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292Y1 -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292Y1
KR200427292Y1 KR2020060018107U KR20060018107U KR200427292Y1 KR 200427292 Y1 KR200427292 Y1 KR 200427292Y1 KR 2020060018107 U KR2020060018107 U KR 2020060018107U KR 20060018107 U KR20060018107 U KR 20060018107U KR 200427292 Y1 KR200427292 Y1 KR 200427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ing body
centrifugal force
dehydration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일
Original Assignee
우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일 filed Critical 우영일
Priority to KR2020060018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2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8Rotary bowls formed or coated with sieving or filter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의 배출속도를 늦쳐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되며 일단부 하측에는 슬러지배출구(240)가 형성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제1모터(500)에 의해 회전되며, 양단부에는 슬러지투입구(397)와 배출구(361)가 형성되고, 둘레벽에는 배수구(350)가 형성되되 내벽면에는 회전에 따라 슬러지가 배출구(361)측으로 이송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사선방향 또는 나선방향의 이송홈(340)이 다수 형성된 탈수통(300)과; 상기 탈수통(3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제2모터(550)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탈수통(300)보다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되어 슬러지가 배출구(361)측으로 천천히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스크류(400)로; 구성되며,
상기 탈수통(300)은 수평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으로 배치되며 내측 둘레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312)이 다수 형성되되 이 끼움홈(312)의 입구측 내벽면에는 끼움홈(312) 내측으로 돌출되게 걸림돌기(314)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체(310)와; 상기 링체(310)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구(350)가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홈(312)에 나선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원통체(320)를 이루도록 하며,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14)에 맞물리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33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내측면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334)가 마련되어 상기 이송홈(34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바아부재(330)와; 상기 링체(310)의 일단부로 돌출된 바아부재(330)의 단부에 배치되는 테두리링체(360)와; 상기 링체(310)의 타단부로 돌출된 바아부재(330)의 단부와 상기 테두리링체(36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외측면 중앙에는 지지축(399)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한 쌍의 좌우측면판(390,395)과; 상기 링체(310)와, 테두리링체(360) 및 좌우측면판(390,395)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37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아부재(330)의 단부에 배치되는 우측면판(395)의 지지축(399)에는 상기 슬러지투입구(397)가 우측면판(395)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원심력, 슬러지, 탈수, 이송스크류, 탈수통

Description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a centrifugal force type sludge dehydra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상기 탈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탈수장치의 탈수통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탈수통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지프레임 120. 지지베어링
200. 하우징 220. 슬러지배출구
260. 배수공 300. 탈수통
310. 링체 330. 바아부재
360. 테두리링체 390. 좌측면판
395. 우측면판 392. 슬러지투입구
400. 이송스크류
본 고안은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가 천천히 배출되도록 하여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탈수장치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탈수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슬러지의 부피를 줄이고, 슬러지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이고,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슬러지 탈수장치는 탈수방식에 따라 다수개로 분류되는데, 이 중 최근들어 연속작업이 가능한 원심력식 탈수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일례로, 탈수통을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제작하여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탈수효과가 우수한 슬러지 탈수장치가 등록실용신안 제20-0354089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 슬러지 탈수장치의 탈수통은 다수의 바아부재로 원통형상으로 제작하되 바아부재가 사선 또는 나선방향으로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탈수통의 일단부로 슬러지를 투입하여 회전시키면 수분은 바아부재 사이를 통해 탈수통 외측으로 배출되고 슬러지는 탈수통의 타단부로 배출되도록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는 탈수통의 회전속도에 비 례하게 슬러지도 탈수통의 외측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이 완전히 탈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러지의 배출속도를 늦쳐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평으로 배치되며 일단부 하측에는 슬러지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양단부에는 슬러지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둘레벽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되 내벽면에는 회전에 따라 슬러지가 배출구측으로 이송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사선방향 또는 나선방향의 이송홈이 다수 형성된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탈수통보다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되어 슬러지가 배출구측으로 천천히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탈수통은 수평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으로 배치되며 내측 둘레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측으로 개구 된 끼움홈이 다수 형성되되 이 끼움홈의 입구측 내벽면에는 끼움홈 내측으로 돌출되게 걸림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체와; 상기 링체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홈에 나선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원통체를 이루도록 하며,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맞물리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내측면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이송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바아부재와; 상기 링체의 일단부로 돌출된 바아부재의 단부에 배치되는 테두리링체와; 상기 링체의 타단부로 돌출된 바아부재의 단부와 상기 테두리링체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외측면 중앙에는 지지축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한 쌍의 좌우측면판과; 상기 링체와, 테두리링체 및 좌우측면판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아부재의 단부에 배치되는 우측면판의 지지축에는 상기 슬러지투입구가 우측면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통체 내측의 우측면판과 인접된 위치에는 다수의 지지바아에 의해 우측면판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판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좌측면판과 이 좌측면판의 지지축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2는 상기 탈수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탈수장치의 탈수통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상기 탈수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수평설치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 고정설치되는 탈수통(300)과, 상기 탈수통(3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 고정설치되는 이송스크류(4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100)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양측면 중앙에는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20) 외측의 지지프레임(100)에는 지지베어링(120)이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후술할 탈수통(300)의 양단이 상기 관통공(2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베어링(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의 일단부 저면에는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구(240)와 슬러지에서 탈수된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공(260)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의 저면은 상기 배수공(260)측으로 기울게 형성되어 슬러지에서 탈수된 수분이 배수공(26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40) 하측에는 배출되는 슬러지를 탈수장치의 일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경사판(245)이 구비된다.
상기 탈수통(300)은 하우징(200)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탈수하는 것으로, 다수의 링체(310)와 다수의 바아부재(330), 테두리링체(360), 좌우측면판(390,395) 및 상기 링체(310)와 테두리링체(330), 좌우측면판(390,395)을 위치 고정시키는 체결수단(370)을 이용하여 원통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링체(310)는 다수의 바아부재(330)를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으로 다수 배치되며 내측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3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12)에 바아부재(330)를 링체(3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끼움결합하여 원통체(320)를 이룰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312)의 입구측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돌기(314)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312)에 결합되는 바아부재(330)가 상기 걸림돌기(314)에 걸려져 바아부재(330)가 링체(310)의 내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체(310)의 둘레부 중앙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적간격으로 제1결합공(316)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공(316)에 후술할 체결수단(370)을 체결하여 링체(310)를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아부재(330)는 일측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께가 두꺼운 일측이 링체(3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타측이 상기 끼움홈(312)에 각각 축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원통체(320)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바아부재(330) 사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미세틈, 즉, 배수구(350)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바아부재(330)의 타측 양측면에는 즉, 상기 끼움홈(312)에 결합되는 부위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14)가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33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아부재(330)를 링체(310)의 끼움홈(312)에 축방향으로 끼움결합하면, 이 끼움홈(312)의 걸림돌기(314)가 바아부재(330)의 타측 걸림홈(332)에 삽입되어 바아부재(330)가 링체(310)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아부재(330)는 양측의 링체(310)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내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부(334)가 마련되어 탈수통(300) 내주면에 일방향 래칫기어 형태의 이송홈(340)이 형성되도록 하며, 탈수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경사부(334)를 타고 바아부재(330) 사이 사이의 배수구(350)를 통해 탈수통(300)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아부재(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링체(310)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되지 않고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탈수통(3000) 내주면에 즉, 상기 이송홈(340)이 총신이나 포신 등의 내면에 나사 모양으로 파 놓은 것처럼, 강선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 탈수통(300)의 일측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통(300)의 회전에 따라 탈수되면서 탈수통(300)의 타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링체(360)는 상기 바아부재(330)의 일단부 즉, 좌측단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둘레부 중앙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공(3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366)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링체(360)의 일측면에는 상기 바아부재(44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안착홈(36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에 위치되는 링체(310)와 상기 테두리링체(360) 사이로 배출구(361)이 형성되게 되며, 탈수통(300)을 회전시켜 슬러지를 탈수시키면 탈수통(300)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되면서 상기 배출구(361)를 통해서 슬러지지배출구(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좌우측면판(390,395)는 상기 테두리링체(36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와, 상기 바아부재(330)의 타단부 즉, 우측단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외측면 중앙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지지축(399)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면판(395)의 내벽면 둘레부에는 상기 테두리링체(360)의 안착홈(368)과 마찬가지로 바아부재(330)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안착홈(39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면판(390,395)의 외곽 둘레부에는 상기 제1,2결합공(316,366)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결합공(39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370)은 상기 링체(310)와 테두리링체(330) 및 좌우측면판(390,395)을 위치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2,3결합공(316,366,391)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축(372)과, 상기 볼트축(372)에 결합되되 링체(310)와 테두리링체(300) 및 좌우측면판(390,395) 내외측면에 가압되도록 체결되는 너트(37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370)에 의해 바아부재(330)가 결합된 링체(310)와, 테두리링체(330), 좌우측면판(390,395)를 연결 고정하여 탈수통(300)을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수통(3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축(399)이 하우징(200)의 관통공(220)을 통해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된 지지베어링(1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우측면판(395)에 고정된 지지축(399)에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제1모터(500)가 연결되어 탈수통(30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우측면판(395)측 지지축(399) 내부에는 탈수통(300) 내부로 연통되도록 슬러지투입구(397)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판(390)측 지지축(399) 내부에는 탈수통(300) 내부로 연통되게 결합공(398)이 형성되어 이 결합공(398)을 통해 후술할 이송스크류(400)가 관통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우측면판(395)의 내측면 둘레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지바아(610)가 탈수통(300) 내측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돌출되게 고정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아(610)의 단부에는 디스크형태의 지지판(630)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이송스크류(400)는 탈수통(3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슬러지투입구(397)로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통(300)의 회전에 따라 배출구(361)측으로 신속히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63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공(398)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류(400)의 타단부에는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제2모터(550)에 의해 회전되되 탈수통(300)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 게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이송스크류(400)는 탈수통(300)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배출구(361)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아니고 슬러지투입구(397)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며, 상기 이송스크류(400)의 회전속도는 탈수통(300)의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회전되어 슬러지가 배출구(361)측으로 신속히 이송되지 않고 천천히 이송되도록 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미설명 번호 10, 20은 하우징(200) 내부 일측에 탈수통(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필요시, 고압의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탈수통(300)을 세척하거나 배수구(350)에 끼인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된 에어분사노즐 및 물분사노즐이고, 번호 30은 하우징(20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 전후면에 형성된 투시창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슬러지투입구(397)로 슬러지를 탈수통(300) 내부에 투입시켜 상기 탈수통(300)을 제1모터(500)에 회전시키면 그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은 배수구(350)를 통해 하우징(200) 바닥면에 떨어지면서 하우징(200)의 배수공(260)을 통해 하우징(200) 외측으로 배출되며 슬러지는 탈수되면서 이송홈(340)에 의해 탈수통(300)의 배출구(361)측으로 이송되어 배출구(361)를 통해 하우징(200)의 슬러지배출구(24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탈수통(300) 내부에는 탈수통(300)의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게 회전되어 슬러지 슬러지투입구(397)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00)가 구비되므로, 슬러지가 신속하게 배출되지 않고 천천히 배출되도록 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는 탈수통 내부에 슬러지를 슬러지투입구측으로 이송시키되 탈수통의 회전속도다 느리게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를 구비하여 슬러지의 배출속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슬러지를 신속히 배출시키는 것에 비해, 슬러지가 천천히 배출되어 탈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수평으로 배치되며 일단부 하측에는 슬러지배출구(240)가 형성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제1모터(500)에 의해 회전되며, 양단부에는 슬러지투입구(397)와 배출구(361)가 형성되고, 둘레벽에는 배수구(350)가 형성되되 내벽면에는 회전에 따라 슬러지가 배출구(361)측으로 이송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사선방향 또는 나선방향의 이송홈(340)이 다수 형성된 탈수통(300)과;
    상기 탈수통(3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제2모터(550)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탈수통(300)보다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되어 슬러지가 배출구(361)측으로 천천히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스크류(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300)은
    수평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으로 배치되며 내측 둘레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측으로 개구된 끼움홈(312)이 다수 형성되되 이 끼움홈(312)의 입구측 내벽면에는 끼움홈(312) 내측으로 돌출되게 걸림돌기(314)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체(310)와;
    상기 링체(310)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구(350)가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홈(312)에 나선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원통체(320)를 이루도록 하며,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14)에 맞물리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33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내측면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334)가 마련되어 상기 이송홈(34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바아부재(330)와;
    상기 링체(310)의 일단부로 돌출된 바아부재(330)의 단부에 배치되는 테두리링체(360)와;
    상기 링체(310)의 타단부로 돌출된 바아부재(330)의 단부와 상기 테두리링체(36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외측면 중앙에는 지지축(399)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한 쌍의 좌우측면판(390,395)과;
    상기 링체(310)와, 테두리링체(360) 및 좌우측면판(390,395)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37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아부재(330)의 단부에 배치되는 우측면판(395)의 지지축(399)에는 상기 슬러지투입구(397)가 우측면판(395)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320) 내측의 우측면판(395)과 인접된 위치에는 다수의 지지바아(610)에 의해 우측면판(395)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판(630) 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좌측면판(390)과 이 좌측면판(390)의 지지축(399)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398)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400)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63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공(398)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KR2020060018107U 2006-07-04 2006-07-04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KR200427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07U KR200427292Y1 (ko) 2006-07-04 2006-07-04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07U KR200427292Y1 (ko) 2006-07-04 2006-07-04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292Y1 true KR200427292Y1 (ko) 2006-09-22

Family

ID=4177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107U KR200427292Y1 (ko) 2006-07-04 2006-07-04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29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540B1 (ko) 2008-03-31 2008-10-15 금용섭 탈수장치
KR20160047727A (ko) 2014-10-23 2016-05-03 김봉개 원심력을 이용한 함수슬러지 탈수장치
KR102054770B1 (ko) * 2019-09-10 2019-12-11 배명호 드라이아이스 세정기
KR102145039B1 (ko) * 2020-02-26 2020-08-18 주식회사 우성테크 디스크타입 스크린 탈수장치
CN117138454A (zh) * 2023-10-31 2023-12-01 湖南省水运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水运工程水资源调查过滤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540B1 (ko) 2008-03-31 2008-10-15 금용섭 탈수장치
KR20160047727A (ko) 2014-10-23 2016-05-03 김봉개 원심력을 이용한 함수슬러지 탈수장치
KR102054770B1 (ko) * 2019-09-10 2019-12-11 배명호 드라이아이스 세정기
KR102145039B1 (ko) * 2020-02-26 2020-08-18 주식회사 우성테크 디스크타입 스크린 탈수장치
CN117138454A (zh) * 2023-10-31 2023-12-01 湖南省水运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水运工程水资源调查过滤装置
CN117138454B (zh) * 2023-10-31 2024-02-02 湖南省水运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水运工程水资源调查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292Y1 (ko)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US20050193902A1 (en) Solid-liquid separator
TWI291457B (en) Water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promoting cleaning effect of filtration membrane
US20110099833A1 (en) Radial rotary dryer
KR101183555B1 (ko)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CN103946165A (zh) 脱水装置
KR101302269B1 (ko) 하이드로싸이클론 농축장치
KR20180070048A (ko) 하수 슬러지 탈수장치
CN215538971U (zh) 一种可移动的采油污水处理装置
KR101254766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115259465B (zh) 一种多滤筒单元圆形转盘式脱水机
KR200353564Y1 (ko) 폐수 슬러지 농축장치
CN202724817U (zh) 吸盘式反冲洗装置
KR200354089Y1 (ko)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JPH05208300A (ja) スクリュウ式脱水機
CN210302697U (zh) 一种选煤厂回用水脱泥排渣装置
KR101867778B1 (ko) 침전지
CN208928713U (zh) 一种药材清洗装置
CN1165882A (zh) 洗衣机的中央水流喷射装置
KR100271193B1 (ko) 슬러지 정화장치(sludge purification apparatus)
CN205461360U (zh) 一种复式白水过滤机
CN212187911U (zh) 沉砂池
CN215480467U (zh) 一种带有高压冲洗功能的污泥浓缩装置
RU2748629C1 (ru) Барабанно-винтовой агрегат для гранулирования техноге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их обработки
KR102412210B1 (ko)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