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88B1 - 화물이송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화물이송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88B1
KR101413588B1 KR1020130121482A KR20130121482A KR101413588B1 KR 101413588 B1 KR101413588 B1 KR 101413588B1 KR 1020130121482 A KR1020130121482 A KR 1020130121482A KR 20130121482 A KR20130121482 A KR 20130121482A KR 101413588 B1 KR101413588 B1 KR 10141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tating
cargo
hous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근
Original Assignee
박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근 filed Critical 박병근
Priority to KR102013012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with two spaced connections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8Controlling attitudes of load-carriers dur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이송 컨베이어는, 지면에 설치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 하단에 각각 마련되며,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회전부, 제2 회전부 및 제3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 상단에 각각 마련되며,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4 회전부,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상기 각각의 제1 회전부, 제3 회전부, 제4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1 체인과, 상기 각각의 제2 회전부, 제3 회전부,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2 체인과,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 사이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회전부 내지 제3 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상의 화물을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이송시킨 후 일측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이송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물이송 컨베이어 {The conveyor for the cargo sending device}
본 발명은 화물이송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구동원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길이의 체인을 구동시켜 지상의 화물을 상부로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며 이송시킨 후 일측 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이송 가능한 화물이송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차량 등과 같이 지상에 위치하는 화물을 상부로 이송하여 적재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또는 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하여 지상의 화물을 선박이나 차량에 적재하고 있다.
그러나, 화물 적재에 사용되는 크레인의 경우 고정된 크레인 근처에 적재할 화물과 선박이나 차량이 이동하여 크레인에 의해 화물을 적재해야 함으로 장소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사면에 의해 상부로 화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의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적재되는 화물이 경사지며 상부로 이송됨으로, 액체와 같이 수평면을 유지하며 상부로 이송해야하는 화물의 적재작업에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관련하여, 화물 상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821호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화물이 수평면을 유지하며 상부로 이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체인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재판 구성이 많은 하중을 지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물을 상부로 이송시킨 후 화물을 곧바로 적재해야 하는 구성으로, 선박과 같이 컨베이어 장치를 근접하게 설치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지상의 화물을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이송시킨 후 일측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이송 또는, 상부의 화물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하부로 이송가능한 선박용 화물이송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물의 적재장소 위치에 따라 일측방향으로의 이송거리를 증가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화물이송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이송 컨베이어는, 지면에 설치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 하단에 각각 마련되며,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회전부, 제2 회전부 및 제3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 상단에 각각 마련되며,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4 회전부,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상기 각각의 제1 회전부, 제3 회전부, 제4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1 체인과, 상기 각각의 제2 회전부, 제3 회전부,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2 체인과,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 사이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회전부 내지 제3 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제6 회전부 일측에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 상단으로 이송된 물체를 상기 하우징 외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가 마련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컨베이어에는, 회동가능한 제7 회전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6 회전부와 제3 체인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6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만큼의 높이를 h,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을 a로 했을 때, 상기 제1 체인의 길이는, (h+2)2a,(h?1)의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제2 체인의 길이는, (h+1)2a,(h?1)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을 a로 했을 때,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서로 이격되는 간격은, a 또는 2a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화물이송 컨베이어는, 지상의 화물을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이송시킨 후 일측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이송 또는, 상부의 화물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하부로 이송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의 적재장소 위치에 따라 일측방향으로의 이송거리를 증가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화물을 이송거리를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이송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이송 컨베이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이송 컨베이어의 제1 체인 및 제2 체인의 길이를 나타낸 개념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인 화물이송 컨베이어에는, 지면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내측 하단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 회전부(31), 제2 회전부(32) 및 제3 회전부(33)와, 상기 하우징(20) 내측 상단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4 회전부(34),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와, 상기 제1 회전부(31), 제3 회전부(33), 제4 회전부(34) 및 제6 회전부(36)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1 체인(40)과, 상기 제2 회전부(32), 제3 회전부(33),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2 체인(50)과,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 사이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와, 상기 제2 회전부(32)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화물이송 컨베이어에는, 베이스(10)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지면에 설치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베이스(10)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성들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 하단에는, 이동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0) 하단에 마련되는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10)를 고정시키지 않고 원하는 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10) 양측에는, 하우징(20)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마련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구성들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하우징(20)은, 화물을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들이 마련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20) 내측 하단에는, 제1 회전부(31), 제2 회전부(32) 및 제3 회전부(33)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1 회전부(31), 제2 회전부(32) 및 제3 회전부(33)는, 상기 하우징(20) 내측 하단에 순차적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회전부(31), 제2 회전부(32) 및 제3 회전부(33)는, 상기 하우징(20) 내측 하단에 순차적으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과 연결되어 구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20) 내측 상단에는, 제4 회전부(34),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4 회전부(34),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는, 상기 하우징(20) 내측 상단에 순차적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제4 회전부(34),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는, 상술한 제1 회전부(31), 제2 회전부(32) 및 제3 회전부(33)와 같이 상기 하우징(20) 내측 하단에 순차적으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과 연결되어 구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0) 하단 및 상단에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는,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하우징(20) 하단에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상기 제1 회전부(31), 제2 회전부(32) 및 제3 회전부(33) 상부에 상기 제4 회전부(34),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 회전부(32) 제3 회전부(33),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는, 2중의 톱니바퀴로 마련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이 상기 제2 회전부(32) 제3 회전부(33),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에 함께 체결되어 동일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에는,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1 체인(40)은, 상기 제1 회전부(31), 제3 회전부(33), 제4 회전부 및 제6 회전부(36)와 체결되어 구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체인(40)은, 상기 하우징(20) 내측 둘레를 따라 일주하게 되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부(31), 제3 회전부(33), 제4 회전부 및 제6 회전부(36)의 회전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체인(50)은, 상기 제2 회전부(32), 제3 회전부(33),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36)와 체결되어 구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체인(50)은, 상기 제1 체인(40)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체인(40)이 형성하는 평면을 수직으로 분할했을 때, 일측에 위치하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체인(50)은, 상기 제2 회전부(32), 제3 회전부(33),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36)의 회전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구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와 체결하여 함께 구동하는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은, 동시에 맞물려 구동하게 되는 상기 제2 회전부(32), 제3 회전부(33),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의 길이는,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와의 체결 위치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한다.
즉,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의 길이 산정 기준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만큼의 높이를 h,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을 a로 했을 때, 상기 제1 체인(40)의 길이는, (h+2a)X2의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제2 체인(50)의 길이는, (h+a)X2의 길이만큼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가 상기 하우징(20) 전면에서 화물을 적재할 때,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여 상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본 발명인 화물이송 컨베이어의 제작시, 상기 하우징(20)의 높이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의 배수만큼의 높이로 제작하며, 상기 하우징(20)의 깊이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의 2배 만큼의 깊이로 제작하여, 상술한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와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 체결하여야 한다.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 사이에는,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가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는,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과 함께 구동하며, 화물을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체인(40)에는, 상기 제1 지지부(42)가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 체인(50)에는, 제2 지지부(52)가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의 구동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함께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에 마련되는 제1 회전부(31) 및 제2 회전부(32)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을 a로 했을 때,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가 서로 이격되는 간격은, a 또는 2a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는,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에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 화물을 최초 적재하는 장소인 상기 제1 회전부(31) 및 제2 회전부(32) 상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가 동일한 수평면을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에 의해 화물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체인(40) 형성되는 제1 지지부(42)는, 상기 제1 체인(4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상기 제2 체인(50)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52)의 개수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술한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 길이의 기준과, 상술한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의 설치 기준에 의해 최초 화물이 적재되는 상기 제1 회전부(31) 및 제2 회전부(32) 상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는 동일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10) 상단에는, 모터(60)가 마련된다. 상기 모터(60)는,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3 회전부(33) 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60)는,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3 회전부(33) 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하여 서로 맞물려 구동하는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과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를 구동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모터(60)가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3 회전부(33)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 가능케 하면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에 의해 모두 회전구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 사이에는, 안착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제1 체인(40) 내측에 적어도 2개가 마련되어,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에 의해 이송될 화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제1 체인(40)과 인접한 곳에 각각 마련되어 화물이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에 의해 화물이 이송되기 전 화물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안착부(22)가 다음에 이송될 화물을 지탱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움직이는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에 직접 화물을 적재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22)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안착부(22)를 회동가능하게 마련하여 화물을 위치시킬 때, 작업자가 안쪽으로 손쉽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제6 회전부(36) 일측에는, 컨베이어(70)가 마련된다. 상기 컨베이어(70)는, 상기 제6 회전부(36)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20) 상단으로 이송된 물체를 상기 하우징(20) 외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하우징(20) 상단으로 이송된 물체를 상기 하우징(20) 외측으로 이동하여, 본 발명인 화물이송 컨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70) 내측에는, 벨트(76)가 마련된다. 상기 벨트(7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7 회전부(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즉, 상기 벨트(76)는, 상기 하우징(20) 상단으로 이송된 물체를 상기 컨베이어(70)를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과 인접한 컨베이어(70)에는, 제7 회전부(72)가 마련된다. 상기 제7 회전부(72)는, 상기 하우징(20)과 인접한 컨베이어(7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컨베이어(70)의 회전 중심이 된다. 또한, 상기 제7 회전부(72)는, 상기 제6 회전부(36)와 제3 체인(74)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6 회전부(3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인 화물이송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화물을 상기 안착부(22)에 화물을 위키 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60)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제1 회전부(31) 내지 제6 회전부(36)와 체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이 구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에 각각 마련되는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는, 상기 제1 회전부(31) 및 제2 회전부(32) 상단에서 동일한 수평면을 가지며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부(42) 및 제2 지지부(52)가 상기 안착부(22)에 위치한 화물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20) 상부로 화물을 이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회전부(31) 및 제2 회전부(32) 상단에서 적재된 화물은, 상기 하우징(20) 상단의 제4 회전부(34) 및 제5 회전부(35)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동된 화물은 상기 제1 체인(40) 및 제2 체인(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5 회전부(35) 및 제6 회전부(36) 상단으로 이동한 화물은, 상기 컨베이어(70)에 마련되는 상기 벨트(76)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하우징(20) 외측방향으로 화물이 이송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인 화물이송 컨베이어는, 화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것에 한정하여 작성한 것이며, 상기 모터(60)의 구동을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상부의 화물을 하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화물이송 컨베이어의 작동순서를 반대로 행하게 되면 상부의 화물을 하부로 손쉽게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20 : 하우징
22 : 안착부
31 : 제1 회전부 32 : 제2 회전부
33 : 제3 회전부 34 : 제4 회전부
35 : 제5 회전부 36 : 제6 회전부
40 : 제1 체인 42 : 제1 지지부
50 : 제2 체인 52 : 제2 지지부
60 : 모터 70 : 컨베이어
72 : 제7 회전부 74 : 제3 체인
76 : 벨트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 하단에 각각 마련되며,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회전부, 제2 회전부 및 제3 회전부;
    상기 하우징 내측 상단에 각각 마련되며,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4 회전부,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
    상기 각각의 제1 회전부, 제3 회전부, 제4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1 체인;
    상기 각각의 제2 회전부, 제3 회전부, 제5 회전부 및 제6 회전부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2 체인;
    상기 제1 체인 및 제2 체인 사이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베이스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회전부 내지 제3 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화물이송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6 회전부 일측에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 상단으로 이송된 물체를 상기 하우징 외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가 마련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 컨베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컨베이어에는,
    회동가능한 제7 회전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6 회전부와 제3 체인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6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 컨베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만큼의 높이를 h,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을 a로 했을 때,
    상기 제1 체인의 길이는, (h+2a)X2의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제2 체인의 길이는, (h+a)X2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 컨베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회전부 중심 사이의 간격을 a로 했을 때,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서로 이격되는 간격은, a 또는 2a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 컨베이어.

KR1020130121482A 2013-10-11 2013-10-11 화물이송 컨베이어 KR10141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482A KR101413588B1 (ko) 2013-10-11 2013-10-11 화물이송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482A KR101413588B1 (ko) 2013-10-11 2013-10-11 화물이송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588B1 true KR101413588B1 (ko) 2014-07-11

Family

ID=5174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482A KR101413588B1 (ko) 2013-10-11 2013-10-11 화물이송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5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75B1 (ko) 2000-03-15 2002-09-05 주식회사 이성엔지니어링 수직 반송장치
JP2008087920A (ja) 2006-10-02 2008-04-17 Universal Kogyo Kk コンベヤー
KR100966480B1 (ko) 2009-05-25 2010-06-29 손용환 수직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75B1 (ko) 2000-03-15 2002-09-05 주식회사 이성엔지니어링 수직 반송장치
JP2008087920A (ja) 2006-10-02 2008-04-17 Universal Kogyo Kk コンベヤー
KR100966480B1 (ko) 2009-05-25 2010-06-29 손용환 수직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89095U (zh) 移载装置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TWI760422B (zh) 物品搬送車
KR20090006984A (ko) 이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CN111217078A (zh) 一种鸡肉加工转运用的伸缩式爬坡输送带
KR101413588B1 (ko) 화물이송 컨베이어
JP2018030680A (ja) 移載装置
CN108840122A (zh) 一种自动装车机
JP2012250809A (ja) 移載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
JP4707166B2 (ja) コンテナ昇降装置
CN110817449A (zh) 一种多工位叠砖机及其叠砖工艺
CN205771874U (zh) 一种用于传送带的自动转向装置
CN114476621B (zh) 一种输送机及智慧仓储系统
CN105129320A (zh) 立式连续型循环载运助力货运电梯
KR101042610B1 (ko) 적재용 팔레트
CN210709638U (zh) 一种用于玻璃运输的转向输送机
CN210762958U (zh) 一种输送结构
CN211109349U (zh) 一种横移机构及存储设备
CN208307843U (zh) 移载机
CN104309973B (zh) 一种带输送立体仓库
CN210764120U (zh) 一种动力布局灵活的提升机
KR101841556B1 (ko) 원통형 부재 이송용 대차
CN212150838U (zh) 一种装卸货输送机
CN104944071A (zh) 一种旋转链式输送机
KR20090102888A (ko) 이송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