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57B1 -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 Google Patents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57B1
KR102102457B1 KR1020180150702A KR20180150702A KR102102457B1 KR 102102457 B1 KR102102457 B1 KR 102102457B1 KR 1020180150702 A KR1020180150702 A KR 1020180150702A KR 20180150702 A KR20180150702 A KR 20180150702A KR 102102457 B1 KR102102457 B1 KR 10210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bodies
wire
fixing 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식
김용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6Charging device for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될 수 있고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는 복수의 몸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호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외부의 이동 수단과 결합된 와이어 고정바 고리;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와 상기 몸체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원료 투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투입 장치;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와 상기 몸체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고정바 와이어;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바 와이어와 결합되는 패키지 호퍼 고리; 상기 복수의 몸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상기 복수의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게이트부; 상기 원격 투입 장치와 상기 게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원격 투입 장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부를 개폐시키는 원격 투입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DETACHABLE MOVING PACKAGE HOPPER}
본 발명은 제강 제강설비인 전로에서 사용되는 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투입할 수 있는 호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 자체가 분리될 수 있고 이동이 가능한 호퍼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철강 제품은 먼저 고로에 철광석과 코트스가 장입되어 용선이 만들어지는 제선 공정에서부터 시작된다.
이 때 제선 공정에서 생산된 용선은 탄소 함량이 높고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성분 및 조성범위를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용선을 원하는 성분 및 조성범위를 가지는 용강으로 정련하는 제강 공정은 필수적인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에서는 래들(1)을 포함하는 전로가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강 공정에서는 용강의 샘플링을 통해 전로에서 출강되는 강종에 따라 필요한 용강 성분이 조정된다.
종래에는 상기 성분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 도 1 및 2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호퍼를 이용한 원료 공급 및 투입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강 공정이 이루어지는 라인의 외부에서 수송 벨트(2)를 통해 복수 개의 저장 호퍼(3)들로 원료가 공급되고, 상기 원료는 정확한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다시 복수 개의 평량 호퍼(5)들로 이송 배관(4) 등을 통해 옮겨 진다. 그 후 상기 원료들은 상기 평량 호퍼(5)들로부터 도 2에서의 컨베이어 밸트나 또는 투입 배관을 통해 상기 래들(1)에 투입된다.
도 1 및 2와 같은 종래 기술은 많은 비용과 공간을 차지하는 호퍼들(3, 5)을 여러 개 설치해야 하고, 또한 새로운 부재료를 투입해야 할 때마다 새로운 호퍼들(3, 5)과 이송 및 투입 라인을 설치해야 하거나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저장 호퍼(3)나 평량 호퍼(5)들을 모두 비운 후 새로운 부재료를 채워 넣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만일 저장 호퍼(3)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저장 호퍼(3) 내의 원료가 공기와 반응하여 원료 성분이 변화하거나 배관이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고자 합금철이나 부원료 등의 원료를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대(bag)에 담아 용강에 직접 투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용강의 래들(1) 외부로 상기 포대가 낙하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포대의 낙하 또는 화재로 인해 원료 투입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며 근본적으로는 용강 내에 투입된 원료의 양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어 용강의 성분 조정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강에 공급되는 합금철 및 부원료를 포함하는 원료의 투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패키지 호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원료를 1회에 저장 및 이동시키고, 어느 위치에서도 용강에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분리 및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퍼가 분리 및 이동 가능함으로써 여러 개의 호퍼를 각각 사용하지 않고도 한번에 효율적으로 원료를 용강에 투입할 수 있는 패키지 호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는 복수의 몸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호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외부의 이동 수단과 결합된 와이어 고정바 고리;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와 상기 몸체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원료 투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투입 장치;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와 상기 몸체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고정바 와이어;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바 와이어와 결합되는 패키지 호퍼 고리; 상기 복수의 몸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상기 복수의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게이트부; 상기 원격 투입 장치와 상기 게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원격 투입 장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부를 개폐시키는 원격 투입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 사이에 와이어 고정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원격 투입 장치는 상기 와이어 고정바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바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몸체 각각에 대해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외부 쪽 면에는 소량 투입구가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장치는 복수의 고정 바와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고정 홈들은 상기 복수의 몸체의 각각의 몸체가 상호 접촉하는 외부 쪽 모서리부를 대칭으로 하여 위치하고, 상기 고정 바는 상기 모서리부를 대칭으로 상호 마주 보는 2개의 고정 홈마다 1개의 고정 바가 끼움 맞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몸체의 바닥면 전체는 하나의 게이트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강에 공급되는 합금철 및 부원료를 포함한 원료를 한번에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투입 시간을 줄임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호퍼를 상호 분리 또는 패키지로 결합하여 여러 가지 원료를 동시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용강 성분의 조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 막힘이나 원료의 변성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퍼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용강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원료 공급 및 투입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원료 공급 및 투입 시스템에서 평량 호퍼 부분을 보다 자세히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원료를 포대에 담아 보관 및 투입하는 종래의 원료 공급 및 투입 시스템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4는 원료를 포대에 담아 보관 및 투입하는 종래의 원료 공급 및 투입 시스템을 이용하여 래들에 원료를 투입할 때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100)는 외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와 연결되어 래들(1)로 원료를 투입하는 위치까지 이송된다. 비 한정적인 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기 패키지 호퍼는 상부에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후크와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바 고리(11)와 와이어 고정바(1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바(12)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고정바(12)의 하면에는 원료의 투입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투입 장치(1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원격 투입 장치(13)는 래들(1)로부터 안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 또는 조정실에서 작업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패키지 호퍼(100)로부터 원료를 래들(1)로 투입하는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된 신호에 따라 후술할 원격 투입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원격 투입 장치(13)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은 공지의 모든 방식이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일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11)가 상기 원격 투입 장치(13)를 설치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면, 상기 와이어 고정바(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11)가 지나치게 커지면, 그로 인해 상기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후크와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11)의 연결 상태가 기계적으로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11) 내부에는 상기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후크가 안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11)의 내부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바(bar)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바(12)의 하부에는 고정바 와이어(14)가 위치한다.
만일 상기 와이어 고정바(12)가 없다면, 상기 고정바 와이어(14)는 상기의 와이어 고정바 고리(11)의 하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바 와이어(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패키지 호퍼(100)의 몸체(30)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고정바 와이어(14)는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 전체에서 적어도 2 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고정바 와이어(14)가 하나만 설치된다면, 상기 고정바 와이어(13)와 패키지 호퍼(100)의 몸체(30)와의 결합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고정바 와이어(14)가 하나만 존재하면, 상기 원격 투입 장치(12)와 후술할 원격 투입 게이트를 열고 닫도록 연결하는 신호선 또는 와이어와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비 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패키지 호퍼(100)가 만일 4개의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고정바 와이어(14)는 각각의 호퍼의 몸체들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바 와이어(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패키지 호퍼 고리(15)들과 결합된다.
비 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패키지 호퍼 고리(15)들은 상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의 뚜껑(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키지 호퍼 고리(15)들은 상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의 바깥쪽 몸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이 상호 이격될 가능성이 있으나, 후술할 고정 바 및 고정 홈에 의해 상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은 안정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의 외부 쪽 면에는 소량 투입구(16)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한다.
여기서 외부란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을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들이 상호 패키징될 때,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의 측면들 가운데 상호 접촉하지 않은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을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들이 상호 패키징될 때,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의 측면들 가운데 상호 접촉하는 방향을 내부라 칭한다.
상기 소량 투입구(16)는 소량의 원료를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를 구성하는 어느 각각의 호퍼들 가운데 어느 호퍼에 투입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호퍼 내로 소량의 원료를 투입할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소량 투입구는 특히 소량의 원료를 패키지 호퍼를 구성하는 어느 각각의 호퍼 내에 투입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패키지 호퍼(100)는, 상기 패키지 호퍼를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를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 측면에 고정 바(17)와 고정 홈(18)를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도 5 및 6을 참고로 하여 비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고정 홈(18)들은 상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이 상호 접촉하는 외부 쪽 모서리부에 상기 모서리부를 대칭으로 하여 복수 개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모서리부를 대칭으로 상호 마주 보는 2개의 고정 홈(18)마다 1개의 고정 바(17)가 끼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의 호퍼의 두 개의 몸체(30-1)와 몸체(30-2)에는 상기 두 개의 몸체가 만나는 외부 쪽 모서리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각각의 몸체에 고정 홈(18)이 각각 위치하고, 두 개의 고정 홈(18)들은 1개의 고정 바(17)에 의해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호퍼의 몸체(30-1)와 몸체(30-2)는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 홈(18) 및 고정 바(17)의 결합 방식과 동일한 방식에 의해, 상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상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의 바닥면은 하나의 게이트부(19)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부(19)는 전술한 원격 투입 장치(13)와 원격 투입 와이어(2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원격 투입 장치(13)에 투입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원격 투입 장치(13)는 수신된 투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 투입 와이어(20)의 장력을 제어하여 상기 게이트부(19)를 열게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료들이 한번에 래들(1) 내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19)는 상기 원격 투입 장치(13)의 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 투입 와이어(20)의 장력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상기 게이트부(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가운데 용강과 가장 근접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1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내열성이 가장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부(19)는 내열강 또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용접 보강 스틸 구조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호퍼(100)의 몸체 전체가 용접 보강 스틸 구조강으로 구성되는 것이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호퍼(1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 내부에 원료가 장입된다.
상기 원료 장입은 래들(1)에 투입될 원료의 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투입될 원료가 적은 경우,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소량 투입구(16)를 통해 작업자가 각각의 원료를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 내부로 장입한다.
반면 투입될 원료가 많은 경우, 각각의 원료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호퍼(5)에서 포대(bag)에 담아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 내에 장입된다. 이 때 상기 다량의 원료의 장입은 지게차나 외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와 같은 공지의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모든 원료가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100) 내부에 장입되면, 상기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은 상기 고정 바(17)와 고정 홈(18)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는 원료의 장입 이전에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은 상기 고정 바(17)와 고정 홈(1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입된 재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100)는 외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와 와이어 고정바 고리(11)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100)는 외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의해 원하는 위치, 구체적으로 래들(1)의 상부 투입 위치까지 이동된다.
그 후 작업자가 외부에서 본 발명의 패키지 호퍼(100)에 투입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원격 투입 장치(13)는 수신된 투입 제어 신호에 따라 원격 투입 와이어(20)의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게이트부(20)가 오픈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호퍼(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호퍼의 몸체(30-1, 30-2, 30-3, 30-4)들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료들은 한번에 래들(1) 내로 투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래들
2: 수송 벨트
3: 저장 호퍼
4: 이송 배관
5: 평량 호퍼
11: 와이어 고정바 고리
12: 와이어 고정바
13: 원격 투입 장치
14: 고정바 와이어
15: 패키지 호퍼 고리
16: 소량 투입구
17: 고정 바
18: 고정 홈
19: 게이트부
20: 원격 투입 와이어
30, 30-1, 30-2, 30-3, 30-4: 호퍼 몸체
100: 패키지 호퍼

Claims (7)

  1. 복수의 몸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호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외부의 이동 수단과 결합된 와이어 고정바 고리;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와 상기 몸체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원료 투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투입 장치;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와 상기 몸체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고정바 와이어;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바 와이어와 결합되는 패키지 호퍼 고리;
    상기 복수의 몸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상기 복수의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게이트부;
    상기 원격 투입 장치와 상기 게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원격 투입 장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부를 개폐시키는 원격 투입 와이어;
    를 포함하는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바 고리 사이에 와이어 고정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원격 투입 장치는 상기 와이어 고정바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 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몸체 각각에 대해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는,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 쪽 면에는 소량 투입구가 위치하는,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복수의 고정 바와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하는,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홈들은 상기 복수의 몸체의 각각의 몸체가 상호 접촉하는 외부 쪽 모서리부를 대칭으로 하여 위치하고,
    상기 고정 바는 상기 모서리부를 대칭으로 상호 마주 보는 2개의 고정 홈마다 1개의 고정 바가 끼움 맞춤하는,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의 바닥면 전체는 하나의 게이트부로 이루어진,
    분리 이동 패키지 호퍼.
KR1020180150702A 2018-11-29 2018-11-29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KR102102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02A KR102102457B1 (ko) 2018-11-29 2018-11-29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02A KR102102457B1 (ko) 2018-11-29 2018-11-29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457B1 true KR102102457B1 (ko) 2020-04-21

Family

ID=7045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02A KR102102457B1 (ko) 2018-11-29 2018-11-29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581A (ko) * 1999-12-30 2001-07-06 이구택 포밍억제제 공급장치
JP2002019882A (ja) * 2000-07-11 2002-01-23 Shimamura Kogyo Kk 材料投入容器
KR20030054398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원료 투입장치
KR20100127781A (ko) * 2008-02-28 2010-12-06 우데 게엠베하 코크스 오븐의 장입 포트에 석탄 장입용 카트의 운용 장비를 위치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581A (ko) * 1999-12-30 2001-07-06 이구택 포밍억제제 공급장치
JP2002019882A (ja) * 2000-07-11 2002-01-23 Shimamura Kogyo Kk 材料投入容器
KR20030054398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원료 투입장치
KR20100127781A (ko) * 2008-02-28 2010-12-06 우데 게엠베하 코크스 오븐의 장입 포트에 석탄 장입용 카트의 운용 장비를 위치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4502B2 (ja) 高温直接還元鉄を複数の高温輸送容器から溶融装置または仕上げ装置に装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102457B1 (ko) 분리 이동 가능한 패키지 호퍼
CN205499924U (zh) 供料装置
MX2010011424A (es) Planta para fabricacion de acero que comprende una planta de reduccion directa y un horno electrico de arco.
CN105292812B (zh) 一种同时可运送冷料和热料的装置
KR102086092B1 (ko) 전로의 생석회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CN102271838A (zh) 熔融金属处理设备与熔融金属处理方法以及使用该设备的熔融金属输送线
CN114921605A (zh) 水平振动式热态直接还原铁输送装置及方法
WO2021029327A1 (ja) 鉱石連続供給装置
US4470743A (en) Container
CN108103252A (zh) 一种脱硫渣铁的回用系统
TWM526562U (zh) 脫硫渣鐵之輸送系統
US20130181383A1 (en) Melt metallurgical installation comprising a charging element
CN219032247U (zh) 一种预熔型精炼渣自动化生产成套设备
US20070193412A1 (en) Method of making steel
KR100402125B1 (ko) 고로의 노벽보수후 연료 및 원료 장입 방법 및 장치
CN212711493U (zh) 胶带机倒料小车
KR100792741B1 (ko) 다단계 장입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노정 벙커
KR100605523B1 (ko) 예열기의 압력손실 방지장치
US4412674A (en) High-temperature reduced iron production
KR101417649B1 (ko) 고로용 소결광 장입장치
JPH11217617A (ja) 冶金炉への原材料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4015345B2 (ja) 吸湿性粉体の移送方法とこれに使用する装置
CN114777491A (zh) 一种冶炼炉供料自动化设备
JP3503493B2 (ja) スラグ・フォーミング防止剤の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