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130B1 - 카드 회수기 - Google Patents

카드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130B1
KR101416130B1 KR1020120063110A KR20120063110A KR101416130B1 KR 101416130 B1 KR101416130 B1 KR 101416130B1 KR 1020120063110 A KR1020120063110 A KR 1020120063110A KR 20120063110 A KR20120063110 A KR 20120063110A KR 101416130 B1 KR101416130 B1 KR 10141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loading
folding member
are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563A (ko
Inventor
유명진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2006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13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conveying arrangement to mag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는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 영역과 카드가 주입되는 주입 영역을 포함하고, 적재 영역에 형성되어, 주입된 카드를 회수하는 회수 롤러;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 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롤러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주입 영역에서 상기 적재 영역으로 연장된 슬릿부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부 내에서 선택적으로 펼쳐져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돌출되어 왕복 운동 하도록 형성된 접이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 회수기{Card Collector}
본 발명은 카드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지 및 수리가 간단하면서도 각종 카드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고, 카드 회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드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있어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는 공중 전화카드, 버스카드, 주차카드 및 신용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정보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더욱 다양한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한편,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용도에 따라 발권 및 회수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요금 카드를 발권받고, 요금 정산을 위해 카드를 회수한다. 이 밖에 주차 카드 등의 경우에도 발권과 회수를 필요로 한다.
카드의 회수 과정은 소정의 카드 회수기(card collector)를 통해 이루어지며, 카드 발권은 카드 발권기(card dispenser)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카드 회수기는 카드 주입부 및 카드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주입부를 통해 카드를 1 매씩 주입받아 카드 이송부 또는 카드 이송 장치를 통하여 카드를 원하는 카드 적재부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카드 회수기는 카드 주입부로의 주입 과정 시 또는 적재부로의 적재 과정 진행 시 카드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카드가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는 슬림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카드 걸림 현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카드 적재를 위해서 특허문헌 1에서는 복수개의 롤러, 프레임 및 센서가 배치된 카드 회수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롤러에 의존하여 카드를 회수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롤러에 마찰이 가해지는 경우 롤러가 쉽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 시간이 지나고 사용 횟수가 많아 짐에 따라 롤러가 마모되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카드 회수를 보장하기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카드 회수기의 롤러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카드 회수기의 유지 및 수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KR 0778126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종 카드의 회수를 안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카드 회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유지 및 수리가 간단한 카드 회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는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 영역과 카드가 주입되는 주입 영역을 포함하고, 적재 영역에 형성되어, 주입된 카드를 회수하는 회수 롤러;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 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롤러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주입 영역에서 상기 적재 영역으로 연장된 슬릿부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부 내에서 선택적으로 펼쳐져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입 영역과 상기 적재 영역 사이에서 왕복 운동 하도록 형성된 접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접이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는 샤프트, 일 단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 단은 상기 제2 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일 단은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릿부 내에서 자동으로 돌출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와 상기 탄성 부재의 타 단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왕복 운동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 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제3 지지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적재 영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릿부의 상기 주입 영역측 단부에서 상기 제2 면으로 숨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이 부재와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사이에는 회전 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 영역측 단부에는 상기 접이 부재의 샤프트 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인식하는 접이 부재 인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롤러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카드를 인식하는 제1 카드 인식 센서 및 제2카드 인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 영역에 형성되어,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 롤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 롤러는 상기 제2 면 측에서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 영역의 적재 높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에서 카드를 인식하는 제3 카드 인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카드 인식 센서는 적재 영역의 일 측면 또는 적재 영역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롤러는 제1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 부재는 제2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 롤러를 상기 주입 영역에 카드가 주입되면 구동되고, 상기 적재 영역에 카드가 주입되면 구동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이 부재를 카드가 기 설정된 위치에 주입되면 구동되고, 상기 접이 부재가 상기 적재 영역을 거쳐 상기 주입 영역에 도달하면 구동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적재 영역에 카드가 주입되면, 주입된 카드를 회수하도록 회수 롤러를 구동시키는 제1 단계; 카드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주입되면 접이 부재를 구동시켜 카드를 주입 영역에서 적재 영역까지 카드를 이동시키는 제2 단계; 적재 영역에 카드가 적재되면, 상기 접이 부재를 상기 적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로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의 마찰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접이 부재를 사용하여 카드를 회수하는 카드 회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롤러는 쉽게 마모되어 주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하는 데에 비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재질의 접이 부재는 쉽게 마모되지 않아 유지 보수가 간단한 카드 회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으면서도 각종 카드의 회수를 안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카드 회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드 회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상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를 이용하여 카드를 삽입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100)는 적재 영역(110)과 주입 영역(120)을 포함한다. 주입 영역(120)으로 카드가 주입되어, 적재 영역(110)에 카드가 적재된다.
상기 적재 영역(110) 및 주입 영역(120)들에 상응하는 공간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프레임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은 상기 영역의 공간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각종 회전축과 구동축, 센서 등의 구성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재 영역(110) 및 주입 영역(1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01)과, 상기 적재 영역(110)과 상기 주입 영역(120) 사이에 배치된 제2 프레임(102)에 의해 해당 영역의 공간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까지 확장되어,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10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3)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01)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102)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적재 영역(110)은 직육면체 형상을 정의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01), 제2 프레임(102) 및 가이드 플레이트(103)에 의하여 적재 영역(110)에 상응하는 공간이 정의되며, 적재 영역(110) 내에는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카드 적재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적재 영역(110)의 프레임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탑재된 카드를 쉽게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입 영역(120)도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정의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01), 제2 프레임(102) 및 가이드 플레이트(103)에 의해 주입 영역이 정의되며, 주입되는 카드는 가이드 플레이트(103)의 제1 면(103a)을 따라서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으로 주입 및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 플레이트(103)의 제2 면(103b) 측에는 접이 부재(160), 구동부(155, 156) 및 제어부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 프레임(102)은 가이드 플레이트(10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2 프레임(102)과 가이드 플레이트(103) 사이의 공간으로 카드가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100)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101)의 내측면에는 제1 및 제2 회전축(113, 115)이 고정 및 지지된다. 상기 제1 회전축(113) 상에는 회수 롤러(123)가 구비되며, 제2 회전축(115) 상에는 적재 롤러(125)와 제1 캠 구조물(13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축(113)은 제1 구동부(155)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구동축(151)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축(115)은 제2 구동부(157)에 의해 회전하는 제2 구동축(153)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 롤러(125)는 제2 회전축(115)에 비고정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101)의 내측면의 적재 영역(110) 상에 구비된 제3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적재 롤러(125)는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 롤러(125)는 제2 회전축(115)에 비고정 방식으로 또는 구동부에 연결되지 않은 별도의 제3 회전축(미도시) 상에 고정되어 동력을 공급 받지 않고 접이 부재에 의해 밀려오는 카드와의 마찰에 의해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3)에는 회수 롤러(123)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슬릿부(105a, 105b)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부(105a, 105b)는 회수 롤러(123)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 슬릿(105a)과 제2 슬릿(105b)인, 2개의 슬릿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릿부(105a, 105b)는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3)의 제2 면(103b) 측에서 상기 슬릿부(105a, 105b)에 대응하는 영역에 접이 부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이 부재(160)는 선택적으로 슬릿부(105a, 105b)를 따라서 적재 영역(110)과 주입 영역(120)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위치까지 카드가 삽입되면 슬릿부(105a, 105b)에서 돌출된 접이 부재(160)에 카드가 지지되어, 카드는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까지 접이 부재(160)로 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접이 부재(16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접이 부재(16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프레임(101)의 내측면에 한 쌍의 제1 회전축(113a, 113b)이 고정 및 지지된다. 한 쌍의 제1 회전축(113a, 113b) 상에는 제1 회수 롤러(123a) 및 제2 회수 롤러(123b)가 가이드 플레이트(103)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수 롤러(123a)와 제2 회수 롤러(123b)가 접촉되는 지점은 가이드 플레이트(103)의 제1 면(103a)과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3)를 따라서 유입된 카드는 제1 회수 롤러(123a)와 제2 회수 롤러(123b)에 맞물려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수 롤러(123a)와 제2 회수 롤러(123b) 중 어느 하나의 회수 롤러가 제1 구동축(15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1 구동부(155)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구동축(151)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제1 및 제2 회수 롤러(123a, 123b)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155, 157)(도 1 참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후술하는 제1 카드 인식 센서(251), 제2 카드 인식 센서(253), 제3 카드 인식 센서(255) 및 접이 부재 인식 센서(25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들로부터 오는 신호에 따라 회수 롤러(123), 적재 롤러(125) 또는 접이 부재(160)의 구동 시점, 구동 시간, 구동 종료 시점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70)는 카드 회수기의 밑면에 배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이 부재(160), 특히 접이 부재(160)의 몸체부(220)는 선택적으로 접힌 상태(도 3a) 또는 펼쳐진 상태(도 3b)가 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20)는 펼쳐진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03)의 제1 면(103a)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카드를 지지한 상태로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까지 카드를 밀도록 형성되고, 카드를 적재 영역(110)에 적재 한 뒤 주입 영역(120)으로 되돌아 다시 졉혀진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접이 부재(16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도 4a는 제1 프레임(101)과 가이드 플레이트(103)가 생략된 상태에서 접이 부재(160)와 회수 롤러(123)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접이 부재(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접이 부재(16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3)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는 샤프트(211), 강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211)가 관통하는 관통홀(223)과 제2 면(103b) 위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1)를 포함하는 몸체부(220), 일 단은 고정되고 타 단은 몸체부(2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탄성 부재(23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20)는 적재 영역(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 면(103a)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몸체부(220)는 슬릿부(105a, 105b) 내에서 제1 면(103a)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도 3b 참조), 슬릿부(105a, 105b)의 주입 영역(120) 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3)가 몸체부(220)를 제2 면(103b) 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제2 면(103b) 내부로 숨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a 참조).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211)는 지지 플레이트(241)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프레임(101) 사이에 지지 플레이트(241) 또는 샤프트(211)가 가이드 플레이트(103)에 대하여 평행하게 왕복 운동을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샤프트(211)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242), 접이 부재(160)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된 제2 지지부(243), 탄성부재(231)의 일 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제3 지지부(245)가 서로 고정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2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지지부(242, 243, 245)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에 따라, 접이 부재(160)에서 샤프트(211)는 제1 지지부(242)에 고정되고, 몸체부(220)의 관통홀(223)에 상기 샤프트(211)가 끼워지고 제2 지지부(243)의 단차부에 지지되며, 탄성 부재(231)는 일 단은 제3 지지부(245)의 고정홈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몸체부(2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0)는 샤프트(211) 상에서 회전하여 단차부를 기준으로 접히고 펼쳐진 상태를 구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20)는 캠 구조물(131, 132)의 상호 작용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캠 구조물(131, 132)의 운동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왕복 운동을 유도하는 캠 구조물(1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회전축(115)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원판형 캠에 해당하는 제1 캠 구조물(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 구조물(131)의 일 측에 일 단이 연결되어 제1 캠 구조물(131)에 회전 운동에 따라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제2 캠 구조물(132)이 형성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이 이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a에 따르면 제1 및 제2 캠 구조물(131)의 상호 작용에 따라 제2 캠 구조물(132)의 타 단에 연결된 샤프트(211) 또는 지지 플레이트(241)는 주입 영역(120)의 일단에서(도 5a 참조), 적재 영역(110)까지(도 5b 참조) 왕복 운동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캠 구조물(131)에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241)는 제1 및 제2 캠 구조물(131)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41) 상에 장착된 몸체부(220)는 지지 플레이트(241)를 따라서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20)는 왕복 운동하는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접히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수 롤러(123)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축(113)은 제1 구동축(151)에 연결되며, 캠 구조물(130)과 적재 롤러(125)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축(115)은 제2 구동축(153)에 연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항상 모든 롤러와 구조물을 구동시키지 않고, 회수 롤러(123), 캠 구조물(130) 및 적재 롤러(125)는 별도의 동력원에 연결되어 카드의 위치에 따라 롤러(123) 또는 캠 구조물(130)을 회전시켜 회수 과정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삽입 방향에서 제1 회전축(113)에 장착된 회수 롤러(123)의 전단부에 제1 카드 인식 센서(251)가 배치되고, 상기 회수 롤러(123)의 후단부에 제2 카드 인식 센서(25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드 인식 센서(251)와 제2 카드 인식 센서(253)는 카드 회수 경로, 즉 가이드 플레이트(103) 상의 카드를 인식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주입되는 카드의 원활한 인식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인식 센서(251, 253)가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에 가이드 플레이트(103)에는 소정의 개구공이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103) 상에서 카드가 주입됨을 회수 롤러(123)의 전단부에서 확인하면 회수 롤러(123)를 구동시켜 카드를 회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회수 롤러(123)의 후단부에서 카드가 적재 영역으로 완전히 주입됨을 확인하면 회수 롤러(123)의 구동을 종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 부재(160)가 상기 주입 영역(120)의 단부에 있는 지를 확인하도록, 상기 접이 부재(160)의 이동 경로 상에서 주입 영역(120)의 단부에 접이 부재 인식 센서(257)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 부재 인식 센서(257)는 상기 샤프트(211) 또는 지지 플레이트(241)를 인식하도록, 샤프트(211) 또는 지지 플레이트(241)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211) 또는 지지 플레이트(241)가 주입 영역(106)측 단부에 있는 지를 확인 하도록 주입 영역(160)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 영역(110)의 높이 방향 단부에 제3 카드 인식 센서(255b)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카드 인식 센서(255b)는 적재 영역 상에서 카드가 어느 정도 적재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적재 영역(110) 상의 높이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소정량 이상의 카드가 적재되어 소정 높이 이상 쌓이게 되면 상기 제3 카드 인식 센서(255b)에서는 적재된 카드를 인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 영역(110) 상에는 카드를 중력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웨이트(weight)가 배치될 수 있다. 적재 영역(110) 상에 적재된 카드에 무게를 가하여, 카드가 순차적으로 적재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웨이트(weight) 상에 형성된 바를 기준으로 적재 높이를 측정하도록 적재 영역(110)의 일 측면에 제3 카드 인식 센서(255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 영역(110) 상에 웨이트를 배치하지 않아도, 접이 부재(160)와 적재 롤러(125)의 상호 작용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장 아래에 적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 영역(110)의 대향하는 양 측면에 한 쌍의 제3 카드 인식 센서(255a)(도 1 참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카드 인식 센서(251), 제2 카드 인식 센서(253) 및 제3 카드 인식 센서(255a, 255b)와 접이 부재 인식 센서(257)는 카드 회수기에 일 부분에 마련된 제어부(270)에 전기적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위 센서들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회수 롤러(123), 접이 부재(160) 또는 적재 롤러(125)를 각각 구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회수기(100)에서 카드를 회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주입 영역(120)에 카드(C)가 주입되면 가장 먼저 제1 카드 인식 센서(251)에서 카드(C)의 주입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제1 카드 인식 센서(251)에서 카드(C)가 주입됨을 인식하면 회수 롤러(123)를 구동시키도록 제1 구동축(151)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회수 롤러(123)는 서로 맞물려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한 쌍의 회수 롤러(123)는 회수 롤러(123)에 맞물린 카드(C)가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수 롤러(123)가 회전하는 동안 접이 부재(160)는 주입 영역(120)측 단부에 위치하며, 접이 부재(160)의 몸체부(220)는 제2 면(103b) 아래에 접힌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회수 롤러(123)에 의해 카드(C)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주입되면 접이 부재(160)가 구동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카드 인식 센서(251)에서 카드(C)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카드(C)가 주입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에서 기 설정된 위치까지 카드(C)가 주입된 것을 확인하면, 접이 부재(160)를 구동시키게 된다.
접이 부재(160)는 적재 영역(110)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특히 적재 영역(110)쪽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부(220)는 슬릿부(105a, 105b)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카드(C)는 기 설정된 위치에서 몸체부(220)에 지지되게 되며 몸체부(220)의 이동에 따라 적재 영역(110)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 롤러(125)에 동력이 연결되어 카드(C)를 주입하는 방향(예를 들면 도 7b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동력에 연결되지 않고 주입되는 카드(C)와의 마찰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 롤러(125)는 가이드 플레이트(103)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적재 영역(110)으로 주입되는 카드(C)는 전면부가 후면부에 비하여 상부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완전히 주입된 카드(C)는 반대로 후면부가 전면부에 비하여 들리게 된다. 그에 따라 별도의 웨이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카드(C)는 순차적으로 아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카드 인식 센서(253)에서 카드(C)가 적재 영역(110)으로 주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회수 롤러(123)는 제1 구동부(155)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 부재(160)는 제2 구동부(157)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155, 157)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회수 롤러(123)가 상기 주입 영역(120)에 카드(C)가 주입되면 구동되고, 상기 적재 영역(110)에 카드(C)가 주입되면 구동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카드 인식 센서(253)에서 카드(C)가 회수 롤러(123)을 지나 제2 카드 인식 센서(253)에서 더 이상 카드(C)가 존재 하지 않음을 인식하게 되면 제어부(270)에 신호를 보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수 롤러(123)에 더 이상 카드(C)가 맞물리지 않으므로 회수 롤러(123)의 구동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접이 부재(160)는 지속적으로 적재 영역(110)까지 이동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카드(C)가 적재 영역(110)의 적재 위치까지 카드(C)가 주입되도록 적재 영역(110)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주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카드(C)는 접이 부재(160)의 몸체부(220)에 지지된 상태로 적재 영역(110)까지 밀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수 롤러(123)와 적재 롤러(125)에는 특정 방향으로만 동작하도록 클러치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카드(C)의 진행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상기 회수 롤러(123)와 적재 롤러(12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접이 부재(160)는 적재 영역(110)까지 이동한 뒤 다시 주입 영역(120)의 단부로 되돌아 오며, 접이 부재 인식 센서(257)가 주입 영역(120)의 단부에 회귀 했음을 확인하게 된다.
접이 부재(160)는 적재 영역(110)과 주입 영역(120)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며, 1장의 카드(C)를 수용하는 동안 1회의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접이 부재(160)가 카드(C)가 기 설정된 위치에 주입되면 구동되고, 상기 접이 부재(160)가 상기 적재 영역(110)을 거쳐 상기 주입 영역(120)에 도달하면 구동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접이 부재(160)는 제1 카드 인식 센서(251)에 의하여 기 설정된 위치까지 카드(C)가 이동하면 왕복 운동을 시작하게 되며, 접이 부재(160)가 주입 영역(120)의 단부에 도달하였음을 접이 부재 인식 센서(257)가 인식하게 되면 제어부는 접이 부재(160)의 구동을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 부재(160)는 적재 영역(110)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1 면(103a)과 제2 면(103b) 방향으로 펼쳐지고 접히도록 형성되므로, 접이 부재(160)는 주입 영역(120)과 적재 영역(110)의 슬릿부 내부에서는 제1 면(103a)으로 펼쳐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접이 부재(160)가 주입 영역(120)의 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슬릿부의 단부가 몸체부(220)의 경사면을 누르기 때문에 접이 부재(160)는 접혀 제2 면(103b) 아래로 숨겨져 다음 카드 회수를 기다리게 된다.
다시 말해, 도 7a 내지 도 7d의 운동은 1장의 카드를 회수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며, 각 카드가 회수 될 때마다 위 공정을 반복하여 카드의 안정적인 회수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1장의 카드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70)는, 적재 영역(110)에 카드가 주입되면, 주입된 카드를 회수하도록 회수 롤러(123)를 구동시키는 제1 단계(도 7a 참조), 카드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주입되면 접이 부재(160)를 구동시켜 카드를 주입 영역(120)에서 적재 영역(110)까지 카드를 이동시키는 제2 단계(도 7b 및 도 7c 참조), 적재 영역(110)에 카드가 적재되면, 상기 접이 부재(160)를 상기 주입 영역(120)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도 7d 참조)로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 부재를 사용하여 카드를 지지하여 밀어내는 방식으로 카드를 회수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방식으로 카드를 회수할 있다.
또한, 회수 롤러와 접이 부재를 사용하여 카드를 회수 하기 때문에, 롤러가 다소 마모되더라도 접이 부재로 카드를 회수하기 때문에 사용 수명이 보다 길면서도, 효율적인 카드 회수를 보장할 수 있는 카드 회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회수 롤러와 접이 부재를 구동시켜 카드를 회수하므로 카드 회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구조가 보다 간단해 지기 때문에 유지 및 수리가 간편한 카드 회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카드 회수기
110: 적재 영역
120: 주입 영역
102: 제2 프레임
103: 가이드 플레이트
113: 제1 회전축
115: 제2 회전축
123: 회수 롤러
125: 적재 롤러
131: 제1 캠 구조물
132: 제2 캠 구조물
151: 제1 구동축
153: 제2 구동축
211: 샤프트
220: 몸체부
221: 돌출부
223: 관통홀
231: 탄성부재
251: 제1 카드 인식 센서
253: 제2 카드 인식 센서
255: 제3 카드 인식 센서
257: 접이 부재 인식 센서

Claims (16)

  1.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 영역과 카드가 주입되는 주입 영역을 포함하고,
    적재 영역에 형성되어, 주입된 카드를 회수하는 회수 롤러;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 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롤러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주입 영역에서 상기 적재 영역으로 연장된 슬릿부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부 내에서 선택적으로 펼쳐져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입 영역과 상기 적재 영역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된 접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 부재는, 상기 제2 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일 단은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릿부 내에서 자동으로 돌출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적재 영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릿부의 상기 주입 영역측 단부에서 상기 제2 면으로 숨겨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탄성 부재의 타 단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왕복 운동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 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제3 지지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부재와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사이에는 회전 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 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영역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인식하는 접이 부재 인식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롤러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카드를 인식하는 제1 카드 인식 센서 및 제2 카드 인식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9.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 영역과 카드가 주입되는 주입 영역을 포함하고,
    적재 영역에 형성되어, 주입된 카드를 회수하는 회수 롤러;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 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롤러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주입 영역에서 상기 적재 영역으로 연장된 슬릿부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부 내에서 선택적으로 펼쳐져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입 영역과 상기 적재 영역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된 접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 영역에 형성되어,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 롤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롤러는 상기 제2 면 측에서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영역의 적재 높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에서 카드를 인식하는 제3 카드 인식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카드 인식 센서는 상기 적재 영역의 일 측면 또는 상기 적재 영역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롤러는 제1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 부재는 제2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 롤러를, 상기 주입 영역에 카드가 주입되면 구동되고, 상기 적재 영역에 카드가 주입되면 구동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이 부재를, 카드가 기 설정된 위치에 주입되면 구동되고, 상기 접이 부재가 상기 적재 영역을 거쳐 상기 주입 영역에 도달하면 구동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적재 영역에 카드가 주입되면, 주입된 카드를 회수하도록 회수 롤러를 구동시키는 제1 단계;
    카드가 기 설정된 위치까지 주입되면 접이 부재를 구동시켜 카드를 주입 영역에서 적재 영역까지 카드를 이동시키는 제2 단계;
    적재 영역에 카드가 적재되면, 상기 접이 부재를 상기 주입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로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KR1020120063110A 2012-06-13 2012-06-13 카드 회수기 KR10141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10A KR101416130B1 (ko) 2012-06-13 2012-06-13 카드 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10A KR101416130B1 (ko) 2012-06-13 2012-06-13 카드 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63A KR20130139563A (ko) 2013-12-23
KR101416130B1 true KR101416130B1 (ko) 2014-07-14

Family

ID=4998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110A KR101416130B1 (ko) 2012-06-13 2012-06-13 카드 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9396B (zh) * 2019-01-30 2023-11-28 河北交投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无人值守自助缴费设备
KR102234924B1 (ko) 2019-10-22 2021-04-05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2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1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3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232Y2 (ja) * 1990-02-21 1996-11-27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超音波スケーラ用チップ
JP3864135B2 (ja) * 2002-12-05 2006-12-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強制排出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232Y2 (ja) * 1990-02-21 1996-11-27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超音波スケーラ用チップ
JP3864135B2 (ja) * 2002-12-05 2006-12-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強制排出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63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130B1 (ko) 카드 회수기
CN103324960B (zh) 一种重力自适应分卡机构及具有该机构的发卡装置
CN101134534A (zh) 卡片送出装置
CN103985192A (zh) 循环一体机及其分钞装置
CN103248787A (zh) 文件读取器
CN103824042A (zh) 手动式读卡器
CN104077615B (zh) 收发卡装置及收发卡方法
CN103996250A (zh) 自助打印终端器
CN106408056A (zh) 具有卡片识别判断、计数和存储功能的ic卡管理设备
CN206431649U (zh) 收卡机的收卡装置
CN105382114B (zh) 一种定位冲压装配装置
KR200401525Y1 (ko) 카드 디스펜서
CN206282361U (zh) Ic卡管理设备的卡片上顶机构
CN202339557U (zh) 一种推卡机构及使用该机构的自动发卡设备
CN220032983U (zh) 发鞋机
KR102347743B1 (ko)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KR100962477B1 (ko)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CN203552277U (zh) 一种重力自适应分卡机构及具有该机构的发卡装置
CN209015259U (zh) 出票装置及金融票据处理设备
CN109132154A (zh) 一种薄片类介质收纳箱
CN113331561B (zh) 一种卡包
CN214934677U (zh) 收纳设备
CN204667428U (zh) 收发卡器及其推拉卡机构
CN213385491U (zh) 一种汽车线束转运托盘
CN215884993U (zh) 证件运送车及其证件自动提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