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89Y1 -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4089Y1 KR200354089Y1 KR20-2004-0009521U KR20040009521U KR200354089Y1 KR 200354089 Y1 KR200354089 Y1 KR 200354089Y1 KR 20040009521 U KR20040009521 U KR 20040009521U KR 200354089 Y1 KR200354089 Y1 KR 2003540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cylindrical body
- housing
- dehydration
- centrifugal for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8—Rotary bowls formed or coated with sieving or filtering el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이 간편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탈수통을 고속회전시킬 수 있어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과, 이 베이스프레임(10)에 수평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되어 구동모터(36)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축(30)에 고정설치되는 탈수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40)은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내측 둘레부에는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56)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이 끼움홈(56)의 입구(55)쪽 단부에는 끼움홈(56)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54)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체(50)와, 이 링체(5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끼움홈(56)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원통체(46)를 이루도록 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4)에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6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 다수개의 바아부재(60)와, 상기 원통체(46)의 일단부 둘레부에 배치되는 테두리부재(70)와, 상기 원통체(46)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이 원통체(46)를 회전축(30)에 연결 고정시키도록 하며 중앙부 둘레부에는 상기 투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84)가 형성되는 측면판(80)과, 상기 상기 링체(50)와, 테두리부재(70) 및 측면판(80)을 연결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수단(90)을 포함하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편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탈수통을 고속회전시킬 수 있어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탈수장치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탈수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슬러지의 부피를 줄이고, 슬러지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이고,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슬러지 탈수장치는 탈수방식에 따라 다수개로 분류되는데, 이 중 최근들어 연속작업이 가능한 원심력식 탈수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는 양단부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나선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탈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탈수통은 근래들어 배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수구를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일명 드럼스크린이라는 탈수통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드럼스크림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링체의 내주면에 소정단면 형상을 갖는 바아부재를 소정간격으로 용접부착하여 이 바아부재 사이에 틈새(배수구)가 형성되도록 된 것으로, 그 내주면에 상기 이송블레이드를 용접부착하여 슬러지를 탈수시키면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드럼스크린은 링체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바아부재 및 이송블레이드를 일일이 용접부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은 링체와 바아부재를 용접 부착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여, 고속회전을 할 수 없어 탈수효과가 떨어짐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용접부위의 부식에 의해 탈수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이 간편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우수하여 탈수통을 고속회전시킬 수 있어 탈수효율을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상기 탈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탈수장치의 탈수통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탈수통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프레임 20. 하우징
30. 회전축 40. 탈수통
50. 링체 56. 끼움홈
54. 걸림돌기 60. 바아부재
62. 걸림홈 70. 테두리부재
80. 커버판 90. 체결수단
100. 중공축 112. 이송안내날개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10)과, 이 베이스프레임(10)에 수평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20)과, 이하우징(20)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되어 구동모터(36)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축(30)에 고정설치되는 탈수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40)은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내측 둘레부에는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56)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이 끼움홈(56)의 입구(55)쪽 단부에는 끼움홈(56)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54)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체(50)와, 이 링체(5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끼움홈(56)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원통체(46)를 이루도록 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4)에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6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 다수개의 바아부재(60)와, 상기 원통체(46)의 일단부 둘레부에 배치되는 테두리부재(70)와, 상기 원통체(46)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이 원통체(46)를 회전축(30)에 연결 고정시키도록 하며 중앙부 둘레부에는 상기 투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84)가 형성되는 측면판(80)과, 상기 상기 링체(50)와, 테두리부재(70) 및 측면판(80)을 연결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아부재(60)는 링체(50)에 사선 또는 나선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30)의 둘레부에는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탈수통(40) 내부로 연장된 중공축(100)이 구비되고, 이 중공축(100)의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단부가 탈수통(40)의 내벽면에 인접되면서 탈수통(40)의 개구부(41) 방향으로 경사 또는 만곡되어 탈수통(40)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를 탈수통(40)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이송 안내하는 이송안내날개(112)가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슬러지 탈수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이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에 수평설치된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되어 구동모터(36)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축(30)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는 탈수통(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일단부 중앙부에 투입구(22)가 형성되고 타단부 저면에 배출구(24)가 형성된 것으로, 그 하측에는 탈수통(4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수집하는 집수조(26)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26)의 바닥면에는 이 집수조(26)에 저장된 배출수를 하우징(2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22)에는 하우징(20) 내부로 슬러지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호퍼(21)가 마련되고, 배출구(24) 하측에는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장치의 일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경사판(25)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0)은 탈수통(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2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되며, 그 양단부가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탈수통(40)은 다수개의 바아부재(60)를 원통형상으로 연결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링체(50)와, 이 링체(5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원통체(46)를 이루도록 하는 다수개의 바아부재(60)와, 상기 원통체(46)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테두리부재(70)와 측면판(80)과, 상기 링체(50)와 테두리부재(60) 및 측면판(80)을 연결하여 위치고정하는 체결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체(50)는 바아부재(60)를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측 둘레부에는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56)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아부재(60)를 링체(5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끼움홈(56)에 각각 끼움결합하여 원통체(46)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56)의 입구(55)쪽 양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5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홈(56)에 끼움결합된 각각의 바아부재(60)가 링체(50)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체(50)의 중앙부 둘레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제1관통공(52)이 형성되어, 이 제1관통공(52)에 후술할 체결수단(90)을 체결함으로서 링체(50)의 위치를 고정할 수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아부재(60)는 링체(5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끼움홈(56)에 각각 축방향으로 끼움결합됨은 물론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미세틈, 즉, 배수구(42)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된 것으로, 그 양측면에는 링체(50)의 걸림돌기(54)가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6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아부재(60)를 끼움홈(56)에 축방향으로 끼움결합하면, 이 끼움홈(56)의 걸림돌기(54)가 바아부재(60)의 걸림홈(62)에 삽입되어 바아부재(60)가 링체(50)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아부재(60)의 내측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탈수통(40)의 내측면이 일방향 래칫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탈수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경사면을 타고 바아부재(60)의 사이 사이의 배수구(42)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아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링체(50)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탈수통(40) 내주면에 총신이나 포신 등의 내면에 나사 모양으로 파 놓은 것처럼, 강선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 탈수통(40)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통(40)의 회전에 따라 탈수되면서 개구부(41)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재(70)는 원통체(46)의 일단부 둘레부, 즉, 탈수통(40)의 개구부(41)측 외관 둘레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그 중앙부 둘레부에는 상기 제1관통공(5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72)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80)은 원통체(46)의 타측단을 커버함과 동시에 회전축(30)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30)에 끼움결합되도록 결합공(87)이 형성된 보스(86)가 마련되고, 중앙부 둘레부에는 하우징(20)의 투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통(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84)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80) 외곽 둘레부에는 상기 제1관통공(42) 및 제2관통공(72)과 대응되는 위치 제3관통공(8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90)은 상기 링체(52)와 테두리부재(60) 및 커버판(80)을 연결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관통공(52)과 제2관통공(62) 및 제3관통공(82)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볼트축(92)과, 이 볼트축(92)에 나사결합되어 링체(50)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시켜 이 링체(50)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테두리부재(60)와 커버판(80)의 외측면에 각각 가압밀착시켜 원통체(46)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9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축(92)은 탈수통(40)의 개구부(41) 방향쪽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이 연장부(93)에는 탈수통(40)의 개구부(41)를 측방향에서 가릴 수 있도록이격판(48)이 너트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있어, 탈수시 탈수통(4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이격판(48)에 의해 측방향으로 배출되지 않고, 접촉되어 하우징(20)의 배출구(24)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0)의 둘레부에는 중공축(100)이 고정설치된다. 이 중공축(100)은 탈수통(40) 내부로 연장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단부가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회전축(30)에 결합된 베어링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0)의 둘레부에는 탈수통(40) 내부로 유입되어 탈수되는 슬러지를 탈수통(40)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안내날개(112)가 마련된다. 이 이송안내날개(112)는 중공축(100)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그 단부가 탈수통(40)의 내벽면에 인접되면서 탈수통(40)의 개구부(41)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따라서, 탈수통(40)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통(40)의 회전에 따라 그 원심력에 의해 탈수되면서, 상기 이송안내날개(112)에 의해 탈수통(40)의 개구부(41) 방향으로 이송되어 하우징(2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탈수통(40)은 바아부재(60)와 링체(5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링체(50)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56)을 형성하고, 이 끼움홈(56)에 바아부재(60)를 축방향으로 끼움결합하여 원통체(46)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원통체(46)의 양단에 테두리부재(70)와 커버판(80)을 배치시켜, 상기 링체(50)와 테두리부재(70) 및 커버판(80)을 체결수단(90)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 고정시키기만 제작완료 된다.
따라서, 상기 탈수통(40)은 링체(50)의 끼움홈(56)에 다수개의 바아부재(60)를 축방향으로 끼움결합하여 원통체(46)를 형성한 다음, 이 원통체(46)의 양단에 테두리부재(70) 및 커버판(80)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링체(50)와 테두리부재(70) 및 커버판(80)을 볼트(92)와 너트(96)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위치고정하면 제작완료 되고, 이송안내날개(112)가 별도의 중공축(10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링체의 내주면을 따라 바아부재를 일일이 용접부착하고,나선형 이송블레이드도 용접부착하는 것에 비해,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코스트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통(40)은 바아부재(60)를 경사지도록 링체(50)에 끼움결합시켜 체결수단(90)에 의해 고정하게 구비되므로, 종래와 같이 탈수통을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하는 것에 비해,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탈수통을 고속회전시킬 수 있어 탈수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슬러지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미설명 번호 28, 29는 하우징(20) 내부 일측에 탈수통(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필요시, 고압의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탈수통(40)을 세척하거나 배수구(42)에 끼인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된 에어분사노즐 및 물분사노즐이고, 번호 23은 하우징(2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우징(20) 전후면에 형성된 투시창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탈수통은 링체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바아부재를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개구되며 입구쪽 단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끼움홈을 소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끼움홈에 바아부재 축방향으로 끼움결합하여 원통체를 다음, 이 원통체의 양단부에 테두리부재 및 커버판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링체와 테주리부재 커버판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면 간편하게 제작완료 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코스트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탈수통은 바아부재를 링체에 끼움결합시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탈수통을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하는 것에 비해,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탈수통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탈수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슬러지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Claims (3)
- 베이스프레임(10)과, 이 베이스프레임(10)에 수평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되어 구동모터(36)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축(30)에 고정설치되는 탈수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40)은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내측 둘레부에는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56)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이 끼움홈(56)의 입구(55)쪽 단부에는 끼움홈(56)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54)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체(50)와, 이 링체(5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끼움홈(56)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원통체(46)를 이루도록 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4)에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6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 다수개의 바아부재(60)와, 상기 원통체(46)의 일단부 둘레부에 배치되는 테두리부재(70)와, 상기 원통체(46)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이 원통체(46)를 회전축(30)에 연결 고정시키도록 하며 중앙부 둘레부에는 상기 투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84)가 형성되는 측면판(80)과, 상기 상기 링체(50)와, 테두리부재(70) 및 측면판(80)을 연결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부재(60)는 링체(50)에 사선 또는 나선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의 둘레부에는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탈수통(40) 내부로 연장된 중공축(100)이 구비되고, 이 중공축(100)의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단부가 탈수통(40)의 내벽면에 인접되면서 탈수통(40)의 개구부(41) 방향으로 경사 또는 만곡되어 탈수통(40)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를 탈수통(40)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이송 안내하는 이송안내날개(112)가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9521U KR200354089Y1 (ko) | 2004-04-07 | 2004-04-07 |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9521U KR200354089Y1 (ko) | 2004-04-07 | 2004-04-07 |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4089Y1 true KR200354089Y1 (ko) | 2004-06-23 |
Family
ID=4934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9521U KR200354089Y1 (ko) | 2004-04-07 | 2004-04-07 |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408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727A (ko) | 2014-10-23 | 2016-05-03 | 김봉개 | 원심력을 이용한 함수슬러지 탈수장치 |
-
2004
- 2004-04-07 KR KR20-2004-0009521U patent/KR20035408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727A (ko) | 2014-10-23 | 2016-05-03 | 김봉개 | 원심력을 이용한 함수슬러지 탈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5200B1 (ko) | 고액분리기 | |
US5380436A (en) | Solid-liquid separator | |
CN204866694U (zh) | 旋转扰流搅拌型清洗机 | |
CN206051828U (zh) | 一种内螺旋污泥除水设备 | |
CN210013042U (zh) | 一种纸浆过滤脱水装置 | |
CN102145235A (zh) | 一种具有两级排污口的滤网自清洗型过滤器 | |
CN210885758U (zh) | 新型叠螺式污泥脱水机 | |
CN102145236B (zh) | 一种滤网二级自清洗型过滤器 | |
CN215538971U (zh) | 一种可移动的采油污水处理装置 | |
KR200427292Y1 (ko) |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
KR200354089Y1 (ko) |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
CA2941386C (en) | Rotary fan press with auger | |
CN211620331U (zh) | 一种节能环保污泥脱水装置 | |
CN201940107U (zh) | 一种具有两级排污口的滤网自清洗型过滤器 | |
KR100781315B1 (ko) |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 |
CN212051070U (zh) | 一种叠螺式污泥脱水机 | |
CN215200917U (zh) | 复合式刮板排屑机 | |
CN205268094U (zh) | 过滤装置及具有其的洗碗机 | |
CN103394483B (zh) | 活性碳自动洗涤除尘装置 | |
JP3456603B2 (ja) | 脱水機 | |
CN201940108U (zh) | 一种滤网二级自清洗型过滤器 | |
CN206889270U (zh) | 一种防淤泥污水处理用水泵 | |
CN211216451U (zh) | 一种水溶肥料的生产用搅拌装置 | |
CN217459187U (zh) | 一种免于手动清洗的污泥脱水机 | |
KR200201220Y1 (ko) | 스크류프레스가 부설된 탈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