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040B1 -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040B1
KR101417040B1 KR1020070138762A KR20070138762A KR101417040B1 KR 101417040 B1 KR101417040 B1 KR 101417040B1 KR 1020070138762 A KR1020070138762 A KR 1020070138762A KR 20070138762 A KR20070138762 A KR 20070138762A KR 101417040 B1 KR101417040 B1 KR 10141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ubber
bracket
nu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667A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7013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0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러버 마운팅 구조는 차량의 하부체(10)에 구비되고 관통홀(12a)을 갖는 브래킷(12); 일측에 나사부를 갖는 컬럼(16a)이 제공되고 타측에는 헤드부(16b)가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12)의 관통홀(12a)에 끼워진 볼트(16); 이 볼트의 컬럼(16a)에 끼워지는 관통홀(17a)과,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부(17b)를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12)에 고정시 상기 차량의 상부체(11)를 지지하는 러버(17); 및 상기 러버(17)의 오목부(17b) 안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체결되며, 그 체결시 상기 오목부(17b)의 상하단을 상기 볼트(16)와의 상호작용으로 압축시키는 제1 너트(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너트(20)와 상기 볼트(16)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러버(17)의 오목부(17b)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체(11)와 상기 브래킷(12)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 상수 k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7b)에는 상기 제1 너트(20)와 상기 볼트(16)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 상수 k2가 형성되며, 상기 진동 상수 k1과 k2는 상호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러버로 두 가지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캐빈의 공진 현상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진동, 상수, 러버, 마운팅, 구조

Description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RUBBER MOUNTING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VIBRATION CONSTANT}
본 발명은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러버(Rubber)를 이용하여 두 가지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장비 또는 차량의 공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비교적 중량체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하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지게차(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엔진을 포함하는 본체(2)와, 이 본체의 전측에 설치된 마스트조립체(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2)는 엔진을 포함하는 하부체(10)와, 엔진을 편리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체(10)에 대해 선회 가능한 캐빈(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체(10)의 4개소에는 차량의 운행시 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체(10)를 통해 상기 캐빈(11)으로 전달되는 물리적 충격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도록 각각 브래킷(12)과 이 브래킷 상에 나사(13)에 의해 고정되는 평판(14)을 매개로 하여 러버(15)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러버(15)는 하부모서리에 둘레를 따라 플랜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판(14)은 상기 러버(15)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결합홀(14a)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러버(15)는 브래킷(12)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평판(14)에 의해 플랜지가 고정된 후, 나사(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러버 고정구조는 각 설치위치 별로 진동상수가 균일한 하나의 러버(15)만 적용되었기 때문에 한 가지의 고유진동수만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 때문에, 상기 캐빈(11)은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공진 현상이 매우 심하였다. 이러한 캐빈(11)의 공진 현상은 작업자의 세밀한 기기조작, 원활한 작업 등을 방해하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작업능률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러버로 두 가지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캐빈의 공진 현상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또는 스프링)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가지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러버의 진동 상수를 편리 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모델의 캐빈의 공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체에 구비되고 관통홀을 갖는 브래킷; 일측에 나사부를 갖는 컬럼이 제공되고 타측에는 헤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의 관통홀에 끼워진 볼트; 이 볼트의 컬럼에 끼워지는 관통홀과,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에 고정시 상기 차량의 상부체를 지지하는 러버; 및 상기 러버의 오목부 안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의 컬럼에 체결되며, 그 체결시 상기 오목부의 상하단을 상기 볼트와의 상호작용으로 압축시키는 제1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볼트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러버의 오목부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체와 상기 브래킷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 상수 k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 상수 k2가 형성되며, 상기 진동 상수 k1과 k2는 상호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의 컬럼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단이 패스너를 매개로 하여 상기 브래킷에 고정된 평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의 관통홀은 상기 제1 와셔링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제1 와셔링 사이의 상기 볼트의 컬럼에 끼워진 제2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러버로 두 가지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캐빈의 공진 현상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가지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러버의 진동 상수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모델의 캐빈의 공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각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개략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또는 차량의 하부체(10)에 구비되고 관통홀(12a)을 갖는 브래킷(12); 일측에 나사부를 갖는 컬럼(16a)이 제공되고 타측에는 헤드부(16b)가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12)의 관통홀(12a)에 끼워진 볼트(16); 이 볼트의 컬럼(16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관통홀(17a)이 형성되고 일측의 중앙부분에 오목부(17b)를 갖는 러버(17); 상기 브래킷(12)과 볼트(16)의 헤드 부(16b) 사이의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끼워진 제1 와셔링(18); 및 상기 러버(17)의 오목부(17b) 안에 안착되도록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끼워진 제2 와셔링(19)과 제1 너트(2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일실시예의 기본 구성에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관통홀(21a)이 형성되고 양단이 나사, 리벳 등과 같은 패스너(22)를 매개로 하여 상기 브래킷(12)에 고정된 평판(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이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는 상기 볼트(16)의 헤드부(16b)와 상기 제1 와셔링(18) 사이의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끼워진 제2 너트(23)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 내지 도 5 참조). 이 경우, 상기 브래킷(12)의 관통홀(12a)은 상기 제1 와셔링(18)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브래킷(12)의 관통홀(12a)을 통해 제1 와셔링(18)과 제2 너트(2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볼트(16)의 헤드부(16b)와 하부체(10) 간의 틈새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상기 볼트(16)의 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러버(17)는 통상의 다양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목부(17b)를 이루는 상측 링형부분(17A)과 상기 볼트(16)와 제1 너트(20) 또는 제1 너트(20)와 제2 너트(23)에 의해 압축되는 하측 지지부분(17B)으로 나누어질 수 있 다. 즉, 브래킷(12)에 장착된 상태의 러버(17)는, 원상태에서 상부체 또는 캐빈(11)에 의해 눌려지는 상측 링형부분(17A)과, 상기 볼트(16)와 제1 너트(20) 또는 제1 너트(20)와 제2 너트(23)에 의해 압축되는 하측 지지부분(17B)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이 완료되면, 러버(17)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질인 한몸으로 형성되더라도, 상측 링형부분(17A) 부분에는 상부체 또는 캐빈(11)의 하중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상수 k1이 형성되고, 하측 지지부분(17B)에는 제1 너트(20)와 볼트(16) 또는 제1 너트(20)와 제2 너트(23)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상수 k2가 형성된다. 상기 진동상수 k2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6)와 제1 너트(20) 또는 제1 너트(20)와 제2 너트(23)의 체결량을 조절함으로써 가변되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러버(17)에는 외력(예컨대, 캐빈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고유진동수가 복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7a)이 오목부(17b)를 동축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오목부(17b)에 안착되는 너트에 의해 러버(17)가 브래킷(12)에 고정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꼭 이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브래킷(12)에 러버(17)를 고정시키는 부분과 진동 상수 조절을 위해 너트와 볼트가 체결되는 부분을 달리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각 실시예의 조립 및 그 작용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실시예에 따른 러버 마운팅 구조의 경우, 먼저 지게차(1)의 캐빈(11)을 일측 외부로 제낀 상태에서 볼트(16)의 컬럼(16a)을 통해 헤드부(16b)측으로 제1 와셔링(18)을 끼운 상태에서, 지게차의 하부체(10)의 일부분에 각각 구비된 브래킷(12)의 관통홀(12a)에 그 브래킷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을 끼운다.
그런 다음,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그 컬럼의 선단부를 통해 러버(17)를 끼운 후, 그 러버의 오목부(17b) 바닥에 안착될 때까지 제2 와셔링(19)과 제1 너트(20)를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끼운다.
그런 다음, 상기 러버(17)의 하측 지지부분(17B)을 미리 설계 또는 실험을 통해 확인된 지게차의 캐빈(11)의 진동 특성을 고려하여, 통상의 조정공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볼트(16)와 제1 너트(20)를 적절히 조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캐빈(11)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그 캐빈을 하부체(10)에 고정시키면 된다. 위와 같이 조정작업이 끝난 후에도 작업자의 체중의 차이 등으로 인해 상기 캐빈(11)의 흔들림이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 그 캐빈을 다시 일측 외부로 제낌이 없이 조정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브래킷(12) 하부로 돌출된 상기 볼트(16)의 헤드부(16b)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캐빈(11)의 진동(또는 흔들림)은 상기 러버(17)의 상측 링형부분(17A)의 진동 상수 k1과 하측 지지부분(17B)의 진동 상수 k2의 조합을 통해 적절히 조정되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실시예에 따른 러버 마운팅 구조의 경우, 먼저 지게차(1)의 캐빈(11)을 일측 외부로 제낀 상태에서 볼트(16)의 컬럼(16a)을 통해 헤드부(16b)측으로 제 1 와셔링(18)과 제2 너트(23)를 끼운 상태에서, 지게차의 하부체(10)의 일부분에 각각 구비된 브래킷(12)과 평판(21)의 각 관통홀(21a)에 그 브래킷(12)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을 끼운다.
그런 다음,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그 컬럼의 선단부를 통해 러버(17)를 끼운 후, 그 러버의 오목부(17b) 바닥에 안착될 때까지 제2 와셔링(19)과 제1 너트(20)를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끼운다.
그런 다음, 상기 러버(17)의 하측 지지부분(17B)을 미리 설계 또는 실험을 통해 확인된 지게차의 캐빈(11)의 진동 특성을 고려하여, 통상의 조정공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너트(20)와 제2 너트(23)를 적절히 조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캐빈(11)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그 캐빈을 하부체(10)에 고정시키면 된다. 위와 같이 조정작업이 끝난 후에도 작업자의 체중의 차이 등으로 인해 상기 캐빈(11)의 흔들림이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 그 캐빈을 다시 일측 외부로 제낌이 없이 조정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브래킷(12) 하부로 돌출된 상기 제2 너트(23)와 볼트(16)의 헤드부(16b)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캐빈(11)의 진동(또는 흔들림)은 상기 러버(17)의 상측 링형부분(17A)의 진동 상수 k1과 하측 지지부분(17B)의 진동 상수 k2의 조합을 통해 적절히 조정되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일반적인 러버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개략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확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의 개략 부분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체 11: 상부체(또는 캐빈)
12: 브래킷 12a,17a,21a: 관통홀
16a: 컬럼 16b: 헤드부
16: 볼트 17b: 오목부
17: 러버 17A: 상측 링형부분
17B: 하측 지지부분 18: 제1 와셔링
19: 제2 와셔링 20: 제1 너트
21: 평판 22: 패스너
23: 제2 너트

Claims (3)

  1. 차량의 하부체(10)에 구비되고 관통홀(12a)을 갖는 브래킷(12);
    일측에 나사부를 갖는 컬럼(16a)이 제공되고 타측에는 헤드부(16b)가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12)의 관통홀(12a)에 끼워진 볼트(16);
    이 볼트의 컬럼(16a)에 끼워지는 관통홀(17a)과,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부(17b)를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12)에 고정시 상기 차량의 상부체(11)를 지지하는 러버(17); 및
    상기 러버(17)의 오목부(17b) 안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체결되며, 그 체결시 상기 오목부(17b)의 상하단을 상기 볼트(16)와의 상호작용으로 압축시키는 제1 너트(20);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17)는 상기 오목부(17b)를 이루는 상측 링형부분(17A)과 상기 볼트(16)와 제1 너트(20)에 의해 압축되는 하측 지지부분(17B)을 나뉘고,
    상기 제1 너트(20)와 상기 볼트(16)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상측 링형부분(17A)에는 상기 상부체(11)와 상기 브래킷(12)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 상수 k1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지지부분(17B)에는 상기 제1 너트(20)와 상기 볼트(16)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어 진동 상수 k2가 형성되며,
    상기 진동 상수 k1과 k2는 상호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2)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관통홀(21a)이 형성되고 양단이 패스너(22)를 매개로 하여 상기 브래킷(12)에 고정된 평판(21)이 더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12)의 관통홀(12a)은 상기 제1 와셔링(18)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6)의 헤드부(16b)와 상기 제1 와셔링(18) 사이의 상기 볼트(16)의 컬럼(16a)에 끼워진 제2 너트(23)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KR1020070138762A 2007-12-27 2007-12-27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KR10141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62A KR101417040B1 (ko) 2007-12-27 2007-12-27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62A KR101417040B1 (ko) 2007-12-27 2007-12-27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667A KR20090070667A (ko) 2009-07-01
KR101417040B1 true KR101417040B1 (ko) 2014-07-08

Family

ID=4132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762A KR101417040B1 (ko) 2007-12-27 2007-12-27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046B1 (ko) * 2015-12-04 2021-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나믹 댐퍼 어셈블리
WO2019110095A1 (en) * 2017-12-06 2019-06-1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n assembly for releasably engaging an upper vehicle part with a base vehicle part
KR102160402B1 (ko) * 2020-07-08 2020-09-28 한종민 멤버부싱 보강용 고정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890A (ko) * 1996-11-15 1998-08-05 김영귀 러버 바디 마운팅 구조
KR20020048489A (ko) * 2000-12-18 2002-06-24 류정열 차량의 바디 마운트 구조
JP2004019847A (ja) 2002-06-19 2004-01-22 Hokushin Ind Inc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890A (ko) * 1996-11-15 1998-08-05 김영귀 러버 바디 마운팅 구조
KR20020048489A (ko) * 2000-12-18 2002-06-24 류정열 차량의 바디 마운트 구조
JP2004019847A (ja) 2002-06-19 2004-01-22 Hokushin Ind Inc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667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0925A (en) Tractor cab and safety frame mounting
CN208559560U (zh) 用于车辆的驾驶室的支承结构和具有该支承结构的车辆
US7900873B2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20050133325A1 (en) Dynamic damper
WO1993009302A1 (en) Resilient supporting device for operator cabin
KR101417040B1 (ko) 진동 상수 조정이 가능한 러버 마운팅 구조
CN105276073B (zh) 一种用于光学载荷的多维多级减振装置
US4633716A (en) Shaker head expander
KR100839618B1 (ko) 캐브 완충장치
EP2753478A1 (de) Vorrichtung zur reduzierung von schwingungen an einer radaufhängung
CN203511293U (zh) 一种变速箱悬置结构
JP2020051443A (ja) 制振装置
US9383059B2 (en) Assembly securing arrangement
CN213655075U (zh) 一种减震降噪箱体及压缩机
KR20150079802A (ko) 차량용 마운팅 장치
JP2000009167A (ja) 機器の弾性支持装置
KR100764485B1 (ko) 자동차용 서포트 빔
CN105398320A (zh) 用于车辆的悬置安装组件和具有其的车辆
CN205130899U (zh) 用于车辆的悬置安装组件和具有其的车辆
CN220785448U (zh) 一种重型卡车用变速箱辅助支撑装置
KR20200099726A (ko) 엔진 마운트용 방진장치
CN110273644A (zh) 减震盖板及旋挖钻机底盘
CA1073427A (en) Resilient mounting for an operator&#39;s station on a vehicle
CN219029076U (zh) 支架组件、压缩机总成和车辆
CN220298423U (zh) 一种半挂车工具箱装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