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49B1 -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649B1
KR101417649B1 KR1020130069187A KR20130069187A KR101417649B1 KR 101417649 B1 KR101417649 B1 KR 101417649B1 KR 1020130069187 A KR1020130069187 A KR 1020130069187A KR 20130069187 A KR20130069187 A KR 20130069187A KR 101417649 B1 KR101417649 B1 KR 10141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ed
blast furnace
small
inner tub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경
육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6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59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tracks, e.g. rails and wag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는 고로의 벽부에 제공되는 소립 소결광을 소립광호퍼로 운송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서 소립 소결광의 일부를 우회하여 고로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유닛과 연계된 바이패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소립 소결광을 우회경로로 안내하며,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는 이중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Apparatus for charging blast furnce's material}
본 발명은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립 소결광을 우회경로로 고로에 장입하는 바이패스유닛이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는 이중관부를 포함하여 상기 소립 소결광의 이탈을 방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7) 조업은 원료빈(3) 및 연료빈(2)에서 적출된 소결광과 코크스를 고로(7)에 장입하여 용선을 생산하는 조업이다.
구체적으로 연료로 사용되는 코크스는 연료빈(2)으로부터 배출되어 입도선별기(2a)를 거치게 되고, 입도선별기(2a)를 거치면서 대립 코크스(대략 35 ~ 55mm)는 벨트 컨베이어(9a)를 통해 제2서지 호퍼(5a)로 이송된다.
이때 소립 코크스는 원료빈(3) 중 어느 하나로 입조된 후 주원료인 소결광에 혼합되어 너트 코크스로 사용된다.
그리고 원료로 사용되는 소결광은 원료빈(3)으로부터 배출되어 입도선별기(3a)를 거치게 되고, 입도선별기(3a)를 거치면서 평균 20 mm 정도의 대립 소결광은 벨트 컨베이어(9b)를 통해 제1 서지호퍼(5b)로 이송된다.
이때 약 5 ~ 10 mm 정도의 소립 소결광은 벨트 컨베이어(9c)를 통해 소립 소결광빈(4)으로 별도로 입조되고, 벨트 컨베이어(9e)로 제3 서지호퍼(5c)로 이송된다.
이후 대립 코크스, 대립 소결광, 소립 소결광은 평량된 후 장입 벨트 컨베이어(9d)를 통해 노상 호퍼(6a)로 입조되고, 선회슈트(6b)를 통해 고로(7) 내에 국부적으로 장입되게 된다.
고로(7) 내에 장입된 소결광과 코크스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코크스(A4)와 대립 소결광(A2)이 층상을 이루며 형성되게 되고, 고로(7)의 중심방향에 환원가스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교적 입도가 큰 대립 코크스(A1)가 중심부에 별도로 장입하게 된다.
또한 고로(7)의 벽부에 환원가스가 흘러 고로(7) 벽부의 내화물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로(7)의 벽부에는 소립 소결광(A5)을 장입하여 환원가스의 통기성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소립 소결광을 고로에서 좀 더 많이 사용하면 소결기로 되돌아가서 소결시 필요한 결합제를 늘리는 문제를 일부 해소할 수 있으나, 소립 소결광을 너무 많이 사용하면 고로(7)의 벽부에서 필요 이상으로 통기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로(7) 내의 통기성을 조절하기 위해 고로(7) 벽부에 제공되는 필요한 양의 소립 소결광 이외에, 나머지 소립 소결광을 별도의 우회경로로 고로(7) 내에 장입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즉, 종래에는 소립 소결광을 중계하는 제3서지 호퍼(5c)의 직상에 설치된 소립 소결광을 수송 중계하는 벨트 컨베이어(9e)에서 떨어지는 소립 소결광의 일부를 벨트 컨베이어(9e)의 끝부분에서 우회경로(by-pass)로 제공하여 코크스 중에 혼합하여 고로에 장입하는 기술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소립 소결광의 수송관은 장입물의 마찰력에 의해 파손이 자주 일어나서 조업을 중단해야 하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입물이 수송되는 과정에서 수송관이 곡관되는 부분의 경우에는 소립 소결광과의 마찰력이 집중되어 더욱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립 소결광 중 약 5 mm 이하의 미분 소결광의 경우에는 자중(自重)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에 응집력에 의해 수송관을 통과하는데 저항이 크게 작용되어 수송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패스유닛에서 소립 소결광의 마찰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소립 소결광의 이송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는 고로의 벽부에 제공되는 소립 소결광을 소립광호퍼로 운송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서 소립 소결광의 일부를 우회하여 고로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유닛과 연계된 바이패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소립 소결광을 우회경로로 안내하며,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는 이중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이중관부는 상기 소립 소결광이 이동하는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의 파손시 상기 소립 소결광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관의 외측에 제공되는 외부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이중관부는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립 소결광이 상기 내부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송유닛과 인접한 일단부에 형성된 미립광 배출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 보다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이중관부는 상기 내부관의 파손시 상기 소립 소결광이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 쌓이도록,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 제공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이중관부의 파손시에 상기 소립 소결광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중관부가 곡관되는 부분에 제공되는 쉴드박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는 소립 소결광이 우회되는 바이패스유닛에서 이중관부를 제공함으로써, 소립 소결광과의 마찰력에 의해 내부관이 파손되더라도 외부관에 의해서 상기 소립 소결광의 이탈을 방지하여 조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 사이에 상기 소립 소결광이 쌓여 상기 이동되는 소립 소결광에 의한 마찰력을 완충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소립 소결광과의 마찰력이 집중되는 상기 이중관부의 곡관되는 부분에 쉴드박스부를 제공하여 더욱 상기 소립 소결광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소립 소결광 중 약 5 mm 이하의 미분 소결광의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유닛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소립 소결광 중의 상기 미립 소결광의 응집력에 의해 수송관을 통과하는데 저항력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켜, 상기 소립 소결광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a는 종래 고로에 소결광과 코크스를 장입하는 상태도이다.
도 1b는 종래 고로내의 소결광과 코크스의 적층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을 포함한 고로 전체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이중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이중관부에서 미립광 배출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이중관부에서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의 쉴드박스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는 소립 소결광(SO)을 우회경로로 고로(400)에 장입하는 바이패스유닛(200)이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는 이중관부(210)를 포함하여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이탈을 방지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소립 소결광(SO)이 우회되는 바이패스유닛(200)에서 이중관부(210)를 제공함으로써, 소립 소결광(SO)과의 마찰력에 의해 내부관(211)이 파손되더라도 외부관(212)에 의해서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이탈을 방지하여 조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에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쌓여, 이동되는 상기 소립 소결광(SO)에 의한 마찰력을 완충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을 포함한 고로(400) 전체를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를 도시한 공정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는 고로(400)의 벽부에 제공되는 소립 소결광(SO)을 소립광호퍼로 운송하는 이송유닛(100) 및 상기 이송유닛(100)에서 소립 소결광(SO)의 일부를 우회하여 고로(400)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유닛(100)과 연계된 바이패스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200)은 상기 소립 소결광(SO)을 우회경로로 안내하며,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는 이중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100)은 입도선별기에 의해서 분리된 지름이 약 5 ~ 10 mm인 소립 소결광(SO)을 고정식 호퍼(5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유닛(100)은 상기 입도선별기에서 분리된 소립 소결광(SO)이 저장되는 소립 소결광빈과 상기 고정식 호퍼(500) 중에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제공되는 제3서지호퍼(500c)를 연결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도선별기를 통하여 지름의 크기가 약 10 mm를 초과하는 대립 소결광(LO)은 제2서지호퍼(500b)로 제공되고, 지름의 크기가 약 10 mm이하의 소립 소결광(SO)은 상기 소립 소결광빈과 상기 제3서지호퍼(500c) 상에 벨트 컨베이어로 제공되는 상기 이송유닛(100)을 통하여, 제3서지호퍼(500c) 또는 후술할 바이패스유닛(200)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이패스유닛(200)은 상기 이송유닛(100)에서 이송되는 상기 소립 소결광(SO) 중에서 일부만을 우회경로로 상기 고로(400)에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패스유닛(200)은 상기 제3서지호퍼(500c)에 제공되어 상기 고로(400)의 벽부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식 호퍼(500)의 제1서지호퍼(500a)에 제공되는 중심 코크스나 베이스 코크스와 섞이도록 우회경로로 제공되어 상기 고로(400)의 중심부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바이패스유닛(200)은 이중관부(210), 쉴드박스부(220)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중관부(210)는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동하는 경로에 제공되어,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중관부(210)는 후술할 우회호퍼(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이동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댐퍼일 수 있으며, 이는 구동모터 또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중관부(210)는 상기 소립 소결광(SO)과의 마찰력에 의한 파손으로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중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쉴드박스부(220)는 상기 이중관부(210)의 곡관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탈하는 것을 상기 이중관부(210)와 더불어 2중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유닛(200)은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우회호퍼(230)를 더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우회호퍼(230)는 상기 이중관부(210)와 연결되어, 고로(400)와 연결된 장입 컨베이어(300) 상으로 상기 소립 소결광(SO)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우회호퍼(230)의 하단부에는 소립 소결광(SO)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양을 조절토록 유량조절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이중관부(210)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이중관부(210)는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동하는 내부관(211) 및 상기 내부관(211)의 파손시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관(211)의 외측에 제공되는 외부관(212)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내부관(211)은 상기 외부관(212) 보다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관부(210)는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기 위해서, 내부관(211), 외부관(212)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 내부관(211)의 파손시에도 상기 외부관(212)이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관(211)과 상기 외부관(212) 사이에 사이 소립 소결광(SO)이 쌓이면, 쌓여있는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자체적인 밀폐체로써 작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관(211)이 상기 소립 소결광(SO)과의 마찰에 의해 파손이 되어 갭(Gap: G) 또는 홀이 형성되면, 상기 소립 소결광(SO)은 이탈되어야 하고, 이를 보수해야하지만, 상기 외부관(212)이 상기 내부관(211)의 외측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갭(G)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소립 소결광(SO)은 이탈하지 않고,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에 쌓이면서, 상기 갭(G)을 매꿔주어 별도의 보수 없이도 설비를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의 간격(L)은 상기 소립 소결광(SO)의 최대 크기인 지름 약 10 mm에 대응하도록, 약 8 ~ 12 mm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 mm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관(212)보다 상기 내부관(211)이 상기 소립 소결광(SO)과의 마찰에 노출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상기 내부관(211)이 상기 외부관(212)보다 높은 강도의 소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가의 고강도강은 상기 내부관(211)의 재료로만 사용하고 상기 외부관(212)은 일반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강도강의 일례로는 TWIP강 등의 고 크롬강 또는 인장강도 300MPa 이상의 고강도강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이중관부(210)에서 미립광 배출홀(213)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이중관부(21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립 소결광(SO)이 상기 내부관(2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송유닛(100)과 인접한 일단부에 형성된 미립광 배출홀(213)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관부(210) 내부로 지름 약 5 mm이하의 미분 소결광이 통과하게 되면, 상기 미분 소결광은 자중(自重)에 의해서 굴러가지 못하고 서로 응집되어 상기 소립 소결광(SO) 전체의 이송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기 바이패스유닛(200)으로 상기 소립 소결광(SO) 중에 상기 미립 소결광(TSO)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미립광 배출홀(213)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미립광 배출홀(213)은 상기 이중관부(210) 중에서, 상기 이송유닛(100)과 인접한 상측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립광 배출홀(213)은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슬릿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미립광 배출홀(213)로 통과하는 소결광의 크기를 지름 약 5 mm이하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미립광 배출홀(213)의 간격은 약 5 ~ 10 mm 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정크기의 소립 소결광(SO)은 통과하지 못하게 약 7 mm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이중관부(210)에서 스토퍼(214)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이중관부(210)는 상기 내부관(211)의 파손시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상기 내부관(211)과 상기 외부관(212) 사이에 쌓이도록, 상기 내부관(211)과 상기 외부관(212) 사이에 제공되는 스토퍼(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에 상기 스토퍼(214)가 없으면, 상기 내부관(211)이 파손되어,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로 진입하면, 최하측으로 낙하하여 쌓이게 되므로, 파손된 부위에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쌓이지 않아, 상기 내부관(211)의 파손된 부분의 갭(G)이 매꿔지지 않으므로, 상기 스토퍼(214)를 형성하여 상기 갭(G) 부분에 직접적으로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쌓여 매꿔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214)는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14)는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의 전면에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관의 폭 방향 단면으로 보면 도넛 모양으로 제공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214)는 상기 외부관(212)과 상기 내부관(211) 사이에 제공되므로, 상기 외부관(212)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내부관(211)을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쉴드박스부(220)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소결광 장입장치의 상기 바이패스유닛(200)은 상기 이중관부(210)의 파손시에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중관부(210)가 곡관되는 부분에 제공되는 쉴드박스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관부(210)과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내부관(211)의 파손시에도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쉴드박스부(220)를 더 제공하여,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탈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쉴드박스부(220)는 상기 소립 소결광(SO)과의 마찰력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상기 이중관부(210)가 곡관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효율적으로 상기 소립 소결광(SO)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쉴드박스부(220)는 사각의 박스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이중관부(21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실린더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100: 이송유닛 200: 바이패스유닛
210: 이중관부 211: 내부관
212: 외부관 213: 미립광 배출홀
214: 스토퍼 220: 쉴드박스부
230: 우회호퍼 300: 장입 컨베이어
400: 고로 500: 고정식 호퍼

Claims (6)

  1. 고로의 벽부에 제공되는 소립 소결광을 소립광호퍼로 운송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서 소립 소결광의 일부를 우회하여 고로에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유닛과 연계된 바이패스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소립 소결광을 우회경로로 안내하며, 이중관 구조로 제공되는 이중관부;
    를 포함하는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부는,
    상기 소립 소결광이 이동하는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의 파손시 상기 소립 소결광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관의 외측에 제공되는 외부관;
    를 제공하는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부는,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립 소결광이 상기 내부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송유닛과 인접한 일단부에 형성된 미립광 배출홀;
    을 제공하는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 보다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된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부는,
    상기 내부관의 파손시 상기 소립 소결광이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 쌓이도록,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 제공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이중관부의 파손시에 상기 소립 소결광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중관부가 곡관되는 부분에 제공되는 쉴드박스부;
    를 더 포함하는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KR1020130069187A 2013-06-17 2013-06-17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KR101417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87A KR101417649B1 (ko) 2013-06-17 2013-06-17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87A KR101417649B1 (ko) 2013-06-17 2013-06-17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649B1 true KR101417649B1 (ko) 2014-07-09

Family

ID=5174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187A KR101417649B1 (ko) 2013-06-17 2013-06-17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6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905A (ja) * 1986-12-27 1988-07-11 Nippon Steel Corp 高炉貯鉱槽からの原料切出制御方法
JPH05214416A (ja) * 1992-01-30 1993-08-24 Kawasaki Steel Corp 層状払い出し制御方法
KR20010019721A (ko) * 1999-08-30 2001-03-15 이구택 펠레트 광석을 사용하여 용선조업시 통기성 향상방법
KR20010037725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고로의 입도별 장입 휴지방지를 위한 소립광 자동 혼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905A (ja) * 1986-12-27 1988-07-11 Nippon Steel Corp 高炉貯鉱槽からの原料切出制御方法
JPH05214416A (ja) * 1992-01-30 1993-08-24 Kawasaki Steel Corp 層状払い出し制御方法
KR20010019721A (ko) * 1999-08-30 2001-03-15 이구택 펠레트 광석을 사용하여 용선조업시 통기성 향상방법
KR20010037725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고로의 입도별 장입 휴지방지를 위한 소립광 자동 혼합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895B2 (ja) 原料の装入装置及び装入方法
KR101825203B1 (ko) 자동 강구 선별 장치
JP2010132956A (ja) 造粒物の搬送方法
EA036293B1 (ru) Установка шихтоподачи для доменной печи
CN102782162A (zh) 用于制造压制品的方法和装置
KR101417649B1 (ko)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KR101375561B1 (ko) 소결 롤의 갭 차이를 이용한 장입 장치
KR100778677B1 (ko) 소결광 과적 방지장치 및 그 과적 방지방법
MX2010011424A (es) Planta para fabricacion de acero que comprende una planta de reduccion directa y un horno electrico de arco.
KR101322062B1 (ko) 수용물 분산장치
JP5942929B2 (ja) 高炉原料の装入方法
KR20110046657A (ko) 고로 분소결광 또는 분코크스 입도 선별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5217650B2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JP2009299154A (ja) ベルレス高炉の原料装入装置および原料装入方法
JP2004346414A (ja) 高炉の装入装置
KR20140140343A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 처리 장치
JP2015221714A (ja) ヤード積付量の増加装置
JP2016053201A (ja) 高炉原料の装入方法
CN208512632U (zh) 一种高效对辊机
JP6175887B2 (ja) 高炉操業方法
KR102251033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방법
JP6907988B2 (ja) 高炉における原料搬送方法及び設備
JP7147526B2 (ja) ベルレス式高炉の原料装入方法及び原料搬送方法
KR102102457B1 (ko)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CN207713792U (zh) 一种氧化锌烟尘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