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984A -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 Google Patents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984A
KR20210115984A KR1020200032531A KR20200032531A KR20210115984A KR 20210115984 A KR20210115984 A KR 20210115984A KR 1020200032531 A KR1020200032531 A KR 1020200032531A KR 20200032531 A KR20200032531 A KR 20200032531A KR 20210115984 A KR20210115984 A KR 20210115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aw water
bucket
side panel
drum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057B1 (ko
Inventor
조종일
Original Assignee
조종일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일,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종일
Priority to KR102020003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57B1/ko
Priority to PCT/KR2020/009516 priority patent/WO2021187680A1/ko
Publication of KR20210115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회전체와 드럼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드럼스크린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로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공급하는 주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원수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킴으로써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여 배출한다.

Description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POWERLESS CYLINDRICAL }
본 발명은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회전체와 드럼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액분리기는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장치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체와 액체가 혼합된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고액분리기는 탈수방식에 따라 원심 분리기, 경사판 분리기, 드럼 필터 분리기 등으로 구분된다.
원심 분리기는 드럼(drum) 형태의 여과통을 회전시켜 탈수하고 스크루(screw) 등을 이용하여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을 배출하는 방식이고, 경사판 분리기는 경사지게 설치된 여과스크린에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통과시켜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는 방식이다. 또한, 드럼 필터 분리기는 원통형의 드럼 필터 내부에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공급하고, 드럼 필터를 통해 수분이 분리된 고형분을 수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술한 고액분리기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원심 분리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여과통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추가 구성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경사판 분리기와 드럼 필터 분리기는 수분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며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탈수효율이 매우 낮으며, 여과스크린을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하므로 분리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드럼스크린 방식의 고액분리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200호(2014.07.24.)에는 개시되어 있다.
드럼스크린 방식의 고액분리기는,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드럼스크린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로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공급하는 주입관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구성의 고액분리기는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비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200호(2014.07.2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드럼스크린을 가동시킴으로써 전력 사용 없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는,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드럼스크린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로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공급하는 주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원수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킴으로써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여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버킷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킷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버킷에 담수되는 원수의 무게중심이 상기 몸체 측으로 편의되는 상광하협 형상이다. 이러한 버킷은 4개의 측면 패널과, 1개의 저면 패널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면 패널은, 상기 회전체의 후방 측에 위치된 제1측면 패널과, 상기 회전체의 전방 측에 위치된 제2측면 패널과, 상기 제1측면 패널과 제2측면 패널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제3측면 패널과 제4측면 패널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버킷은 상기 제2측면 패널과 제3측면 패널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버킷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버킷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6 ~ 8개일 수 있다.
상기 주입관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주입관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는 상기 버킷의 담수시간을 늘려 최대의 회전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평좌표축 기준 상향으로 40 ~ 50도 기울기의 사선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를 담는 버킷이 회전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원수를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체가 회전하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고, 회전체의 회전 시 버킷에서 토출된 원수는 드럼스크린으로 이송된 후 드럼스크린에서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회전체 및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액분리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토출하는 주입관의 토출구가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됨과 동시에 원수를 담는 버킷이 버킷에 담수되는 원수의 무게중심이 몸체 측으로 편의되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므로, 원수에 의한 회전체의 회전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킷을 구성하는 4개의 측면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즉 제3측면 패널이 매우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버킷에 담수된 원수에 포함된 고형분이 드럼스크린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수의 배출과정에서 몸체의 내주면에 쌓인 고형분을 드럼스크린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의 낙하에너지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되어 소진되고, 드럼스크린으로 이송되므로 고형분이 드럼스크린에 고착되어 드럼스크린이 폐색되는 것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이용하여 회전체 및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회전체 및 드럼스크린의 작동 초기에 천천히 회전하게 되므로 장치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의 정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중 회전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중 회전체의 분해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중 회전체의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중 회전체의 버킷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중 회전체의 버킷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중 회전체의 회전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는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원수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10)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200) 및 드럼스크린(300)과, 회전체(200) 및 드럼스크린(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400)와, 원수를 공급하여 회전체(200) 및 드럼스크린(300)을 회전시키는 주입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10)의 각 구성요소(100 ~ 5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주입관(500)의 설치된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10)의 우측을 일단이라 하고, 그 반대편인 좌측을 타단이라 하겠다.
프레임(100)은 다수의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120)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구조물이다. 수평부재(110)의 상부에는 회전체(200)와 드럼스크린(300)이 설치되며, 회전체(200)와 드럼스크린(300)은 서포터(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드럼스크린(300)의 둘레에는 케이스(130)가 설치되어 원수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고형분 또는 수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케이스(130)는 드럼스크린(300) 중 실질적으로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는 여과망(310)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중공의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케이스(130)의 하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하면에는 배수판(140)이 설치된다. 배수판(140)은 드럼스크린(300)의 여과망(310)을 통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케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투명창(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투명창은 케이스(130)의 내부에 설치된 드럼스크린(300)의 작동 상태 및 폐색 상태 등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체(200)와 드럼스크린(300)은 주입관(500)을 통해 공급된 원수에 의해 회전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주입관(500)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회전체(200)를 회전시키고, 회전체(200)와 결합된 드럼스크린(300)이 함께 회전하며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시킨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체(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원통 형상이다. 이러한 회전체(200)는, 중공의 몸체(210)와, 몸체(21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마련된 커버(220,230)와, 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버킷(240)으로 구성된다.
몸체(210)는 드럼스크린(300)과 동일한 직경으로 가진 원통 형상이다. 몸체(210)의 일면과 타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일면과 타면에는 커버(220,230)가 마련된다.
몸체(210)의 일면에 마련된 제1커버(220)의 중앙에는 제1관통공(222)이 형성된다. 제1커버(220)의 제1 관통공(222)에는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공급하는 주입관(500)이 삽입된다.
몸체(210)의 후면에 마련된 제2커버(230)의 중앙에는 제2관통공(232)가 형성된다. 또한, 제2커버(230)의 둘레에는 버킷(240)에 담긴 원수가 배출되는 배출공(234)이 형성된다.
버킷(240)은 주입관(500)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담수되는 부분으로서, 버킷(240)에 원수가 담수될 경우 회전체(20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200)와 결합된 드럼스크린(300)을 회전시킨다.
버킷(240)은 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로 구성된다. 각각의 버킷(240)은 유입되는 원수가 중심선(회전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평좌표축)에서 최대한 외곽으로 담수되어 회전력을 크게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40)은 버킷(240)에 담수되는 원수의 무게중심이 몸체(210) 측으로 편의되는 상광하협 형상이다. 이러한 버킷은 4개의 측면 패널(241~244)과, 1개의 저면 패널(245)로 이루어진다.
4개의 측면 패널(241~244)은 저면 패널(245)과의 접합을 위하여 하단이 절단된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측면 패널(241)은 회전체(200)의 제1커버(220) 측(도면상 후방 측)에 위치되고, 제2 측면 패널(242)는 회전체(200)의 제2커버(230) 측(도면상 전방 측)에 위치되며, 제3 측면 패널(243)과 제4측면 패널(244)는 제1측면 패널(241)과 제2측면 패널(242)의 양측(도면상 우측과 좌측)에 각각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측면 패널(241)과 제2측면 패널(242)는 대략 삼각형상이되, 회전체(200)의 몸체(210)에 접합되는 한 변은 곡선으로 형성된다.
제3측면 패널(243)의 양 변은 제1측면 패널(241)과 제2측면 패널(242)의 우측 변에 접합된다. 이때, 제3측면 패널(243)이 매우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버킷(240)에 담수된 원수에 포함된 고형분이 드럼스크린(300)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수의 배출과정에서 몸체(210)의 내주면에 쌓인 고형분을 드럼스크린(300)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도 10 참조).
제4측면 패널(244)는 회전체(200)의 몸체(210)로서, 곡선으로 형성된 제1측면 패널(241)과 제2측면 패널(242)의 좌측 변이 접합된다.
저면 패널(245)은 4개의 측면 패널(241~244)과 접합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버킷(240)은 상광하협 형상을 갖되 원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이 원수가 주입되는 주입측보다 높게 위치된다. 즉, 원수가 배출되는 제2측면 패널(242)의 상단(247, 이하 '배출선'이라 함)이 원수가 주입되는 제3측면 패널(243)의 상단(246, 이하 '주입선'이라 함)이 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버킷(240)의 배출선(247)이 주입선(246)보다 높게 위치될 경우 버킷(240)에 저장할 수 있는 원수의 양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버킷(240)에 저장된 원주에 의한 회전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2측면 패널(242)과 제3측면 패널(243)의 상단에는 보강 패널(248)이 접합된다. 보강 패널(248)은 버킷(24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킷(240)이 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 8개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입관(50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양에 따라 6 ~ 8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회전체(200)의 일단에는 주입관(500)이 관통되는 회전 가이드(도 1의 250)가 구비된다. 회전 가이드(250)는 제1서포트(410)와 접촉되어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240)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 버킷(240)이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상(이때, 회전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즉 본 실시예와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드럼스크린(300)은 주입관(500)을 통해 공급된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는 원통(drum) 형태의 여과스크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스크린(300)은,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는 여과망(310)과, 여과망(310)의 타단에 마련된 라이너(320)로 구성된다.
여과망(310)은 주입관(500)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여과망(310)은 드럼스크린(30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 다수의 여과봉(312)으로 구성된다. 여과봉(312)은 드럼스크린(30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이며, 인접한 한 쌍의 여과봉(312) 사이에는 탈수 슬롯(314)이 형성된다.
드럼스크린(300)의 회전 시 원수에 포함된 수분은 탈수 슬롯(314)을 통해 분리된 후 배수판(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여과망(310)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배플(316,baffle)이 설치된다. 베플(316)은 여과망(310)을 통해 수분이 분리된 고형분을 배출구(322)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라이너(320)는 여과망(310)의 타단과 연결된 원통 형상이다. 라이너(320)의 타단에는 수분이 분리된 고형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2)가 형성된다. 또한, 라이너(320)의 외주면에는 제2서포터(420)와 접촉되는 가이드 레일(324)이 마련된다.
서포터(400)는 회전체(200) 및 드럼스크린(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서포트(410)와, 드럼스크린(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서포트(420)로 구성된다.
제1서포트(410)는 회전 가이드(412)에 접촉되어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서포트(420)는, 가이드 레일(324)에 접촉되어 드럼스크린(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롤러(422,4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서포트 롤러(422,424)는, 평상시 가이드 레일(324)에 접촉되는 메인 롤러(422)와, 메인 롤러(422)의 고장 등 이상 발생 시 가이드 레일(324)에 접촉되는 서브 롤러(424)로 구성된다.
주입관(500)은 회전체(200)의 내부로 원수, 즉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주입관(50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이며, 회전 가이드(412)를 관통하여 회전체(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회전체(200)의 내부로 삽입된 주입관(500)의 단부에는 토출구(5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주입관(500)은 회전체(2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토출구(510)는 주입관(500)의 선단에서 회전체(20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토출구(510)는 버킷(240)의 담수시간을 늘려 최대의 회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회전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평좌표축 기준 상향으로 45도 기울기의 사선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토출구(510)를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할 경우 원수에 의한 회전체(200)의 회전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구(510)가 회전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평좌표축 기준 상향으로 45도 기울기의 사선방향을 향하도록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평좌표축 기준 상향으로 40 ~ 50도 기울기의 사선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200)의 회전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체(200)의 내부에는 8개의 버킷(240)이 구비된다. 또한, 주입관(500)의 토출구(510)는 회전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좌표축에 의해 구획된 사분면 중 제2사분면 상에 위치되고 회전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45도 기울기의 사선방향을 갖는다. 이때, 회전체(200)의 회전과정을 좀 더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8개의 버킷(240) 중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버킷(240a,240b)만을 도시하였다.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는 주입관(500)을 따라 공급되어 토출구(510)를 통해 회전체(200)로 토출되고, 버킷(240a,240b)에 담겨 회전체(200)를 회전시킨 후 배출공(도 6의 234)을 통해 드럼스크린(도 1의 300)으로 배출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킷(240a)의 주입선(246a)이 수평좌표축(X) 기준 시계방향 23도(즉 -23도)에 위치될 경우 토출구(510)에서 토출된 원수가 제1버킷(240a)에 담수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1버킷(240a)과 인접하게 위치된 제2버킷(240b)에 담수된 원수는 회전체(20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제1버킷(240a)과 제2버킷(240b)의 원수는 회전체(200)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액분리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드럼스크린(300)은 회전체(200)와 함께 회전하며 회전체(200)에서 배출된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시킨다.
도 10의 (b) 내지 (d)는 회전체(200)가 버킷(240a,240b)에 담수된 원수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 과정에서, 제1버킷(240a)에는 토출구(510)에서 토출된 원수가 담수되고, 제2버킷(240b)에 담수된 원수는 드럼스크린(300)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원수의 배출과정에서 몸체(210)의 내주면에 쌓인 고형분(S)은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2버킷(240b)의 제3측면 패널(243b)에 의해 밀려 드럼스크린(300) 측으로 배출된다.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0)가 더 회전하여 제1버킷(240a)의 주입선(246a)이 수평좌표축(X)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33도(총 56도 회전)에 위치되면, 제1버킷(240a)에 담긴 원수가 드럼스크린(300) 측으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도 10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담긴 제1버킷(240a)은 회전체(200)가 더 회전하여 제1버킷(240a)의 주입선(246a)이 수평좌표축(X)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113도에 위치되면 완전히 비워진다.
이와 같이, 제1버킷(240a)에 담긴 원수의 낙하에너지가 회전체(20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되어 소진된 후 제1버킷(240a)의 주입선(246a)이 수평좌표축(X)보다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배출되므로, 고형분이 드럼스크린(300)에 고착되어 드럼스크린(300)이 폐색되는 것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버킷(240a,240b)에서 배출된 원수는 배출공(도 4의 234)을 통해 배출되어 드럼스크린(도 1의 300)으로 이송된다.
드럼스크린(300)으로 이송된 원수는 회전체(200)와 함께 회전하는 드럼스크린(300)의 여과망(도 1의 310)을 통해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되고, 수분은 탈수 슬롯(도 1의 314)을 통해 배수판(140)으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고형분은 배플(316)에 의해 배출구(322) 측으로 이송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버킷(240a)의 주입선(246a)이 수평좌표축(X)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23도(즉 -23도)에 위치될 경우 제1버킷(240a)에 원수가 담수되기 시작하고, 제1버킷(240a)의 주입선(246a)이 수평좌표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33도에 위치될 경우 제1버킷(240a)에 담긴 원수가 배출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버킷(240a)에 원수가 담수되기기 시작하는 각도는 토출구(510)의 각도(방향) 및 회전체(200)의 내부에 마련된 버킷(240)의 개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100: 프레임
200: 회전체 300: 드럼스크린
400: 서포터 500: 주입관

Claims (13)

  1. 다수의 여과봉 사이에 탈수 슬롯이 형성된 드럼스크린;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내부로 고형분과 수분이 혼합된 원수를 공급하는 주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원수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킴으로써 원수를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드럼스크린의 일단에 마련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버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버킷에 담수되는 원수의 무게중심이 상기 몸체 측으로 편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버킷에 원수가 담수될 경우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버킷의 위치에너지가 최소인 지점에서 원수가 배출되어, 원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버킷의 위치에너지가 최대인 지점에서 원수가 담수되고, 상기 버킷의 위치에너지가 최소인 지점에서 원수가 배출되어, 원수에 포함된 고형분이 상기 드럼스크린에 고착되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상기 버킷에 담수되는 원수의 무게중심이 상기 몸체 측으로 편의되는 상광하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4개의 측면 패널과, 1개의 저면 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은, 상기 회전체의 후방 측에 위치된 제1측면 패널과, 상기 회전체의 전방 측에 위치된 제2측면 패널과, 상기 제1측면 패널과 제2측면 패널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제3측면 패널과 제4측면 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 중 상기 몸체와 접촉되는 한 변, 그리고 상기 제2 측면 패널 중 상기 몸체와 접촉되는 한 변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과 제3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상기 버킷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패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6 ~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주입관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평좌표축 기준 상향으로 40 ~ 50도 기울기의 사선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KR1020200032531A 2020-03-17 2020-03-17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KR10236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531A KR102362057B1 (ko) 2020-03-17 2020-03-17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PCT/KR2020/009516 WO2021187680A1 (ko) 2020-03-17 2020-07-20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531A KR102362057B1 (ko) 2020-03-17 2020-03-17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84A true KR20210115984A (ko) 2021-09-27
KR102362057B1 KR102362057B1 (ko) 2022-02-15

Family

ID=7776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531A KR102362057B1 (ko) 2020-03-17 2020-03-17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2057B1 (ko)
WO (1) WO202118768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60Y1 (ko) * 1995-07-14 1998-08-01 최창락 무전력 탈리액 여과장치
KR20100099866A (ko) * 2009-03-04 2010-09-15 (주)소하테크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KR20110123387A (ko)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레인보우 여과기
KR101425200B1 (ko) 2013-01-23 2014-08-01 주식회사 지티 고액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741B1 (ko) * 2012-06-08 2013-01-31 주식회사 이앤에프 고액분리기용 드럼스크린을 갖춘 오니농축장치
KR20180112452A (ko) * 2017-04-04 2018-10-12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소독약품 공급 장치
KR101972310B1 (ko) * 2017-07-10 2019-08-16 박현석 탈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60Y1 (ko) * 1995-07-14 1998-08-01 최창락 무전력 탈리액 여과장치
KR20100099866A (ko) * 2009-03-04 2010-09-15 (주)소하테크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KR20110123387A (ko)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레인보우 여과기
KR101425200B1 (ko) 2013-01-23 2014-08-01 주식회사 지티 고액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057B1 (ko) 2022-02-15
WO2021187680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6830A (zh) 废水系统的砂砾收集器
KR102362057B1 (ko) 무전력 원통형 고액분리기
CN101745256A (zh) 机械加速澄清池
KR20220034063A (ko)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CN213477007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的清淤装置
CN205887142U (zh) 一种混凝土砂石分离机
NO157406B (no) Roterbart filter.
KR10130938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KR102644074B1 (ko)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CN208898726U (zh) 一种高效型土块污泥固液分离装置
FI74496B (fi) Massafinfoerdelare.
KR20090093772A (ko) 하수 종합 전처리장치
KR100729952B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용 여과 스크린
KR101889663B1 (ko) 슬러지 채널링 방지가 가능한 원형슬러지 농축조
KR20110010271A (ko) 고액 분리기
US20130001151A1 (en) Pressure filter
CN215161532U (zh) 一种地下管网污水处理装置
CN207276469U (zh) 一种带双筛除桶的污泥浓缩机
CN208748427U (zh) 一种纸浆污水处理及纸浆纤维回收利用的装置
CN208641876U (zh) 精制棉污水处理沉淀装置
CN208031966U (zh) 一种用于生物药剂加工的萃取机
JP6920929B2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システム
CN109970142A (zh) 一种处理养殖废水渣液的设备
CN201249070Y (zh) 用于从泥浆中分离液相物的设备
CN105347647B (zh) 污泥除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