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814B1 - 매체환류장치 - Google Patents

매체환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814B1
KR101424814B1 KR1020080006285A KR20080006285A KR101424814B1 KR 101424814 B1 KR101424814 B1 KR 101424814B1 KR 1020080006285 A KR1020080006285 A KR 1020080006285A KR 20080006285 A KR20080006285 A KR 20080006285A KR 101424814 B1 KR101424814 B1 KR 10142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
medium
gear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376A (ko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80006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8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환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된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으로 매체(m)의 입출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을 벨트(40)를 통해 전달하여 피드롤러(46)와 픽업롤러(60)를 구동하고, 기어열을 사용하여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콘트라롤러(88)를 구동한다. 상기 콘트라롤러(88)가 설치된 콘트라축(80)의 일단부에는 제1콘트라기어(82)가 클러치베어링(83)을 개재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콘트라기어(82)는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을 매체(m)가 승강판(24)에 적층되는 경우에만 전달받아 매체(m)의 이송을 안내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매체(m)의 이송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여 매체(m)가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콘트라축(80)에는 제2콘트라기어(86)가 설치되어 클러치기어(86)와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매체이송모터(30)를 사용하여 매체환류장치에서 매체(m)의 입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매체, 자동지급, 집적, 배출, 구동원

Description

매체환류장치{Media stack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자동입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자동입출기로 전달된 매체를 적층해 두었다가 고객의 요구시 다시 배출하는 매체자동입출기의 매체환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매체환류장치의 구성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메인프레임(1)의 내부에는 매체(m)가 집적될 수 있는 공간인 매체집적부(3)가 형성된다. 상기 매체집적부(3)에는 승강플레이트(5)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상에는 매체(m)가 집적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는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매체집적부(3)내에서 승강된다. 상기 매체집적부(3)의 상부에는 매체가이드(7)가 설치된다. 상기 매체가이드(7)는 매체(m)가 상기 매체집적부(3)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프레임(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드축에 피드롤러(9)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9)는 상기 피드축이 구동원에 의해 구동됨에 의해 회전하면서 매체(m)의 이송을 수행한다. 상기 피드롤러(9)와 접해 매체(m)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안내롤러(11)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롤러(11)는 양단이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된 피드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9)와 인접하게 콘트라롤러(13)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라롤러(13)는 상기 피드롤러(9)와 협력하여 매체(m)가 한장 씩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트라롤러(13)가 설치된 콘트라축은 상기 프레임(1)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콘트라축에는 누름날개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날개부(15)는 다수개의 누름날개가 방사방향으로 상기 콘트라축에 설치된 것으로, 매체(m)가 상기 승강플레이트(5) 상에 잘 안착되도록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픽업축에는 픽업롤러(17)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17)는 상기 승강플레이트(5)상에 안착된 매체(m)를 한장씩 픽업하여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23) 사이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픽업롤러(17)가 설치되는 픽업축은 상기 피드롤러(9)를 구동하는 구동원과는 별개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환류장치에서는 고객이 투입한 매체(m)가 전달되어 상기 피드롤러(9)와 안내롤러(11)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콘트라롤러(13)와 누름날개부(15)에 의해 매체(m)가 상기 승강플레이트(5)상에 안착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 상에 안착되어 있던 매체(m)는 상기 픽업롤러(17)를 사용하여 한장씩 픽업되어 상기 피드롤러(9)의 구동에 의해 다시 이송되어 고객에 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매체환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피드롤러(9)와 픽업롤러(17)의 구동을 위해 별개의 구동원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매체환류장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구동원이 사용되므로 매체환류장치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매체집적부(3)에 매체(m)를 집적했다가 고객의 요청시 동일 경로를 통해 역방향으로 매체(m)를 이송시켜 방출한다. 따라서, 매체(m)가 매체집적부(3)로 들어올 때는 상기 픽업롤러(17)가 매체(m)의 이동을 방해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픽업롤러(17)가 매체(m)의 이동경로에 접근하고 후퇴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기구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매체환류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동원으로 매체를 집적하고 방출하는 매체환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환류장치에서 동일한 기구물로 매체를 집적하고 방출함에 있어서 매체의 이송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 매체의 이송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가 적층되는 승강판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매체이송모터와,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매체의 이송을 수행하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상기 승강판에 집적된 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매체를 상기 승강판으로 집적시킬 때에는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매체의 이송을 돕고, 상기 승강판에 집적된 매체가 픽업될 때에는 정지되어 매체가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하는 콘트라롤러와,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매체의 집적 시에는 상기 피드롤러와 픽업롤러와 콘트라롤러를 회전시키되, 상기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매체의 분리 시에는 상기 피드롤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콘트라롤러는 정지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콘트라기어와 클러치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라롤러가 설치되는 콘트라축의 양단에는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콘트라기어가 상기 클러치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설치되어 매체가 승강판으로 이송될 때에만 콘트라축이 제1콘트라기어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2콘트라기어와, 클러치기어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콘트라기어는 상기 콘트라롤러가 설치된 콘트라축에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기어축은 상기 메인프레임 측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콘트라기어는 상기 클러치기어축에 설치된 클러치기어와 맞물려 매체가 이송되는 힘에 의해 콘트라롤러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은 상기 피드롤러가 설치된 피드롤러축으로 벨트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픽업롤러가 설치된 픽업롤러축으로는 상기 피드롤러축에서 픽업롤러축으로 벨트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콘트라축으로는 기어열을 통해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상기메인프레임의 양단에는 콘트라브라켓이 힌지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콘트라브라켓의 선단에는 상기 콘트라롤러가 설치되는 콘트라축의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메인프레임을 관통하는 벨트구동축에 설치된 제1중계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벨트구동축의 일단에는 상기 피드롤러의 구동을 위한 벨트의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구동축의 타단에는 상기 콘트라롤러의 구동을 위한 기어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중계기어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라브라켓의 회전중심인 힌지기어축에는 상기 제2중계기어의 회전력을 중간기어를 통해 전달받는 힌지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기어는 상기 콘트라축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콘트라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매체환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정역회전되는 하나의 매체이송모터를 사용하여 매체의 입출을 위한 동력을 모두 제공한다. 따라서 매체환류장치에서 하나의 매체이송모터를 사용하여 매체의 입출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매체의 입출방향 이송을 위한 롤러중 콘트라롤러를 매체의 이송방향에 따라 회전되거나 정지되도록 하여, 매체를 승강판에 적층시킬 때는 콘트라롤러가 매체의 이송을 안내하고 승강판의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낼 때는 콘트라롤러가 정지하여 한 장씩만 이송되도록 하여 매체의 입출방향 이송이 모두 원활하게 되고 매체환류장치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매체환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프레임(20)이 매체환류장치의 골격을 형성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최소한 두 장의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어 구성된다. 물론,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이나 전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또 다른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내부에는 매체(m)가 집적되는 매체집적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매체집적부(22)의 내부에는 승강판(24)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판(24)의 승강을 위해 판구동모터(26)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판구동모터(26)의 구동력은 기어열(28)과 타이밍벨트(도시되지 않음)등을 통해 상기 승강판(24)으로 전달된다. 상기 승강판(24)은 그 양단이 이동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좋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일측에는 매체이송모터(30)가 설치된다. 상기 매체이송모터(30)는 매체(m)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32)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벨트구동축(34)이 설치되는데, 상기 벨트구동축(34)에는 상기 구동기어(32)와 치합되는 제1중계기어(36)가 설치된다. 상기 제1중계기어(36)는 상기 구동기어(32)를 통해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벨트구동축(34)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외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벨트구동축(34)의 일단부에는 구동풀리(38)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38)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40)가 걸어 감아지는데, 상기 타이밍벨트(40)의 타단 쪽은 종동풀리(42)에 걸어 감아진다. 상기 종동풀리(42)는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드롤러축(44)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은 상기 타이밍벨트(40)를 통해 상기 피드롤러축(44)으로 전달된다.
상기 피드롤러축(44)에는 피드롤러(46)가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46)는 상기 피드롤러축(44)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46)의 갯수는 매체(m)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피드롤러(46)는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요철형상으로 된 매체이송부(48)가 구비되고, 외주면 전체를 둘러 상기 매체이송부(48)가 구비된 궤적과 나란한 궤적을 따라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롤러(54)와 연동되는 연동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부(50)는 상기 매체이송부(48)에 비해 매끈한 표면을 가진다.
상기 피드롤러축(44)과 평행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롤러축(52)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롤러축(52)은 그 양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지지되거나, 메인프레임(20)에 설치된 다른 브라켓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축(52)에는 안내롤러(54)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롤러(54)는 상기 피드롤러(46)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m)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매체(m)의 이송에 의해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안내롤러(54)는 상기 피드롤러(46)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여러 개의 안내롤러축(5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매체집적부(22)의 상부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가이드(56)가 설치된다. 상기 적층가이드(56)는 매체(m)가 상기 승강판(24)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층가이드(56)는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양측 내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적층가이드(56)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양측의 적층가이드(56)의 사이에는 보조플레이트(58)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플레이트(58)는 두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보조프레이트(58)에는 픽업축(59)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축(59)에는 다수개의 픽업롤러(60)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60)는 상기 승강판(24)상에 적층되어 있는 매체(m)를 한 장씩 분리(픽업)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60)의 구동은 상기 피드롤러축(44)으로 전달된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피드롤러축(44)과 상기 픽업축(59)에 각각 설치된 풀리(도면부호 부여않음)에 타이밍벨트(62)가 걸어져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구동축(34)의 타단부, 즉 상기 구동풀리(38)가 설치된 반대쪽 단부에는 제2중계기어(7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중계기어(70)와 치합되게 상기 메인프레임(20)에는 중간기어(72)가 설치된다. 상기 중간기어(72)와 치합되게 힌지기어(74)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기어(74)는 힌지기어축(74')에 설치되는데, 상기 힌지기어축(74')은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기어축(74')에는 또한 콘트라브라켓(76)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서 상기 힌지기어축(74')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반대쪽, 즉 상기 힌지기어축(74')의 반대쪽 단부에도 있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기어치(78)가 구비된다. 상기 조정기어치(78)는 작업자가 공구를 끼워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을 상기 힌지기어축(74')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에는 고정장공(79)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장공(79)에는 고정나사(79')가 관통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에는 상기 힌지기어축(74')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콘트라축(80)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라축(80)은 양단이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양단에 있는 콘트라브라켓(7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라축(80)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에서 상기 콘트라축(80)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관통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0')는 상기 콘트라축(80)이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의 회전시에 상기 메인프레임(20)과 간섭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트라축(80)에는 제1콘트라기어(8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콘트라기어(82)는 상기 콘트라축(80)과의 사이에 클러치베어링(83)을 개재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베어링(83)에 의해 상기 제1콘트라기어(82)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콘트라축(80)과 함께 회전하거나 상기 콘트라축(80)에 대해 공회전하게 된다. 즉, 매체가 상기 승강판(24)으로 전달될 때는, 콘트라축(80)이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매체가 승강판(24)에서 한장 씩 분리되어 나올 때는 상기 콘트라축(80)이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도 록 한다.
상기 콘트라축(80)에는 제2콘트라기어(84)가 설치된다. 상기 제2콘트라기어(84)는 상기 콘트라축(80)과 항상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제2콘트라기어(84)와 치합되게 클러치기어(86)가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기어(86)는 상기 메인프레임(20) 또는 메인프레임(20)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기어축(86')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라축(80)이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트라축(80)이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송되는 매체(m)에 의해 임의로 공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콘트라축(80)에 설치된 아래에서 설명될 콘트라롤러(88)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트라축(80)에는 다수개의 콘트라롤러(88)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라롤러(88)는 매체가 승강판(24)으로 이동될 때는, 매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고, 매체가 승강판(24)에서 나와 배출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정지상태로 있어 상기 피드롤러(46)와의 사이에서 매체가 한 장씩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콘트라롤러(88)는 상기 콘트라축(80)이 설치된 콘트라브라켓(76)이 힌지축(74')을 중심으로 회전된 정도에 따라 상기 피드롤러(46)와의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피드롤러(46)와 콘트라롤러(88) 사이의 간격이 달라짐에 의해 매체자동입출기에서 사용되는 매체(m)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콘트라롤러(88)는 상기 피드롤러(46)와 각각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콘트라롤러(88)와 인접한 위치의 콘트라축(80)에는 누름날개부(90)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날개부(90)는 상기 콘트라축(8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판(24)에 적층되도록 매체(m)를 안내하여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날개부(90)는 상기 콘트라축(8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지 않고 일부에만 설치되어 매체가 상기 승강판(24)으로 전달될 때만 매체를 쳐서 승강판(24)에 눌러준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매체환류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매체(m)가 들어와 상기 승강판(24)에 집적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고객이 매체(m)를 매체자동입출기로 투입하면, 상기 매체(m)는 그 진위여부 판별 등 여러가지의 과정을 거쳐 매체환류장치로 전달된다. 즉, 상기 피드롤러(46)와 상기 안내롤러(54)의 사이로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피드롤러(46)는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즉, 상기 매체이송모터(3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기어(32)에 의해 상기 제1중계기어(36)가 회전된다. 상기 제1중계기어(3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구동축(34)이 회전하여 상기 타이밍벨트(40)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축(44)이 회전된다. 상기 피드롤러축(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46)가 회전하면서 매체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피드롤러(46)는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피드롤러축(44)의 회전은 상기 타이밍벨트(62)에 의해 상기 픽업축(59)으로 전달되어 상기 픽업롤러(60)가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 다.
상기, 매체(m)를 상기 승강판(24)에 적층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중계기어(70)도 회전된다. 상기 제2중계기어(70)의 회전력은 상기 중간기어(72)를 통해 상기 힌지기어(74)로 전달되고, 상기 힌지기어(74)와 치합된 상기 제1콘트라기어(82)의 회전을 만들어낸다. 이때, 상기 제1콘트라기어(82)는 상기 클러치베어링(63)에 의해 상기 콘트라축(8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콘트라축(80)의 회전은 상기 콘트라롤러(88)와 상기 누름날개부(90)의 회전을 만들어내어 상기 콘트라롤러(88)가 매체(m)를 이송시키고 상기 누름날개부(90)가 매체(m)를 상기 승강판(24)에 눌러 집적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판(24)은 매체(m)가 집적된 정도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된다. 즉, 매체(m)가 상기 승강판(24)에 집적되어 일정 이상의 높이가 되면, 승강판(24)은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하강하여 매체(m)가 더 집적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판(24)에 집적된 매체(m)를 고객의 요청에 의해 방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매체(m)가 상기 픽업롤러(60)에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승강판(24)을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적층가이드(56)는 승강판(24)에 집적된 매체(m)가 밀착되면서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매체(m)의 이송을 위한 동력은, 상기 매체이송모터(30)를 반대방향으로 구동되게 하여 전달받는다. 상기 매체이송모터(30)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면, 상기 픽업롤러(60)와 상기 피드롤러(46)가 매체(m) 집적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픽업축(59)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단지 그 회전방향이 반대로 된다.
하지만, 상기 제1콘트라기어(82)의 회전방향이 매체(m)의 집적시와 반대로 되면 상기 클러치베어링(83)에 의해 상기 콘트라축(8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1콘트라기어(82)가 콘트라축(80)에 대해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콘트라축(80)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매체(m)가 상기 피드롤러(46)와 콘트라롤러(88)의 사이를 통과함에 의해 상기 콘트라롤러(88)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기어(86)와 제2콘트라롤러(84)가 서로 치합되어 있다.
상기 피드롤러(46)와 상기 안내롤러(54) 사이로 전달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46)의 구동력에 의해 피드롤러(46)와 안내롤러(54)사이를 빠져나가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콘트라롤러(88)와 피드롤러(46)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특성이 다른 매체(m)를 매체환류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을 상기 메인프레임(20)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79')를 풀어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이 상기 힌지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어치(78)에 공구를 끼워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을 회전시킨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을 회전시켜, 상기 힌지기어(74), 제1콘트라기 어(82) 및 클러치기어(86)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콘트라기어(82)와 상기 피드롤러(46)의 중심이 또한 서로 일직선상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을 상기 힌지축(74')을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콘트라롤러(88)와 상기 피드롤러(46)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콘트라롤러(88)와 피드롤러(46)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에 의해 사용되는 매체(m)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콘트라브라켓(76)을 회전시켜 조정을 끝낸 후에는 다시 상기 고정나사(79')를 상기 고정장공(79)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체결하여, 콘트라브라켓(76)의 유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매체이송모터(30)의 구동력이 상기 콘트라축(80)으로 기어열을 통해서 전달되고, 상기 피드롤러축(44)으로는 벨트(40)에 의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도시된 기어열 대신에 다른 형태의 기어열이 사용되거나, 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벨트(40) 대신에 체인과 스프라켓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매체환류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입출기의 매체환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도 2의 반대편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드롤러와 콘트라브라켓에 설치된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메인프레임 22: 매체집적부
24: 승강판 26: 판구동모터
30: 매체이송모터 32: 구동기어
34: 벨트구동축 38: 구동풀리
40: 벨트 42: 종동풀리
44: 피드롤러축 46: 피드롤러
48: 매체이송부 50: 연동부
52: 안내롤러축 54: 안내롤러
56: 적층가이드 58: 보조플레이트
60: 픽업롤러 62: 타이밍벨트
70: 제2중계기어 72: 중간기어
74: 힌지기어 76: 콘트라브라켓
78: 조정기어치 80: 콘트라축
82: 제1콘트라기어 84: 제2콘트라기어
86: 클러치기어 86': 클러치기어축

Claims (7)

  1. 매체가 적층되는 승강판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매체이송모터와,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매체의 이송을 수행하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상기 승강판에 집적된 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매체를 상기 승강판으로 집적시킬 때에는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매체의 이송을 돕고, 상기 승강판에 집적된 매체가 픽업될 때에는 정지되어 매체가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하는 콘트라롤러와,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매체의 집적 시에는 상기 피드롤러와 픽업롤러와 콘트라롤러를 회전시키되, 상기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매체의 분리 시에는 상기 피드롤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콘트라롤러는 정지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매체환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콘트라기어와 클러치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라롤러가 설치되는 콘트라축의 양단에는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콘트라기어가 상기 클러치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설치되어 매체가 승강판으로 이송될 때에만 콘트라축이 제1콘트라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는 매체환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2콘트라기어와, 클러치기어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콘트라기어는 상기 콘트라롤러가 설치된 콘트라축에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기어축은 상기 메인프레임 측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콘트라기어는 상기 클러치기어축에 설치된 클러치기어와 맞물려 매체가 이송되는 힘에 의해 콘트라롤러의 공회전이 방지되는 매체환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은 상기 피드롤러가 설치된 피드롤러축으로 전달되고, 상기 픽업롤러가 설치된 픽업롤러축으로는 상기 피드롤러축에서 픽업롤러축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콘트라축으로는 기어열을 통해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매체환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는 콘트라브라켓이 힌지기어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콘트라브라켓의 선단에는 상기 콘트라롤러가 설치되는 콘트라축의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매체환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이송모터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는 벨트구동축에 설치된 제1중계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벨트구동축의 일단에는 상기 피드롤러의 구동을 위한 벨트의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구동축의 타단에는 상기 콘트라롤러의 구동을 위한 기어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중계기어가 설치되는 매체환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브라켓의 회전중심인 힌지기어축에는 상기 제2중계기어의 회전력을 중간기어를 통해 전달받는 힌지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기어는 상기 콘트라축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콘트라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환류장치.
KR1020080006285A 2008-01-21 2008-01-21 매체환류장치 KR10142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85A KR101424814B1 (ko) 2008-01-21 2008-01-21 매체환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85A KR101424814B1 (ko) 2008-01-21 2008-01-21 매체환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76A KR20090080376A (ko) 2009-07-24
KR101424814B1 true KR101424814B1 (ko) 2014-07-31

Family

ID=4129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285A KR101424814B1 (ko) 2008-01-21 2008-01-21 매체환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6738A (zh) * 2017-04-11 2018-01-2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介质分离机构以及存取款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18A (ko) * 2001-04-12 2002-10-19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현금자동지급기
KR20050070163A (ko) * 2003-12-29 2005-07-0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20070029907A (ko) * 2005-09-12 2007-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18A (ko) * 2001-04-12 2002-10-19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현금자동지급기
KR20050070163A (ko) * 2003-12-29 2005-07-0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20070029907A (ko) * 2005-09-12 2007-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76A (ko)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3956A1 (en) Double-sided document transport device
US8777218B2 (en) Media processor
US6302606B1 (en)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621526B2 (en) Apparatus for stacking individual sheets
JP2007168965A (ja) 用紙後処理装置
US8418834B2 (en) Prefeeding corrugated boards to box finishing machines
US7520500B2 (en)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media dispenser
KR101424814B1 (ko) 매체환류장치
US7316306B2 (en) Currency note feeding apparatus for currency note handling machine
KR101419057B1 (ko) 매체자동입출기용 매체환류장치의 콘트라롤러조정장치
KR100736415B1 (ko) 판지 자동급지장치
EP0611718A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JP2007506627A (ja) 枚葉紙を選択的にスタック状に積み重ねるための装置
JP4072812B2 (ja) 紙葉類の一枚送り出し装置
JP3810884B2 (ja) 紙葉類の給紙装置
JP3498932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4890417B2 (ja) シート部材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装置
JP2818105B2 (ja) 紙葉類入出金機における紙葉類収納繰出機構
JP3629887B2 (ja) 後処理装置
JP2841105B2 (ja) シート状物品の積層体の送り装置
JP3824815B2 (ja) 紙幣入金機における紙幣収納機構
KR101095256B1 (ko) 매체출납장치
JP3909105B2 (ja) 大量排紙トレイ
KR100761105B1 (ko) 용지버퍼장치
WO1993015010A1 (en) Device for conveying and stacking paper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