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192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192B1
KR101423192B1 KR1020080100846A KR20080100846A KR101423192B1 KR 101423192 B1 KR101423192 B1 KR 101423192B1 KR 1020080100846 A KR1020080100846 A KR 1020080100846A KR 20080100846 A KR20080100846 A KR 20080100846A KR 101423192 B1 KR101423192 B1 KR 10142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main body
fragrance
pip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592A (ko
Inventor
김재호
지용준
민은기
전영하
이동석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192B1/ko
Priority to EP09820761.6A priority patent/EP2347922B1/en
Priority to US13/123,825 priority patent/US8899493B2/en
Priority to CN200980150020.4A priority patent/CN102245413B/zh
Priority to PCT/KR2009/005920 priority patent/WO2010044611A2/ko
Publication of KR2010004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 내부로 카트리지에 충전된 서로 다른 종류의 방향제가 발생되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이 연통되고, 상기 유입관(103)과 배출관(104) 각각에 대하여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볼플런저(106)가 장착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구획벽(221,222,223)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제(A향,B향,C향)가 충전되며, 상기 복수의 볼플런저(106)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202)이 뚫린 카트리지(200) 및, 상기 카트리지(2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카트리지(20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유입관(103)과 마주하는 관통홀(202)에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배출관(104)과 마주하는 관통홀(202)로 방향제(A향,B향,C향)가 섞이지 않고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본체, 카트리지, 액츄에이터, 방향제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perfum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실 내부로 카트리지에 충전된 서로 다른 종류의 방향제가 발생되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차실내로 유입된 외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유니트(Evaporator Unit) 또는 차량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유니트(Heater Core Unit)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페이스벤트(Face Vent) 및 플로어벤트(Floo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 차량주행시 히터나 에어콘을 가동할 때 도로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매연가스 등 각종 유해물질이 차실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습한 날에 공조장치를 가 동함에 따라 공조덕트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 세균성 이물질이 그대로 차실로 유입되어 차실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방향제 발생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방향제 발생장치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37364호(이하, 특허문헌1 이라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 방향제 발생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블박스(12)의 코너(14)에 지지플레이트(20)를 매개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 발생장치(10)는 본체(68), 카트리지(78), 조정부재(56), 패킹(44), 지지플레이트(20), 액츄에이터(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카트리지(78)와 지지플레이트(20)의 시트(32) 사이에 패킹(44)과 조정부재(56)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4)에 의하여 카트리지(78)가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패킹(44)과 조정부재(56)가 마모에 의해 방향제가 누출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지지플레이트(20)의 시트(32)에 장방형 개구부(34)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조정부재(56)에 정방형 개구(58)가 형성되어 카트리지(78)가 회전되어 이동될 때 방향제가 누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서로 다른 방향제가 섞여서 차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5,297,988호(이하, 특허문헌2 이라함)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3)의 앞쪽에 유입관(31)이 형성되고 덕트쪽에 배출관(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어밸브(12A~12D)에 의해 방향제가 간헐적으로 제어되는 방항제 발생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제가 간헐적으로 제어되기 위하여 복수의 제어밸브(12A~12D), 밸브제어회로(13), 선택스위치(14A,14B,14C) 등이 필요하므로 방향제 발생장치(1)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특허문헌1,2의 방향제 발생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제가 누출되지 않으면서 선택된 방향제가 차실로 유입되고, 카트리지에서 방향제가 배출되는 메카니즘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향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관과 배출관이 연통되고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 각각에 대하여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볼플런저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구획벽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제가 충전되며 상기 복수의 볼플런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이 뚫린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일정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유입관과 마주하는 관통홀에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배출관과 마주하는 관통홀으로 1종류의 방향제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내장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관통홀 각각에 대하여 내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본체가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관통홀 각각에 대하여 외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이 연통되는 본체에 각각 장착된 마그네트와, 상기 카트리지의 관통홀 주변을 따라 장착된 금속재로 구성된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본체에 금속재를 형성하고 카트리지의 관통홀 주변에 마그네트를 형성하여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볼플런저가 가이드되는 그루브가 복수의 열로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간격으로 회전할 때마다 서로 다른 방향제가 선택 배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에 의하면, 카트리지가 본체에 대하여 일정 각도(90˚)로 회전할 때마다, 유입관과 마주하는 관통홀에 공기가 공급되어 배출관과 마주하는 관통홀로 선택된 방향제가 나오는 한편, 유입관과 배출관에 마주하지 않은 관통홀이 볼플런저에 의해 차단되는 구조이므로 방향제가 섞여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방향제 발생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본체에서 카트리 지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방향제 배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200) 및 상기 카트리지(20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와 카트리지(200)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케이싱에 의해 덮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에 캡(110)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와 캡(110) 사이에 실링을 위한 오링(111)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110)의 선단을 따라 복수의 결합부(112)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10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02)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원주면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이 연통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에 대해 각각 원주면을 따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관통고정구(10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고 정구(105)에 각각 볼플런저(106)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볼플런저(106)는 볼(106a)과, 볼(106a)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06b) 및 상기 스프링(106b)을 지지하는 지지구(106c)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볼플런저(106)는 총 6개가 장착되는데, 3개가 상기 유입관(103)이 형성된 동일 원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나머지 3개가 상기 배출관(104)이 형성된 동일 원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장착된 유입관(103) 또는 배출관(104)과 3개의 볼플런저(106)가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플런저(106)는 상기 지지구(106a)가 상기 관통고정구(105)와 결합되어 볼(106a)이 상기 카트리지(200)의 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기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이 연통되는 부분에는 마그네트(107,10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로 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부에 캡(210)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와 캡(210) 사이에 실링을 위한 오링(211)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200)는 중앙에 보스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부(220)를 기준으로 3개의 구획벽(221,222,223)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제(A향,B향,C향)가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200)는 상기 볼플런저(106)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202)이 뚫려 있고, 외주면의 반경을 따라 상기 볼플런저(106)가 가이드되는 그루브(203,2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203)는 상기 유입관(103)과 대응되게 외주면 반경을 따라 형성된 것이고, 상기 그루브(204)는 상기 배출관(104)과 대응되게 외주면 반경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홀(202)은 각각 그 주변을 따라 금속재(205,20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107,108)와 금속재(205,206)는 본체(100)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200)가 정확한 회전각도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이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2)이 상기 카트리지(200)의 보스부(220)에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2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카트리지(200)를 90˚간격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에서 방향제가 배출되는 과정을 도 5b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유입관(103)에 대하여 관통홀(202)이 형성되지 않은 카트리지(200)의 부분이 위치하면, 공기가 카트리지(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 때, 볼플런저(106)가 카트리지(200)의 관통홀(202) 부분을 모두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제(A향,B향,C향)가 배출되지도 않게 된다.
도 5b에서 카트리지(200)를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시키면, 도 6a와 같이 유입관(10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방향제(A향)가 배출관(104)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여기서, 카트리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볼플런저(106)는 그루브(203,204)에 의해 가이드되게 되고,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에 근접할 때, 위치결정수단인 마그네트(107,108)와 금속재(205,206)에 의해 관통홀(202)이 각각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에 대하여 대향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 후, 도 6a에서 카트리지(200)를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시키면, 도 6b와 같이 유입관(10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방향제(B향)가 배출관(미도시)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 후 도 6b에서 카트리지(200)를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시키면, 도 6c와 같이 유입관(10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방향제(C향)가 배출관(미도시)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도 6c에서 카트리지(200)를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시키면, 도 5b와 같이 원위치로 되돌아와서 공기가 카트리지(200)에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방향제(A향,B향,C향) 모두가 전혀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b를 기준으로 상기 카트리지(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로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면, C향 방향제, B향 방향제, A향 방향제가 순차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방향제 배출장치에 의하면, 본체(100)에 대하여 카트리지(200)가 내장되어 있고, 카트리지(200)가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간격으로 회전할 때마다 유입관(103) 및 배출관(104)과 마 주하는 관통홀(202)을 통하여 선택되는 방향제만이 배출된다. 그 밖의 관통홀(202)들은 볼플런저(106)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선택된 방향제가 다른 방향제와 섞여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부분 결합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방향제 배출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200) 및 상기 카트리지(20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고, 내부로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이 동일선을 이루면서 외주면과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에 대해 각각 내주면을 따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관통고정구(10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고정구(105)에 각각 볼플런저(106)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볼플런저(106)는 볼(106a)과, 볼(106a)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06b) 및 상기 스프링(106)을 지지하는 지지구(106c)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볼플런저(106)는 총 6개가 장착되는데, 3개가 상기 유입관(103)이 형성된 동일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나머지 3개가 상기 배출관(104)이 형성된 동일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장착된 유입관(103) 또는 배출관(104)과 3개의 볼플런저(106)가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플런저(106)는 상기 지지구(106a)가 상기 관통고정구(105)와 결합되어 볼(106a)이 상기 카트리지(200)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기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이 연통되는 부분에는 마그네트(107,10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 구조로 되어 상기 본체(100)가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하부에 카트리지고정부재(23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3개의 구획벽(221,222,223)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제(A,B,C)가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200)의 내면에는 상기 볼플런저(106)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202)이 뚫려 있고, 내주면을 반경을 따라 상기 볼플런저(106)가 가이드되는 그루브(203,2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203)는 상기 유입관(103)과 대응되게 내주면 반경을 따라 형성된 것이고, 상기 그루브(204)는 상기 배출관(104)과 대응되게 내주면 반경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홀(202)은 각각 그 주변을 따라 금속재(205,20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107,108)와 금속재(205,206)는 본체(100)에 대하여 카트리지(200)가 정확한 회전각도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이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고정부재(230)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2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카트리지(200)를 90˚간격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에서 방향제가 배출되는 과정을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에 대하여 관통홀(202)이 형성되지 않은 카트리지(200)의 부분이 위치하면, 공기가 카트리지(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 때, 볼플런저(106)가 카트리지(200)의 관통홀(202) 부분을 모두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제(A향,B향,C향)가 배출되지도 않게 된다.
도 9에서 카트리지(200)를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시키면, 도 10a와 같이 유입관(10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방향제(A향)가 배출관(104)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 후, 도 10a에서 카트리지(200)를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시키면, 도 10b와 같이 유입관(10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방향제(B향)가 배출관(104)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 후, 도 10b에서 카트리지(200)를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시키면, 도 10c와 같이 유입관(10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방향제(C향)가 배출관(104)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카트리지(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볼플런저(105,106)는 도 7에 도시된 그루브(202,203)에 의해 가이드되게 되고, 유입관(102)과 배출관(103)에 근접할 때,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수단인 마그네트(107,108)와 금속재(207,208)에 의해 관통홀(202,203)이 각각 유입관(102)과 배출관(103)에 대하여 대향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10c에서 카트리지(200)가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면, 도 9와 같이 원위치로 되돌아와서 공기가 카트리지(200)에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됨으로써 방향제(A향,B향,C향) 모두가 전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배출장치에 의하면, 본체(100)에 대하여 카트리지(200)의 내부에 본체(100)가 내장되어 있고, 카트리지(200)가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간격으로 회전할 때마다 유입관(103) 및 배출관(104)과 마주하는 관통홀(202)을 통하여 선택되는 방향제만이 배출된다. 그 밖의 관통홀(202)들은 볼플런저(106)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선택된 방향제가 다른 방향제와 섞여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1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가 글러블박스에 설치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특허문헌2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부분 결합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횡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발생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3 : 유입관
104 : 배출관 106 : 볼플런저
107,108 : 마그네트 110 : 캡
200 : 카트리지 202 : 관통홀
203,204 : 그루브 205,206 : 금속재
210 : 캡 220 : 보스부
221,222,223 : 구획벽 230 : 카트리지고정부재
300 : 액츄에이터

Claims (5)

  1.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이 연통되고, 상기 유입관(103)과 배출관(104) 각각에 대하여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볼플런저(106)가 장착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구획벽(221,222,223)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제(A향,B향,C향)가 충전되며, 상기 복수의 볼플런저(106)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202)이 형성된 카트리지(200) 및
    상기 카트리지(2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300)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20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유입관(103)과 마주하는 관통홀(202)에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배출관(104)과 마주하는 관통홀(202)로 1종류의 방향제가 배출되도록 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0)가 상기 본체(100)에 내장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볼플런저(106)가 상기 관통홀(202) 각각에 대하여 내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가 상기 카트리지(20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볼플런저(106)가 상기 관통홀(202) 각각에 대하여 외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03)과 배출관(104)이 연통되는 본체(100)에 각각 장착된 마그네트(107,108)와, 상기 카트리지(200)의 관통홀(202) 주변을 따라 장착된 금속재(205,206)로 구성된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볼플런저(106)가 가이드되는 그루브(203,204)가 복수의 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20080100846A 2008-10-14 2008-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2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46A KR101423192B1 (ko) 2008-10-14 2008-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EP09820761.6A EP2347922B1 (en) 2008-10-14 2009-10-14 Air freshener generator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3/123,825 US8899493B2 (en) 2008-10-14 2009-10-14 Air freshener generator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00980150020.4A CN102245413B (zh) 2008-10-14 2009-10-14 车辆空调装置的空气清新剂发生器
PCT/KR2009/005920 WO2010044611A2 (ko) 2008-10-14 2009-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46A KR101423192B1 (ko) 2008-10-14 2008-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592A KR20100041592A (ko) 2010-04-22
KR101423192B1 true KR101423192B1 (ko) 2014-07-25

Family

ID=4221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846A KR101423192B1 (ko) 2008-10-14 2008-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14B1 (ko) 2019-08-28 2020-02-25 박은지 카트리지 공급 방식의 실내 및 차량용 방향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319U (ko) * 1988-06-10 1990-01-07 이명춘 향기를 선택 발산 되게한 방향장치
US5565148A (en) * 1995-03-16 1996-10-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vice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ultiplicity of aromas
JP2003237364A (ja) 2001-12-20 2003-08-27 Valeo Climatisation 自動車の車室の付臭装置
JP2007182205A (ja) 2005-12-09 2007-07-19 Denso Corp 揮発成分供給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319U (ko) * 1988-06-10 1990-01-07 이명춘 향기를 선택 발산 되게한 방향장치
US5565148A (en) * 1995-03-16 1996-10-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vice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ultiplicity of aromas
JP2003237364A (ja) 2001-12-20 2003-08-27 Valeo Climatisation 自動車の車室の付臭装置
JP2007182205A (ja) 2005-12-09 2007-07-19 Denso Corp 揮発成分供給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14B1 (ko) 2019-08-28 2020-02-25 박은지 카트리지 공급 방식의 실내 및 차량용 방향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592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493B2 (en) Air freshener generator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4957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958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5402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549476B1 (ko)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JP2010179786A (ja) 車両用芳香装置
KR1014894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231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958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231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231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587088B1 (ko)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KR102444445B1 (ko)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KR1014232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92156B1 (ko)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KR2010009210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232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232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20100041599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CN218966635U (zh) 香氛装置
CN116600832A (zh) 用于车辆的香水生成器
KR101760305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US20220305880A1 (en) Fluid Distribution Device
CN115574414A (zh) 一种气味模块及空调器
WO2019017141A1 (ja) 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