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678B1 -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678B1
KR101415678B1 KR1020127000535A KR20127000535A KR101415678B1 KR 101415678 B1 KR101415678 B1 KR 101415678B1 KR 1020127000535 A KR1020127000535 A KR 1020127000535A KR 20127000535 A KR20127000535 A KR 20127000535A KR 101415678 B1 KR101415678 B1 KR 10141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odule
filtration membrane
air
clean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492A (ko
Inventor
시게오 사토
카즈히로 토요오카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2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5Specific hou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2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omprising an initial buffer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온에어세정방법 및 세정장치에서는, 여과막모듈을 반응조에서 끌어내어 여과막모듈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약액을 주입해야 하고, 따라서 복잡한 작업, 큰 설비비용과 설치공간이 필요하다.
[해결수단] 여과막모듈(11)을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에 수용하여, 그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내에 에어를 도입시켜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에어를 채우고, 상기 여과막모듈(11)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여과막모듈(11)의 2차측에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 등의 세정용 약액을 주입시켜, 그 약액이 여과막모듈(11)의 1차측으로 침투하여 여과막모듈(11)이 세정된다.

Description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ewage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가정하수와 산업폐수에 포함된 오탁물질이 생물처리 혹은 응집 또는 침전처리를 위해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에 침지되어 여과조작이 행하여지는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하수와 산업폐수에 포함된 오탁물질이 생물처리 혹은 응집 또는 침전처리가 된 후 여과막모듈에 의해 여과되는 막분리처리시스템에서, 반응조에 여과막모듈이 위치하고, 여과조작에 의해 피여과수가 막분리된다.
여과조작으로 인해, 제거된 오탁물질이 여과막모듈 막면에 부착되어 모듈 막면 내부의 세공부에 퇴적되기 쉽다. 통상, 막면의 오탁물질의 부착 및 퇴적을 억제하여 여과조작시간을 늘려 여과운전의 효율을 높이는 목적으로, 여과막모듈 저부로부터 폭기(曝氣)가 형성되어, 막면에 격하게 기포류가 충돌하여 오탁물질의 부착, 퇴적을 억제하도록 스크러빙에어가 반응조에 공급된다. 또한, 일정주기에 압력이 가해진 여과수가 여과막모듈에 주입되어 오염물질을 역세(逆洗)제거한다. 그러나, 스크러빙에어와 역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장기적으로 좋은 억제효과를 보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때문에, 스크러빙에어와 역세에도 불구하고 남아있는 막면에 부착, 퇴적된 오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막면으로부터 부착, 퇴적된 오탁물질을 화학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약액세정을 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약액을 위한 물질로, 부착, 퇴적된 오탁물질이 유기물인 경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많이 사용되고, 무기물인 경우에는 옥살산이 사용된다.
약액을 사용한 여과막모듈 세정방법으로는, 인라인세정 및 온에어세정이 알려져 있다.
인라인세정은, 반응조에 여과막모듈이 침지된 상태에서, 여과막모듈의 2차측(즉, 여과수의 유출측)에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이 주입되어, 그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1차측(즉, 피여과수 공급측)으로 침투, 투과하는 여과막모듈의 약액세정 방법이다(이하에서, 제1 세정방법으로 칭함).
온에어세정방법은, 여과막모듈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이 주입되어, 그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 침투, 투과하는 여과막모듈의 약액세정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온에어세정방법으로, 주로 이하의 3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첫번째는, 반응조에 침지된 여과막모듈이 반응조 밖으로 끌려나와 공기중에 노출되고,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이 주입되어, 그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 침투, 투과하는 여과막모듈의 약액세정방법이다(이하에서, 제2 세정방법으로 칭함).
두번째는, 여과막모듈이 침지된 반응조로부터 용액이 배출되어, 여과막모듈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가 되고, 여과막모듈의 2차측에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이 주입되어, 그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1차측으로 침투, 투과되는 여과막모듈의 약액세정방법이다(이하에서, 제3 세정방법으로 칭함).
세번째는, 반응조 옆에 여과막모듈이 침지되는 외부조가 설치되는 침지조 사용 방식으로, 이 방식에서는 약액세정을 행하기 위해 오탁물질을 처리하는 경우에, 외부 침지조의 용액만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세정방법과 비교했을 때 배출액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배출액이 반응조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후, 여과막모듈이 상기 제3 세정방법과 같은 약액세정방법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이하에서, 제4 세정방법으로 칭함). 상기 세정방법을 개시하는 문헌들 중 하나로 특허문헌 1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1: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 2005-66548호
상기 제1 세정방법(인라인세정방법)은, 여과막모듈이 반응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약액을 주입하기 때문에, 반응조 내의 액압으로 인해 약액이 여과막모듈내로 침투하는 것이 어렵다. 나아가, 여과막모듈 표면에 침투, 투과된 약액이 용액에 의해 농도가 희석되어, 여과막모듈의 막면에 부착, 퇴적된 오탁물질의 세정효과가 감소한다. 또한, 여과막모듈의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그 막힘 부분에 약액이 퍼지지 않아 세정반(洗淨斑)이 발생한다. 세정반을 없애기 위해, 고압의 약액을 다량 여과막모듈에 주입해야 하고, 고압펌프와 다량의 약액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제2 세정방법(온에어세정방법)은, 여과막모듈을 반응조에서 끌어내어 공기중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체인블록 등과 같은 승강기기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여과수와 스크러빙에어용 배관을 해체하는 작업과 세정종료후 배관을 설치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제3 세정방법(온에어세정방법)은, 반응조에서 배출된 용액을 일시적으로 담을 별도의 저류조가 필요하다. 통상, 여과막모듈은 수심이 4~5m인 반응조의 저부에 침지되기 때문에, 여과막모듈 전체가 공기중에 노출되기 위해서는, 반응조 용액을 전량에 가까이 배출해내야 하고, 배출된 용액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대용량의 탱크와 이송용 펌프의 설치를 필요로 하게 되어 건설비 및 운전비의 증대를 가져온다.
상기 제4 세정방법(온에어세정방법), 즉, 반응조 옆에 여과막모듈이 침지되는 외부침지조가 설치되는 침지조 사용 방식에서, 외부침지조의 용액만 배출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제3 세정방법과 비교했을 때 배출액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배출액이 반응조로 이송될 때, 외부침지조가 일시적 저류조로 겸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침지조와 반응조에서 외부침지조로 액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펌프의 필요로 인해, 상기 제3 세정방법에 미치지는 않지만, 여전히 건설비 및 운전비가 증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1 세정방법의 결점인 세정능력 저하, 약액주입용 펌프의 고압화 사용 및 약액 다량사용, 상기 제2 세정방법의 결점인 체인블록 등과 같은 승강기기의 필요성, 여과수와 스크러빙에어용 배관을 해체하는 작업과 세정종료후 배관을 설치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의 필요, 상기 제3 세정방법의 결점인 반응조에서 배출된 용액을 일시적으로 저류할 별도의 저류조 및 이송용펌프 설비 필요, 상기 제4 세정방법의 결점인 외부침지조 및 이송용펌프의 필요를 해결하고, 여과막모듈이 반응조 내에 침지된 상태에서 여과막모듈이 약액 세정되는 인라인세정의 간편함과 상기 종래의 온에어세정과 같은 높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은,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 내에 침지된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세정용 약액이 주입되고, 상기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1차측으로 침투, 투과되되, 상기 여과막모듈이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또는 세정케이싱)에 수용되고,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산기 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 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공급되고, 여과막모듈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약액이 주입되어 상기 약액이 모듈의 1차측으로 침투, 투과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는,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에 침지된 여과막모듈의 2차측에 세정용 약액을 주입시키는 약액주입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약액이 상기 약액주입장치에 의해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주입되어 여과막모듈을 세정하되, 상기 여과막모듈을 수용, 상기 여과막모듈을 공기중에 노출시키기 위한 에어를 저류가능한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과, 그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산기 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 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막모듈을 공기중에 노출시키는 에어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은 저부가 열려 있고, 상부가 덮개판으로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에는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외를 연통하는 에어방출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방출밸브로서는 공기압 구동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로 산기블로우어 혹은 스크러빙블로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에서, 여과막모듈을 수용하는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산기 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 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공급되어,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에어가 차고, 상기 여과막모듈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약액이 주입되어, 여과막모듈이 반응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약액이 주입되는 상기 종래의 인라인세정방법과 비교했을 때, 여과막모듈이 액압을 받지 않는 만큼 약액의 침투, 투과가 용이하다. 여과막모듈 막표면의 세공을 통해 삼출(渗出)되는 약액과 처리조 내액이 반응하여 약액의 효과가 저하되는 일은 없다. 나아가, 약액이 용액에 의해 희석되지 않기 때문에, 약액의 희석에 의한 세정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은, 종래의 인라인세정방법에, 여과막모듈이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수용된 후 그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산기 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 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공급되는 간단한 공정을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는, 종래의 인라인세정장치에, 여과막모듈이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수용된 후 그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는 간단한 개량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에어공급장치로 에어를 공급함에 따라,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에어가 차서 여과막모듈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가 되어, 약액주입장치에 의해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주입되어 여과막모듈의 온에어세정이 가능하다.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이 저부가 열려 있고, 상부가 덮개판으로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었기에, 상기 저부의 개구를 통해 에어공급장치로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산기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의 덮개판에 에어방출밸브가 설치되어, 그 에어방출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의 에어를 저류 혹은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인라인세정장치 조절시스템에 상기 에어방출밸브만 추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의 조절시스템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로 산기블로우어 혹은 스크러빙블러우어를 사용하면, 에어공급장치로 전용 에어컴프레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어컴프레서의 비용만큼, 세정장치의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를 갖춘 멤브레인 바이오리액터 방법(MBR)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를 갖춘 멤브레인 바이오리액터 방법(MBR)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이 하수처리시스템에서, 가정하수, 산업폐수 등과 같은 원수(1)가 스크린조(2)에 유입되어 세목(細目)스크린(3)에 의해 고형분이 제거된 상태로 유량조정조(4)에 보내진다. 그리고, 고형분이 제거된 상기 원수가 유량을 조정하는 펌프(5)에 의해 상기 유량조정조(4)에서 탈질조(6)로 보내지고, 수위차에 의한 자연낙하로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에 유입된다. 반송펌프(8)에 의해 상기 원수가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로부터 상기 탈질조(6)로 반송되어, 활성오니가 상기 탈질조(6)와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 사이를 순환하게 되고, 활성오니의 일부는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로부터 슬러지취출밸브(9)에 의해 잉여오니로 뽑아내어진다.
상기 탈질조(6)에서는, 무산소 상태에서 교반기(10)에 의해 교반이 행해진다.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에서는, 유입수(이하에서, 피여과수라 칭함)가 활성오니에 의해 생물처리되어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 내에 배치된 여과막모듈(11)에 의해 여과되고, 여과되어진 물(이하에서, 여과수라 칭함)이 여과수배관(12)을 통해 여과수탱크(13)로 송수(送水)되어 여과수탱크(13)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후, 펌프(14)에 의해 상기 여과수탱크(13)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여과막모듈(11)로서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등으로 만들어진 원통형 중공사막모듈이 사용된다. 상기 여과막모듈(11)은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 내의 용액(혹은 물)을 투과시켜 여과시킨다. 상기 여과막모듈(11)은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 내에 1개 혹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에서, 산기블로우어(폭기블로우어)(15)에 의해 용존산소의 존재하에 호기처리가 행해지고, 동시에, 스크러빙블로우어(16)와 스크러빙산기기(17)에 의해 상기 여과막모듈(11)이 상시 진동되어 활성오니에 의해 상기 여과막모듈(11)이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도면부호 15a는 폭기용 산기기이다.
상기 여과수배관(12)의 도중에 여과 또는 역세펌프(18)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는, 피여과수를 여과할 때, 설정시간마다 상기 여과수탱크(13)로부터 여과수를 상기 여과막모듈(11)에 공급하여 상기 여과막모듈(11)을 역세세정할 때, 또는 후에 설명할 약액주입장치(26)에 의해 상기 여과막모듈(11)이 약액세정된 후 약액로를 씻어 내릴 때 사용된다.
상기 여과수배관(12)에는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7)측)과 하류측(여과수탱크(13)측)에 각각 제1, 제2 밸브(19, 20)가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여과수배관(12)에는, 상기 제1 밸브(19) 상류측과,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와 상기 제2 밸브(20)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여과수역류로(2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여과수역류로(21)에는 제3 밸브(22)가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여과수배관(12)에는,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와 상기 제1 밸브(19)의 사이와 상기 여과수탱크(13)를 연결하는 제2 여과수역류로(23)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여과수역류로(23)에는 제4 밸브(24)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막모듈(11)은, 다음에 설명하는 여과막모듈세정장치(25)에 의해 세정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막모듈세정장치(25)는, 모듈세정시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 등의 세정용 약액을 상기 여과막모듈(11)의 2차측에 주입시키는 약액주입장치(26)와, 상기 여과막모듈(11)을 수용하고 그 여과막모듈(11)을 공기중에 노출시키기 위한 에어를 저류가능한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세정케이싱)(27), 이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산기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공급장치(28)는,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의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스크러빙산기기(17)를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저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에어가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공급된다.
상기 약액주입장치(26)는,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 등의 세정용 약액을 수용하는 약액탱크(29)와 약액공급펌프(30), 상기 약액탱크(29)의 약액을 상기 여과막모듈(11)에 공급하는 약액공급로(31), 이 약액공급로(31)에 설치된 제5 밸브(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약액공급로(31)는, 상기 제1 여과수역류로(21)의 상류측(여과막모듈(11)측)의 여과수배관에 접속된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은, 상기 약액에 의한 침식이 어려운 기밀(氣密)성의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은, 상기 여과막모듈(11)보다 직경이 크고, 또 상기 여과막모듈(11)보다 긴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은 상기 여과막모듈(11)을 1개 혹은 복수개 수납한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상부에는 에어방출밸브(33)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저부는 열려 있고, 상부는 덮개판으로 폐쇄되어 있다. 약액세정이 필요할 때,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에어공급장치(28)에 의해 산기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공급되고, 그 에어가 활성오니(피여과수)를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하방으로 밀어내리면서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점차 축적되어,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의 상기 여과막모듈(11)의 주위를 에어가 덮는다.
한편, 상기 에어방출밸브(33)를 여는 것을 통해,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의 에어가 배출되어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로 활성오니가 침투가능하게되고,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활성오니가 찬 후,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내부와 외부 간에 활성오니 순환성이 확보된다. 상기 에어방출밸브(33)로, 공기압구동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요망된다. 복수개의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의 에어 배출의 신속성과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부와 외부 간 활성오니의 순환성이 향상된다.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반드시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상부의 덮개판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남은 에어에 상기 여과막모듈(11)이 노출되지 않게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여과시, 상기 약액주입장치(26)의 상기 제5 밸브(32)가 닫히고,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열리고, 상기 여과수배관(12)에 설치된 상기 제1, 제2 밸브(19, 20)가 열리고,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가 구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반응조(7)의 피여과수가 상기 여과막모듈(11)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탱크(13)에 송수(送水)되어,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온에어세정에 의한 상기 여과막모듈(11)의 세정시, 상기 산기블로우어(15)가 정지되고,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가 정지하고, 상기 제1, 제2 밸브(19, 20)가 닫히고,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닫힌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가 구동되면, 이 스크러빙블로우어(16)로부터 나온 에어가 상기 스크러빙산기기(17)를 통해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저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로 침투하고, 활성오니를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하방으로 밀어내리면서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축적된다.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에어가 차서,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의 상기 여과막모듈(11) 주위를 에어가 덮은 상태가 되면,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가 정지되어 에어 공급이 정지된다.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의 정지시간이 지연되면, 공급 에어가 소위 오버플로우 상태가 되어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저부로부터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외부로 누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에어가 다소 누출되더라도, 처리성능 및 기타 운전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의 에어공급 정지타이밍을 엄밀히 제어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타임설정이면 충분하다.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에어가 차고, 상기 여과막모듈(11)이 에어에 노출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5 밸브(32)가 열리고, 상기 약액공급펌프(30)가 구동되고, 상기 약액탱크(29)의 약액이 소정량, 소정시간동안 상기 여과막모듈(11)에 주입되어 약액에 의해 상기 여과막모듈(11)이 세정된다.
약액에 의한 세정이 끝나면, 상기 약액공급펌프(30)가 정지되고, 상기 제5 밸브(32)가 닫히고, 상기 제1, 제2 밸브(19, 20)가 닫히고, 상기 제3, 제4 밸브(22, 24)가 열리고,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가 재구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여과수탱크(13)의 여과수가 상기 제2 여과수역류로(23)와 상기 제1 여과수역류로(21)를 통해 상기 여과막모듈(11)에 공급되어 상기 여과막모듈(11)이 여과수에 의해 세정되고, 상기 여과막모듈(11) 막면에 남은 약액이 씻겨 내려 상기 여과막모듈(11)의 세정이 종료된다. 약액을 씻겨내는 공정은,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활성오니가 찬 후에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여과막모듈(11)의 세정이 종료된 후,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열린다. 상기 에어방출밸브(33)가 열리면서,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의 에어가 상기 에어방출밸브(33)를 통해,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외부로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활성오니가 침투하여,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활성오니가 가득 찬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제2 밸브(19, 20)가 열리고, 상기 산기블로우어(15), 상기 여과 또는 역세펌프(18),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7)가 모두 구동되어 여과가 재개된다. 시스템이 여과운전으로 돌아가는 시간은 타이머 설정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는 상술의 구성을 가지고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1) 여과막모듈을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수용하여 산기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를 공급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여과막모듈이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온에어세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반응조의 활성오니가 배출된 후 혹은 반응조로부터 여과막모듈을 끌어낸 후 온에어세정을 행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했을 때, 여과막모듈의 온에어세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2) 여과막모듈을 공기중으로 끌어내지 않고 여과막모듈이 개별적으로 온에어세정될 수 있다. 종래의 방법에서, 복수의 여과막모듈이 설치된 반응조로부터 활성오니가 배출된 후 온에어세정을 행하는 경우, 반응조에 설치된 모든 여과막모듈의 사용이 멈춰지고, 시스템 전체의 처리능력이 크게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경우, 개별적인(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마다의) 여과막모듈의 온에어세정이 가능하고, 세정되는 여과막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여과막모듈의 사용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여과 및 처리를 확보할 수 있다.
(3) 여과막모듈이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약액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를 쉽게 하수처리시스템의 자동운전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액세정빈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어, 여과막모듈의 막힘이 억제되고, 안정된 처리능력이 확보된다.
(4)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에서, 장치에서 특별히 부가된 부품은 여과막모듈을 수용하는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과, 그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에 장착되는 에어방출밸브, 밸브용 에어원(源) 정도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를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로서 스크러빙블로우어를 사용하면, 그만큼 사용되는 부품개수가 감소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온에어세정장치와 비교했을 때, 에어공급장치를 낮은 비용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에어공급장치를 사용하는데 드는 에너지가 적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공급장치(28)로서는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와 상기 스크러빙산기기(17)가 사용되고, 이 스크러빙산기기(17)는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저부 개구를 향해 배치되어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에어를 공급한다. 그러나, 에어를 반드시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저부 개구를 통해 공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와 상기 스크러빙산기기(17)를 연결하는 상기 에어공급로(34)에 스위치밸브(도시생략)을 통해 분기로(도시생략)가 접속되고, 그 분기로의 선단(先端)이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에 접속되어,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에어를 공급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에어를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밸브에 의해 상기 스크러빙산기기(17)로의 에어 공급이 정지된다. 상기 분기로 선단에는 체크밸브(도시생략)가 설치된다. 상기 분기로의 선단은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아무 위치에 접속된다. 나아가,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를 대신하여 상기 산기블로우어(15)를 사용하여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 내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더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스크러빙블로우어(16)와 상기 산기블로우어(15) 대신 전용 에어공급블로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지만,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27)의 형상은 원통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은, 예를 들면, 상기 여과막모듈(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같이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1개의 여과 또는 역세펌프(18)로 여과나 역세가 행해지지만, 여과와 역세가 각기 별개의 펌프로 행해질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막모듈(11)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등의 원통형 중공사막모듈이 사용되지만, 여과막모듈(11)의 재질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어도 상관없다. 나아가, 상기 여과막모듈(11)의 구조는 평막, 중공사막, 모노튜브멤브레인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설명에서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에 침지된 상기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세정용 약액을 주입하여, 그 약액이 상기 여과막모듈의 1차측으로 침투하여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고, 상기 여과막모듈이 상기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수용되고, 이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산기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유입되어, 상기 여과막모듈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상기 약액이 주입되어, 그 약액이 상기 여과막모듈의 1차측으로 침투하는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가 가정하수 및 산업폐수 중의 오탁물질 등을 생물처리로 처리하고, 여과막모듈에 의해 여과되는 막분리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는 가정하수 및 산업폐수에 응집제가 첨가되어, 오탁물질을 응집 또는 침전처리하여 여과막모듈에 의한 여과를 실시하는 막분리처리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침지막에 제한되지 않으며 케이싱 수납형 멤브레인모듈에 응용될 수 있다.
1 : 원수 (raw water)
2 : 스크린조 (screen tank)
3 : 세목스크린 (coarse screen)
4 : 유량조정조 (flow rate adjusting tank)
6 : 탈질조 (denitration tank)
7 :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ewage treatment tank)
8 : 반송펌프 (return pump)
9 : 슬러지취출밸브 (sludge taking out valve)
10 : 교반기 (stirring device)
11 : 여과막모듈 (filtration membrane module)
12 : 여과수배관 (filtered water piping)
13 : 여과수탱크 (filtered water tank)
15 : 산기블로우어(폭기블로우어)(diffusing blower(air exposing blower))
15a : 폭기용 산기기 (air diffusing device for air exposure)
16 : 스크러빙블로우어 (scrubbing blower)
17 : 스크러빙산기기 (scrubbing air diffusing device)
18 : 여과 또는 역세(逆洗)펌프 (filtering or backwash pump)
19 : 제1 밸브 (first valve)
20 : 제2 밸브 (second valve)
21 : 제1 여과수 역류로 (first filtered water backflow passage)
22 : 제3 밸브 (third valve)
23 : 제2 여과수 역류로 (second filtered water backflow passage)
24 : 제4 밸브 (fourth valve)
25 : 여과막모듈 세정장치 (filtration membrane module cleaning device)
26 : 약액주입장치 (chemical solution pouring device)
27 : 여과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세정케이싱) (module casing(cleaning casing))
28 : 에어공급장치 (air feeding device)
29 : 약액탱크 (chemical solution tank)
30 : 약액공급펌프 (chemical solution feeding pump)
31 : 약액공급로 (chemical solution feeding passage)
32 : 제5 밸브 (fifth valve)
33 : 에어방출밸브 (air discharge valve)
34 : 에어공급로 (air feeding passage)

Claims (5)

  1.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에 침지된 여과막모듈의 2차측에 세정용 약액을 주입하고, 상기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1차측으로 침투하여 여과막모듈을 세정하되,
    상기 여과막모듈이, 저부에 개구를 가지고 상부가 덮개판으로 폐쇄되어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케이싱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판에 설치된 에어방출밸브가 닫히는 단계,
    상기 케이싱 내에서 산기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되면서 위로부터 축적되어 상기 여과막모듈이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여과막모듈이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막모듈의 2차측으로 상기 약액이 주입되어, 상기 약액을 상기 여과막모듈의 1차측으로 침투시키는 단계,
    여과수탱크 내의 여과수를 상기 여과막모듈에 공급하여 상기 여과막모듈의 2차측에서 상기 여과막모듈의 1차측으로 상기 여과막모듈을 세정하는 단계,
    상기 에어방출밸브를 열어 상기 케이싱 내에 축적된 에어를 방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2. 삭제
  3.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조에 침지된 여과막모듈의 2차측에 세정용 약액을 주입시키는 약액주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주입장치에 의해 약액이 여과막모듈의 2차측에 주입되어 여과막모듈을 세정하되,
    상기 여과막모듈을 수용하여 상기 여과막모듈을 공기중에 노출시키기 위한 에어를 저류 가능케 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산기블로우어 또는 스크러빙블로우어에 의해 발생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막모듈을 공기중에 노출시키는 에어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이 저부에 개구가 있고, 상부가 덮개판으로 폐쇄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에 에어방출밸브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방출밸브가 공기압구동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장치가 스크러빙블로우어 혹은 산기블로우어로 겸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장치.
KR1020127000535A 2009-07-03 2010-06-09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415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9188A JP5423184B2 (ja) 2009-07-03 2009-07-03 濾過膜モジュール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JP-P-2009-159188 2009-07-03
PCT/JP2010/059779 WO2011001803A1 (ja) 2009-07-03 2010-06-09 濾過膜モジュール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492A KR20120027492A (ko) 2012-03-21
KR101415678B1 true KR101415678B1 (ko) 2014-08-05

Family

ID=4341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535A KR101415678B1 (ko) 2009-07-03 2010-06-09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23184B2 (ko)
KR (1) KR101415678B1 (ko)
CN (1) CN102470325B (ko)
SG (1) SG176812A1 (ko)
WO (1) WO2011001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7118B (zh) * 2011-01-12 2013-02-27 杭州英普水处理技术有限公司 具有清洗功能的反渗透保安过滤器及其清洗方法
CN107073401A (zh) 2014-10-22 2017-08-18 科氏滤膜系统公司 使用膜束封罩和脉冲曝气的膜组件系统以及操作方法
USD779631S1 (en) 2015-08-10 2017-02-21 Koch Membrane Systems, Inc. Gasific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1082A (ja) * 1995-04-13 1996-10-29 Kubota Corp 浸漬型膜カートリッジの洗浄方法
JPH0957075A (ja) * 1995-08-29 1997-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膜分離装置
JP2003047830A (ja) 2001-08-06 2003-02-18 Yuasa Corp 浸漬型膜濾過装置および浸漬型膜濾過方法
JP2004057883A (ja) * 2002-07-26 2004-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外圧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浄水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838B2 (ja) * 1990-08-27 1994-10-26 荏原インフイルコ株式会社 有機性汚水の生物処理装置
JPH04126528A (ja) * 1990-09-17 1992-04-27 Ebara Infilco Co Ltd 中空糸膜濾過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中空糸膜濾過装置
JP3178977B2 (ja) * 1994-09-29 2001-06-25 株式会社クボタ 膜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
JP2002253935A (ja) * 2001-03-02 2002-09-10 Togami Electric Mfg Co Ltd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装置に使用する分離膜の目詰まりを防止する方法
JP4374260B2 (ja) * 2004-03-05 2009-12-02 前澤工業株式会社 浸漬型膜ろ過装置
FR2894843B1 (fr) * 2005-12-20 2008-02-22 Degremont Sa Procede et dispositif de test d'integrite de membranes de filtration
JP5268349B2 (ja) * 2007-12-27 2013-08-21 株式会社東芝 水処理システム
JP2009247936A (ja) * 2008-04-02 2009-10-29 Japan Organo Co Ltd 浸漬型膜分離装置のインライン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1082A (ja) * 1995-04-13 1996-10-29 Kubota Corp 浸漬型膜カートリッジの洗浄方法
JPH0957075A (ja) * 1995-08-29 1997-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膜分離装置
JP2003047830A (ja) 2001-08-06 2003-02-18 Yuasa Corp 浸漬型膜濾過装置および浸漬型膜濾過方法
JP2004057883A (ja) * 2002-07-26 2004-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外圧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浄水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492A (ko) 2012-03-21
JP2011011173A (ja) 2011-01-20
CN102470325B (zh) 2015-06-24
SG176812A1 (en) 2012-01-30
CN102470325A (zh) 2012-05-23
WO2011001803A1 (ja) 2011-01-06
JP5423184B2 (ja)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0990B2 (ja) 分離膜の洗浄方法
US20060065596A1 (en) Membrane filter cleansing process
KR101233775B1 (ko) 유입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생물반응조 및 분리막 여과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TWI513502B (zh) Immersion membrane components of the drug cleaning method
JPH04131182A (ja) 有機性汚水の生物処理装置
KR101415678B1 (ko) 막분리 활성오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2009247936A (ja) 浸漬型膜分離装置のインライン洗浄方法
JP2012045488A (ja) 水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4844825B2 (ja) サテライト処理場の汚水処理装置
WO2018051630A1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システム
JP2008253901A (ja) 固液分離装置及びこの固液分離装置を有する水処理装置
JP2004249235A (ja) 活性汚泥処理システムの膜分離装置及び膜分離方法並びにその膜分離装置を備えた活性汚泥処理システム
JP4046445B2 (ja) 汚水の処理方法
KR101732224B1 (ko)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JP4335193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4305926A (ja) 浸漬型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JP4124957B2 (ja) ろ過体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2001281240A (ja) 水質計測器用除濁装置
KR102151055B1 (ko) 침지식분리막모듈을 이용한 복합형 수처리장치
KR102464092B1 (ko) 소켓형 분리막 여과기를 이용한 하수 처리 시스템
JP2016137469A (ja) 散気管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並びに活性汚泥処理方法及び活性汚泥処理システム
CN105271521A (zh) 基于mbr膜应用的污水处理设备
JP2022055924A (ja) 膜分離装置、その運転方法及び生物処理装置
JPH11114385A (ja) 浸漬型膜ろ過装置の洗浄方法
JPH01151995A (ja) 膜分離式排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