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545B1 -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545B1
KR101421545B1 KR1020080060208A KR20080060208A KR101421545B1 KR 101421545 B1 KR101421545 B1 KR 101421545B1 KR 1020080060208 A KR1020080060208 A KR 1020080060208A KR 20080060208 A KR20080060208 A KR 20080060208A KR 101421545 B1 KR101421545 B1 KR 10142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field
condition
information
detec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78A (ko
Inventor
마모루 스즈키
요시히토 이시바시
후미오 구보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1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정보처리 방법은,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상기 수신부로 접속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부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에 접속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60208
정보처리 장치, 자계 신호, 자계 변화, 스위칭 제어 수단, 조건 판정 수단

Description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non-contact IC card device}
본 발명은 2007년 8월 2일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 번호 JP 2007-201592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에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집적회로(IC칩)와 내장된 안테나를 가지며, 판독기/입력기 등의 다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비접촉 IC카드가 존재한다. 이 비접촉 IC카드는, 소형이고 휴대성이 양호하고, 또 IC칩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신뢰성도 높고, 예를 들면 ID카드, 신용 카드, 포인트 카드 등과 같이, 인증이나 결제를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이 비접촉 IC카드의 표면에 소형의 표시 기기를 마련하여 IC칩이 보관 유지하고 있는 정보, 예를 들면, ID정보, 잔고 정보, 또는 이력 정보와 같은 정보 가 표시 기기에 표시되어, 카드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도 생각되고 있다(예를 들면, 미심사된 일본특허 번호 2003-208582호 참조).
이 때, 내부에 전지를 전원으로서 제공함으로써, 비접촉 IC카드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임의의 타이밍에서 IC칩내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표시 기기에 표시시킬 수 있다. 즉, 비접촉 IC카드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표시 기기의 표시 내용을 갱신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 내용을 갱신시켜도, 메모리가 기억하는 정보가 갱신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 내용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갱신 처리가 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불필요한 갱신 처리에 의해, 소비 전력을 증대시켜, 전지의 구동 가능 시간을 저감시키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표시 내용 갱신 처리에 의한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키며,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판독 수단에 접속시키는 정보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건은, 상기 검출 결과가 되는, 검출된 상기 자계 변화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고 그 후에, 상기 임계치보다 작아지는 것으로 설정된다.
상기 조건은, 상기 검출 결과가 되는, 검출된 상기 자계 변화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임계치보다 작아지는 것으로 설정된다.
정보처리 장치는, 정보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 수단과, 상기 보관 유지 수단에 보관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보관 유지 정보 갱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정보처리 장치는,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보관 유지 수단에 의해 보관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화상 정보를 갱신하는 표시 갱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정보처리 장치는,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에,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판독 수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시간 측정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될 때에는,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킨다.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상기 자계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자계 변화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자계 변화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상기 자계 변화가 발생했다고 판정될 경우에,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킨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 따르면,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상기 수신부로 접속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부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에 접속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에 따르면,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된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기를 가지며, 안테나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전자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시키며,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과,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표시 기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비접촉 IC카드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서는,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가 검출되며,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판정되며,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가 상기 수신부로 접속되며,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에서는,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가 검출되며,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가 판정되며,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메모리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전자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시키며,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가,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판독되어 표시 기기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표시 기능부를 가지는 기기에서, 불필요한 표시 내용 갱신 처리에 의한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전에, 본 발명의 특징들과, 명세세와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들 간의 대응 관계가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지지하는 실시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어느 특징과 관련이 없는 것을 기재되어 있더라도, 그것은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이 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더라도, 그것은,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관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 따르면,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루프 안테나(113))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EEPROM(121))과,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자계 센서(114))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조건 판정부(131))와,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스위칭부(예를 들면, 도 1의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정보 판독부(134))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키며,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판독 수단에 접속시키는 정보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비접촉 IC카드(100))가 제공된다.
정보처리 장치는, 정보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EEPROM(122))과, 상기 보관 유지 수단에 보관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보관 유지 정보 갱신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정보처리 장치는,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표시 기기(116))과, 상기 보관 유지 수단에 의해 보관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화상 정보를 갱신하는 표시 갱신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표시 갱신부(136))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정보처리 장치는,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시간 측정부(133))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판독 수단에 접속시키며, 상기 시간 측정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될 때에,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킬 수 있다.
정보처리 장치는,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상기 자계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자계 변화 판정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자계 변화 판정부(231))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자계 변화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상기 자계 변화가 발생했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 의하면,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예를 들면, 도 1의 루프 안테나)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고(예를 들면, 도 4의 스텝(S3)),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고(예를 들면, 도 4의 스텝(S4)),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 억부(예를 들면, 도 1의 EEPROM(121))를 상기 수신부에 접속하며(예를 들면, 도 4의 스텝(S1)),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부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예를 들면, 도 1의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하는(예를 들면, 도 4의 스텝(S6))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에 의하면, 다른 기기(예를 들면, 도 1의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된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예를 들면, 도 1의 루프 안테나(113))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예를 들면, 도 1의 EEPROM(121))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기(예를 들면, 도 1의 표시 기기(116))를 구비하는 비접촉 IC카드 기기(예를 들면, 도 1의 비접촉 IC카드(100))가 제공되며, 상기 안테나 근방에 있어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자계 센서(114))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조건 판정부(131))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전자 스위치(예를 들면, 도 1의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시키며,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과,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표시 기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정보 판독부(134) 및 표시 갱신부(136))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접촉 IC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비접촉 IC카드(100)는, 집적회로(IC칩)와 안테나를 내장하고, 판독기/입력기 등의 다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카드 형태의 기기이며, IC칩에 보관 유지되는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 기능도 가지는 표시 기능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IC카드이다. 이 비접촉 IC카드(200)는, 소형이고 휴대성이 양호하고, 또 IC칩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신뢰성도 높고, 예를 들면 ID카드, 신용 카드, 포인트 카드 등과 같이, 인증과 결제를 위해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IC카드(100)는, 비접촉 IC카드부(111), 전자 스위치(112), 루프 안테나(113), 자계 센서(114), 표시 제어부(115), 표시 기기(116) 및 전원 공급부(117)를 가진다.
비접촉 IC카드부(111)는, 소위 비접촉 IC카드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처리나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이다. 통상의 경우, 비접촉 IC카드부(111)는, 카드 내부에 반도체 집적회로(IC칩)로서 설치된다. 비접촉 IC카드부(111)는, 기억부로서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121)을 내장하고 있으며,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되어 루프 안테나(113)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EEPROM(121)에 기억한다. 비접촉 IC카드부(111)는, 또, 판독기/입력기(101) 또는 표시 제어부(115)로부터의 요청에 근거하여,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요청 발송지로 공급한다.
전자 스위치(112)는,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신호 입출력 단자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스위치 회로이다. 전자 스위치(112)는, 한편의 단자를 다른 두 개의 단자들중 어느 한 단자에 접속되는 3단자 스위치이며, 비접촉 IC카드부(111)를, 루프 안테나(113) 또는 표시 제어부(115)의 어느 쪽에 접속시킨다. 이 전자 스위치(112)의 동작은 표시 제어부(115)에 의해 제어된다. 즉, 비접촉 IC 카드부(111)의 신호 입출력 단자의 접속처는, 표시 제어부(115)의 제어에 근거하여 교체된다.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신호 입출력 단자를 적어도 루프 안테나(113)와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시킬 수 있다면, 전자 스위치(112)는 어떠한 스위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다만, 구성이 보다 단순하면, 회로 규모도 작고, 또, 제어도 용이하게 되므로,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루프 안테나(113)는,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서 구성된다. 루프 안테나(113)는, 비접촉 IC카드(100)에 근접된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에 의해 발생되는 루프의 내부 자계 변화를 자계 신호로서 검출하여 수신한다. 루프 안테나(113)는, 수신한 자계 신호를, 전자 스위치(112)를 통해 비접촉 IC카드부(111)에 공급한다.
자계 센서(114)는, 루프 안테나(113)의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한다. 자계 센서(114)는, 검출 결과를 표시 제어부(115)에 공급한다. 자계 센서(114)는,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괜찮다. 다만, 자계 센서(114)는, 판독기 /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되는 자계 신호의 검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자계 신호의 수신 능력, 즉, 자계 변화의 검출 능력은, 루프 안테나(113)에 근사화하거나 또는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계 센서(114)가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되는 자계 신호에 의한 자계 변화보다 작은 자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면, 자계 센서(114)의 감도가 너무 높아지므로, 불필요한 자계 변화, 즉 자계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아닌 자계 변화도 검출해 버릴 우려가 있다. 반대로, 자계 센서(114)의 감도가 저하되어 자계 센서(114)가, 루프 안테나(113)에 의해 자계 신호로서 수신되는 자계 변화보다 큰 자계 변화 만을 검출하게 되면, 자계 신호에 의한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자계 센서(114)의 감도는, 루프 안테나(113)의 감도에 근사화시키거나 또는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계 신호 수신 조건을 금지하게 하기 위해서, 자계 센서(114)가 루프 안테나(113)의 근방에 제공되고, 자계 센서(114)는 루프 안테나의 구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루프 안테나(113)에 대해서 절연 및 중첩 되도록 배치되며, 루프 안테나(113)와 동일한 형상의 코일을 자계 센서(114)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괜찮다.
표시 기기(11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또는 전자 페이퍼와 같은 문자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소형의 표시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 기기(116)는, 어떠한 것이어도 괜찮지만, 카드형 기기에 탑재 가능할 수 있도록, 작고, 얇고, 그리고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능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정보량을 표시 가능할 수 있도록 고정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개발비, 제조 코스트 및 소비 전력 등은 가능한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117)는, 비접촉 IC카드부(111), 전자 스위치(112), 표시 제어부 (115) 및 표시 기기와 같은 비접촉 IC카드(100)에 내장되는 각 부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 전원 공급을 실시한다.
표시 제어부(115)는, 표시 기기(116)에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처리부이다. 표시 제어부(115)는, 전자 스위치(112)를 통해 비접촉 IC카드부(111)로부터,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혹은 그 정보로부터 작성된 정보)를 표시 기기(116)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115)는, 자계 센서(114)로부터 공급되는 자계 변화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한다. 즉, 표시 제어부(115)는, 자계 센서(114)로부터 취득한 검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비접촉 IC카드부(111)를 루프 안테나(113)로부터 분리하고,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시킨다. 이 제어에 의해, 비접촉 IC카드(100)는, 판독기/입력기(101)와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지만, 표시 제어부(115)는, 비접촉 IC카드부(111)와 접속되므로, 비접촉 IC카드부(111)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반대로, 자계 센서(114)로부터 취득한 검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표시 제어부(115)는, 상기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비접촉 IC카드부(111)를 표시 제어부(115)로부터 분리하여 루프 안테나(113)에 접속시킨다. 이 경우, 비접촉 IC카드(100)는 판독기/입력기(101)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표시 제어부(115)는, 비접촉 IC카드부(111)와의 접속이 단절되므로, 비접촉 IC카드부(111)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또, 표시 제어부(115)는, 보관 유지부로서의 EEPROM(122)을 가지고 있다. 표시 제어부(115)는, 비접촉 IC카드부(111)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EEPROM(122)에 보관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제어부(115)는, 비접촉 IC카드부(111)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임의의 타이밍에 표시 기기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2는, 표시 제어부(115)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15)는, 조건 판정부(131),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 시간 측정부(133), 정보 판독부(134),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 및 표시 갱신부(136)를 가진다.
조건 판정부(131)는, 자계 센서(114)로부터 공급되는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처리부이다. 이 조건의 내용은 임의적이다. 조건 판정부(131)는, 검출 결과가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갱신되었다고 판정하고,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를 제어하며, 전자 스위치(112)를 동작시켜 비접촉 IC카드부(111)를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시키는 것과 동시에, 정보 판독부(134)로 하여금 EEPROM(121)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조건 판정부(131)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비접촉 IC카드부(111)(즉, EEPROM(121))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처리부이다. 조건 판정부(131)에 의해서,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했다고 판정될 경우,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루프 안테나(113)로부터 표시 제어부(115)로 전환하게 한다. 즉,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전자 스위치(112)를 전환하여, 비접촉 IC카드(100)의 동작 모드를, 비접촉 IC카드가 외부의 판독기/입력기(101)와의 통신을 실시하며,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공급된 정보를 EEPROM(121)에 기억하는 통상 모드로부터,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모드로 전환한다.
시간 측정부(133)는,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처리부이다. 시간 측정부(133)는,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가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여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루프 안테나(113)로부터 표시 제어부(115)로 전환한 후에 경과한 시간을, 소정의 방법으로 계측하고,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에 그 내용을 통지한다. 그 통지를 받는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여 비접촉 IC카드부(111)(EEPROM(121))의 접속 목적지를, 표시 제어부(115)로부터 루프 안테나(113)로 전환한다. 즉,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비접촉 IC카드(100)의 동작 모드를 판독 모드로 전환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 동작 모드를 원래의 통상 모드로 되돌린다.
이상과 같이,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조건 판정부(131)의 판정 결과 및 시간 측정부(133)의 시간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비접촉 IC카드(100)의 동작 모드를 바꿀 수 있다. 즉, 이용자 등에 의한 지시와 같은 동작 모드의 스위칭(정보 표시)에 관한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비접촉 IC카드(100)의 편리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시간 측정부(133)의 시간 측정 방법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에 진동하는 진동자를 내장하고, 그 진동자에 근거하여 시간 측정을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고, 외부로부터 동기 신호를 취득하여, 그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시간 측정을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고, 그 외의 방법으로 시간 측정을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시간 측정부(133)가 시간 측정하는 시간(판독 모드의 시간)도 임의적이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 판독부(134)는 이 판독 모드 동안에 EEPROM(121)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므로, 판독 모드의 시간은 이 정보의 판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에 대해서 충분히 긴 시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판독 모드의 시간을 길게 하면, 통상 모드로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판독 모드의 시간을 길게 하면, 비접촉 IC카드로서의 편리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정보 판독부(134)는, 전자 스위치(112)에 의해 비접촉 IC카드부(111)가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되면,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해서 EEPROM(121)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의 판독을 요구한다. 이 판독 요구의 방법은 임의적이며, 전용의 판독 명령을 제공해도 좋지만, 예를 들면, 판독기/입력기(101)가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해서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요구할 때와 같은 제어 명령을 이용하도록 하면, 비접촉 IC카드부(111)의 개발이 용이하게 된다.
정보 판독부(134)가,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가운데, 모두 또는 임의의 일부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해도 괜찮고, 특정의 정보, 또는, 특정의 주소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만 요구할 수 있도록 해도 괜찮다. 게다가, 정보 누설이나 데이터 갱신 등의 억제를 위해서, 정보 판독부(134)가 정보의 판독을 요구할 때에, 소정의 패스워드나 인증 ID 등을 필요로 하도록 해도 괜찮다.
비접촉 IC카드부(111)는, 정보 판독부(134)로부터 정보 판독 요구를 취득하면, EEPROM(121)으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판독하여, 정보 판독부(134)에 공급한다.정보 판독부(134)는, 정보를 취득하면, 그 정보를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에 공급한다.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는, 정보 판독부(134)에 의해 EEPROM(121)으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한다.정보 갱신의 방법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는, 정보 판독부(134)에 의해 EEPROM(121)으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에 오버라이트하거나, 혹은 추가적으로 기입할 수 있으므로,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한다. 또, 예를 들면,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가, 정보 판독부(134)에 의해 EEPROM(121)으로부터 판독된 정보와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실시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새로운 정보를 EEPROM(122)에 보관 유지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표시 갱신부(136)는,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에 의해 EEPROM(122)의 정보가 갱신되면 EEPROM(122)으로부터 그 갱신된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 혹은, 그 정보로부터 생성된 다른 정보를 표시 기기(116)에 표시시킨다. 즉, 표시 갱신부(136)는, EEPROM(122)이 보관 유지하는 정보가 갱신되면, 그 갱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기기(116)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 이에 의해, 표시 기기(116)는, EEPROM(122)이 보관 유지하는 최신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표시 제어부(115)는,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부(131), 조건 판정부(131)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비접촉 IC카드부(111)(EEPROM(121))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는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 및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판독부(134)를 갖춘다. 또, 표시 제어부(115)는,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부(133)를 추가로 갖출 수 있다. 게다가, 표시 제어부(115)는 정보를 보관 유지하는 EEPROM(122)과,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정보 판독부(134)에 의해 EEPROM(121)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를 추가로 갖출 수 있다. 또, 표시 제어부(115)는,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기기(116)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갱신하는 표시 갱신부(136)를 추가로 갖출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와 전자 스위치(112)의 스위칭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파형(151)은, 조건 판정부(131)가 취득한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자계 센서(114)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과 [비검출]의 두개의 값들중 한 개의 값을 이용하여 나타내며, 그 값을 검출 결과로서 출력한다. 즉, 자계 센서(114)는, 자계 변화의 크기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며, 자계 변화의 크기가 그 임계치 이상인 경우(혹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자계 변화를 검출했다고 판정하고, [검출]을 나타내는 값을 검출 결과로서 조건 판정부(131)에 출력한다. 또, 자계 변화의 크기가 임계치보다 작는 경우(혹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자계 변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며, [비검출]을 나타내는 값을 검출 결과로서 조건 판정부(131)에 출력한다. 이 임계치의 값은 임의적이다. 다만, 자계 센서(114)는, EEPROM(121)의 정보가 갱신된 것을 검출하는 것, 즉, 루프 안테나(113)가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것을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오류 검출이나 검출 누락을 억제하기 위해서, 임계치의 값은, 비접촉 IC카드부(111)에서, 루프 안테나(113)내에서 발생한 자계 변화가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 발생되었다고 판정될 때에 사용되는 임계치의 값과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 안테나(113)가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면, 검출 결과는 [비검출]로부터 [검출]로 바뀐다. 그 후, 비접촉 IC카드부(111)와 판독기/입력기(101)의 사이에 통신이 개시되므로, 검출 결과는 [검출] 상태가 계속된다. EEPROM(121)의 갱신이 종료하여, 통신이 종료하면, 루프 안테나(113)의 자계 변화가 중지되므로, 검출 결과는 [검출]로부터 [비검출]로 돌아온다.
예를 들면, 도 3의 예의 경우,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는, 파형(151)과 같이, 시각(t1에서 [비검출]로부터 [검출]에 변화하고, 게다가 그 후, 시각(t2에서 [비검출]로 돌아오고 있다. 조건 판정부(131)는, 이와 같이, 검출 결과가 [비검출]로부터 [검출]로 변화하여, [비검출]로 돌아오도록 변화하는 것을 [소정의 조건]이라고 하며, 이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EEPROM(121)의 갱신을 하고 그리고 그 갱신이 종료했다고 판정한다.
조건 판정부(131)가,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하면,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며,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루프 안테나(113)로부터 표시 제어부(115)로 전환한다. 그리고, 정보 판독부(134)는, 정보의 판독을 개시하고, 시간 측정부(133)는,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재차,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며,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표시 제어부(115)로부터 루프 안테나(113)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예의 경우, 시각(t2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전자 스위치(112)는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파형(152)과 같이, 시각(t3에서 루프 안테나(113)로부터 표시 제어부(115)로 전환한다. 그 후, 정보 판독부(134)에 의한 정보의 판독을 하는 경우에, 시간 측정부(133)가 화살표(162)에 의해 도시된 소정의 시간을 계측하며, 전자 스위치(112)는, 시각(t4에서,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표시 제어부(115)로부터 루프 안테나(113)로 전환한다.
이 때에, 조건 판정부(131)는, 오류 검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검출]상태의 시간을 계측하고(예를 들면 시간 측정부(133)에 계측된 시간 구간을 가진다.), [검 출]상태가 소정의 시간 이상 계속했을 경우에만 "조건을 만족한다"라고 판정한다.예를 들면, 도 3의 예의 경우, 시각(t1로부터 시각(t2까지의 시간, 즉, 화살표(161)에 의해 나타나는 시간이 소정 시간 또는 그 이상이 되며, "조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처럼, 자계 변화가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자계 변화이면, 그 후 통신이 실행되므로, 소정 시간 동안 [검출]상태가 계속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여, 조건 판정부(131)는, [검출]상태의 시간 구간을 이용하게 되므로,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의 신호 이외의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순간적인 자계 변화의 오류 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조건 판정부(131)가 판정하는 조건의 내용은 임의이며, 상술한 이외의 것이어도 물론 좋다. 예를 들면,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를 3치 이상의 복수치로 표현하며, 그 검출 결과로 표시되며, 루프 안테나(113)의 근방에서 발생한 자계 변화의 파형을 특정할 수 있으며, 파형이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의 신호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표시 제어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한다.
표시 제어 처리가 개시되면, 표시 제어부(115)의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스텝(S1)에서,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비접촉 IC카드부(111)를 루프 안테나(113)에 접속시킨다. 스텝(S2)에서, 표시 제어부(115)는, 표시 제어 처리를 종료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 처리를 스 텝(S3)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 자계 센서(114)는, 루프 안테나(113)의 근방의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조건 판정부(131)에 공급한다.
조건 판정부(131)는, 스텝(S4)에서, 그 검출 결과의 판정을 실시하고, 스텝(S5)에서, 그 검출 결과에 대해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처리를 스텝(S1)으로 되돌리며,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S5)에서, 검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조건 판정부(131)는, 처리를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6)에서,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며, 비접촉 IC카드부(111)를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시킨다.
조건이 만족되어 졌다고 판정한 후에, 조건 판정부(131)는, 스텝(S7)에서, 정보 판독부(134)로 하여금 접속된 비접촉 IC카드부(111)의 EEPROM(121)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 판독 처리를 개시시킨다. 정보 판독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가 교체되면, 시간 측정부(133)는, 스텝(S8)에서 시간 측정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S9)에서, 시간 측정부(133)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정하고, 경과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시간 측정부(133)는, 처리를 스텝(S1)으로 돌아가게 하고,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에 의해 전자 스위치(112)가 제어되어,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가 루프 안테나(113)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스텝(S1 - S9)의 처리가 반복되어, EEPROM(121)의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정보의 판독을 한다. 그리고, 스텝(S2)에서 표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표시 제어부(115)는, 표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정보 판독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한다.
도 4의 스텝(S7)에서, 정보 판독 처리가 개시되면, 정보 판독부(134)는, 스텝(S21)에서,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판독 명령을, 비접촉 IC카드부(111)에 공급한다. 비접촉 IC카드부(111)는, 그 요구에 따라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그 읽어낸 정보를 표시 제어부(115)에 공급한다. 정보 판독부(134)는, 스텝(S22)에서, 그 판독 명령에 대한 응답, 즉, EEPROM(121)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취득한다.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는, 스텝(S23)에서, 정보 판독부(134)가 취득한 정보, 즉, EEPROM(121)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한다. 스텝(S24)에서, 표시 갱신부(136)는, 갱신한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기기(116)의 표시를 갱신한다. 스텝(S24)의 처리가 종료하면, 정보 판독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표시 제어부(115)는, 자계 센서(114)로 하여금 루프 안테나(113)의 근방의 자계 변화를 검출시키고,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갱신되었는를 판정하고,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에만,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비접촉 IC카드부(111)를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시켜,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낸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115)는,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한 불필요한 액세스를 억제하여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전지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실시하는 기기의 경우,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전지 교환 작업, 또는, 충전 작업의 간격의 장기화 및 이러한 작업 회수의 감소에 의해, 기기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한 불필요한 액세스의 억제에 의해, 표시 제어부(115)는 표시 기기(116)의 표시 내용의 불필요한 갱신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 제어부(115)는, EEPROM(121)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EEPROM(122)에 보관 유지하며, 그 EEPROM(12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기기(116)의 표시 내용의 갱신을 실시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표시 기기(116)가 정기적으로 표시 내용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도, 비접촉 IC 카드부(111)에 대한 불필요한 액세스를 억제하여,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비접촉 IC카드(100)의 구성은, 상술한 내용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기기(116)로서 전자 페이퍼와 같이 표시 내용을 보관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15)의 EEPROM(122)을 생략해도,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한 불필요한 액세스를 억제하여,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비접촉 IC카드부(111)로서 현재 보급되어 있는 표시 기능을 갖지 않는 비접촉 IC카드내에 내장된 IC칩을 이용하도록 해도 괜찮다. 도 6은, 그 경우의 비접촉 IC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즉, 도 6의 예에 대 해서는, 비접촉 IC카드부(111)로서 현재 보급되어 있는 표시 기능을 갖지 않는 비접촉 IC카드가 내장된 IC칩을 이용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보급되어 있는 비접촉 IC카드의 IC칩의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실시된다. 따라서, 전원 공급부(117)는, 비접촉 IC카드부(11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표시 제어부(115) 및 표시 기기(116)에만 전력을 공급한다.
루프 안테나(113)는, 콘덴서(211)와 병렬적으로, 대향하는 단자들이, 비접촉 IC카드부(1 11)의 신호 입출력 단자인 CP단자와 클락 추출 단자인 CM단자에 접속된다. CP단자에는, 전자 스위치(112)를 통해 접속된다. 비접촉 IC카드부(111)의 내부에서, CP단자에는, 콘덴서(201), 저항(202, 203)의 각각의 한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201) 및 저항(202)의 각각의 다른 단자는, 각각 접지 되어 있다. 저항(203)의 다른 단자에는, 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조절기(204)가 접속되어 있다. 조절기(204)의 다른 단자에는 CPU 등에 의해 구성되는 IC카드 제어부(210)가 접속된다.
CP단자에는 CP단자로부터 입력된 변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07)의 입력 단자와 저항(206)이 접속된다. 복조부(207)의 출력 단자는 IC카드 제어부(210)에 접속된다. 저항(206)의 다른 단자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205)의 드레인이 접속된다. FET(205)의 소스는 접지 되어 있으며, 게이트에는, IC카드 제어부(210)가 접속된다.
CM단자에는 다이오드(208)와 클락 추출부(209)의 입력 단자가 접속된다. 다이오드의 다른 단자는 접지 되어 있으며, 클락 추출부(209)의 출력 단자는 IC카드 제어부(210)에 접속된다. IC카드 제어부(210)는, 비접촉 IC카드(100)가, 비접촉 IC카드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처리나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IC카드 제어부(210)는, EEPROM(121)을 내장하고 있다.
이 때, 루프 안테나(113)와 같이, 자계 센서(114)에는 병렬적으로 콘덴서(2 12)가 설치된다. 도 6은 편의상, 루프 안테나(113)와 자계 센서(114)를 가지런히 배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자계 센서(114)는, 루프 안테나(11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루프 안테나(113)에 중첩되어서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언급된 도 6의 경우에서는, 도 1의 경우와 같이, 자계 센서(114)가 루프 안테나(113) 근방의 자계 변화를 검출항 사실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표시 내용 갱신 처리에 의한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도 6의 경우, 비접촉 IC카드부(111)에는 전원 공급부(117)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접촉 IC카드부(111)에 액세스 할 때, 표시 제어부(115)는, 비접촉 IC카드부(111)가 전원 전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IC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와 같은 신호)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한 불필요한 액세스를 감소시킴으로써,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한 전력 공급이 보다 저감되므로,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한층 더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현재 보급되어 있는 비접촉 IC카드의 IC칩을 이용하여, 비접촉 IC 카드(100)의 개발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성 외에도,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115)에 의해 비접촉 IC카 드부(111)가 액세스되는 동안에,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액세스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의 액세스를 우선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EEPROM(121)의 정보의 표시는, IC카드로서의 처리 결과를 표시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통상의 경우, 표시에 다소의 지연이 발생해도 실용상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판독기/입력기(101)와의 통신은, 비접촉 IC카드(100)와 판독기/입력기(101)가 근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만 행해지지만, 통상의 경우, 이 통신 가능한 상태(위치)의 장시간 유지는 곤란하며, 이 통신 처리 시간의 증대는, 이용자의 작업시간의 증대로 연결되어, 비접촉 IC카드(100)의 편리성의 저하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즉, 비접촉 IC 카드(100)와 판독기/입력기(101)의 통신은, 즉시성(immediacy)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이, EEPROM(121)이 보관 유지하는 정보의 표시에 비해, 비접촉 IC카드(100)와 판독기/입력기(101)의 통신에 대해 더욱 높은 우선도가 부여된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115)로부터 비접촉 IC카드부(111)에 대한 액세스 동안에,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의 액세스가 있었을 때에,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의 액세스를 우선적으로 실행하여, 비접촉 IC카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 경우에 표시 제어부(115)가 가지는 기능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에서, 표시 제어부(115)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자계 변화 판정부(231)를 가진다.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가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여 비접촉 IC카드부(111)를 표시 제어부(115)에 접속시키는 동안에, 자계 센 서(114)의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루프 안테나(113) 근방에서 자계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한다. 즉,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가 [비검출]로부터 [검출]로 바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검출 결과가 [검출]이 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그 취지를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에 통지한다.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이 통지에 근거하여,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시간 측정부(133)에 의한 시간 측정 결과를 수신하기 전에,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루프 안테나(113)로 되돌리게 한다. 이에 의해, 비접촉 IC카드부(111)는, 판독기/입력기(101)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검출 결과가 [검출]이 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정보 판독부(134),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 및 표시 갱신부(136)를 제어하며, 도 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정보 판독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 때의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와 전자 스위치(112)의 스위칭의 관계를, 도 8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나는 파형(251)과 같이,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가 시각(t1에서는 [비검출]로부터 [검출]로 바뀌며, 시간(261)이 경과후 시각(t2에서, 검출 결과가 [검출]로부터 [비검출]로 바뀌면, 조건 판정부(131)는 EEPROM(121)의 정보가 갱신되었다고 판정한다. 그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가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여, 파형(2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3에서, 비 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루프 안테나(113)로부터 표시 제어부(115)로 전환한다. 이 때, 정보 판독부(134)에 의해,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판독이 개시된다.
또, 이 때,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의 관측을 개시한다. 시각(t4에서, 검출 결과가 [비검출]로부터 [검출]로 바뀌면,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자계 변화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그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며, 시각(t3)으로부터 시간(262)이 경과한 시각(t5)에서,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표시 제어부(115)로부터 루프 안테나(113)로 전환한다. 또, 이 때, 정보 판독 처리가 강제 종료되는 것과 동시에, 비접촉 IC카드부(111)와 판독기/입력기(101)의 통신이 개시된다.
그 후에, 시각(t4)으로부터 시간(263)이 경과한 시각(t6)에서, 판독기/입력기(101)와 비접촉 IC카드부(111)의 통신이 종료되면,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는, [검출]로부터 [비검출]로 바뀐다. 이 변화에 의해, 조건 판정부(131)는, 시각(t4)에 있어서의 변화와 시각(t6)에 있어서의 변화에 의해, 재차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시각(t7)에서,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루프 안테나(113)로부터 표시 제어부(115)로 전환한다.
이 때, 정보 판독부(134)에 의해,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판독이 재차 개시되며, 게다가 자계 변화 판정부(231)에 의해,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의 관측이 재차 개시된다. 이 후, 자계 변화 판정부(231)에 의해, 자계 변화의 발생이 검출되지 않고, 시간(264)이 경과하면, 시간 측정부(133)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을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에 통지한다.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이 통지에 근거하여, 시각(t8)에서, 비접촉 IC카드부(111)의 접속처를 표시 제어부(115)로부터 루프 안테나(113)로 전환한다.
이 때의 표시 제어 처리의 흐름의 예를 도 9의 플로차트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15)의 각 부 및 자계 센서(114)는, 스텝(S41 내지 S49)의 각 처리를, 도 4의 스텝(S1 내지 S9)의 각 처리와 같게 실시한다.
그 후에, 스텝(S49)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 시간 측정부(133)는, 처리를 스텝(S50)으로 진행시킨다. 스텝(S50)에서,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했는를 판정하고,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 처리를 스텝(S49)으로 되돌려,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S50)에서, 자계의 변화를 검출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처리를 스텝(S51)으로 진행하여 정보 판독부(134), 보관 유지 데이터 갱신부(135) 및 표시 갱신부(136)를 제어하고, 정보 판독 처리를 강제적으로 종료시킨다. 스텝(S51)의 처리를 종료하면, 자계 변화 판정부(231)는, 처리를 스텝(S41)으로 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전자 스위치 제어부(132)는, 전자 스위치(112)를 제어하고, 비접촉 IC카드부(111)를 재차 루프 안테나(113)에 접속시킨다(스텝(S41)).
이상과 같이, 표시 제어부(115)는, EEPROM(12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표시 보다는, 판독기/입력기(101)과의 통신을 우선적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비접촉 IC카드(100)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비접촉 IC카드(100)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비접촉 IC카드외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0에 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비접촉 통신 기기(300)는, 다른 기기인 판독기/입력기(101)와 비접촉 통신을 실시하는 기기이다. 비접촉 통신 기기(300)는, 그 판독기/입력기(101)와의 통신에 의해서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301), 갱신된 데이터를 보관 유지하는 데이터 보관 유지부(302),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되는 자계 신호를 검출하는 자계 센서부(303), 및 자계 센서부(303)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판독기/입력기(101)로부터 송신된 자계 신호에 의해서 데이터 보관 유지부(302)에 보관 유지되어 있는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만, 데이터 보관 유지부(302)로부터 그 정보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304)를 가진다.
비접촉 통신 기기(300)는 이러한 기능을 가지므로, 불필요한 정보 판독에 의한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판독된 정보는, 표시의 갱신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여도 괜찮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각 기능을 가지는 기기이면, 어떠한 기기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 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된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에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정보처리 장치 등에 대해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설치된다.
이 기록 매체는,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이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전달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flexible disk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학 자기 디스크(MD(Mini-Disc)(등록상표)를 포함한다), 혹은 반도체 메모리 리모트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이용자에게 전달되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EEPROM(121)이나 EEPROM(122) 등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들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되며,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한 개의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구조는 복수의 장치로 분할하여 구성하도록 해도 괜찮다. 반대로, 복수의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구조들은 한 개의 장치 통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외의 구성들은 물론 각 장치에 부가되어도 좋다. 게다가 시스템 전체적으로 구성이나 동작이 실질적으로 같으면, 어느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장치의 구성에 포함하도록 해도 괜찮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대해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접촉 IC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제어부(115)가 가지는 기능의 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와 전자 스위치(112)의 스위칭의 관계의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표시 제어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정보 판독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접촉 IC카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제어부(115)가 가지는 기능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
도 8은, 자계 센서(114)의 검출 결과와 전자 스위치(112)의 스위칭의 관계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표시 제어 처리의 흐름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접촉 통신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Claims (11)

  1.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키며,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판독 수단에 접속시키는 정보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검출 결과가 되는, 검출된 상기 자계 변화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고 그 후에, 상기 임계치보다 작아지는 것이 되는 정보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검출 결과가 되는, 검출된 상기 자계 변화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임계치보다 작아지게 되는 정보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정보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 수단과,
    상기 보관 유지 수단에 보관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보관 유지 정보 갱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정보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보관 유지 수단에 의해 보관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화상 정보를 갱신하는 표시 갱신 수단을 추가 로 구비하는 정보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에,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판독 수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시간 측정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될 때에는,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키는 정보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상기 자계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자계 변화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상기 자계 변화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 수단 근방에서 상기 자계 변화가 발생했다고 판정될 경우에,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시키는 정보처리 장치.
  8. 정보처리 방법에 있어서,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스텝 과,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상기 수신부로 접속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부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에 접속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
  9.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된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기를 구비하는 비접촉 IC카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조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전자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시키며,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과,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표시 기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비접촉 IC카드 기기.
  10.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수신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부와,
    상기 조건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부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조건 판정부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조건 판정부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 부를 상기 수신부에 접속시키며,
    상기 조건 판정부에 의해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억부를 상기 판독부에 접속시키는 정보처리 장치.
  11.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된 자계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자계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기를 구비하는 비접촉 IC카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근방에서 발생하는 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조건 판정부와,
    상기 조건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의 접속처를 변경하는 전자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에 접속시키며,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메모리를,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상기 안테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표시 기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비접촉 IC카드 기기.
KR1020080060208A 2007-08-02 2008-06-25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 KR101421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1592 2007-08-02
JP2007201592A JP4437560B2 (ja) 2007-08-02 2007-08-02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非接触icカード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78A KR20090013678A (ko) 2009-02-05
KR101421545B1 true KR101421545B1 (ko) 2014-07-18

Family

ID=4033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208A KR101421545B1 (ko) 2007-08-02 2008-06-25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11322B2 (ko)
JP (1) JP4437560B2 (ko)
KR (1) KR101421545B1 (ko)
CN (1) CN101359362B (ko)
TW (1) TWI4217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1207A4 (en) * 2005-06-29 2009-10-28 Panasonic Corp MOBILE END UNIT WITH NON-CONTACT CHIP CARD
JP5067613B2 (ja) * 2007-08-07 2012-11-0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非接触icカードデバイス
EP2194490A1 (fr) * 2008-11-28 2010-06-09 Gemalto SA Objet portable intelligent comportant des données de personnalisation graphique
JP5310077B2 (ja) * 2009-02-23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65472B2 (ja) * 2009-07-08 2013-08-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cカード
CN101751598A (zh) * 2010-03-24 2010-06-23 罗小迪 可直接人卡交互ic卡
JP5510249B2 (ja) * 2010-09-29 2014-06-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icカードの発行方法、表示機能付きicカードの表示方法、及び表示機能付きicカード
JP2012118613A (ja) * 2010-11-29 2012-06-21 Toppan Forms Co Ltd 情報表示装置
JP5710395B2 (ja) * 2011-06-21 2015-04-30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
CN103064643A (zh) * 2011-10-20 2013-04-24 李策 显示非接触式ic卡上信息的方法
JP5957970B2 (ja) * 2012-03-05 2016-07-27 凸版印刷株式会社 非接触通信媒体
JP2014109973A (ja) * 2012-12-04 2014-06-12 Toppan Printing Co Ltd 通信媒体
US9436941B1 (en) * 2015-02-18 2016-09-06 Calay Venture S.à.r.l. Smart payment instruments
TWM558939U (zh) * 2017-12-18 2018-04-21 Beautiful Card Corp 具交易顯示之可攜式卡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891A (ja) 2001-02-08 2002-08-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ータ表示機能付き無線タグ
JP2007188413A (ja) 2006-01-16 2007-07-26 Kyodo Printing Co Ltd Icカード
KR20080005145A (ko) * 2006-07-06 2008-01-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219B2 (ja) * 1985-07-03 1996-12-25 日本エルエスアイカード 株式会社 非接触方式による記憶基板とリ−ド・ライト装置間の書込み・読取り方法
JPH0259937A (ja) * 1988-08-26 1990-02-28 Hitachi Maxell Ltd Icカード
US6045042A (en) * 1989-10-24 2000-04-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on-contact IC card having multiple receivers with different signal detection threshholds for minimizing current consumption
EP0492358A1 (en) * 1990-12-21 1992-07-01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Electronic terminal and method for encoding magnetic strip and IC data cards
JP3600266B2 (ja) * 1994-04-08 2004-12-1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非接触icカード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DE29804324U1 (de) * 1998-03-11 1998-05-28 Cubit Electronics Gmbh Vorrichtung zum Lesen und Beschreiben eines Transponders
US6267291B1 (en) * 1999-06-21 2001-07-31 Lincoln Global, Inc. Coded and electronically tagged welding wire
WO2002007385A1 (fr) * 2000-07-13 2002-01-24 Fujitsu Limited Dispositif de commande de surveillance
JP2003208582A (ja) 2002-01-11 2003-07-25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機能付icカード
JP4058300B2 (ja) * 2002-06-21 2008-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情報装置
JP2004214994A (ja) * 2002-12-27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機器及び通信機器
JP2004272356A (ja) 2003-03-05 2004-09-30 Seiko Epson Corp 表示情報管理システム、非接触識別タグ、情報管理装置、非接触識別タグ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管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4401119B2 (ja) * 2003-08-27 2010-01-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cカード処理装置
JP2005293485A (ja) 2004-04-05 2005-10-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cタグ
US7230537B2 (en) * 2004-04-15 2007-06-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using IC tag units, and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WI263932B (en) * 2004-10-13 2006-10-11 Chung Hsin Electric & Machiner Wireless display device
JP2006195891A (ja) * 2005-01-17 2006-07-27 Fuji Xerox Co Ltd 情報検知装置および方法
US20070200680A1 (en) * 2005-05-06 2007-08-30 Colby Steven M Transaction Card Including Switchable RFID Tag
JP4867300B2 (ja) 2005-11-09 2012-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cカード
JP4814640B2 (ja) * 2006-01-27 2011-11-16 富士通株式会社 Rfidリーダライタ
TW200719239A (en) * 2006-03-29 2007-05-16 Beedar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universal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ensing system
JP2008084185A (ja) * 2006-09-28 2008-04-10 Fuji Xerox Co Ltd 情報配信装置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5148251B2 (ja) * 2007-11-19 2013-02-20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Icカード、情報処理装置、通信方式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28697A (ja) * 2010-12-16 2012-07-05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891A (ja) 2001-02-08 2002-08-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ータ表示機能付き無線タグ
JP2007188413A (ja) 2006-01-16 2007-07-26 Kyodo Printing Co Ltd Icカード
KR20080005145A (ko) * 2006-07-06 2008-01-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42902B2 (en) 2014-06-03
KR20090013678A (ko) 2009-02-05
JP2009037444A (ja) 2009-02-19
TW200907821A (en) 2009-02-16
US20090033488A1 (en) 2009-02-05
US20110193689A1 (en) 2011-08-11
JP4437560B2 (ja) 2010-03-24
TWI421773B (zh) 2014-01-01
CN101359362A (zh) 2009-02-04
CN101359362B (zh) 2012-06-20
US7911322B2 (en)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545B1 (ko)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비접촉 ic카드 기기
US8384559B2 (en) Sensor device with flexible interface and updatable information store
CN102799331B (zh) 参数设置装置、参数设置方法和触摸式显示装置
JP4438679B2 (ja) 無線タグ、無線タグ読み書き装置、無線タグ情報提供方法および無線タグシステム
CN111052035B (zh) 电子装置及其运行控制方法
US20080184372A1 (en) Storage device,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KR20060044785A (ko) 축적 볼륨 정보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축적 제어 장치 및그 제어 방법
ES2431664T3 (es) Tarjeta inteligente
CN103678189A (zh) Sram握手
TW201414224A (zh) 於行動裝置中的nfc無線電控制
US8664996B2 (en) Clock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clock signal
US20110313690A1 (en) Magnetic sensor device and electronic compass apparatus
CN106528311A (zh) 嵌入式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11122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그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JP2008515036A5 (ko)
US20170014165A1 (en) Pedicle screw engaging control instrument with a guidewire capturing system
JP5067613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非接触icカードデバイス
JP2011180878A (ja) 情報処理装置
US11314954B2 (en) RFID tag and RFID tag system
KR20080107236A (ko) 위치인식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치 인식 방법
CN103176195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3684547A (zh) 在终端中使用近场通信提供数据发送/接收的方法和设备
JP2011257798A (ja) 非接触型icカード
JP2010067107A (ja) 情報記憶媒体用リーダライタ
KR20100109222A (ko) 집적 회로 카드 시스템 및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