와; 중공 회전축(3)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봉(4a)에 스프링(4b)을 매개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4c)에 경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이 여과 통체(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과 통체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4)로 구성된다.
중공 회전축(3)과 여과 통체(2)는 회전 속도가 다르게 구동되는 바, 이를 위해 각각을 별도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예의 경우, 중공 회전축(23)과 여과 통체(22) 각각에 스프로킷(11, 12)을 설치하여 하나의 구동모터(M)로 구동하되, 중공 회전축 스프로킷(11)의 잇수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중공 회전축(3)이 여과 통체(2)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회전 구동되도록 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고안자에 의해 제안된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는, 스크레이퍼(4)가 스프링(4b)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여과 통체와 접촉하게 되므로, 스크레이퍼가 중공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기존의 고액분리장치에 비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었으나,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대한 스크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탄성계수가 작은 스프링이 설치된 경우 스크레이퍼가 원심력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부면에 너무 세게 밀착되어 탈수 작동시 소음이 클 뿐만 아니라 여과 통체 및 스크레이퍼가 급속하게 마모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탄성계수가 너무 큰 스프링이 설치되는 경우 탈수 슬러지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해 탈수효과가 저하되는 등 설계 및 제작에 난점이 있었으며,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대한 스크레이퍼의 접촉 압력이 최적화되도록 설계 및 제작된다 하더라도, 사용 중 스크레이퍼나 여과 통체가 마모되어 탈수 슬러지의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며, 이 경우 장치을 전체적으로 해체하여 부품을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의 외부에서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대한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마모 및 마찰음을 최소화 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 통체 및 스크레이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와; 상기 여과 통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응집 슬러지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과; 봉상의 고정 프레임에 경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이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과 통체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여과 통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여과통체 구동수단과; 상기 중공 회전축을 상기 여과 통체와 그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구동시키는 중공회전축 구동수단과; 상기 여과 통체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상기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를 구비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회전축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조절봉과; 상기 중공회전축을 관통하여 중공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 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공회전축상의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중공회전축 상의 회전지점으로부터 고정프레임상의 회전지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회전지점을 상기 중공회전축의 외주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갖으며, 상기 제1 링크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공 회전축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결합하는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에 따르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조절봉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원심력에 의한 여과 통체의 내주면과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마찰음이나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 통체 및 스크레이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스크레이퍼 등에 마모가 생기는 경우에도 장치 전체를 해체하여 부품을 교체할 필요 없이 조절봉을 이용해 여과 통체에 대한 스크레이퍼의 위치를 조절하면 되므로, 장치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공 회전축의 내부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작동 설명도를 각각 나타내는 바, 본 고안에 따른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과,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2)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여과 통체(2)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를 배출공(2a)을 통해 여과 통체(2)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3)과; 봉상의 고정 프레임(4c)에 경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이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과 통체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4)와; 여과 통체(2)를 감싸도록 프레임(1)상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5b)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5)를 구비하여,
중공 회전축을 통해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 중 수분만이 여과 통체(2)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여과 통체를 통과하여 수집 커버(5)의 탈수액 배출구(5a)를 통해 배출되고,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고형분인 탈수 슬러지는 스크레이퍼(4)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수집 커버(5)의 탈수슬러지 배출구(5b)를 통해 배출됨으로서 탈수 작용이 수행되는 점에서는 종래와 유사하나, 스크레이퍼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의 원심력에 대항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과 통체의 내주면과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데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회전축(20)의 후방 단부를 관통하여 중공회전축의 내부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중공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스프링(40)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에 탄성 지지되어 있고, 내측 단부에는 나사부(31)가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단부에는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핸들(32)이 결합되어 있는 조절봉(30)과; 조절봉의 나사부(31)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회전 지점을 형성하는 힌지부(35a)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35)와; 중공회전축(20)의 외주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장공(21)을 통해 일부가 중공회전축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중앙 부분이 장공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 단부(51)는 고정 프레임(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단부(52)에는 장공(53)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구(35)의 힌지부(3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50); 제1 링크부재(50)의 중공회전축 상의 회전지점(A)으로부터 고정프레임상의 회전지점(B) 사이의 거리(d)에 해당하는 회전지점(D, E)을 중공회전축의 외주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갖으며, 제1 링크부재(5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중공 회전축(20)과 고정프레임(60)을 결합함으로서, 제1 링크부재(50)가 회전한다 하더라도, 제1 링크부재와 항상 평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고정 프레임(60)이 중공 회전축(20)과 항상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2 링크부재(70)를 구비한다.
중공 회전축(20)의 후방 단부에는, 조절봉(30) 및 스프링(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중공 보스부(23a, 23b)가 형성되어있는 후방 커버(23)가 체결되며, 연결구(35)의 힌지부(35a)와 제1 링크부재(50) 내측 단부를 힌지핀(36a) 및 스냅링(36b)로 결합시킬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중공 회전축의 힌지부(21) 근방에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23)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중공 회전축(20)의 단차부(25)를 플렌지에 의한 볼트 결합으로 하거나, 단차부의 용접 작업 전에, 핸들(32)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결합봉(30)에 연결구를 체결한 상태에서 연결구와 제1 링크를 결합한 후, 결합봉이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단차부를 용접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을 시험 제작한 결과에 따르면, 고액 분리작업이 진행되어 배출공(20a)을 통해 여과 통체 내부로 배출되는 응집 슬러지는 원심력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달라붙어 앞서 언급한 작동부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으나, 중공 회전축으로 주입된 응집 슬러지는 조절봉 부분까지 진행되어 작동부에 악영향을 끼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회전축(20)의 내부에 격벽(20b)를 설치하여, 중공 회전축의 내부를, 배출공(20a)을 통해 여과 통체의 내부로 슬러지를 투입하는 전방의 슬러지 투입부와, 제1 링크부재 및 조절봉 등이 설치되는 조절 작동공간으로 구획함으로서, 이 물질에 의해 작동부에 끼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
도 7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조절봉(30)에 힘을 가하면서 회전시키면, 연결구(35)는 제1 링크부재(50)에의해 중공 회전축의 축방향으로는 회전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봉의 나사부(31)를 따라 축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봉과 연결구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부재(50)의 회전 위치가 변경되며,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나, 제1 링크부재(40)와 이에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링크부재(70) 및 스크레이퍼(61)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60)은 초기 위치를 달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하면, 원심력에 의해 스크레이퍼 및 고정 프레임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나, 고정프레임의 동일한 위치로 변위하기 까지, 조절봉과 연결구의 조절 상태에 따라 스프링의 변위(x)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원심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조절봉을 장치의 외부에서 회전 작동시켜 조절봉과 연결구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원심력에 대항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여과 통체의 내주면과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조절봉(30)의 외측 단부는 중공 회전축(20)의 후방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제1 링크부재(50)의 내측 단부는 조절봉의 내측 단부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프레임(60)은,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의 외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60a)과, 제1 고정프레임(60a)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봉(62)에 스프링(63)을 매개로 탄성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스크레이퍼(61)가 결합되는 제2 고정 프레임(60b)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회전축의 후방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조절봉(30)을 회전시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조절봉의 힌지부(33)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링크부재가 중공회전축상의 회전지점(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스크레이퍼의 단부와 여과통체 내벽사이의 간격이 조절봉의 상태에 따라 조절되어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내측의 고정프레임(60a)은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되어 있어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스크레이퍼(61) 및 고정 프레임(60)은 스프링(63)을 압축하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여과 통체에 밀착되는 바, 스크레이퍼의 초기 위치에 따라 여과 통체에 밀착되기까지의 스프링의 변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원심력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절봉의 체결 위치를 장치의 외부에서 조절함으로서 원심력에 대항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여과 통체의 내주면과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64는 작동 중단시 제1 고정프레임(60a)과 제2 고정 프레임(60b)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고무로 이를 스프링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고정 프레임(60)이 제1 고정프레임(60a)과 이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제2 고정프레임(60b)으로 구성되어, 제1 고정 프레임은 조절봉에 의한 초기 조절위치에 고정되고 스크레이퍼가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프레임만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을 압축하며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은 앞서의 실시예와 같으나, 조절봉에 의해 초기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 상이하다.
즉, 도 9는, 조절봉(30)의 후방 단부는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조절봉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조절봉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1a)와 피치가 상이한 나사부(3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링크부재(50)의 내측 단부(52)는 조절봉 내측 단부의 나사부(31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연결구(35)를 매개로 조절봉에 결합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봉(30)을 회전시키는 경우 조절봉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1a, 31b)의 피치가 상이하므로, 조절봉 1 회전 당, 양 나사부의 피치의 차이만큼 나사부(31b)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구(35)가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서 제1 링크부재(50)의 회전 위치, 다시 말해 스크레이퍼 및 고정 프레임의 초기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길이 방향의 운동이 제한되고 회전운동만이 가능하도록 조절봉(30)을 중공회전축(20)의 후방 단부에 베어링(25)을 매개로 결합하고, 조절봉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1)에 연결구(35)를 설치함으로서, 조절봉을 회전시키는 경우, 축방향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연결구가 나사부 상에서 직선 운동하여 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링크부재(50)의 회전 위치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스크레이퍼 및 고정 프레임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에 따르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조절봉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원심력에 의한 여과 통체의 내주면과 스트레이퍼의 접촉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탈수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을 마찰음이나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 통체 및 스크레이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스크레이퍼 등에 마모가 생기는 경우에도 장치 전체를 해체하여 부품을 교체할 필요 없이, 조절봉을 이용해 여과 통체에 대한 스크레이퍼의 위치를 조절하면 되므로, 장치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1은 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스크레이퍼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스크레이퍼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4는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공 회전축의 내부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작동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중공회전축 30 : 조절봉
50 : 제1 링크부재 70 : 제2 링크부재
35 : 연결구 60 : 고정 프레임
Claims (6)
-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와; 상기 여과 통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응집 슬러지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과; 봉상의 고정 프레임에 경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이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과 통체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여과 통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여과통체 구동수단과; 상기 중공 회전축을 상기 여과 통체와 그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구동시키는 중공회전축 구동수단과; 상기 여과 통체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상기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를 구비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에 있어서,상기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회전축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조절봉과;상기 중공회전축을 관통하여 중공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 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공회전축상의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부재와;상기 제1 링크부재의 중공회전축 상의 회전지점으로부터 고정프레임상의 회전지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회전지점을 상기 중공회전축의 외주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갖으며, 상기 제1 링크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공 회전축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결합하는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봉의 후방 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상기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에 탄성 지지되어 있고, 상기 조절봉의 내측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 단부는 상기 조절봉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조절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봉의 외측 단부는 상기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 단부는 상기 조절봉의 내측 단부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의 외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봉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스크레이퍼가 결합되는 제2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봉의 후방 단부는 상기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봉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조절봉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와 피치가 상이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 단부는 상기 조절봉 내측 단부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조절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의 외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봉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스크레이퍼가 결합되는 제2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절봉은, 상기 중공회전축의 후방 단부에 길이 방향의 운동이 제한되고 회전운동만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봉의 전방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 단부는 상기 조절봉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조절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의 외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봉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스크레이퍼가 결합되는 제2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공회전축의 내부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여과 통체의 내부로 슬러지를 투입하는 전방의 슬러지 투입부와, 상기 제1 링크부재 설치되는 조절 작동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2913U KR200383012Y1 (ko) | 2005-01-31 | 2005-01-31 |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2913U KR200383012Y1 (ko) | 2005-01-31 | 2005-01-31 |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8716A Division KR100617461B1 (ko) | 2005-01-31 | 2005-01-31 |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3012Y1 true KR200383012Y1 (ko) | 2005-04-28 |
Family
ID=4368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2913U KR200383012Y1 (ko) | 2005-01-31 | 2005-01-31 |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301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4959B1 (ko) * | 2009-07-31 | 2010-01-06 | (주)크린월드 | 고액분리기 |
KR20180003179U (ko) * | 2018-02-23 | 2018-11-07 | 주식회사 센텍기술 | 수평형 원심 분리기 |
-
2005
- 2005-01-31 KR KR20-2005-0002913U patent/KR2003830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4959B1 (ko) * | 2009-07-31 | 2010-01-06 | (주)크린월드 | 고액분리기 |
KR20180003179U (ko) * | 2018-02-23 | 2018-11-07 | 주식회사 센텍기술 | 수평형 원심 분리기 |
KR200488851Y1 (ko) * | 2018-02-23 | 2019-04-03 | 주식회사 센텍기술 | 수평형 원심 분리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01036C (en) | Solid-liquid separator | |
WO2014208967A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 |
KR101925858B1 (ko) | 폐수처리장치 | |
KR101276389B1 (ko) | 저속 원심 탈수장치 | |
JPH0710440B2 (ja) | 固液分離装置 | |
KR20150114000A (ko) |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 |
KR100972610B1 (ko) | 고함수 산업 슬러지 감량을 위한 2중 로터형 농축 탈수 방법 및 그 구동 장치 | |
KR100443050B1 (ko) |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 |
KR100672218B1 (ko) | 스크류식 고체ㆍ액체분리장치 | |
KR20030067632A (ko) | 협잡물과 슬러지 처리 복합 원심분리기 | |
KR101100740B1 (ko) | 원심 분리장치 | |
KR200383012Y1 (ko) |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
KR20160078415A (ko) | 유기성 오니의 탈수 시스템 | |
CN114849317A (zh) | 一种刚柔结合的高性能固液分离机 | |
KR100617461B1 (ko) | 저속농축 고액분리장치 | |
EP3129215B1 (en) | Rotary fan press with auger | |
CN219681942U (zh) | 一种水环境治理的污泥处理装置 | |
KR102172445B1 (ko) | 폐수처리장치 | |
KR102193706B1 (ko) | 폐수처리방법 | |
KR101623259B1 (ko) | 저속고액분리장치 | |
KR101437908B1 (ko) |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 |
KR20090093772A (ko) | 하수 종합 전처리장치 | |
KR100781315B1 (ko) |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 |
KR101422567B1 (ko) | 배출성능 향상형 배출구를 갖는 원심 분리기 | |
CN210620568U (zh) | 一种污泥脱水用带式压滤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