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422B1 - 들것 - Google Patents

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422B1
KR101413422B1 KR1020130077801A KR20130077801A KR101413422B1 KR 101413422 B1 KR101413422 B1 KR 101413422B1 KR 1020130077801 A KR1020130077801 A KR 1020130077801A KR 20130077801 A KR20130077801 A KR 20130077801A KR 101413422 B1 KR101413422 B1 KR 10141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receiving portion
stretch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13007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5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 A61G1/0256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having wheels which support exclusively if stretcher is in low position, e.g. on the folded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를 실고 구급차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의 특성에 따라 들것의 형태를 변형시켜 안전하고 편안하게 환자를 이송하며, 또한 보조자가 들것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환자의 등을 받혀주는 등 받이부와, 환자의 엉덩이에 접하는 엉덩이 받이부와, 허벅지에 접하는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에 접하는 종아리 받이부를 구비하고 환자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게 배치된 받이부들은 상호 힌지 결합되며, 엉덩이 받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메인프레임의 후단에는 리어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는 프런트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고, 리어 프레임과 프런트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로 리어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와 프런트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들에 의해 이송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들것{Stretcher}
본 발명은 환자를 실고 구급차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의 특성에 따라 들것의 형태를 변형시켜 안전하고 편안하게 환자를 이송하며, 또한 보조자가 들것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들것이란 환자나 부상자를 나르는 운반구로서, 환자가 들것에 실린 상태로 들것을 구급차에 밀어 넣어 환자를 탑승시킨다.
종래의 들것은 구급대원이 들것의 전방과 후방에서 들어 올려 이동하는 구조로서, 들것에 실린 환자를 구급대원이 들고 이동함에 따라 환자가 불편하며 구급대원 또한 피로가 누적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를 통해 환자를 이송할 경우 들것의 길이가 너무 길어 엘리베이터에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들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에 기술되어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에 기술된 들것은 접철식으로서, 환자의 등받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레그 프레임이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접철되는 구조이다. 즉, 등받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레그 프레임이 펼쳐진 침대 형태와 접철된 상태의 의자 형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에 기술된 들것은 엘리베이터와 같이 좁은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에 의자 형태로 변형하여 엘리베이터로 진입하고, 진출 후에는 침대 형태로 변형하여 환자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들것은 침대 또는 의자 형태로만 변형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환자의 특성에 따라 유지하여야 하는 자세가 달라야 한다. 예로서 침대 형태의 들것에 실려 이송되어야 할 환자는 눕는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들것은 조건에 따라 의자 형태로만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는 의자 형태로 변형된 들것에 의해 환자의 자세를 앉은 자세로 변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척추 질환 또는 척추에 부상을 입은 환자의 경우 오히려 부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의자 및 침대형태로만 변형되는 들것의 경우 환자의 특성에 맞춰 들것의 형태 변형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이송되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들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들것을 이송하는 보조자가 들것을 차량에 실거나 내릴 때에 어느 위치에서라도 편이하고 안전하게 실고 내릴 수 있게 구성된 들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환자의 등을 받혀주는 등 받이부와, 환자의 엉덩이에 접하는 엉덩이 받이부와, 허벅지에 접하는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에 접하는 종아리 받이부를 구비하며, 받이부들은 환자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힌지 결합되고, 엉덩이 받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메인프레임의 후단에는 리어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는 프런트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고, 리어 프레임과 프런트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로 리어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와 프런트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들에 의해 이송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 평행하게 접히고, 리어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프런트 프레임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장착된 캐스터들과 리어 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된 캐스터가 지면에 접하여 들것이 접혀진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프레임의 선단 상면에 캐스터가 장착되고, 리어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로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와 리어 프레임의 선단 상면에 장착된 캐스터가 지면에 접한 상태로 이송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 받이부가 결합된 힌지에 받침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어 종아리 받이부의 저면에 위치하며,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힌지 결합된 부위에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링크가 힌지 결합되고, 링크의 단부와 받침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어 링크의 기울기에 의해 받침 프레임의 기울기가 변하면서 종아리 받이부와 허벅지 받이부의 기울기를 변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에는 래치형 브래킷이 장착되고, 래치형 브래킷의 원호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골을 향해 이동하는 잠금레버가 장착되며, 잠금레버를 당겨 래치형 브래킷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종아리 받이부와 허벅지 받이부와 힌지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기울기가 변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레버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해 래치형 브래킷의 골에 삽입되어 잠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등 받이부의 저면에는 신축 가능한 쇼바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쇼바의 신축에 의해 등 받이부의 기울기가 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 받이부에는 머리 받이부가 힌지 결합되며, 등 받이부의 저면에는 머리 받이부의 아래를 지나 들것의 선단으로 연장된 손잡이가 고정되며, 머리 받이부의 저면에는 지지대가 장착되고,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턱들 중 어느 한 걸림턱에 지지대가 삽입되어 머리 받이부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힌지 결합된 부위는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힌지 몸체와 리어 프레임에 장착된 힌지 몸체가 힌지 결합되며, 어느 한 쪽의 힌지 몸체에는 리어 프레임이 세워지거나 펼쳐지는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홈들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힌지 몸체에는 홈에 삽입되는 잠금해제레버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해제레버는 리어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된 풋 레버와 연결되어 연동하며 풋 레버의 선회에 의해 잠금해제레버가 홈에서 이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에는 신축 가능한 쇼바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리어 프레임이 세워지거나 접힘에 따라 쇼바가 신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프레임의 일측에는 걸쇠가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에는 걸쇠와 체결되거나 해체되도록 선회하는 후크가 장착되며, 후크는 복수의 레버들에 의해 선회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레버는 3개로서, 들것의 선단, 중간, 후단에 위치하며, 3개의 레버는 링크 및 와이어로 연결되어 연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프레임의 타측에는 완충부재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 프레임은 종아리 받이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부위에는 상향으로 손잡이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아리 받이부의 저면에는 회전 걸쇠가 장착되며, 종아리 받이부를 받침 프레임의 상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회전 걸쇠를 회전시켜 손잡이에 걸쳐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의 길이 중간에는 고정브래킷이 장착되고,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된 선회브래킷이 고정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며, 고정브래킷과 선회브래킷 중 어느 한 쪽에는 레버에 의해 이동하는 고정핀이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잠금홈이 형성되어 손잡이가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세워졌을 때에 고정핀이 잠금홈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 받이부, 엉덩이 받이부, 허벅지 받이부, 종아리 받이부는 받침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 받이부는 받침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을 연결하는 받침부는 메인 프레임에 탈장착되는 제1클립과, 리어 프레임에 탈장착되는 제2클립과, 제2클립이 양단에 형성된 받침대와, 받침대와 제1클립을 연결하는 쇼바 및 받침대에 장착된 캐스터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환자의 특성에 따라 환자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를 이송하는 보조자 또한 환자를 쉽게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변형 가능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환자의 머리, 등, 허벅지 및 종아리를 받쳐주는 받이부의 기울기가 변형 가능하여 환자의 신체적 특징 및 환자의 질환 특성에 따라 환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들것을 이송하는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들것을 체어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이송하기 위해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특수한 환자의 이송을 위해 본 발명의 들것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머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등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리어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저면도이고,
도 11b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 시에 레버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c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해제 시에 사용되는 걸쇠와 후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d는 프런트 프레임의 제4캐스터를 틸팅하는 가이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손잡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회전 걸쇠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이 계단을 내려갈 수 있게 추가 장착되는 받침부 및 그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들것을 이송하는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들것을 체어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들것을 하지거상 형태로 이송하기 위해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특수한 환자의 이송을 위해 본 발명의 들것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머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등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9a 및 도 9b는 허벅지 받이부와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리어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의 저면도이고, 도 11b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잠금해제 시에 레버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1c는 프런트 프레임의 잠금 및 해제 시에 사용되는 걸쇠와 후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d는 프런트 프레임의 제4캐스터를 틸팅하는 가이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손잡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종아리 받이부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회전 걸쇠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이 계단을 내려갈 수 있게 추가 장착되는 받침부 및 그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것(100)은 환자가 누웠을 때에 환자의 등을 받혀주는 등 받이부(101), 환자의 엉덩이에 접하는 엉덩이 받이부(102), 허벅지에 접하는 허벅지 받이부(103), 종아리에 접하는 종아리 받이부(104)로 구획되며, 각 받이부(101,102,103,104)는 시트(101S,102S,103S,104S)와 받침플레이트(101P,102P,103P,104P)를 포함한다. 즉 강성을 갖는 받침플레이트(101P,102P,103P,104P)에 시트(101S,102S,103S,104S)가 고정된 상태로 환자가 누웠을 때에 쿠션감을 느끼며, 또한 각 받이부(101,102,103,104)의 받침플레이트(101P,102P,103P,104P)들은 인접한 받침플레이트들과 힌지 결합되며, 엉덩이 받이부(102)의 받침플레이트(102P)는 차후에 설명하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된 엉덩이 받이부(102)의 받침플레이트(102P)를 기준으로 등 받이부(101), 허벅지 받이부(103),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가 변형 가능하며, 이들 3개의 받이부(101,103,104)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들것의 자세를 변형시킨다.
아래에서는 들것의 자세변형에 따른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들것(100)의 프레임은 엉덩이 받이부(102)가 상면에 고정된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된 리어 프레임(112)과,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 하면에 힌지결합된 프런트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프레임(112)이 메인 프레임(110)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하고 프런트 프레임(111)이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접혀졌을 경우 4개의 받이부(101,102,103,104) 또한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 경우 환자가 바로 누울 수 있는 상태로서, 들것(100)을 구급차량에 실었을 때의 기본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들것(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캐스터는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에 장착된 제1캐스터(181)와,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 장착된 제2캐스터(182)와,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장착된 제3캐스터(183)가 지면에 접하여 들것이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변형하여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이부(102)의 받침플레이트(102P)와 허벅지 받이부(103)의 받침플레이트(103P)는 힌지 결합되어 기울기 변형이 가능하고, 기울기가 변형된 허벅지 받이부(103)의 받침플레이트(103P)를 기준으로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 또한 기울기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자의 상반신을 등 받이부(101)와 엉덩이 받이부(102)에 눕힌 상태로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에 따라 하지를 들어 올린 상태로 이송 가능하다.
여기에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는 받침 프레임(113)에 안착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 힌지결합된 링크(120)가 받침 프레임(113)에 힌지 결합되며, 받침 프레임(113)의 선단은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와 허벅지 받이부(103)의 받침플레이트(103P)가 힌지결합된 힌지축에 장착된 힌지 브래킷(113B)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아리 받이부(104)는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며 또한 별도로 회전 가능한 받침플레이트(104P)에 의해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여기에서 리어 프레임(112), 링크(120), 받침 프레임(113) 및 허벅지 받이부(103)는 평행사변형꼴을 유지하며, 링크(12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허벅지 받이부(103)의 기울기와 받침 프레임(113)에 안착된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가 변하며, 더불어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와 별개로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그리고 링크(120)에는 래치형 브래킷(121)이 장착되고, 래치형 브래킷(121)의 원호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골에 삽입되는 잠금레버(122)가 장착되며, 잠금레버(122)는 골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프링(123)의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잠금레버(122)를 당겨 래치형 브래킷(121)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는 링크(120)와 힌지 결합된 지점과 허벅지 받이부(103)와 힌지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기울기가 변형된다. 적정한 기울기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잠금레버(122)를 놓으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3)에 의해 잠금레버(122)가 래치형 브래킷(121)의 골이 삽입되어 링크(120)의 선회가 잠금되며,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도 잠금된다.
하지거상 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은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이송 중인 환자가 하지거상으로 이송되어야 할 경우 유용한 변형 형태이다.
한편, 구급차에 탑재된 들것(100)의 기본 형태에서 들것(100)을 구급차에서 하차하여 이송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형태로 변형된다.
환자 이송형태는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프런트 프레임(111)을 하향으로 선회시켜 세워지게 위치하고, 리어 프레임(112) 또한 세워지게 선회한다. 이때 지면에 접하는 캐스터는 프런트 프레임(111)의 단부에 장착된 제4캐스터(184)와 리어 프레임(112)의 단부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이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11)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지만, 리어 프레임(112)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들것(100)의 무게와 환자의 무게를 고려한 것이며, 또한 환자 이송 시에 발생하는 관성에 따른 들것(100)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리어 프레임(112)이 경사지게 위치한다. 한편,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 및 해제 그리고 리어 프레임(112)의 잠금 및 해제에 관해서는 들것(100)의 변형 가능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100)을 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환자 이송형태에서 프런트 프레임(111)을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접고, 또한 하지거상 형태의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 받이부(104)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10)을 비스듬히 세우면서 리어 프레임(112)을 지면과 평행하도록 눕힘으로써, 4개의 받이부(101,102,103,104)는 체어 형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체어 형태로 변형된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캐스터는 리어 프레임(112)의 단부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와 반대쪽 단부에 장착된 제6캐스터(186)로서, 제6캐스터(186)는 체어 형태로 변형되었을 때에만 지면과 접하도록 리어 프레임(112)의 선단 상면(들것의 기본 형태를 기준하여 위치를 지정함)에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하지거상 형태는 차량에 실린 상태에서 환자의 하지를 몸보다 높게 올릴 수 있는 형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로 이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하지거상 형태로 환자를 이송해야 할 경우, 앞서 설명한 하지거상 형태로 들것(100)을 유지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프런트 프레임(111)과 리어 프레임(112)을 세워 이송 가능한 형태를 유지한다.
또한 하지에 출혈이 심하거나 또는 심장질환 등에 의해 하지를 상체보다 높게 유지해야 하는 특수 환자 이송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것(100)을 체어 형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지고 메인 프레임(110)이 경사지도록 들것(100)의 위치를 변형한다. 즉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에 장착된 제1캐스터(181)와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가 지면에 접하도록 유지한다.
이 경우 환자는 등 받이부(101)에 체중이 실린 상태로 메인 프레임(110)의 기울기로 상체가 유지되고, 하지는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진 상태에서 링크(120)가 선회하여 세워진 높이만큼의 종아리 받이부(104)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질환 부위 또는 부상 상태에 따라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등 받이부(101)와 메인 프레임(110)의 사이에 쇼바(131)가 장착되어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다.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는 앞서 설명한 들것(100)의 여러 변형 형태에서 별도로 기울기의 제어가 가능하며,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 제어를 위한 쇼바(131)의 구체적인 설명은 차후에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100)은 기본 형태, 하지거상 형태, 환자 이송형태, 하지거상 이송형태, 체어 형태, 특수 환자 이송형태와 같이 6가지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각 형태에서 등 받이부(101), 허벅지 받이부(103) 및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별개로 제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들것의 조립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일부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받이부(101,102,103,104)들은 상호 힌지 결합되며, 엉덩이 받이부(102)는 메인 프레임(110)이 고정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 리어 프레임(112)이 힌지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에 프런트 프레임(111)의 선단이 힌지 결합되며, 허벅지 받이부(103)와 받침 프레임(113) 및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링크(120), 잠금레버(122), 래치형 브래킷(121), 스프링(123)의 구성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생략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특수 환자 이송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에 있어서, 환자의 특수성에 따라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가 변형되도록 메인 프레임(110)과 등 받이부(101)의 받침플레이트(101P)의 사이에 쇼바(131)가 장착된다. 쇼바(131)의 하단은 메인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되고, 쇼바(131)의 피스톤 끝단은 등 받이부(101)의 받침플레이트(101P)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쇼바(131)의 스트로크 제어는 피스톤 끝단에 장착된 레버(132)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따라서 쇼바(131)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 받이부(101)에는 환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 받이부(105)가 부가적으로 형성된다. 머리 받이부(105) 또한 시트(105S)와 받침플레이트(105P)를 포함하며, 머리 받이부(105)의 받침플레이트(105P)는 등 받이부(101)의 받침플레이트(101P)에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리 받이부(105)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머리 받이부(105)의 받침플레이트(105P) 저면에는 힌지 결합된 지지대(141)가 장착되고 받침플레이트(105P)에 고정된 손잡이(142)에는 지지대(141)가 끼워지는 걸림턱(143)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141)가 끼워지는 걸림턱(143)의 위치에 따라 머리 받이부(105)의 기울기는 변경된다.
한편, 들것(100)을 구급차에 실었을 때,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은 구급차 안쪽에 위치하고 리어 프레임(112)이 위치한 쪽은 구급차의 후방 도어 쪽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들것(100)이 구급차로 진입할 때에 프런트 프레임(111)이 구급차의 범퍼와 접하게 되는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프레임(111)의 측면 즉 구급차의 범퍼와 접하는 선측에 완충부재(111C)가 장착된다.
한편, 들것(100)을 구급차에서 하차시킬 때에 보조자가 구급차의 도어를 열고 차량 밖에서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위치한 손잡이(112L)를 당겨 차량 밖으로 인출한다. 그럼으로써 들것(100)의 후단부 즉 리어 프레임(112)이 먼저 차량 밖으로 인출되는데, 이때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자는 리어 프레임(112)의 저면에 장착된 풋 레버(151) 또는 리어 프레임(112)과 메인 프레임(110)이 힌지 결합된 부위에 위한 잠금해제레버(152)를 선회시킨다. 풋 레버(151)는 잠금해제레버(152)와 연결된 상태로 풋 레버(151)가 하향으로 내려가면 잠금해제레버(152) 또한 연동하여 선회한다. 잠금해제레버(152)는 리어 프레임(112)의 힌지 몸체(153)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힌지 몸체(153)에 형성된 2개의 홈(153H)들 중 어느 한 홈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홈(153H) 중 한 개의 홈은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이 일렬로 배치되었을 때에 잠금해제레버(152)가 삽입되는 홈이고, 다른 한 홈은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졌을 때에 잠금해제레버(152)가 삽입되는 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해제레버(152)는 풋 레버(151)와 연결된 상태로 연동하며, 잠금해제레버(152)에는 코일스프링(154)이 연결되어 잠금해제레버(152)가 홈(153H)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코일스프링(154)의 탄성력은 풋 레버(151)가 상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들것(100)을 구급차 밖으로 빼낼 때에 도어 밖에 위치한 보조자가 들것(100)을 끌어당겨 빼낸다. 이때 리어 프레임(112)이 범퍼 외측에 위치하였을 때에 풋 레버(151)를 내리거나 또는 잠금해제레버(152)를 선회시켜 잠금을 해제한다. 그러면 자중에 의해 리어 프레임(112)이 하향으로 선회하면서 지면에 세워진다. 이때 리어 프레임(112)의 갑작스런 선회속도를 줄일 수 있게 리어 프레임(112)과 메인 프레임(110)은 전체 길이가 신축되는 쇼바(155)에 힌지 결합된다.
한편,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진 상태에서 들것(100)을 차량 밖으로 인출하는 중에 프런트 프레임(111)이 범퍼 외측에 위치할 경우, 프런트 프레임(111)을 잠금해제하여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해제수단은 보조자가 들것(100)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손쉽게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들것(100)의 선단, 중간, 후단에 각각 잠금해제수단이 위치하며, 3개의 잠금해제수단은 레버(160A,160B,160C) 형태로 상호 링크(161) 또는 와이어(162)로 연결되어 연동된다.
따라서 보조자가 들것(100)의 전방, 측부 및 후방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근처에 위치한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해제수단인 레버(160A,160B,160C)로 잠금을 해체함으로써, 프런트 프레임(111)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세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급차에서 들것(100)을 내려질 때에는 프런트 프레임(111)이 구급차의 범퍼 후방에 위치하였을 때에 프런트 프레임(111)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져 프런트 프레임(111)의 후단에 장착된 제4캐스터(184)가 리어 프레임(112)에 장착된 제5캐스터(185)와 함께 지면에 접하여 이송 가능하게 되고,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들것(100)을 구급차에 밀어 넣을 때에는 세워진 프런트 프레임(111)이 구급차의 범퍼와 접하면서 프런트 프레임(111)이 접혀진다.
구체적으로 프런트 프레임(111)의 선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111C)가 위치하고 반대편에는 걸쇠(111H)가 고정된다. 따라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11)이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접혔을 때에 걸쇠(111H)는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후크(163)에 체결된다. 후크(163)는 힌지 결합된 상태로 앞서 설명한 3개의 잠금해제수단인 레버(160A,160B,160C)들과 연동될 수 있게 링크(161) 및 와이어(162)로 연결된다. 따라서 3개의 레버(160A,160B,160C) 중 어느 한 레버를 선회시키더라도 후크(163)가 걸쇠(111H)에서 잠금해제되어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지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레버(160A,160B,160C)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161) 및 와이어(162)로 연결하는 구성은 여러 형태로 변경 가능한 일반적인 기술적 수준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가이드(110G)가 형성되며, 프런트 프레임(111)이 접혔을 때에 프런트 프레임(111)의 단부에 장착된 제4캐스터(184)가 가이드(110G)와 간섭된 후 가이드(110G)에 의해 제4캐스터(184)가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틸팅된다. 따라서 프런트 프레임(111)의 걸쇠(111H)가 메인 프레임(110)의 후크(163)에 체결되었을 때에 제4캐스터(184)가 가이드(110G)에 의해 틸팅되며, 들것(100)의 기본 형태에서 제4캐스터(184)는 지면과 접하지 않게 틸팅된 상태 즉 메인 프레임(110)과 수평으로 마주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중간에는 들것(100)에 실린 환자 또는 보조자가 들것(100)을 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170)가 상향으로 장착되는데, 손잡이(170)는 환자가 들것(100)에 실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바깥으로 접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양단은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된 힌지의 선회브래킷(171)에 고정되며, 선회브래킷(171)에는 레버(171L)의 이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핀(171P)이 장착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된 힌지의 고정브래킷(172)에는 손잡이(170)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로 선회하여 위치하였을 때에 고정핀(171P)이 삽입되는 잠금홈(172H)이 형성된다. 그리고 선회브래킷(171)의 내부에는 고정핀(171P)을 잠금홈(172H) 쪽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이 내장된다. 따라서 레버(171L)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핀(171P)이 잠금홈(172H)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에 손잡이(170)를 메인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선회한다. 그러면 손잡이(170)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선회하게 되어 환자를 들것(100)에 용이하게 실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손잡이(170)를 선회시켜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핀(171P)이 잠금홈(172H)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 받이부(104)를 받쳐주는 받침 프레임(113)은 종아리 받이부(104)의 후단쪽으로 연장되며, 받침 프레임(113)의 상향으로 손잡이(113L)가 고정된다. 그리고 종아리 받이부(104)의 받침플레이트(104P) 저면에는 회전 걸쇠(104H)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아리 받이부(104)와 받침 프레임(113)은 같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지만 각각 별도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게 선회한다. 따라서 받침 프레임(113)은 링크(120)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되고, 종아리 받이부(104)를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 걸쇠(104H)를 회전시켜 받침 프레임(113)에 장착된 손잡이(113L) 위에 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받침 프레임(113)보다 더 큰 기울기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유는 링크(120)에 의해 종아리 받이부(104)와 허벅지 받이부(103)가 연동하여 기울기가 설정되지만, 이에 따른 종아리 받이부(104)의 기울기를 환자의 특성에 따라 조절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들것은 앞서 설명한 체어형태에서 계단을 내려갈 수 있도록 충격을 완충하면서 들것(100)을 지지하는 받침부(190)가 장착된다.
도 14a에 있어서, 받침부(190)는 들것(100)에 탈장착 가능하며, 체어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에 받침부(190)가 장착된 상태로 계단을 내려간다.
받침부(190)는 메인 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된 제1축(197a)에 장착되는 제1클립(191)과, 리어 프레임(112)에 장착되는 'U'형태의 받침대(195)와, 받침대(195)의 양단에 장착되며 리어 프레임(112)에 형성된 제2축(197b)에 장착되는 제2클립(192)과, 받침대(195)와 제1클립(191)을 연결하는 쇼바(193) 및 받침대(195)에 장착된 제7캐스터(18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부(190)의 제1클립(191)을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의 제1축(197a)에 장착하고 제2클립(192)을 제2축(197b)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받침부(190)를 장착한 상태에서 체어형태로 변형된 들것(100)을 계단에서 서서히 밀게 되면, 들것(100)의 제5캐스터(185)가 계단의 모서리를 지나 아래로 내려갈 때에 받침부(190)의 제7캐스터(187)가 계단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들것(100)이 계단을 내려감에 따라 쇼바(193)는 수축되면서 제7캐스터(187)가 들것(100)을 받쳐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들것(100)을 더 전진시키면 제7캐스터(187) 즉 받침부(190) 또한 계단의 모서리를 지나게 되고, 결국 제5캐스터(185)와 제7캐스터(187)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 작동에 따라 들것은 계단은 순차적으로 내려간다.
100 : 들것
101 : 등 받이부
102 : 엉덩이 받이부
103 : 허벅지 받이부
104 : 종아리 받이부
105 : 머리 받이부
110 : 메인 프레임
111 : 프런트 프레임
112 : 리어 프레임
113 : 받침 프레임
120 : 링크
121 : 래치형 브래킷
122 : 잠금레버
131 : 쇼바
141 : 지지대
143 : 걸림턱
151 : 풋 레버
160A, 160B, 160C : 레버
170 : 손잡이
181~187 : 캐스터
190 : 받침부
191, 192 : 클립
195 : 받침대

Claims (21)

  1. 환자의 등을 받혀주는 등 받이부(101)와, 환자의 엉덩이에 접하는 엉덩이 받이부(102)와, 허벅지에 접하는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에 접하는 종아리 받이부(104)를 구비하며, 받이부(101,102,103,104)들은 환자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힌지 결합되고,
    엉덩이 받이부(102)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에는 리어 프레임(112)이 힌지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에는 프런트 프레임(111)이 힌지 결합되고, 리어 프레임(112)과 프런트 프레임(111)이 세워진 상태로 리어 프레임(112)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185)와 프런트 프레임(111)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184)들에 의해 이송 가능하되,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의 힌지 결합된 부위는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된 힌지 몸체(153)와 리어 프레임(112)에 장착된 힌지 몸체(153)가 힌지 결합되며, 어느 한 쪽의 힌지 몸체에는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지거나 펼쳐지는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홈(153H)들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힌지 몸체에는 홈(153H)에 삽입되는 잠금해제레버(15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허벅지 받이부(103)와 종아리 받이부(104)가 결합된 힌지에 받침 프레임(113)이 힌지 결합되어 종아리 받이부(104)의 저면에 위치하며,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이 힌지 결합된 부위에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링크(120)가 힌지 결합되고, 링크(120)의 단부와 받침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어 링크의 기울기에 의해 받침 프레임(113)의 기울기가 변하면서 종아리 받이부(104)와 허벅지 받이부(103)의 기울기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5. 제4항에 있어서,
    링크(120)에는 래치형 브래킷(121)이 장착되고, 래치형 브래킷(121)의 원호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골을 향해 이동하는 잠금레버(122)가 장착되며, 잠금레버(122)를 당겨 래치형 브래킷(121)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종아리 받이부(104)와 허벅지 받이부(103)와 힌지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기울기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6. 제5항에 있어서,
    잠금레버(122)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3)에 의해 래치형 브래킷(121)의 골에 삽입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7. 제1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10)과 등 받이부(101)의 저면에는 신축 가능한 쇼바(131)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쇼바(131)의 신축에 의해 등 받이부(101)의 기울기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등 받이부(101)에는 머리 받이부(105)가 힌지 결합되며, 등 받이부(101)의 저면에는 머리 받이부(105)의 아래를 지나 들것의 선단으로 연장된 손잡이(142)가 고정되며, 머리 받이부(105)의 저면에는 지지대(141)가 장착되고, 손잡이(142)에 형성된 걸림턱(143)들 중 어느 한 걸림턱에 지지대(141)가 삽입되어 머리 받이부(105)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잠금해제레버(152)는 리어 프레임(112)의 저면에 장착된 풋 레버(151)와 연결되어 연동하며 풋 레버(151)의 선회에 의해 잠금해제레버(152)가 홈(153H)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1. 제1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에는 신축 가능한 쇼바(155)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리어 프레임(112)이 세워지거나 접힘에 따라 쇼바(155)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2. 제1항에 있어서,
    프런트 프레임(111)의 일측에는 걸쇠(111H)가 고정되고, 메인 프레임(110)에는 걸쇠(111H)와 체결되거나 해체되도록 선회하는 후크(163)가 장착되며, 후크(163)는 복수의 레버(160A,160B,160C)들에 의해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버(160A,160B,160C)는 3개로서, 들것의 선단, 중간, 후단에 위치하며, 3개의 레버는 링크(161) 및 와이어(162)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프런트 프레임(111)의 타측에는 완충부재(111C)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5. 제4항에 있어서,
    받침 프레임(113)은 종아리 받이부(104)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부위에는 상향으로 손잡이(113L)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6. 제15항에 있어서,
    종아리 받이부(104)의 저면에는 회전 걸쇠(104H)가 장착되며, 종아리 받이부(104)를 받침 프레임(113)의 상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회전 걸쇠(104H)를 회전시켜 손잡이(113L)에 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7. 제1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중간에는 고정브래킷(172)이 장착되고, 손잡이(170)의 단부에 장착된 선회브래킷(171)이 고정브래킷(172)에 힌지 결합되며, 고정브래킷(172)과 선회브래킷(171) 중 어느 한 쪽에는 레버(171L)에 의해 이동하는 고정핀(171P)이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잠금홈(172H)이 형성되어 손잡이(170)가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에 세워졌을 때에 고정핀(171P)이 잠금홈(172H)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8. 제1항에 있어서,
    등 받이부(101), 엉덩이 받이부(102), 허벅지 받이부(103), 종아리 받이부(104)는 받침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9. 제8항에 있어서,
    머리 받이부(105)는 받침플레이트(105P)와 받침플레이트(105P)의 상면에 고정된 시트(105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0. 제1항에 있어서,
    프런트 프레임(111)이 메인 프레임(110) 쪽으로 접혀졌을 때에, 메인 프레임(110)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110G)에 의해 프런트 프레임(111)의 후단에 장착된 캐스터(185)가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1. 제1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10)과 리어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받침부(190)를 더 포함하며, 받침부(190)는 메인 프레임(110)에 탈장착되는 제1클립(191)과, 리어 프레임(112)에 탈장착되는 제2클립(192)과, 제2클립(192)이 양단에 형성된 받침대(195)와, 받침대(195)와 제1클립(191)을 연결하는 쇼바(193) 및 받침대(195)에 장착된 캐스터(1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KR1020130077801A 2013-07-03 2013-07-03 들것 KR10141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01A KR101413422B1 (ko) 2013-07-03 2013-07-03 들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01A KR101413422B1 (ko) 2013-07-03 2013-07-03 들것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623A Division KR20150005440A (ko) 2014-06-16 2014-06-16 들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422B1 true KR101413422B1 (ko) 2014-07-01

Family

ID=5174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801A KR101413422B1 (ko) 2013-07-03 2013-07-03 들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2611A (zh) * 2018-05-11 2018-09-18 南京理工大学 一种担架与急救床结合的多功能救援设备
CN114176974A (zh) * 2021-12-29 2022-03-15 康辉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眼科手术床的床体支撑结构
CN114288141A (zh) * 2021-12-29 2022-04-08 康辉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眼科手术床的腿部支撑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756A (en) * 1992-11-20 1996-11-12 Muuranen; Martti Ambulance stretchers for carrying patients
JP2003010250A (ja) * 2001-07-03 2003-01-14 Iura Co Ltd 車載用ストレッチャ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756A (en) * 1992-11-20 1996-11-12 Muuranen; Martti Ambulance stretchers for carrying patients
JP2003010250A (ja) * 2001-07-03 2003-01-14 Iura Co Ltd 車載用ストレッチャ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2611A (zh) * 2018-05-11 2018-09-18 南京理工大学 一种担架与急救床结合的多功能救援设备
CN108542611B (zh) * 2018-05-11 2024-01-30 南京理工大学 一种担架与急救床结合的多功能救援设备
CN114176974A (zh) * 2021-12-29 2022-03-15 康辉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眼科手术床的床体支撑结构
CN114288141A (zh) * 2021-12-29 2022-04-08 康辉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眼科手术床的腿部支撑结构
CN114176974B (zh) * 2021-12-29 2024-04-05 康辉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眼科手术床的床体支撑结构
CN114288141B (zh) * 2021-12-29 2024-04-05 康辉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眼科手术床的腿部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480B2 (ja) ベッド
US8950776B2 (en) Wheelchair and bed
JP5255693B2 (ja) 多機能患者移送装置
EP2074979B1 (en) Multi-position support for a folding patient lift device
IES80505B2 (en) A bed
JP4776736B1 (ja) 介護用車椅子
JP2009515560A (ja) 関連フレーム及びリフトカート付き患者移動システム
JP2014520604A (ja) 患者に有用な椅子、フレームおよび持上げ用衣服
JP5317111B2 (ja) 人体把持具とそれを用いた移乗支援器具
JP2016193100A (ja) 起居・立位歩行支援機
KR101413422B1 (ko) 들것
CN113101152A (zh) 一种防摔倒坐站两用的助行车
JP5531344B2 (ja) 移乗器具
KR20150005440A (ko) 들것
CN215606974U (zh) 一种防摔倒坐站两用的助行车
JP2008104813A5 (ko)
JP5067806B2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
JP2008104813A (ja) 介護用椅子
JP2017225553A (ja) 移乗車
JP5142693B2 (ja) 移乗補助装置
TWI357324B (ko)
KR101205094B1 (ko) 하반신 부자유자 이송용 의료보조기
JP2001104410A (ja) 移乗装置
JP2004016806A (ja) マルチポジション・バギータイプ車椅子
JP2016193099A (ja) 起居・立位歩行支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