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070B1 -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070B1
KR101419070B1 KR1020087028641A KR20087028641A KR101419070B1 KR 101419070 B1 KR101419070 B1 KR 101419070B1 KR 1020087028641 A KR1020087028641 A KR 1020087028641A KR 20087028641 A KR20087028641 A KR 20087028641A KR 101419070 B1 KR101419070 B1 KR 10141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reactor
temperature
process according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204A (ko
Inventor
베르뜨랑 꼴리에
제랄딘 까발리니
보뜨리 부생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9001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 C07C17/20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the other compound being H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1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with simultaneous increase of the number of haloge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제조하는 방법, 특히 (i) 퍼클로로에틸렌 및 임의로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또는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단열 다층 반응기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기상으로 플루오르화 수소산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임의로 (ii) 단계 (i) 에서 제조된 스트림을 분리하여 경 생성물의 분획 및 중 생성물의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PENTAFLUOROETHANE}
본 발명은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촉매의 존재 하에 기상에서 플루오르화 수소산 (HF) 으로 퍼클로로에틸렌 (PER) 을 반응시켜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촉매의 존재 하에 기상에서 HF 로 퍼클로로에틸렌을 플루오르화하는 반응이 알려져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반응은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123),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24) 및 펜타플루오로에탄 (125) 을 형성하고, 주된 생성물로서는 123 의 형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화합물 (이하에서, 전반적으로 표현 "120 시리즈" 에 의해 표시됨) 은 포옴 (팽윤제 및 절연제) 또는 에어로졸 (추진제) 의 분야 또는 냉각기에서 클로로플루오로카본 (CFC) 에 대한 치환제, 또는 이러한 성분의 합성을 위한 중간물로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산업적 제조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현재 모색되고 있다.
퍼클로로에틸렌이 펜타플루오로에탄으로 플루오르화하는 반응은 강한 발열 반응 (25-30 Kcal/mol) 이므로, 산업적 규모에서 그의 사용은 많은 문제를 갖는다: 반응을 제어하기 어렵고, 촉매가 분해되고, 부산물이 대량으로 형성된다.
문서 EP 687660 은 퍼클로로에틸렌이 히드로겐 플루오라이드와 3 bar 내지 30 bar 의 절대 압력 하에 200 ℃ 내지 450 ℃ 의 온도에서, 촉매의 존재 하에 기상으로 반응하는 제 1 반응 영역, 및 제 1 반응 영역에서 제조된 기체에 함유된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또는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이 히드로겐 플루오라이드와 5 bar 이하의 절대 압력하에 250 ℃ 내지 500 ℃의 온도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증기상으로 반응하는 제 2 반응 영역을 포함하는 두 개의 반응 영역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상기 제 1 반응 영역은 제 2 반응 영역의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으로 유지됨)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문서 EP 754170 은 (i) 퍼클로로에틸렌을 히드로겐 플루오라이드와, 크롬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일차 플루오르화 촉매의 존재 하에 기상으로 접촉시켜, 화학식 C2H1Cl1+xF1+y (식 중,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또는 3 이고, x+y 는 3 인 것으로 이해됨) 의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하는 생성물의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ii) 단계 (i) 로부터의 생성물의 스트림을 히드로겐 플루오라이드와, 아연 및/또는 니켈, 또는 산화 크롬, 크롬 플루오라이드 또는 크롬 옥시플루오라이드에 담지된 아연 및/또는 니켈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차 플루오르화 촉매의 존재하에 기상으로 접촉시켜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결점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퍼클로로에틸렌으로부터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열 다층 반응기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기상에서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 퍼클로로에틸렌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열 반응기의 제 1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는 280 내지 350 ℃ 이고, 유리하게는 320 내지 340 ℃ 이다. 단열 반응기의 다음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는 또한 280 내지 350 ℃, 바람직하게는 320 내지 340 ℃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층에서, 입구에서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출구에서의 온도보다 낮다. 더욱이, 이전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보다 낮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리하게는 단열 다층 반응기에서의 온도가 4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80 ℃ 이하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단열 반응기는 2 내지 6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층의 수가 2 내지 4 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르화 단계는 광범위한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1 내지 10 bar, 및 유리하게는 1 내지 4 bar 의 절대 압력에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물은 플루오르화 단계 전에 미리-기화되고, 바람직하게는 단열 반응기의 온도 미만의 온도, 및 유리하게는 320 내지 340 ℃ 의 온도로 기화 및 예열된다.
기화 및 예열된 반응물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초과가 반응기의 제 1 층의 입구에 도입된다. 기화 및 예열된 반응물,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 ℃의 온도로 예열된 반응물의 적은 부분,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은 단열 반응기의 온도를 더 잘 조절하도록 내부 층 레벨에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기의 제 1 층의 입구에 도입된 예열된 반응물은 내부-층 레벨에 도입된 반응물의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단열 다층 반응기를 통과하는 스트림은 분리 단계에 적용하여 경 생성물의 분획, 예를 들어, 펜타플루오로에탄 및 히드로겐 클로라이드, 및 중 생성물의 분획, 예를 들어, 미반응된 퍼클로로에틸렌, 미반응된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중간 화합물, 특히,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123), 및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24)를 수득한다. 기화 및 예열 후의 중 생성물의 분획은 이후 반응기로 재순환된다.
중 생성물의 분획이 반응기로 재순환되는 경우, 퍼클로로에틸렌 이외에,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과 같은 중간 화합물이 또한 플루오르화 수소산에 의해 반응한다.
상기 방법은 연속해서 또는 배치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연속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F/유기 반응물의 몰비는 통상적으로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및 유리하게는 10 내지 20이다.
기체가 다량의 촉매를 통과 (반응 조건 하) 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계산되는 접촉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초, 유리하게는 10 내지 20 초이다.
플루오르화 단계의 압력이 절대 압력 4 bar 미만인 경우, 반응 생성물은 분리 단계에 적용하기 전에 압축하는 것이 때로는 유리하다. 상기 압축은 압축기를 사용해서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증류인 경우, 유리한 에너지 조건 하에서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99 % 초과의 미반응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회수할 수 있다.
임의의 플루오르화 촉매가 본 발명의 방법에 적절할 수 있다. 사용되는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옥사이드, 할라이드, 옥시할라이드, 또는 크롬, 알루미늄, 코발트, 망간, 니켈, 철 또는 아연의 무기염을 포함하고,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로서 알루미나,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또는 알루미늄 옥시플루오라이드가 언급될 수 있다.
0 초과의 산화 상태이며, Ni, Co, Mn 및 Zn 으로부터 선택되는 다른 금속을 임의로 포함하는 크롬 옥사이드 (Cr2O3)-기재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촉매는 알루미나, 플루오르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옥시플루오라이드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또는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와 알루미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에 담지된 니켈 옥사이드, 할라이드 및/또는 옥시할라이드 및 크롬 옥사이드, 할라이드 및/또는 옥시할라이드로 구성된 혼합 촉매가 본 발명의 방법에 특히 가장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활성화된 알루미나로부터 기존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알루미나는 제 1 단계에서, 임의로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의 존재하에 통상적으로 200 내지 450 ℃,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 ℃의 온도에서,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사용하는 플루오르화에 의해,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또는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와 알루미나의 혼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지지체는 이후에 크롬염 및 니켈염의 수용액 또는 크롬산, 니켈염 및 크롬-환원제, 예컨대 메탄올의 수용액으로 함침된다.
크롬산 (CrO3) 이 크롬 전구체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크롬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수단으로 환원될 수 있고, 단, 사용되는 기술은 촉매의 특성 및 그에 따른 활성에 해가 되지 않다. 바람직한 환원제는 메탄올이다.
크롬 및 니켈 염으로서,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또한 예를 들어, 옥살레이트,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니트레이트 및 설페이트, 또는 니켈 디크로메이트와 같은 다른 염을 사용할 수 있고, 단, 이러한 염은 지지체에 의해 흡수될 것 같은 양의 물에 용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혼합 촉매는 또한 상기 언급된 크롬 및 니켈 화합물의 용액으로 알루미나를 직접 함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알루미나의 일부 이상이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로 전환하는 것은 촉매-활성화 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수행된다.
혼합 촉매의 제조에 사용되는 활성화된 알루미나는 시판되는 잘 알려진 생성물이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300 내지 800 ℃ 의 온도에서 알루미나 수화물을 하소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활성화된 알루미나는 촉매 활성에 해가 되지 않으면서, 나트륨을 다량 (100 ppm 까지) 으로 함유할 수 있다.
혼합 촉매는 0.5 질량% 내지 20 질량% 의 크롬 및 0.5 질량% 내지 20 질량% 의 니켈, 및 바람직하게는 니켈/크롬 원자 비가 0.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인 범위로 2 질량% 내지 10 질량% 의 각 금속을 함유할 수 있다.
퍼클로로에틸렌 플루오르화 반응에 사용하기 전에, 촉매성 고체는 미리 활성화 공정에 적용한다.
"제자리" (플루오르화 반응기에서) 또는 적절한 기기에서 수행되는 상기 처리는 통상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 공기 또는 질소의 존재 하에 저온에서의 건조 단계,
- 질소 또는 공기 하에 고온 (250 내지 450 ℃,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50 ℃) 에서의 건조 단계,
- HF 함량이 온도가 350 ℃ 를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조절되고, 450 ℃ 이하의 범위일 수 있는 온도에서 순수한 플루오르화 수소산 또는 질소로 희석된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스트림 하에 종료되는,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질소의 혼합물에 의한 저온 (180 내지 350 ℃) 에서의 플루오르화 단계.
플루오르화 반응에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나, 산소가 소량으로 반응물과 함께 도입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양은 작업 조건에 따라서, 반응기로 들어가는 반응물에 대해 0.02 몰% 내지 1 몰% 의 범위일 수 있다. 산소는 순수한 상태 또는 질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로 희석되어 반응기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산소는 공기의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채택된 형태와 상관없이 산소의 도입은 연속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열 반응기는 플루오르화 수소산, 예를 들어, 하스텔로이 (Hastelloy) 및 인코넬 (Inconel) 을 포함하는 부식성 매질에 대해 내성을 지닌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반응의 발열성을 우수하게 조절하여, 촉매의 이른 비활성화와 같은 결점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피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매우 높은 펜타플루오로에탄 생산성을 수득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방법은 이전 정제 없이 미반응된 반응물 및 중간 화합물을 재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를 단일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한다. 미리 활성화되고, 임의로 지지된 크롬 옥사이드-기재 촉매를 함유하고, 세 층으로 이루어진 단열 반응기 (110)에, 한편으로는 퍼클로로에틸렌 (101), 플루오르화 수소산 (102) 및, 임의로 공기 (103) 를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 (105) 및, 다른 한편으로는 HF, PER 및 스트림 (104) 로부터 재순환되는 중간 화합물 (주로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을 공급하였다. 기체 스트림 (105) 을 반응기에 도입하기 전에 300 ℃ 로 예열하고, 제 1 층의 입구에서 온도를 320 내지 340 ℃ 로 유지하였다. 반응기의 제 2 층에 제 1 층으로부터의 기체 스트림 및, 임의로, 180 ℃ 로 예열된 반응물 및, 임의로, 공기를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 (106) 을 공급하였다. 제 2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를 또한 320 내지 340 ℃ 로 유지하였다. 반응기의 제 3 층에, 제 2 층에서 유래된 기체 스트림 및, 임의로 180 ℃ 로 예열된 반응물 및, 임의로 공기를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 (107) 을 공급하였다. 또한 제 3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를 320 내지 340 ℃ 로 유지하였다. 반응기를 통과하는 기체 스트림 (108) 을 증류탑 (111) 으로 보내어, 상부에서는 특히 펜타플루오로에탄 및 HCl 을 포함하는 경 생성물의 분획 (109), 및 하부에서는 HF, PER 및 중간체 화합물 (주로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을 포함하는 중 생성물의 분획을 산출하였다. 중 생성물의 분획을 하부를 거쳐 증류탑으로 통과시키고, 이어서 반응기로 재순환시키는 한편, 경 생성물의 분획은 증류 단계 (112) 에 적용하여, 펜타플루오로에탄으로부터 HCl 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펜타플루오로에탄을 정제하였다.
반응 동안 내내, 다층 반응기의 온도는 380 ℃ 이하로 유지되었고, 절대 압력은 약 3 bar 였다.

Claims (9)

  1. (i) 퍼클로로에틸렌인 유기 반응물을 단열 다층 반응기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기상으로 플루오르화 수소산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ii) 단계 (i) 에서 제조된 스트림을 분리하여, 펜타플루오로에탄 및 히드로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경 생성물의 분획 및 미반응된 퍼클로로에틸렌, 미반응된 플루오르화 수소산,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하는 중 생성물의 분획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열 반응기의 제 1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가 280 내지 350 ℃ 인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2. (i) 퍼클로로에틸렌 및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또는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으로 이루어진 유기 반응물을 단열 다층 반응기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기상으로 플루오르화 수소산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ii) 단계 (i) 에서 제조된 스트림을 분리하여, 펜타플루오로에탄 및 히드로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경 생성물의 분획 및 미반응된 퍼클로로에틸렌, 미반응된 플루오르화 수소산, 2,2-디클로로-1,1,1-트리플루오로에탄, 및 2-클로로-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하는 중 생성물의 분획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열 반응기의 제 1 층의 입구에서의 온도가 280 내지 350 ℃ 인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기에서의 온도가 4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단계의 절대압력이 1 내지 10 ba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 생성물의 분획이 반응기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HF/유기 반응물의 몰 비가 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 생성물의 분획이 반응기로 재순환되고, HF/유기 반응물의 몰 비가 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촉매가 0 초과의 산화 상태이고, Ni, Co, Mn 및 Zn 으로부터 선택되는 다른 금속을 포함 또는 불포함하는 크롬 옥사이드 (Cr2O3)-기재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 생성물의 분획이 반응기로 재순환되고, HF/유기 반응물의 몰 비가 5 내지 50 이고, 촉매가 0 초과의 산화 상태이고 Ni, Co, Mn 및 Zn 으로부터 선택되는 다른 금속을 포함 또는 불포함하는 크롬 옥사이드 (Cr2O3)-기재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28641A 2006-05-30 2007-05-09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KR101419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4783A FR2901788B1 (fr) 2006-05-30 2006-05-30 Procede de fabrication du pentafluoroethane
FR0604783 2006-05-30
PCT/FR2007/051232 WO2007138209A1 (fr) 2006-05-30 2007-05-09 Procede de fabrication du pentafluoroeth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04A KR20090013204A (ko) 2009-02-04
KR101419070B1 true KR101419070B1 (ko) 2014-07-11

Family

ID=3766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641A KR101419070B1 (ko) 2006-05-30 2007-05-09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69052B2 (ko)
EP (1) EP2024312B1 (ko)
JP (2) JP5906002B2 (ko)
KR (1) KR101419070B1 (ko)
CN (2) CN101460435A (ko)
FR (1) FR2901788B1 (ko)
MX (1) MX2008015082A (ko)
WO (1) WO2007138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1525A (zh) * 2013-11-13 2014-03-05 浙江衢化氟化学有限公司 一种气相法生产五氟乙烷的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7456982B (zh) * 2017-07-28 2018-08-10 乳源东阳光氟有限公司 一种介孔铬基气相氟化催化剂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0809A (en) * 1993-03-05 1998-05-12 Daikin Industries Ltd. Methods of producing 1,1,1,2,2-pentafluoroethane
KR100235757B1 (ko) 1994-05-25 1999-12-15 크리스 로저 에이치 퍼클로로에틸렌으로 부터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을 제조하는 일단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3448A (en) * 1977-06-01 1978-10-31 Continental Oil Company Adiabatic reactor
US5243105A (en) * 1990-03-29 1993-09-07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Chemical process
GB9007029D0 (en) * 1990-03-29 1990-05-30 Ici Plc Chemical process
GB9406813D0 (en) 1994-04-06 1994-05-25 Ici Plc Production of pentafluoroethane
GB9417116D0 (en) * 1994-08-24 1994-10-12 Ici Pl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entafluoroethane
DE69508708D1 (de) * 1994-11-29 1999-05-06 Atochem North America Elf Adiabatische Hydrofluorierung von Chlorfluorkohlenwasserstoffen
EP1449820B1 (en) * 2001-11-30 2013-08-14 Kashima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isopropyl chlor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0809A (en) * 1993-03-05 1998-05-12 Daikin Industries Ltd. Methods of producing 1,1,1,2,2-pentafluoroethane
KR100235757B1 (ko) 1994-05-25 1999-12-15 크리스 로저 에이치 퍼클로로에틸렌으로 부터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을 제조하는 일단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38886A (ja) 2009-11-12
FR2901788B1 (fr) 2008-07-18
EP2024312B1 (fr) 2014-12-31
CN104926598A (zh) 2015-09-23
WO2007138209A1 (fr) 2007-12-06
EP2024312A1 (fr) 2009-02-18
CN101460435A (zh) 2009-06-17
JP5906002B2 (ja) 2016-04-20
JP2014111610A (ja) 2014-06-19
US20090326284A1 (en) 2009-12-31
MX2008015082A (es) 2009-02-23
FR2901788A1 (fr) 2007-12-07
US8269052B2 (en) 2012-09-18
KR20090013204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099B2 (en) Process for producing 2,3,3,3-tetrafluoropropene
EP168611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1,1,3,3-pentafluoropropane
US5932776A (en) Process for fluorination of perchloroethylene or of pentachloroethane
EP0854848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fluoromethane
JPH11199529A (ja) 1230zaの気相フッ素化
WO2000024696A1 (en) Method of producing hydrofluorocarbons
US5616820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1,1,2-tetrafluoro-2-chloroethane and of pentafluoroethane
KR101419070B1 (ko)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
CN116037117B (zh) 引发剂、氟化催化剂和e-1,3,3,3-四氟丙烯与z-1,3,3,3-四氟丙烯的制备方法
KR101343660B1 (ko) 펜타플루오로에탄 제조 방법
JP2009538887A (ja) ハイドロフルオロカーボンの製造方法
JP2009541278A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
JP4384753B2 (ja) 227の調製方法
WO1999026906A2 (en) Method of producing hydrofluorocarbons
KR101345042B1 (ko)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제조 공정
KR20120051784A (ko) 1, 1, 1, 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