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08B1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1908B1 KR101421908B1 KR1020137005234A KR20137005234A KR101421908B1 KR 101421908 B1 KR101421908 B1 KR 101421908B1 KR 1020137005234 A KR1020137005234 A KR 1020137005234A KR 20137005234 A KR20137005234 A KR 20137005234A KR 101421908 B1 KR101421908 B1 KR 1014219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tilization
- expansion valve
- opening degree
- refrigerant
- side expan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0
- 238000004781 super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8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5—Outdoor unit expansion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10)는, 열원 유닛(20)과, 이용 유닛(40, 50, 60)과, 제어부(80)를 구비한다. 열원 유닛(20)은 압축 기구(21)와, 적어도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원측 열교환기(23)와, 열원측 팽창 밸브(38)를 갖는다. 이용 유닛(40, 50, 60)은 적어도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이용측 열교환기(42, 52, 62)와, 이용측 팽창 밸브(41, 51, 61)를 갖는다. 제어부(80)는 이용측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38)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2002-39642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팽창 밸브가 직렬로 접속된 냉매 회로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가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실외 유닛에 실외 팽창 밸브가 배치되고, 실내 유닛에 실내 팽창 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이 접속됨으로써 2개의 팽창 밸브가 직렬로 접속되는 냉매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실외 팽창 밸브와 실내 팽창 밸브가 개별로 목표값이 부여되어 제어되고 있어,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감압의 정도는 실외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실내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의 합계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실외 팽창 밸브와 실내 팽창 밸브가 개별로 제어되면, 토탈로 감압되는 압력이 목표값과 같았다고 하더라도, 실외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크고, 실내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작아지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로서 난방 운전 시에 특히, 실내 유닛으로부터 실외 유닛으로 흐르는 액냉매 연락관 내의 냉매가 기액 2상 상태로 되기 쉽다. 게다가, 액냉매 연락관 내의 냉매의 건조도는 운전 상태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이러한 것들에 의해, 액냉매 연락관의 내부를 액냉매로 채우는 것이 어렵고, 난방 운전보다 냉매량을 필요로 하는 냉방 운전 베이스로 냉매량을 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잉여 냉매가 발생해 버린다. 이로 인해, 증발기로 전부 증발시킬 수 없는 냉매가 많아져, 어큐뮬레이터가 작은 경우나 냉매가 과충전 기미를 보일 경우에, 어큐뮬레이터가 오버플로우를 일으켜서 습압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1대의 실외 유닛에 대하여 복수대의 실내 유닛이 접속되는 멀티기의 경우에, 예를 들어 서모 오프 상태의 경우에는 액냉매가 실내 열교환기에 저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내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완전 폐쇄로 하지 않고 미소 개방도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 장치의 경우에, 1대의 실내 유닛의 열부하가 작고 서모 오프 상태이며, 다른 실내 유닛의 열부하가 큰 경우에, 실외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면, 감압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내 유닛의 열부하에 관계없이 모든 실내 팽창 밸브에 있어서 개방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열부하가 상이해도, 실내 유닛의 열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실내 팽창 밸브에 의한 개방도의 차이를 두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이유는, 실내 팽창 밸브의 개체 차이가 원인으로, 실내 팽창 밸브에 의해 실내 팽창 밸브의 개방도와 감압량의 관계에 편차가 있거나, 실내 유닛의 정격 용량의 크기에 따라서 실내 팽창 밸브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하기 때문이며, 실내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미소 개방도 상태나 그것에 가까운 상태(이하, 저개방도 상태라고 함)가 되면, 실내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감압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에 있다. 또한, 저개방도 상태에 있어서는, 단위 펄스 개방도 변화당의 냉매 유량의 변화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감압량의 제어가 어려워지는 것에 있다. 이로 인해, 열부하가 작은 실내 유닛에 대해서도 결과적으로 많은 냉매를 흘려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2개의 팽창 밸브가 직렬로 접속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를 보호하면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열원 유닛과, 이용 유닛과, 제어부를 구비한다. 열원 유닛은, 압축 기구와, 적어도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원측 열교환기와, 열원측 팽창 밸브를 갖는다. 이용 유닛은, 적어도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이용측 열교환기와, 이용측 팽창 밸브를 갖는다. 제어부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따라서,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냉매 회로 내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축기에 습압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용 유닛이 복수대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과의 균형을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흐르는 냉매량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으로 흐르는 냉매량을 요구 부하마다 적합한 비율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과대한 양의 냉매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열원 유닛은 압축 기구의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를 추가로 갖는다.
따라서, 냉매 회로 내에 잉여 냉매가 발생해도 어큐뮬레이터에 저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축 기구에 있어서 액압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난방 운전 시에, 이용측 열교환기의 출구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과냉각도 목표값이 되도록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가 난방 운전 시에 이용측 열교환기의 출구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과냉각 목표값이 되도록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해도,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3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이용 유닛은 복수대 있다. 제어부는 이용 유닛 마다의 요구 부하에 따라서 이용 유닛마다 과냉각도 목표값을 설정한다.
이렇게 이용 유닛이 복수대 있고, 제어부가 난방 운전 시에 이용측 열교환기의 출구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과냉각 목표값이 되도록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 유닛마다 조정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해도,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과의 균형을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을 요구 부하마다 적합한 비율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과대한 양의 냉매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4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용 유닛이 서모 오프 상태인 경우에, 완전 폐쇄 상태로 고정하지 않고 냉매의 유동을 확보하도록 이용측 팽창 밸브를 조정한다.
제5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는 이용 유닛이 서모 오프 상태인 경우에, 완전 폐쇄 상태로 고정하지 않고 냉매의 유동을 확보하도록 이용측 팽창 밸브를 조정하는 제어를 행해도,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조정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완전 폐쇄 상태로 고정하지 않고 냉매의 유동을 확보하도록 이용측 팽창 밸브를 조정하는 제어」란, 예를 들어 이용측 팽창 밸브를 미소 개방도로 조정하는 제어나, 이용측 팽창 밸브를 완전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를 간헐적으로 반복하는 제어 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내 팽창 밸브에 있어서 저개방도 상태가 되면,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감압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 간헐적인 제어에 의해 완전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를 반복하는 제어라도,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감압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특히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감압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이용측 팽창 밸브가 미소 개방도가 되는 경우나 이용측 팽창 밸브가 간헐적인 제어에 의해 완전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요구 부하가 작고 서모 오프 상태인 이용 유닛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과의 균형을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구 부하가 작고 서모 오프 상태인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을 요구 부하마다 적합한 비율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과대한 양의 냉매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4 관점 또는 제5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대표 개방도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따라서, 이용 유닛이 복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가 복수인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6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용 유닛이 복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가 복수인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7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측 팽창 밸브가 속하는 이용 유닛의 사양에 기초하여 이용 유닛마다 보정하고, 복수의 이용 유닛의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용 유닛의 사양이 상이하면,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에 대한 감압량이 상이하다. 즉,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와,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이 비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그대로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를 조정하면,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과는 상이한 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를 조정할 우려가 있다.
제8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측 팽창 밸브가 속하는 이용 유닛의 사양에 기초하여 이용 유닛마다 보정한다. 그리고,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한다. 또한, 여기에 말하는 「이용 유닛의 사양」이란, 예를 들어 소정 조건 하에서 이용 유닛의 정격 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냉매의 유량을 기준으로 한 비유량과,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구경과의 비다.
이와 같이,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 유닛의 사양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대표 개방도와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을 비례 관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유닛의 사양이 상이해도,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에 가까운 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열원측 열교환기에 의한 감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7 관점 또는 제8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측 팽창 밸브가 속하는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에 기초하여 이용 유닛마다 보정하고, 복수의 이용 유닛의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용 유닛이 복수 설치될 경우에, 이용 유닛마다, 예를 들어 이용 유닛으로부터 열원 유닛까지의 냉매 연락관의 배관 길이나 배관 직경이 상이하다. 즉, 이용 유닛마다, 냉매 연락관에 의한 압력 손실이 상이하게 된다.
제9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측 팽창 밸브가 속하는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에 기초하여 이용 유닛마다 보정한다. 그리고,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한다. 또한, 여기에 말하는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이란, 예를 들어 열원 유닛(또는 냉매 연락관의 분지 후)으로부터 이용 유닛까지의 냉매 연락관의 배관 길이 및 배관 직경이다.
이와 같이,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대표 개방도와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을 비례 관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이 상이해도,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에 가까운 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열원측 열교환기에 의한 감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6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평균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용 유닛이 복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가 복수인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6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대표 개방도가 소정 개방도에 가까워지도록,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미리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소정 개방도가 되도록 설정해 둠으로써,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최적이 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관점 내지 제11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운전 상태로부터 추정되는 시스템 냉매량 상태에 따라,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의 목표값을 변동시킨다.
제1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냉매 회로 내의 냉매량인 시스템 냉매량의 상태가, 예를 들어 냉매 회로에 대하여 잉여 경향이 있는지, 부족 경향이 있는지 등의 상태에 따라,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때 기준으로 하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의 목표값을 제어부가 변동시킨다. 예를 들어, 냉매 회로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잉여 경향이 있으면 기준으로 하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의 목표값을 크게 하고, 냉매 회로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부족 경향이 있으면 기준으로 하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의 목표값을 작게 한다.
이로 인해, 냉매 회로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잉여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액냉매 연락관에 있어서의 냉매를 밀도가 큰 액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냉매 연락관의 냉매 보유량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고, 냉매가 잉여인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냉매 회로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부족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액냉매 연락관에 있어서의 냉매가 밀도가 작은 기액 2상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냉매 연락관의 냉매 보유량을 감소시켜서, 감소한 분을 이용측 열교환기 내에 보유시킬 수 있고, 냉매가 부족한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냉매 회로 내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축기에 습압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냉매 회로 내에 잉여 냉매가 발생해도 어큐뮬레이터에 저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축 기구에 있어서 액압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제어부가 난방 운전 시에, 이용측 열교환기의 출구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과냉각 목표값이 되도록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해도,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과의 균형을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을 요구 부하마다 적합한 비율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과대한 양의 냉매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특히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감압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이용측 팽창 밸브가 미소 개방도가 되는 경우나 이용측 팽창 밸브가 간헐적인 제어에 의해 완전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용측 팽창 밸브에 있어서의 요구 부하가 작고 서모 오프 상태인 이용 유닛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과의 균형을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구 부하가 작고 서모 오프 상태인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을 요구 부하마다 적합한 비율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과대한 양의 냉매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이용 유닛이 복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가 복수인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이용 유닛이 복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가 복수인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 유닛의 사양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대표 개방도와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을 비례 관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유닛의 사양이 상이해도,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에 가까운 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열원측 열교환기에 의한 감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대표 개방도와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을 비례 관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이 상이하더라도,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에 가까운 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열원측 열교환기에 의한 감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이용 유닛이 복수 있고, 이용측 팽창 밸브가 복수인 경우에도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미리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소정 개방도가 되도록 설정해 둠으로써, 이용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 열원측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최적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냉매 회로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잉여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액냉매 연락관에 있어서의 냉매를 밀도가 큰 액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냉매 연락관의 냉매 보유량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고, 냉매가 잉여인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냉매 회로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부족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액냉매 연락관에 있어서의 냉매가 밀도가 작은 기액 2상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냉매 연락관의 냉매 보유량을 감소시켜서, 감소한 분을 이용측 열교환기 내에 보유시킬 수 있고, 냉매가 부족한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냉매 회로(11)에 의한 냉동 사이클의 p-h 선도(몰리에르 선도)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냉매 회로(11)에 의한 냉동 사이클의 p-h 선도(몰리에르 선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 및 냉매량 판정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1)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의 개략 구성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 운전을 행함으로써, 빌딩 등의 실내 냉난방에 사용되는 장치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주로 1대의 열원 유닛으로서의 실외 유닛(20)과, 거기에 병렬로 접속된 복수대(본 실시 형태에서는 3대)의 이용 유닛으로서의 실내 유닛(40, 50, 60)과, 실외 유닛(20)과 실내 유닛(40, 50, 60)을 접속하는 냉매 연락관으로서의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증기 압축식의 냉매 회로(11)는 실외 유닛(20)과, 실내 유닛(40, 50, 60)과,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이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1-1) 실내 유닛
실내 유닛(40, 50, 60)은 빌딩 등의 실내의 천장에 매립이나 현수 등에 의해 또는, 실내의 벽면에 벽걸이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실내 유닛(40, 50, 60)은,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개재해서 실외 유닛(20)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 회로(1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실내 유닛(40, 50, 6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내 유닛(40)과 실내 유닛(50, 60)은 마찬가지인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실내 유닛(40)의 구성만 설명하고, 실내 유닛(50, 60)의 구성에 대해서는, 각각 실내 유닛(40)의 각 부를 나타내는 40번대의 부호 대신 50번대 또는 60번대의 부호를 붙이며, 각 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실내 유닛(40)은 주로 냉매 회로(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내측 냉매 회로(11a)(실내 유닛(50)에서는 실내측 냉매 회로(11b), 실내 유닛(60)에서는 실내측 냉매 회로(11c))를 갖고 있다. 이 실내측 냉매 회로(11a)는 주로 팽창 기구로서의 실내 팽창 밸브(41)와, 이용측 열교환기로서의 실내 열교환기(4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기구로서 실내 유닛(40, 50, 60) 각각에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팽창 기구(팽창 밸브를 포함)를 실외 유닛(20)에 설치해도 좋고, 실내 유닛(40, 50, 60)이나 실외 유닛(20)과는 독립된 접속 유닛에 설치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팽창 밸브(41)는 실내측 냉매 회로(11a) 내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 조절 등을 행하기 위해서, 실내 열교환기(42)의 액측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이며, 냉매의 통과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팽창 밸브(41)는 그 개방도를 최대로 한 상태에서 밸브 개방 펄스가 최대인 최대 개방도값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팽창 밸브(41)는 실내 유닛(40)이 서모 오프 상태에 있을 때에, 액냉매가 실내 열교환기에 저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전 폐쇄 상태로 고정하지 않고 냉매의 유동을 확보하도록 미소 개방도로 조정된다. 또한, 여기에 말하는 「미소 개방도 」란, 밸브 개방 펄스가 완전 폐쇄는 되지 않는 저개방도의 최저 소정값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2)는, 전열관과 다수의 휜에 의해 구성된 크로스휜식 휜·앤드·튜브형 열교환기이며,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2)는 크로스핀식의 핀·앤드·튜브형 열교환기인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열교환기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유닛(40)은 유닛 내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에, 공급 공기로서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로서의 실내 팬(43)을 갖고 있다. 실내 팬(4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DC 팬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터(43m)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 팬이나 다익 팬 등이다.
또한, 실내 유닛(40)에는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2)의 액측에는 냉매의 온도(즉,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과냉각 상태의 냉매 온도 Tsc 또는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 Te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를 검출하는 액측 온도 센서(44)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2)의 가스측에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유닛(40)의 실내 공기의 흡입구측에는, 유닛 내에 유입하는 실내 공기의 온도(즉, 실내 온도 Tr)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센서(4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측 온도 센서(44),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 및 실내 온도 센서(46)는 서미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실내 유닛(40)은, 실내 유닛(40)을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측 제어부(47)를 갖고 있다. 실내측 제어부(47)는 실내 유닛(40)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나 메모리(47a) 등을 갖고 있으며, 실내 유닛(40)을 개별로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하거나, 실외 유닛(20) 사이에서 전송선(80a)을 통해서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하기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1-2) 실외 유닛
실외 유닛(20)은 빌딩 등의 실외에 설치되어 있고,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통해서 실내 유닛(40, 50, 60)에 접속되어 있고, 실내 유닛(40, 50, 60)과 함께 냉매 회로(11)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실외 유닛(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외 유닛(20)은 주로 냉매 회로(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외측 냉매 회로(11d)를 갖고 있다. 이 실외측 냉매 회로(11d)는 주로 압축기(21)와, 사방 전환 밸브(22)와, 열원측 열교환기로서의 실외 열교환기(23)와, 팽창 기구로서의 실외 팽창 밸브(38)와, 어큐뮬레이터(24)와, 액측 폐쇄 밸브(26)와, 가스측 폐쇄 밸브(27)를 갖고 있다.
압축기(21)는, 운전 용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압축기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버터에 의해 회전 수가 제어되는 모터(21m)에 의해 구동되는 용적식 압축기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축기(21)는 1대뿐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 유닛의 접속 대수 등에 따라, 2대 이상의 압축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며, 냉방 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23)를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또한 실내 열교환기(42, 52, 62)를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응축되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함과 함께 압축기(21)의 흡입측(구체적으로는, 어큐뮬레이터(24))과 가스 냉매 연락관(72)측을 접속하고(냉방 운전 상태: 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실선을 참조), 난방 운전 시에는 실내 열교환기(42, 52, 62)를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또한 실외 열교환기(23)를 실내 열교환기(42, 52, 62)에 있어서 응축되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 압축기(21)의 토출측과 가스 냉매 연락관(72)측을 접속함과 함께 압축기(21)의 흡입측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난방 운전 상태: 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파선을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23)는 크로스휜식의 휜·앤드·튜브형 열교환기이며, 공기를 열원으로 해서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기기다. 실외 열교환기(23)는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다. 실외 열교환기(23)는 그 가스측이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고, 그 액측이 실외 팽창 밸브(3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23)는 크로스휜식의 휜·앤드·튜브형 열교환기인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열교환기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외 팽창 밸브(38)는 실외측 냉매 회로(11d) 내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이나 유량 등의 조절을 행하기 위해서, 냉방 운전을 행할 때의 냉매 회로(11)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23)의 하류측에 배치된(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실외 열교환기(23)의 액측에 접속되어 있음) 전동 팽창 밸브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외 유닛(20)은 유닛 내에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에,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로서의 실외 팬(28)을 갖고 있다. 이 실외 팬(28)은 실외 열교환기(23)에 공급하는 공기의 풍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팬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DC 팬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터(28m)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 팬 등이다.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외부의 기기·배관(구체적으로는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과의 접속구에 설치된 밸브다. 액측 폐쇄 밸브(26)는 냉방 운전을 행할 때의 냉매 회로(11)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실외 팽창 밸브(38)의 하류측이며 액냉매 연락관(71)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냉매의 통과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20)에는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외 유닛(20)에는 압축기(21)의 흡입 압력을 검출하는 흡입 압력 센서(29)와, 압축기(21)의 토출 압력을 검출하는 토출 압력 센서(30)와, 압축기(21)의 흡입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온도 센서(31)와, 압축기(21)의 토출 온도를 검출하는 토출 온도 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유닛(20)의 실외 공기의 흡입구측에는, 유닛 내에 유입하는 실외 공기의 온도(즉,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 센서(3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입 온도 센서(31), 토출 온도 센서(32) 및 실외 온도 센서(36)는 서미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실외 유닛(20)은 실외 유닛(20)을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측 제어부(37)를 갖고 있다. 실외측 제어부(3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유닛(20)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 메모리(37a)나 모터(21m)를 제어하는 인버터 회로 등을 갖고 있으며, 실내 유닛(40, 50, 60)의 실내측 제어부(47, 57, 67) 사이에서 전송선(80a)을 통해서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실내측 제어부(47, 57, 67)와 실외측 제어부(37)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선(80a)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0) 전체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운전 제어부(80)가 구성되어 있다.
운전 제어부(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센서(29 내지 32, 36, 39, 44 내지 46, 54 내지 56, 64 내지 66)의 검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접속됨과 함께, 이들의 검출 신호 등에 기초하여 각종 기기 및 밸브(21, 22, 28, 38, 41, 43, 51, 53, 61, 63)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운전 제어부(80)를 구성하는 메모리(37a, 47a, 57a, 67a)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제어 블록도이다.
(1-3) 냉매 연락관
냉매 연락관(71, 72)은 공기 조화 장치(10)를 빌딩 등의 설치 장소에 설치할 때, 현지에서 시공되는 냉매관이며, 설치 장소나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과의 조합 등의 설치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나 관경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신규로 공기 조화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공기 조화 장치(10)에 대하여 냉매 연락관(71, 72)의 길이나 관경 등의 설치 조건에 따른 적정한 양의 냉매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내측 냉매 회로(11a, 11b, 11c)와, 실외측 냉매 회로(11d)와, 냉매 연락관(71, 72)이 접속되어,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매 회로(1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내측 제어부(47, 57, 67)와 실외측 제어부(37)로 구성되는 운전 제어부(80)에 의해, 사방 전환 밸브(22)에 의해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전환해서 운전을 행함과 함께, 각 실내 유닛(40, 50, 60)의 운전 부하에 따라, 실외 유닛(20) 및 실내 유닛(40, 50, 60)의 각 기기의 제어를 행하게 되어 있다.
(2)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하기의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있어서, 이용자가 리모콘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해 설정하고 있는 설정 온도 Ts에 실내 온도 Tr을 가깝게 하는 실내 온도 최적 제어를, 각 실내 유닛(40, 50, 60)에 대해 행하고 있다. 이 실내 온도 최적 제어에서는 설정 온도 Ts에, 실내 온도 Tr이 수렴하도록,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의 조정」이란, 냉방 운전의 경우에는 각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의 과열도의 제어이며, 난방 운전의 경우에는 각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의 과냉각도의 제어다.
(2-1) 냉방 운전
우선, 냉방 운전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냉방 운전 시에는, 사방 전환 밸브(22)가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내지는 상태, 즉, 압축기(21)의 토출측이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에 접속되고,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이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거쳐서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실외 팽창 밸브(38)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는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즉,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가 목표 과열도 SHt로 일정해지도록 개방도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목표 과열도 SHt는, 소정의 과열도 범위의 내에서 실내 온도 Tr이 설정 온도 Ts에 수렴하기 위해서 최적인 온도값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는,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액측 온도 센서(44, 54, 64)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증발 온도 Te에 대응)을 차감함으로써 검출된다. 단, 각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는, 상술한 방법으로 검출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흡입 압력 센서(29)에 의해 검출되는 압축기(21)의 흡입 압력을 증발 온도 Te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값으로 환산하여,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을 차감함으로써 검출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용하지 않고 있지만, 각 실내 열교환기(42, 52, 62)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값을,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차감함으로써, 각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냉매 회로(11)의 상태에서, 압축기(21), 실외 팬(28) 및 실내 팬(43, 53, 63)을 운전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그 후, 고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해서 실외 열교환기(23)에 보내지고, 실외 팬(28)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해서 응축하여 고압의 액냉매가 된다. 그리고, 이 고압의 액냉매는, 액측 폐쇄 밸브(26) 및 액냉매 연락관(71)을 경유하여, 실내 유닛(40, 50, 60)에 보내진다.
이 실내 유닛(40, 50, 60)에 보내진 고압의 액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해 압축기(21)의 흡입 압력 가까이까지 감압되어서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가 되어 실내 열교환기(42, 52, 62)에 보내지고, 실내 열교환기(42, 52, 62)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해서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이 저압의 가스 냉매는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경유해서 실외 유닛(20)에 보내지고,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한 저압의 가스 냉매는 다시 압축기(21)에 흡입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3)를 압축기(21)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또한 실내 열교환기(42, 52, 62)를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응축된 후에 액냉매 연락관(71) 및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통해서 보내지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는 냉방 운전을 적어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냉매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모든 실내 열교환기(42, 52, 62)에 있어서의 증발 압력 Pe가 공통의 압력이 된다.
(2-2) 난방 운전
이어서, 난방 운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난방 운전 시에는, 사방 전환 밸브(22)가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내지는 상태(난방 운전 상태), 즉, 압축기(21)의 토출측이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거쳐서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접속되면서,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이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실외 팽창 밸브(38)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유입하는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증발시키는 것이 가능한 압력(즉, 증발 압력 Pe)까지 감압하기 위해서 개방도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는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가 목표 과냉각도 SCt로 일정해지도록 개방도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목표 과냉각도 SCt는, 그때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특정되는 과냉각도 범위 내에서 실내 온도 Tr이 설정 온도 Ts에 수렴하기 위해서 최적인 온도값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는 토출 압력 센서(30)에 의해 검출되는 압축기(21)의 토출 압력 Pd를 응축 온도 Tc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값으로 환산하고,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으로부터 액측 온도 센서(44, 54, 64)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 Tsc를 차감함으로써 검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용하지 않고 있지만 각 실내 열교환기(42, 52, 62)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응축 온도 Tc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값을, 액측 온도 센서(44, 54, 64)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 Tsc로부터 차감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냉매 회로(11)의 상태에서, 압축기(21), 실외 팬(28) 및 실내 팬(43, 53, 63)을 운전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어 압축되어서,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사방 전환 밸브(22),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경유하여 실내 유닛(40, 50, 60)에 보내진다.
그리고, 실내 유닛(40, 50, 60)에 보내진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2, 52, 62)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해서 고압의 액냉매가 된 후,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통과할 때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밸브 개방도에 따라서 감압된다.
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통과한 냉매는, 액냉매 연락관(71)을 경유해서 실외 유닛(20)에 보내지고, 액측 폐쇄 밸브(26) 및 실외 팽창 밸브(38)를 경유해서 더 감압된 후에, 실외 열교환기(23)에 유입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23)에 유입한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 팬(28)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해서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해서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한 저압의 가스 냉매는, 다시 압축기(21)에 흡입된다.
(2-3) 팽창 밸브 연동 제어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 운전 제어부(80)가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를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대표 개방도에 기초해서 조정하는 팽창 밸브 연동 제어를 행한다. 운전 제어부(80)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대표 개방도로서,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내에서 최대 개방도가 되고 있는 실내 팽창 밸브의 개방도(이하, 피채용 팽창 밸브 개방도라고 함)를 채용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운전 제어부(80)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내에서 최대 개방도가 되고 있는 실내 팽창 밸브에 의한 감압량이 감압 후에도 액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 예를 들어 0.2㎫(감압량 0.2㎫에 대응해서 설정되는 밸브 개방 펄스의 목표 소정값)가 되도록,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이때,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가 목표 과냉각도 SCt로 일정해지도록 개방도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즉,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있어서의 감압량을 0.2㎫로 일정하게 하면서, 실내 열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가 목표 과냉각도 SCt로 일정해지도록, 각각의 팽창 밸브(38, 41, 51, 61)를 개방도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 공기 조화 장치(10)에 있어서의 냉동 사이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매 회로(11)에 있어서의 냉동 사이클을 p-h 선도(몰리에르 선도)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 B, C, D 및 E는, 난방 운전인 경우의 도 1에 있어서의 각각의 점에 대응한 냉매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냉매 회로(11)에서 냉매는,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이면서, 또한 고압 Ph가 된다(A→B). 그리고,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되어서 고온이면서, 또한 고압Ph인 가스 냉매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의해 방열되어서 저온이면서 또한 고압 Ph의 액냉매가 된다(B→C).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방열한 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해 고압 Ph로부터 중간압 Pm으로 감압된다(C→D). 이때의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해 감압되는 감압량이 0.2㎫로 설정되어 있고, 도 2와 같이 D에 있어서 냉매는 액상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로부터 실외 팽창 밸브(38)까지 사이의 액냉매 연락관(71)을 액냉매로 채울 수 있다. 그리고, 중간압 Pm까지 감압된 냉매는, 실외 유닛(20)에 유입해 실외 팽창 밸브(38)에 의해 중간압 Pm으로부터 저압 Pl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로 된다(D→E). 기액 2상 상태로 된 냉매는,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열을 흡수하고, 증발해서 압축기(21)로 복귀된다(E→A).
(3) 특징
(3-1)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대표 개방도를, 소정 개방도로서의 밸브 개방 펄스가 목표 소정값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한 감압량이 감압 후에도 액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 예를 들어 0.2㎫가 되도록,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있다.
따라서, 실외 팽창 밸브(38)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액냉매 연락관(71) 내부의 냉매의 상태를 기액 2상 상태로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냉매 회로(11) 내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축기(21)에 습압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한 감압량과, 실외 팽창 밸브(38)에 의한 감압량과의 밸런스를, 실내 팽창 밸브(41, 51, 61) 중 대표 개방도가 일정해지도록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와 실외 팽창 밸브(38) 사이에 중간압 Pm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중간압 Pm을 조정할 수 있다.
(3-2)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유닛(40, 50, 60)이 복수대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부(80)는, 대표 개방도로서 실내 팽창 밸브(41, 51, 61) 중 최대 개방도를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유닛(40, 50, 60)이 서모 오프 상태인 경우에,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는 밸브 개방 펄스가 최저 소정값의 미소 개방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외 팽창 밸브(38)에 의한 감압량을,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한 감압량에 기초해서 조정한다.
예를 들어 실내 유닛(40)의 요구 부하가 작아서 서모 오프 상태로 되어 있고, 실내 팽창 밸브(41)의 개방도가 미소 개방도로 되어 있어, 실내 유닛(50)의 요구 부하가 정격 용량의 100%를 발휘하고 있는 것과 같은 큰 경우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실내측 제어부(47, 57, 67)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하고, 대표 개방도에 기초하여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와 실외 팽창 밸브(38)에 의한 감압량 내에서 0.2㎫의 감압량을,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한 감압량으로서 확보할 수 있다. 즉,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한 감압량이 극단적으로 적은 감압량으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구 부하가 작은 실내 유닛(40)의 실내 팽창 밸브(41)의 개방도와, 요구 부하가 큰 실내 유닛(50)의 실내 팽창 밸브(51)의 개방도를, 각각의 요구 부하마다 적합한 비율로 할 수 있다. 즉,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과 요구 부하가 큰 이용 유닛으로 흐르게 하는 냉매량을 요구 부하마다 적합한 비율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요구 부하가 작은 이용 유닛으로 과대한 양의 냉매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3-3)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 실외 유닛(20)은, 압축기(21)의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24)를 갖는다.
따라서, 운전 조건에 의해 냉매 회로(11) 내에 잉여 냉매가 발생해도 어큐뮬레이터(24)에 저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축기(21)에 있어서 액압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변형예
(4-1)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하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값을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하기 위해서,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실내 유닛의 사양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보정 후의 개방도(보정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실내 유닛의 사양」이란, 소정 조건 하에서 실내 유닛(40, 50, 60)의 정격 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냉매의 유량을 기준으로 한 비유량과, 실내 유닛(40)의 실내 팽창 밸브(41)의 구경과의 비다. 즉, 실내 유닛(40)의 비유량이 1이면, 실내 유닛(40)은 정격 능력을 100% 발휘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고, 실내 유닛(40)의 비유량이 0.6이면, 실내 유닛(40)은 정격 능력을 60% 발휘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때에 검출되는 실내 팽창 밸브(41)의 개방도를, 비유량이 1이고 감압량이 0.2㎫가 되는 실내 팽창 밸브(41)의 개방도에 의해 나눈 값을 보정의 개방도(이하, 보정 개방도)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실내 유닛(40)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실내 유닛(50, 6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내 유닛(40, 50, 60)의 사양 데이터는, 실내측 제어부의 메모리(47a, 57a, 67a)에 저장되고,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의 보정은 실내측 제어부(47, 57, 67)에 의해 행해진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의 보정은, 실외측 제어부(37)가 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실내 유닛(40, 50, 60)의 사양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있기 때문에, 보정 개방도와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을 비례 관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유닛의 사양이 상이해도,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에 가까운 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열원측 열교환기에 의한 감압량을 조정할 수 있다.
(4-2)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하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값을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하기 위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실내 유닛의 설치 조건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보정 후의 개방도(보정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 말하는 「실내 유닛의 설치 조건」이란, 실외 유닛(20)으로부터 각 실내 유닛(40, 50, 60)까지의 냉매 연락관(71, 72)의 배관 길이 및 배관 직경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때에 검출되는 실내 팽창 밸브(41)의 개방도를 비유량이 1이고, 실외 유닛(20)으로부터 실내 유닛(40)까지의 냉매 연락관에 의한 압력 손실을 고려한 감압량이 0.2㎫가 되는 실내 팽창 밸브(41)의 개방도에 의해 나눈 값을 보정의 개방도(이하, 보정 개방도)로 한다. 예를 들어, 비유량이 1이며, 실외 유닛(20)으로부터 실내 유닛(40)까지의 냉매 연락관(71, 72)의 압력 손실이 0.10㎫이며, 실외 유닛(20)으로부터 실내 유닛(60)까지의 냉매 연락관(71, 72)의 압력 손실이 0.02㎫일 경우를 생각한다. 실내 유닛(40)에서는, 냉매 연락관(71, 72)의 압력 손실이 0.10㎫이기 때문에, 실외 유닛(20)으로부터 실내 유닛(40)까지의 냉매 연락관(71, 72)을 포함한 실내 유닛(40)에 있어서의 감압량을 0.2㎫로 하기 위해서, 0.2㎫로부터 0.1㎫를 감한 0.1㎫에 대응하는 개방도로 보정한다. 또한, 실내 유닛(60)에서는 냉매 연락관(71, 72)의 압력 손실이 0.02㎫이기 때문에, 실외 유닛(20)으로부터 실내 유닛(60)까지의 냉매 연락관(71, 72)을 포함한 실내 유닛(60)에 있어서의 감압량을 0.2㎫로 하기 위해서, 0.2㎫로부터 0.02㎫를 감한 0.18㎫에 대응하는 개방도로 보정한다. 이렇게 각 실내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보정함으로써, 실제로는 0.2㎫의 감압량이 되도록 실내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실내 유닛(40)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실내 유닛(50, 6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실외 유닛(20)으로부터 실내 유닛(40)까지의 냉매 연락관에 대해서 고려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냉매 연락관(71, 72)으로부터, 실외 유닛(20)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실내 유닛인 실내 유닛(60)으로 분기되는 분기점(F, G)(도 1 참조)으로부터, 각 실내 유닛(40, 50, 60)까지의 냉매 연락관(71, 72)에 대해서 고려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변형예 2에 의한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의 보정은 변형예 1과 병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실내 유닛(40, 50, 60)의 설치 조건에 기초해서 보정하고 있기 때문에, 보정 개방도와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을 비례 관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유닛의 사양이 상이해도, 실제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감압량에 가까운 값에 기초하여,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열원측 열교환기에 의한 감압량을 조정할 수 있다.
(4-3)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는, 액냉매가 실내 열교환기에 저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전 폐쇄 상태로 고정하지 않고 냉매의 유동을 확보하도록 미소 개방도로 조정되지만,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미소 개방도로 조정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완전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를 간헐적으로 반복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냉매의 유동을 확보하도록 해도 좋다.
(4-4)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한 감압량을 0.2㎫로 하기 위해, 그 개방도를 밸브 개방 펄스가 고정값인 목표 소정값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외기 온도에 기초해서 보정하도록 해도 좋다.
(4-5) 변형예 5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제어부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평균 개방도를 대표 개방도로서 채용해도 좋다.
(4-6) 변형예 6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냉매 회로(11)에 대하여 잉여 경향이 있는지, 부족 경향이 있는지 등의 상태(시스템 냉매량의 상태)에 따라,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를 조정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대표 개방도의 목표값을, 운전 제어부(80)가 변동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회로(11)에 대하여 시스템 냉매량의 상태가 잉여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 제어의 기준이 되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대표 개방도의 목표값을 크게 하고, 냉매 회로(11)에 대하여 시스템 냉매량의 상태가 부족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실외 팽창 밸브(38)의 개방도 제어의 기준이 되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대표 개방도의 목표값을 작게 한다.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냉매 회로(11)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잉여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액냉매 연락관(71)에 있어서의 냉매를 밀도가 큰 액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냉매 연락관(71)의 냉매 보유량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고, 냉매가 잉여인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냉매 회로(11)에 대하여 냉매량의 상태가 부족 경향이 있을 경우에는, 액냉매 연락관(71)에 있어서의 냉매가 밀도가 작은 기액 2상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냉매 연락관(71)의 냉매 보유량을 감소시키고, 감소한 분을 이용측 열교환기 내에 보유시킬 수 있고, 냉매가 부족한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10: 공기 조화 장치
20: 실외 유닛(열원 유닛)
21: 압축기(압축 기구)
23: 실외 열교환기(열원측 열교환기)
24: 어큐뮬레이터
38: 실외 팽창 밸브(열원측 팽창 밸브)
41, 51, 61: 실내 팽창 밸브(이용측 팽창 밸브)
42, 52, 62: 실내 유닛(이용 유닛)
80: 운전 제어부(제어부)
20: 실외 유닛(열원 유닛)
21: 압축기(압축 기구)
23: 실외 열교환기(열원측 열교환기)
24: 어큐뮬레이터
38: 실외 팽창 밸브(열원측 팽창 밸브)
41, 51, 61: 실내 팽창 밸브(이용측 팽창 밸브)
42, 52, 62: 실내 유닛(이용 유닛)
80: 운전 제어부(제어부)
Claims (12)
- 압축 기구(21)와, 적어도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원측 열교환기(23)와, 열원측 팽창 밸브(38)를 갖는 열원 유닛(20)과,
적어도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이용측 열교환기(42, 52, 62)와, 이용측 팽창 밸브(41, 51, 61)를 갖는 이용 유닛(40, 50, 60)과,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고,
상기 열원 유닛은 상기 압축 기구의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24)를 추가로 갖고,
상기 이용 유닛(40, 50, 60)은 복수대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 유닛마다의 요구 부하에 따라서 상기 이용 유닛마다 상기 과냉각도 목표값을 설정하고,
난방 운전 시에, 상기 이용측 열교환기의 출구에 있어서의 과냉각도가 상기 이용 유닛마다에 설정된 상기 과냉각도 목표값이 되도록, 또한 상기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대표 개방도가 소정 개방도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용 유닛의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함과 함께, 상기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공기 조화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 유닛이 서모 오프 상태인 경우에, 완전 폐쇄 상태로 고정하지 않고 냉매의 유동을 확보하도록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를 조정하는,
공기 조화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상기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1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가 속하는 상기 이용 유닛의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유닛마다 보정하고, 상기 복수의 이용 유닛의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상기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10).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가 속하는 상기 이용 유닛의 설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유닛마다 보정하고, 상기 복수의 이용 유닛의 보정 후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 중 최대 개방도를 상기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용 유닛의 이용측 팽창 밸브의 평균 개방도를 상기 대표 개방도로서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10).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 상태로부터 추정되는 시스템 냉매량 상태에 따라, 상기 열원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상기 이용측 팽창 밸브의 개방도의 목표값을 변동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73612 | 2010-08-02 | ||
JP2010173612A JP4968373B2 (ja) | 2010-08-02 | 2010-08-02 | 空気調和装置 |
PCT/JP2011/066533 WO2012017829A1 (ja) | 2010-08-02 | 2011-07-21 | 空気調和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1284A KR20130041284A (ko) | 2013-04-24 |
KR101421908B1 true KR101421908B1 (ko) | 2014-07-22 |
Family
ID=4555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5234A KR101421908B1 (ko) | 2010-08-02 | 2011-07-21 | 공기 조화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8966919B2 (ko) |
EP (1) | EP2602573B1 (ko) |
JP (1) | JP4968373B2 (ko) |
KR (1) | KR101421908B1 (ko) |
CN (1) | CN103038584B (ko) |
AU (1) | AU2011286893B2 (ko) |
BR (1) | BR112013002731B1 (ko) |
ES (1) | ES2786099T3 (ko) |
WO (1) | WO20120178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362678B1 (en) * | 2010-02-24 | 2017-07-26 | GN Audio A/S | A headset system with microphone for ambient sounds |
JP5594267B2 (ja) * | 2011-09-12 | 2014-09-2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装置 |
JP5573881B2 (ja) * | 2012-04-16 | 2014-08-2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5987479B2 (ja) * | 2012-05-31 | 2016-09-0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
JP6000053B2 (ja) * | 2012-10-15 | 2016-09-28 |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 空気調和機 |
WO2014118953A1 (ja) * | 2013-01-31 | 2014-08-07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制御方法 |
JP2014190554A (ja) * | 2013-03-26 | 2014-10-06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 |
WO2014155545A1 (ja) * | 2013-03-27 | 2014-10-02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6155824B2 (ja) * | 2013-05-08 | 2017-07-0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JP5979112B2 (ja) * | 2013-09-30 | 2016-08-2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装置 |
US10563877B2 (en) * | 2015-04-30 | 2020-02-18 | Daikin Industries, Ltd. | Air conditioner |
US11460230B2 (en) * | 2015-10-20 | 2022-10-04 | Danfoss A/S | Method for controlling a vapour compression system with a variable receiver pressure setpoint |
JP6460073B2 (ja) * | 2016-09-30 | 2019-01-3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CN106595141B (zh) * | 2016-12-12 | 2019-12-27 | 重庆美的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 一种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和装置以及制冷系统 |
GB2579961B (en) * | 2017-09-15 | 2021-07-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conditioning apparatus |
JP6880204B2 (ja) * | 2017-09-15 | 2021-06-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CN108131803A (zh) * | 2017-12-18 | 2018-06-08 |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 多联机空调的控制方法 |
JP6819756B2 (ja) * | 2018-09-27 | 2021-01-2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及び管理装置 |
CN109899931A (zh) * | 2019-03-12 | 2019-06-18 |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 多联机系统能效优化的控制方法和装置 |
CN113959051B (zh) * | 2021-10-08 | 2023-08-15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9087B2 (ja) * | 1988-07-11 | 1995-07-2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
JPH08247565A (ja) * | 1995-03-07 | 1996-09-27 | Daikin Ind Ltd | ヒートポンプマルチシステム |
JPH09210491A (ja) * | 1996-02-01 | 1997-08-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多室型空気調和装置 |
JP2000146261A (ja) * | 1999-01-01 | 2000-05-26 | Hitachi Ltd | 空気調和機 |
JP7069087B2 (ja) * | 2019-06-25 | 2022-05-17 | 株式会社クボタ | 走行経路生成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65803B2 (ja) * | 1994-03-18 | 2002-03-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多室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
JP3861451B2 (ja) * | 1998-04-20 | 2006-12-20 | 株式会社デンソー | 超臨界冷凍サイクル |
JP4089139B2 (ja) | 2000-07-26 | 2008-05-2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3757967B2 (ja) * | 2003-08-25 | 2006-03-2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装置 |
KR20060034109A (ko) * | 2004-10-18 | 2006-04-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JP5125124B2 (ja) * | 2007-01-31 | 2013-01-2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装置 |
JP5200593B2 (ja) * | 2008-03-13 | 2013-06-05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
2010
- 2010-08-02 JP JP2010173612A patent/JP4968373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7-21 CN CN201180037620.7A patent/CN103038584B/zh active Active
- 2011-07-21 EP EP11814459.1A patent/EP2602573B1/en active Active
- 2011-07-21 KR KR1020137005234A patent/KR1014219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7-21 ES ES11814459T patent/ES2786099T3/es active Active
- 2011-07-21 BR BR112013002731-2A patent/BR112013002731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1-07-21 AU AU2011286893A patent/AU2011286893B2/en active Active
- 2011-07-21 US US13/812,762 patent/US8966919B2/en active Active
- 2011-07-21 WO PCT/JP2011/066533 patent/WO201201782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9087B2 (ja) * | 1988-07-11 | 1995-07-2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
JPH08247565A (ja) * | 1995-03-07 | 1996-09-27 | Daikin Ind Ltd | ヒートポンプマルチシステム |
JPH09210491A (ja) * | 1996-02-01 | 1997-08-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多室型空気調和装置 |
JP2000146261A (ja) * | 1999-01-01 | 2000-05-26 | Hitachi Ltd | 空気調和機 |
JP7069087B2 (ja) * | 2019-06-25 | 2022-05-17 | 株式会社クボタ | 走行経路生成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038584A (zh) | 2013-04-10 |
KR20130041284A (ko) | 2013-04-24 |
JP2012032108A (ja) | 2012-02-16 |
BR112013002731A2 (pt) | 2016-05-31 |
US20130118197A1 (en) | 2013-05-16 |
JP4968373B2 (ja) | 2012-07-04 |
EP2602573B1 (en) | 2020-02-12 |
CN103038584B (zh) | 2015-01-07 |
EP2602573A1 (en) | 2013-06-12 |
BR112013002731B1 (pt) | 2021-01-05 |
US8966919B2 (en) | 2015-03-03 |
EP2602573A4 (en) | 2014-01-08 |
AU2011286893B2 (en) | 2014-04-03 |
AU2011286893A1 (en) | 2013-03-21 |
ES2786099T3 (es) | 2020-10-08 |
WO2012017829A1 (ja) | 2012-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1908B1 (ko) | 공기 조화 장치 | |
AU2016202855B2 (en) | Refrigeration apparatus | |
US9995517B2 (en) |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 |
US8919139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US10107533B2 (en) | 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subcooling heat exchanger | |
US8578725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refrigerant quantity determination method | |
CN107683393B (zh) | 空调装置 | |
JP5979112B2 (ja) | 冷凍装置 | |
CN112840164B (zh) | 空调装置和管理装置 | |
EP3236168A1 (en) | Air conditioning device | |
JP5900464B2 (ja) |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制御方法 | |
JP6846915B2 (ja) | 多室型空気調和機 | |
JP5708421B2 (ja) | 冷凍装置 | |
JP6537629B2 (ja) | 空気調和装置 | |
JP5884422B2 (ja) | 冷凍装置 | |
JP2015090226A (ja) |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