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079B1 -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 Google Patents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079B1
KR101423079B1 KR1020127010736A KR20127010736A KR101423079B1 KR 101423079 B1 KR101423079 B1 KR 101423079B1 KR 1020127010736 A KR1020127010736 A KR 1020127010736A KR 20127010736 A KR20127010736 A KR 20127010736A KR 101423079 B1 KR101423079 B1 KR 10142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ss
carbon atoms
copolymer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592A (ko
Inventor
유키오 고바야시
요헤이 가게야마
마나부 나카무라
마사타카 고타니
도시하루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12007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6EVOH, i.e.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29K22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223/06PE, i.e. polyethylene
    • B29K22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2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4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filler
    • B29K24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423/06PE, i.e. polyethylene
    • B29K24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4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623/06PE, i.e. polyethylene
    • B29K26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6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 B29K28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823/06PE, i.e. polyethylene
    • B29K28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8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2Tea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Oxygen absor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의료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수액 백에 관한 것으로,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1층(1); 제1층에 인접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천이 금속염을 부성분으로 하는 혼합 조성물인 제2층(2); 제2층에 인접하여 a-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3층(3);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의 적어도 4층(4)으로 이루어지고, 공압출 수냉식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막된다.

Description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PLASTIC FILM HAVING OXYGEN ABSORBING FUNCTION AND INFUSION BAG}
본 발명은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의료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 및 이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한 수액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09년 11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25162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수액(輸液), 약액(藥液) 백, 경장 영양제 등의 의료용 용기는 종래의 유리병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블로우 성형 또는 열밀봉(heat seal)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소프트백은 경량이고 폐기시 부피가 작으며, 또한 투여시 원내 감염의 원인이 되는 통기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료용 용기의 주류이다.
종래의 소프트백에 사용되고 있는 필름은 고압 증기 멸균 시의 용출물을 저감시키고 투명도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 재료는 산소 투과도가 크다. 그 때문에 외부 산소에 의한 약액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백을 높은 산소 배리어성의 특성을 갖는 외포재로 피포(被包)하는 것이 특허문헌 1 등에 제안되어 있다. 외포재의 예로는, 금속박, 무기 증착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외포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아미노산 수액이나 지방 수액 등은 제제(製濟) 및 충전 공정에서의 용해, 혼합, 현탁, 교반, 펌프에 의한 이송 등이 공기를 침투시켜, 용존 산소로서 약액 내에 잔류한다. 이 용존 산소의 농도는 3~50ppm이며, 약액 자체를 산화 열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산화 열화의 반응 속도는 온도와 함께 대수적으로 촉진된다. 즉, 고압 증기 멸균 공정에서 산화 열화는 극적으로 가속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액 백의 외포에 탈산소제를 내장 또는 적층시키거나, 불활성 가스를 수액 백의 외포의 내부에 충전시키거나, 약액을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면서 충전하거나, 약액에 항산화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이 특허문헌 2, 3 등에 고안되어 실시에 이르고 있다. 탈산소제의 내장이나 적층, 불활성 가스의 충전은 산화 열화의 억제에 유용하지만, 배리어성을 갖는 외포의 파손이나 핀홀이 있는 경우의 오투여가 우려된다. 또한, 상기 선원 기술에서의 적층에는 유기용제를 매체로 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본약국방에서 규정하는 용출시험의 규격 내이긴 하지만 용출물은 무시할 수 없는 양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노출되는 적층 계면으로의 이물질 혼입이 우려된다. 또한, 약액에 첨가되는 항산화 물질에는 비타민C(아스코르빈산), 비타민E(토코페롤), BHT(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BHA(부틸히드록시아니솔), 에리소르빈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이산화유황, 원두커피 추출물(클로로겐산), 녹차 추출물(카테킨), 로즈마리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황산 이온 물질은 항산화 효과가 높기 때문에, 첨가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아나필락시스 쇼크 등의 원인이 되므로 인체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상의 배경으로부터, 의료용 약액에 직접 접촉하는 용기 자체에 산소 배리어성이나 산소 흡수 기능을 부여한 하기의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외측부터 순서대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 층", "결합층",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의 코어층", "결합층", "폴리올레핀의 용액 접촉층"을 캐스트 공압출법으로 제막한 5층 구조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의 구조체는 산소 배리어성은 우수하지만, 자기 산소 흡수 능력은 없다. 또한, 캐스트법에 의해 롤 형상으로 제막됨으로써, 소프트백 제막공정에 있어서 용액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용기 내의 이물질 혼입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특허문헌 5에서는 외측부터 순서대로 적어도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산소 배리어층", "산소 흡수성의 가스 배리어 a층", "산소 흡수성의 가스 배리어 b층", "열밀봉성 수지층"을 공압출법으로 제막한 다층 구조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는 상온 환경 하에서의 산소 배리어성 및 산소 흡수성은 우수하지만, 최외층인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방습성이 부족하며, 고압 증기 멸균 등의 열수 처리가 실시되는 의료용 용기에서는 백화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5-28074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1549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8-3706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227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7-283565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산소에 의한 약액의 산화 열화를 방지하는 포장은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이들 문제의 예로는, 외포재의 파손이나 핀홀, 유기용제계 접착제를 사용함으로 인한 용출, 약액에 첨가되는 항산화제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쇼크, 용존 산소에 의한 산화 열화, 이물질 혼입, 방습성 부족, 고압 증기 멸균 중 백화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1) 본 발명은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1층; 제1층에 인접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을 부성분으로 하는 혼합 조성물인 제2층; 제2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3층;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의 적어도 4층으로 이루어지고, 공압출 수냉식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막되는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의료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이다.
(2) 또한, 본 발명은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1층; 제1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2층; 제2층에 인접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을 부성분으로 하는 혼합 조성물인 제3층; 제3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4층;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의 적어도 5층으로 이루어지고, 공압출 수냉식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막되는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의료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이다.
(3) 상기 (1) 및 (2)의 플라스틱 필름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을 부성분으로 하는 혼합 조성물 층이 1g 당 30cc 이상의 산소를 흡수하며, 상기 혼합 조성물 층의 두께가 5~35%이어도 된다.
(4) 상기 (1)~(3)의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제1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175℃ 이상이고, 상기 밀봉층의 융해 피크 온도와의 차이가 40℃ 이상이어도 된다.
(5) 상기 (1) 또는 (2)의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밀봉층이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60~95 질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5~40 질량%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6) 상기 (1)~(3)의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밀봉층이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기 제4층에 인접하는 층과, 이 층에 인접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층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6)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수액 백 본체에 주출구(注出口)를 설치한 수액 백이다.
본 발명에 의해, 약액 내의 용존 산소를 흡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산소의 배리어성이 우수하고, 일본약국방에서 규정하는 안전 위생성이 뛰어나며 고온 및 단시간의 열밀봉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름층 간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혼입할 가능성이 지극히 낮으며, 121℃의 고압 증기 멸균에도 대응할 수 있는 내열성, 투명성, 유연성 및 내충격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되는 수액 백은 상술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의 일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한 수액 백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인 플라스틱 필름의 일례의 층구성을 도 1에 나타낸다. 이 필름은 위에서부터 제1층(1), 제2층(2), 제3층(3) 및 밀봉층(4)으로 이루어지는 4층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제1층(1)(이하, "최외층"이라고 함)은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2층(2)(이하, "산소 흡수층"이라고 함)은 상기 제1층(1)에 인접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을 부성분으로 하는 혼합 조성물 층이다. 제3층(3)(이하, "층간 접착층"이라고 함)은 상기 제2층(2)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다. 밀봉층(4)은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다.
상기 최외층은 포트로 불리는 약액의 배출 주입구 부재를 열접착하는 제조 공정에서의 외부 가열에 의한 필름 데미지의 완충층이다. 제1층(1)은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다. 또는, 제1층(1)은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다.
개환 중합시키는 락탐은 탄소수가 11 이상이지만, 탄소수의 상한은 12까지이다. 락탐 모노머의 탄소수가 11 미만이면 고온 하에서 사용시 상기 폴리아미드의 탈중합 반응이 발생하기 쉽고, 의료 용기로서 규정되어 있는 용출시험 규격에서 벗어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높아져 고온 증기 멸균시 백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락탐의 예로는, 운데칸락탐, 라우릴락탐 등을 들 수 있다. 개환 중합 방법은 폴리아미드의 제법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시판품도 있다. 운데칸락탐을 개환 중합시키면 나일론 11이 얻어지고, 라우릴락탐을 개환 중합시키면 나일론 12가 얻어진다.
축중합시키는 ω-아미노산도 탄소수가 11 이상이지만, 탄소수의 상한은 12까지이다. 탄소수가 11 미만이면, 락탐의 개환 중합으로부터 얻어진 폴리아미드와 같은 문제가 있다. ω-아미노산의 예로는, ω-아미노운데칸산, ω-아미노도데칸산을 들 수 있고, 축중합 방법도 폴리아미드의 제법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시판품도 있다.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을 공축중합시키는 경우, 디카르복실산은 탄소수가 10 이상이며 탄소수의 상한은 12까지이다.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세바신산, 도데칸이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아민은 탄소수가 6 이상이다. 디아민의 예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공축중합 방법은 폴리아미드의 제법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시판품도 있다. 세바신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을 공축중합시키면 나일론 610이 얻어지고, 도데칸이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을 공축중합시키면 나일론 612가 얻어진다.
이들 3개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도 된다.
사용하는 폴리아미드는 융해 피크 온도가 175℃ 이상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75℃~245℃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230℃ 정도인 것이 좋다. 이 융해 피크의 측정 방법은 시차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해 JIS-K7121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제1층(1)의 두께는 총 두께에 대하여 2~15%, 바람직하게는 2~1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이다. 제1층(1)의 두께가 2% 미만이면 밀봉시의 전열(傳熱)에 의한 데미지의 완충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제1층(1)의 두께가 15%를 넘으면 다층 필름으로서의 강성이 현저히 증가하여 의료용 용기로서의 유연함이 손상된다.
제2층(2)은 산소 흡수층이며,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을 부성분으로 하는 혼합 조성물이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주성분이며, 에틸렌 함유량은 25~45 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27~44 몰% 정도이다.
부성분인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는 이중 결합의 수가 2 이상인 탄화수소를 단위로 하는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것은 공역디엔 중합체이며, 예를 들면 직쇄상 공역디엔인 cis- 또는 trans-1,4-이소프렌 중합체인 폴리이소프렌이나 폴리이소프렌의 고리형 협동 반응(pericyclic reaction)에 의해 얻어지는 고리형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폴리이소프렌, 또는 직쇄상 공역디엔인 1,3-부타디엔 중합체인 폴리부타디엔이나 폴리부타디엔의 고리형 협동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리형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폴리부타디엔 등의 직쇄상 중합체 및 환상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엔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20~40 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25~35 질량% 정도이다.
부성분인 천이 금속염의 예로는, 철, 니켈, 구리, 망간, 코발트, 로듐, 티탄, 크롬, 바나듐, 루테늄 등의 염이다. 염을 형성하는 산은 유기산, 특히 모노카르복실산이 좋고,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네오데칸산 등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천이 금속염의 예로는, 스테아린산 코발트, 네오데칸산 코발트를 들 수 있다. 천이 금속염의 함유량은 50~500ppm, 바람직하게는 100~300ppm이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가 주성분으로 혼합된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은 천이 금속염을 촉매로 한 폴리엔계 중합체의 산화 개열 반응에 의해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카르복실산을 생성하면서 산소 흡수를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혼합 조성물의 조성은 1g 당 30cc 이상의 산소를 흡수하는 공역디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2)의 두께는 플라스틱 필름의 총 두께의 5~35%,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제2층(2)의 두께가 총 두께의 5% 미만이면 산소 흡수 능력이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제2층(2)의 두께가 총 두께의 35%를 넘으면 필요 이상의 산소 흡수 능력을 갖게 된다. 또한, 필름으로서의 강도 물성이 손상되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불필요하게 상승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산소 흡수능을 갖는 혼합 조성물의 시판품으로는,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의 상품명「프로아크토」나 일본 제온 주식회사 제조의「퀸티아」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3층(3)은 상기 제2층(2)과 후술하는 밀봉층(4)의 방습성을 갖는 층간 접착층이며,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다.
α-올레핀에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은 천이 금속 화합물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에서 얻어지는 촉매계(지글러 촉매)를 이용하거나, 단체(單體)(예를 들어, 실리카)에 크롬 화합물(예를 들어, 산화크롬)을 담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촉매계(필립스 촉매)를 이용하거나 또는 라디칼 개시제(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를 이용하여 올레핀을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란 적어도 1개의 이중 결합을 갖고, 또한 적어도 1개의 카르복실기 또는 그 무수물(기)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며,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프탈산, 무수말레인산, 무수프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엔딕산, 무수이타콘산, 무수엔딕산, 무수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제3층(3)에 이용하는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란 상기 폴리올레핀에 불포화 모노머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가리킨다. 그라프트 공중합은 폴리올레핀 100 질량부에 불포화 모노머 0.01~20 질량부, 유기 과산화물 0.001~20 질량부를 첨가한 혼합물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용해, 반응시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과산화물의 대표예로는,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디-t-부틸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과산화물 중, 1분간의 반감기가 100~280℃인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고, 120~230℃인 유기 과산화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 과산화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100 질량부의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배합이 0.01 질량부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공중합체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후술하는 폴리아미드의 접착성이 부족하다. 한편, 20 질량부를 넘으면 그라프트 반응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미반응 또는 단독 중합의 불포화 화합물이 그라프트 반응 중에 상당량 잔류할 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이 본래 가지고 있는 물성이 손상된다.
또한, 100 질량부의 폴리올레핀에 대한 유기 과산화물의 배합이 0.001 질량부 미만에서는 만족할 만한 그라프트 공중합물을 얻을 수 없다. 한편, 20 질량부를 넘으면 폴리올레핀이 본래 가지고 있는 물성이 손상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통상적인 압출기에 투입되어 그 내부에서 용융 혼련되는 동시에 그라프트 반응이 진행되어, 이에 따라 그라프트 변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압출기로는 논벤트식 및 벤트식 모두를 이용해도 되지만, 미반응 또는 단독 중합의 불포화 화합물 및 유기 과산화물의 분해물 제거의 관점에서 보면 벤트식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혼련 온도는 230~300℃이며,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및 유기 과산화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230~250℃가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기 내에서의 혼합물의 체류 시간은 60초 이상이며, 특히 90초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혼련 온도가 230℃ 미만이면 그라프트 반응이 양호하게 진행되지 않는다. 한편, 300℃를 넘으면 폴리올레핀의 일부에 열화가 시작된다. 또한, 압출기 내에서의 혼합물의 체류 시간이 60초 미만이면 만족할 만한 그라프트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α-올레핀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과의 공중합체는 시판품이 있으며, 이들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제3층(3)은 상기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동일 온도 하에서 공중합체의 용융 점도와 폴리올레핀의 용융 점도의 비 h(폴리올레핀)/h(공중합체)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미만에서는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이 균일하게 미분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후술하는 폴리아미드와의 계면에 존재하는 극성기가 희석되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제3층(3)은 상기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며, 제3층(3)을 구성하는 전량이 이 공중합체로 이루어져도 된다. 한편,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접착 강도는 저하되지만, 출원인이 행한 실험 결과에서는 공중합체 50%와 폴리에틸렌 50%의 혼합물에서도 제3층(3)을 이룰 수 있다.
제3층(3)의 두께는 플라스틱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하여 2~15%, 바람직하게는 2~10%이다. 제3층(3)의 두께가 2% 미만에서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후술하는 폴리아미드와의 접착이 불충분하게 되고, 제3층(3)의 두께가 15%를 넘으면 필름으로서의 강도 물성이 손상되는 동시에 제조원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밀봉층(4)이란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3층(3)의 내측에 인접하는 층을 가리키며, 단층이어도 다층이어도 된다. 밀봉층(4)의 폴리에틸렌의 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단체 조성이어도 혼합 조성이어도 무방하다. 이들 폴리에틸렌 내에서는, 특히 투명성이나 유연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60~95 질량%와 내열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5~40 질량%의 혼합물이 상호 보완하는 물성을 갖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과 탄소수 3~20인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말한다. 탄소수 3~20인 α-올레핀 중 탄소수 3~12인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및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고,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α-올레핀의 함량은 통상 1~30 몰%이며, 바람직하게는 3~20 몰%이다. 또한,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JIS-K7112-D법에 의한 밀도는 0.900~0.940g/cm3, JIS-K7210에 준거하여 온도가 190℃, 하중이 21.18N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용융 질량 흐름 속도(MFR)는 0.1~20g/10분인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40~0.970g/cm3, MFR이 0.1~20g/10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밀도 및 MFR의 측정 조건은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와 같다.
또한 투명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봉층(4)의 폴리에틸렌에 결정조핵제를 첨가해도 된다. 바람직한 결정조핵제의 예로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칼슘염 및 스테아린산 아연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이 핵제를 밀봉층 전 질량의 2.5 질량% 이하가 되도록, 밀봉층(4)에 배합하는 것이 유효하다. 핵제 첨가량의 하한은 약 0.5 질량%이다.
밀봉층(4)의 융해 피크 온도는 제1층(1)의 융해 피크 온도 이하이며, 제1층(1)의 융해 피크 온도와 밀봉층(4)의 융해 피크 온도의 차이는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45℃이상으로 한다. 이 온도차가 40℃ 미만이면 열밀봉에 의한 필름 데미지를 쉽게 받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융해 피크 온도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약 100℃까지이다. 제1층(1)과 밀봉층(4)의 융점 차이가 지나치게 크면 공압출시에 밀봉층(4)도 고온으로 제막되기 때문에, 밀봉층(4)의 용융 점도가 현저히 저하되게 되어,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없게 된다.
밀봉층(4)의 두께는 플라스틱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하여 30~89%, 바람직하게는 35~85%, 보다 바람직하게는 35~80%이다. 밀봉층(4)의 두께가 30% 미만에서는 필름으로서의 강도 물성이 손상되고, 89%를 넘으면 상기 제1~3층의 두께가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필름은 제15 개정 일본약국방 제1부·일반 시험법·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서 규정하는 각 시험 항목의 모든 실측치가 폴리에틸렌제 또는 폴리프로필렌제 수성 주사제 용기의 규격 내이다.
제1 형태인 플라스틱 필름의 변형예의 층구성을 도 2에 나타낸다. 이 필름은 위로부터 제1층(1), 제2층(2), 제3층(3), 투명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는 밀봉층(41) 및 밀봉층(41)에 인접하는 직접 용융 밀봉층(42)으로 이루어지는 5층 구성이다.
이와 같이 밀봉층을 2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밀봉층(41)을 주요한 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층에 인접하는 밀봉층(41)과 직접 용융 밀봉층(42)의 두께비를 50~97:50~3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두께비는 70~95:30~5의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이용되는 밀봉층의 수지로는, 제3층에 인접하는 밀봉층(41)을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60~95 질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5~40 질량%의 혼합물로 하고, 직접 용융 밀봉층(42)을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으로 한다. 이러한 밀봉층으로 함으로써, 고압 증기 멸균 후에 밀봉층 표면끼리 일부가 밀착하게 되는 블로킹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인 플라스틱 필름의 일례의 층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이 필름은 위로부터 제1층(1), 제2층(31), 제3층(2), 제4층(32) 및 밀봉층(4)으로 이루어지는 5층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의 제2 형태는 제1층(1)(최외층)은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2층(31)(제1 층간 접착층)은 상기 제1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다. 제3층(2)(산소 흡수층)은 상기 제2층에 인접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을 부성분으로 하는 혼합 조성물 층이다. 제4층(32)(제2 층간 접착층)은 상기 제3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다. 밀봉층(4)은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다.
이들 층 중, 최외층, 산소 흡수층, 제1, 제2 층간 접착층 및 밀봉층(층두께는 제외함)의 설명은 전술한 제1 형태의 최외층, 산소 흡수층, 층간 접착층 및 밀봉층에서 기재한 대로이다. 밀봉층의 층두께는 총 층의 30~89%, 바람직하게는 35~85%이다.
즉, 제1 형태의 플라스틱 필름과 제2 형태의 플라스틱 필름의 차이는 최외층과 산소 흡수층의 사이에도 방습성을 갖는 층간 접착층을 설치한 것이다. 이 접착층을 배치시킴으로써, 고압 증기 멸균 공정에 의한 산소 흡수층이 흡습하여 백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성, 유연성, 내충격성, 수증기 투과성 등을 고려하면, 제1 형태와 제2 형태 모두가 50~100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0~350μm가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150~250μm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2 형태인 플라스틱 필름의 다른 예의 층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이 필름은 위로부터 제1층(최외층)(1), 제2층(제1 층간 접착층)(31), 제3층(산소 흡수층)(2), 제4층(제2 층간 접착층)(32), 제5층(투명성 및 유연성 유지의 밀봉층)(41) 및 제6층(직접 용융 밀봉층)(42)으로 이루어지는 6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한 본 발명의 수액 백의 일례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수액 백은 튜브 형상의 플라스틱 필름(10)으로 이루어지는 수액 백 본체의 제1단에 주출구(11)를 설치하여 열밀봉하고, 당해 제1단 열밀봉부(12)를 밑으로 하여 수액을 수액 수납부(13)에 충전한 후, 제2단을 열밀봉한 것이다. 제2단 열밀봉부(14)의 중앙에는 현수 구멍(15)이 펀칭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직사각형의 미(未)밀봉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주출구(11)의 선단에는 주사바늘을 삽입하는 고무 마개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주출구는 튜브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4층 이상의 공압출법에 의해 하나의 공정으로 다층 제막되어 있다. 공압출은 다층 T 다이에 의한 롤 형상의 제막이어도, 다층 인플레이션에 의한 통 형상의 제막이어도 되지만, 의료용 용기를 제조할 때에 약액을 수용하는 필름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기 어려운 통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투명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용융 상태에서 급냉 고화가 가능한 수냉식 공압출 인플레이션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 있어서의 제1층, 제2층, 제3층, 제4층 및 밀봉층에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막하였다. 그 후, 특정 필름에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고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한 필름,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지 않은 필름에 대하여 14일간 정치한 후 용존 산소 농도, 헤이즈, 외관 및 블로킹성을 평가하였다.
·각 층에 이용된 수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 있어서의 제1층, 제2층, 제3층, 제4층 및 밀봉층에 사용한 수지는 이하와 같다.
PA11:나일론 11, 아르케마 제조, RILSAN "BESV 0 A FDA", 밀도=1.02g/cm3, 융해 피크 온도= 184℃
AD:무수 말레인산 그라프트 폴리프로필렌, 미츠비시 화학 제조, ZELAS "MC721AP", 밀도=0.89g/cm3, MFR=3.5g/10분, 융해 피크 온도=155℃
LLD: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프라임 폴리머 제조, 에보류 "SP0511", 밀도=0.903g/cm3, MFR= 1.2g/10분, 융해 피크 온도=110.1℃
HD:고밀도 폴리에틸렌, 일본 폴리에틸렌 제조, 노바텍, 밀도=0.955g/cm3, MFR=3.5g/10분, 융해 피크 온도=132.4℃
ACT: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쿠라레 제조, 프로아크토 "XEP1190B", 밀도= 1.19g/cm3, MFR=4.0g/10분, 융해 피크 온도=191℃
EVOH: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쿠라레 제조, 에바르 "L171B", 밀도=1.20g/cm3, MFR=4.0g/10분, 융해 피크 온도=191℃
또한, LLD 80 질량%와 HD 20 질량%의 혼합물을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밀봉층과 비교예 3의 제1층에 사용하였다. 이 혼합물의 융해 피크 온도는 125℃였다.
실시예 4의 밀봉층은 LLD(80%)+HD(20%)로 이루어지는 제4층에 인접하는 층 120μm와 상기 제4층에 인접하는 HD 100%로 이루어지는 직접 용융 밀봉층 10μm로 이루어지는 2층 구성으로 하였다.
·플라스틱 필름층의 제막방법:
플라스틱 필름의 제막은 5종 5층 또는 6종 6층의 수냉 인플레이션 제막기로 다음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제1층:외경 40mm, 압축비 2.7의 스크류 압출기(압출 온도 200℃)
제2층:외경 40mm, 압축비 2.7의 스크류 압출기(압출 온도 200℃)
제3층:외경 40mm, 압축비 2.7의 스크류 압출기(압출 온도 200℃)
제4층:외경 40mm, 압축비 2.7의 스크류 압출기(압출 온도 200℃)
단, 상기 제4층용 압출기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는 승온만을 행하고 압출은 행하지 않는다.
밀봉층:외경 65mm, 압축비 1.4의 스크류 압출기(압출 온도 210℃)
다이:외경 200mm, 립 간격 3mm, 온도 210℃
블로우비:0.6
제막속도:13m/분
수냉:링 외경 120mm, 수온 11.5℃
얻어진 필름으로부터 용기를 제조하여 용존 산소 농도 및 헤이즈를 측정하고, 외관 및 블로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검체의 제작·용존 산소 농도의 측정:
통 형상으로 제막된 상기 필름으로부터 2매의 필름을 잘라내어 온도 210℃, 압력 0.2MPa 하에 시간 0.5초 동안 열밀봉을 행하고, 안치수 100×100mm인 삼방(三方) 열밀봉 용기를 제작하였다. 용존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삼방 열밀봉 용기의 내면에 용존 산소 농도 측정용 센서 칩을 전용 접착제로 고정하였다. 23℃의 항온 실내에서 용존 산소 농도가 7.0~7.5ppm인 증류수를 진공 펌프와 접속된 뚜껑 있는 유리 용기 내에 조심히 옮겼다. 밀봉한 유리 용기를 초음파 세정조 내에 두고 10분간 초음파를 인가하면서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용존 산소 농도 4.8~6.3ppm인 증류수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증류수 100ml를 상기 삼방 열밀봉 용기에 조심히 옮기고, 신속히 남은 한 쪽을 열밀봉에 의해 밀봉하였다. 밀봉한 실시예 1, 3 및 4, 비교예 1 및 3은 121℃에서 25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였다. 그 후, 모든 검체를 40℃, 70%RH의 항온 항습조 내에 14일간 정치하였다. 14일 후에 정치한 검체를 꺼내어 23℃의 항온 실내에서 검체를 23℃로 강온시켰다.
상술한 처리를 거쳐, 비파괴 산소 농도계(산요 무역 제조, Fibox-3형)에 의해 검체의 센서 칩을 검지시켜 용기 내의 용존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헤이즈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 있어서는 통 형상으로 제막된 상기 필름으로부터 2매의 필름을 잘라내어 온도 210℃, 압력 0.2MPa 하에 시간 0.5초 동안 열밀봉을 행하고, 안치수 100mm×100mm인 삼방 열밀봉 용기를 제작하였다. 이 용기에 증류수 100ml를 충전하고 남은 한 쪽을 열밀봉에 의해 밀봉하였다. 이어서, 121℃, 25분의 조건 하에서 용기 내면의 일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였다. 그 후, 신속히 개봉하여 증류수를 배출하고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검체 필름을 23℃, 50%RH의 온습도 환경 하에서 14일간 상태 조절을 행하였다. 이 검체 필름을 JIS-K6714에 준거한 조작에 의해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있어서는 통 형상으로 제막된 상기 필름을 23℃, 50%RH의 온습도 환경 하에서 14일간 상태 조절을 행하였다. 이 검체 필름을 JIS-K6714에 준거한 조작에 의해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평가 검체의 제작·외관 및 블로킹 평가:
평가 검체로서 통 형상으로 제막된 상기 필름으로부터 2매의 필름을 잘라내어 밀봉층끼리 접하도록 중첩시키고, 온도 210℃, 압력 0.2MPa, 시간 0.5초 동안 열밀봉을 행하여 안치수 100×100mm인 삼방 열밀봉 용기를 제작하였다. 이 용기에 증류수 50ml를 충전하고 남은 한 쪽을 열밀봉에 의해 밀봉하였다. 용기 내면의 일부가 밀착되도록 재치(載置)하고, 121℃, 25분의 조건에서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였다. 고압 증기 멸균 후 용기의 외관을 관찰하여 주름의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블로킹 평가는 고압 증기 멸균 후 용기를 개봉했을 때 용기 내면끼리를 완전히 이간(離間)시킬 수 있으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된 부분이 보일 경우에는 「블로킹 있음」으로, 밀착된 부분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블로킹 없음」으로 판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33421842-pct00001
표 1의 검체 필름 중, 실시예 1, 3~4 및 비교예 1 및 3은 산소 흡수층의 양측에 층간 접착층으로서 AD를 구비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AD는 한 쪽에만 구비하고 산소 흡수층은 최외층(제1층)에 인접하고 있다.
용존 산소 농도 결과에 의하면, 산소 흡수층으로서 ACT를 이용한 실시예 1, 3~4에서는 용존 산소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산소 흡수층 대신에 EVOH를 이용한 비교예 1~3에서는 높은 검출치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산소 흡수층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할 뿐만 아니라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비교해보아도, 고압 증기 멸균을 실시하지 않아도 EVOH를 산소 흡수층 대신에 이용한 비교예 2에서는 용존 산소 농도가 측정되었다.
밀봉층을 살펴보면, 블로킹 결과에 관해서는 밀봉층이 2층 구성인 실시예 4 이외에는 고압 증기 멸균 후에 용기가 개봉되었을 때 사용시 큰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어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결과로부터,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이루어지는 직접 용융 밀봉층을 포함함으로써 밀봉층은 블로킹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밀봉층이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이루어지면 주름이 생기게 되고, 또한 헤이즈가 다른 실시예보다 떨어지는 것을 실시예 3으로부터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은 제1층에 밀봉층과 같은 수지를 이용한 필름이다. 블로킹, 주름 평가의 결과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결과와 동일하지만, 헤이즈가 떨어지고 또한 용존 산소 농도 결과가 현저히 떨어졌다.
제1층의 융해 피크 온도와 밀봉층의 융해 피크 온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예를 들면 실시예 4에서는 제1층(184℃:PA11)-밀봉층(132℃:HD100%)이고, 그 차이는 52℃이다. 그러나, 비교예 3에서는 제1층에 밀봉층과 동일한 수지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융해 피크 온도차는 0℃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탄소수가 11 이상인 나일론 11을 포함하는 최외층, 산소 흡수층으로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ACT, 및 ACT의 양측에 층간 접착층으로서의 AD, 즉 제1 층간 접착층 및 제2 층간 접착층을 구비하고, 또한 밀봉층으로서 통상적인 투명성 및 유연성 유지의 밀봉층과 직접 용융 밀봉층의 양쪽 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4는 헤이즈가 다소 떨어지지만, 산소 흡수 기능이 우수하고 밀봉층의 주름 및 블로킹이 발생하지 않는 바람직한 필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은 외포재가 불필요하고, 유기용제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약액 내의 용존 산소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고압 증기 멸균 중 백화 발생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수액이나 경장 영양제 등의 의료용 용기 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최외층, 2… 산소 흡수층, 3, 31, 32… 층간 접착층, 4… 밀봉층, 10… 플라스틱 필름, 11… 주출구, 12… 제1단 열밀봉부, 13… 수액 수납부, 14… 제2단 열밀봉부, 15… 현수 구멍, 16… 미밀봉부, 41… 투명성 및 유연성 유지의 밀봉층, 42… 직접 용융 밀봉층

Claims (8)

  1.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1층;
    제1층에 인접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조성물인 제2층;
    제2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제3층의 전 질량에 대하여 50~100 질량% 포함하는 제3층;
    폴리에틸렌을 밀봉층의 전 질량에 대하여 97.5~100 질량% 포함하는 밀봉층의 적어도 4층으로 이루어지고,
    공압출 수냉식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막되는 산소 흡수 기능을 갖고, 상기 제1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175℃ 이상이고, 상기 밀봉층의 융해 피크 온도와의 차이가 40℃ 이상인 의료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
  2. 탄소수가 11 이상인 락탐의 개환 중합 또는 탄소수가 11 이상인 ω-아미노산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탄소수 10 이상인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이상인 디아민을 공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1층;
    제1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 공중합체를 제2층의 전 질량에 대하여 50~100 질량% 포함하는 제2층;
    제2층에 인접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조성물인 제3층;
    제3층에 인접하여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제4층의 전 질량에 대하여 50~100 질량% 포함하는 제4층;
    폴리에틸렌을 밀봉층의 전 질량에 대하여 97.5~100 질량% 포함하는 밀봉층의 적어도 5층으로 이루어지고,
    공압출 수냉식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막되는 산소 흡수 기능을 갖고, 상기 제1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175℃ 이상이고, 상기 밀봉층의 융해 피크 온도와의 차이가 40℃ 이상인 의료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엔계 중합체 및 천이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조성물 층이 1g당 30cc 이상의 산소를 흡수하며, 상기 혼합 조성물 층의 두께가 5~35%인 의료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이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60~95 질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5~40 질량%의 혼합물인 플라스틱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이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제3층의 전 질량에 대하여 50~100 질량% 포함하는 상기 제3층에 인접하는 층과, 이 층에 인접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층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수액 백 본체에 주출구를 설치한 수액 백.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이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제4층의 전 질량에 대하여 50~100 질량% 포함하는 상기 제4층에 인접하는 층과, 이 층에 인접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층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필름.
KR1020127010736A 2009-11-02 2010-11-02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KR101423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1627 2009-11-02
JPJP-P-2009-251627 2009-11-02
PCT/JP2010/069477 WO2011052776A1 (ja) 2009-11-02 2010-11-02 酸素吸収機能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輸液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592A KR20120070592A (ko) 2012-06-29
KR101423079B1 true KR101423079B1 (ko) 2014-07-24

Family

ID=4392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736A KR101423079B1 (ko) 2009-11-02 2010-11-02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08992B2 (ko)
EP (1) EP2497453B1 (ko)
JP (1) JP5492905B2 (ko)
KR (1) KR101423079B1 (ko)
CN (1) CN102596144B (ko)
AU (1) AU2010312385B2 (ko)
BR (1) BR112012010283A2 (ko)
RU (1) RU2496466C1 (ko)
TW (1) TWI438264B (ko)
WO (1) WO2011052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1733B2 (en) 2012-03-23 2018-01-09 Nxstage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P3536361B1 (en) 2011-03-23 2020-10-07 NxStage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WO2013002071A1 (ja) * 2011-06-27 2013-01-0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多層インジェクション成形体
WO2013002076A1 (ja) * 2011-06-27 2013-01-0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多層シート
JP5954323B2 (ja) * 2011-06-27 2016-07-2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包装容器
JP2013091259A (ja) * 2011-10-26 2013-05-16 Hosokawa Yoko Co Ltd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US10046896B2 (en) 2011-12-15 2018-08-14 Windmöller & Hölscher Kg Film product for packaging products in sealed film packages
CN104334605B (zh) * 2012-05-25 2016-05-04 普立万公司 由环状脂肪族单体制成的除氧共聚物
KR101289691B1 (ko) * 2012-11-22 2013-08-01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포토레지스트 포장용 파우치
CH707854A2 (de) 2013-03-20 2014-09-30 Alpla Werke Extrusionsblasgeformte Tube.
WO2014196594A1 (ja) 2013-06-07 2014-12-11 株式会社細川洋行 輸液バッグ用フィルムと輸液バッグ用フィルムを用いた輸液バッグ
CN109745138A (zh) * 2014-03-20 2019-05-14 厄耳他拉登脱产品股份有限公司 包括牺牲组合物的包装系统
MX2016012935A (es) 2014-04-03 2017-07-14 Baxter Int Incorporated Bolsa de inyeccion y ensamblaje para preparacion de inyecciones.
JP6403999B2 (ja) * 2014-06-05 2018-10-10 株式会社細川洋行 レトルト包装用積層体及び容器
EP3200996A1 (en) * 2014-10-03 2017-08-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ayer food casing or food film
WO2017021496A1 (en) * 2015-08-04 2017-02-09 Dsm Ip Assets B.V. Co-extruded film
CN105504622B (zh) * 2015-12-26 2017-08-25 宿州市逢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丙烯酸树脂输液袋的制备方法
BR112019012629B1 (pt) * 2016-12-29 2022-09-2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Embalagem para produtos alimentícios derramáveis, e, método para prover uma porção de abertura.
ES2959975T3 (es) * 2017-10-10 2024-02-29 Sun Pharmaceutical Ind Ltd Forma de dosificación para infusión intravenosa de pemetrexed
WO2019169081A2 (en) 2018-02-28 2019-09-06 Nxstage Medical, Inc. Fluid preparation and treatmen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274A (ja) * 1995-10-19 1997-04-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の製法
JP2001506200A (ja) * 1997-09-22 2001-05-15 バクスタ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用製品のための多層化ポリマー構造体
JP2004010679A (ja) * 2002-06-04 2004-01-15 Toyo Seikan Kaisha Ltd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多層包装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169A (en) 1978-12-28 1981-03-03 American Can Company Multi-layer barrier film
US4397916A (en) 1980-02-29 1983-08-09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Laminated multilayer structure
JPS56120344A (en) * 1980-02-29 1981-09-21 Mitsui Petrochemical Ind Multilayer laminated structure
JP3716879B2 (ja) * 1996-05-24 2005-11-16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液体容器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US6179823B1 (en) * 1998-01-20 2001-01-30 Bracco Research Usa Multiple use universal connector flexible medical container assembly
DE69821221T2 (de) * 1998-06-20 2004-11-04 Sweco S.A. Mehrschichtiger Kunststoffschlauch mit Sperrschichtstrukturen
US6479160B1 (en) 2001-03-09 2002-11-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ltra high oxygen barrier film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30077466A1 (en) 2001-10-19 2003-04-24 Smith Sidney T. Multilayered polymer structure
JP4335049B2 (ja) * 2004-03-29 2009-09-30 中本パックス株式会社 輸液バッグ用積層フイルム
WO2006043459A1 (ja) 2004-10-18 2006-04-27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医療用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バッグ
JP5231988B2 (ja) * 2005-03-17 2013-07-1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高いホットタック性を有する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用の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マルチブロック共重合体の組成物
JP2007283565A (ja) 2006-04-14 2007-11-0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並びに該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体
JP4853169B2 (ja) 2006-08-10 2012-01-1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体
US20090029079A1 (en) 2007-07-23 2009-01-29 Viskase Companies, Inc. Nylon Food Casing
US8815360B2 (en) * 2007-08-28 2014-08-26 Cryovac, Inc. Multilayer film having passive and active oxygen barrier layers
JP5286779B2 (ja) 2007-12-27 2013-09-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医療用プラスチック製容器用の包装袋
KR101410235B1 (ko) * 2009-10-20 2014-06-20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274A (ja) * 1995-10-19 1997-04-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の製法
JP2001506200A (ja) * 1997-09-22 2001-05-15 バクスタ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用製品のための多層化ポリマー構造体
JP2004010679A (ja) * 2002-06-04 2004-01-15 Toyo Seikan Kaisha Ltd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多層包装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7453A1 (en) 2012-09-12
TW201130955A (en) 2011-09-16
KR20120070592A (ko) 2012-06-29
JPWO2011052776A1 (ja) 2013-03-21
CN102596144A (zh) 2012-07-18
US8708992B2 (en) 2014-04-29
AU2010312385A1 (en) 2012-05-31
TWI438264B (zh) 2014-05-21
WO2011052776A1 (ja) 2011-05-05
US20120215196A1 (en) 2012-08-23
JP5492905B2 (ja) 2014-05-14
EP2497453A4 (en) 2013-11-13
EP2497453B1 (en) 2017-08-30
AU2010312385B2 (en) 2013-12-12
RU2496466C1 (ru) 2013-10-27
CN102596144B (zh) 2015-11-25
BR112012010283A2 (pt)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079B1 (ko) 산소 흡수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KR101410235B1 (ko)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JP7408561B2 (ja) 多層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
CN101795863B (zh) 具有活性氧气阻隔层和铁基氧气清除层的多层薄膜
CA1332051C (en) Package units for medicinal purposes
JP6403999B2 (ja) レトルト包装用積層体及び容器
US8734922B2 (en) Multilayer film for packaging fluid products
KR101195707B1 (ko)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CA2728823A1 (en) Evoh barrier film with reduced autoclave shock
WO2017135450A1 (ja) バリア口栓及びバリア口栓付容器
JP5686531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型容器
WO2017135454A1 (ja) 筒状成型体、バリア口栓、及びバリア口栓付容器
JP2007099767A (ja) ヘパリン注射液製剤
JP2017164297A (ja) 新鮮凍結血漿製剤用血液バッグ
JP2004351669A (ja) 多層構造体および該多層構造体から製造される包装袋
JP2000211067A (ja) 多層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