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070B1 - 장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070B1
KR101411070B1 KR1020120078950A KR20120078950A KR101411070B1 KR 101411070 B1 KR101411070 B1 KR 101411070B1 KR 1020120078950 A KR1020120078950 A KR 1020120078950A KR 20120078950 A KR20120078950 A KR 20120078950A KR 101411070 B1 KR101411070 B1 KR 10141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funeral
reader
gravey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789A (ko
Inventor
오명진
Original Assignee
오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진 filed Critical 오명진
Priority to KR102012007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0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의 인식을 통해 장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쉽게 습득 및 교류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조문객 단말기로 인식하여 장례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조문객이 조문/방명록을 모바일 웹 또는 앱에 쉽게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상주가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장례식장에 실제로 조문 온 조문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데이트베이스화 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안내 정보와 함께 해당 납골당 또는 묘지에 구비된 표시 장치를 작동시켜 조문객이 납골당 또는 묘지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례 시스템{FUNERAL SYSTEM}
본 발명은 장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의 인식을 통해 장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쉽게 습득 및 교류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례식은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글이 적힌 부고장을 조문객에게 발송한다. 또한, 부고장을 받은 조문객은 부고장에 기재된 장례식장 위치, 발인 일시, 묘지 위치 등을 참고하여 해당 장례식장에 조문을 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장례식 조문 절차는 부고장에 기재할 수 있는 정보의 협소함으로 인해 조문객이 장례식장에 방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부고장은 단순히 부고에 대한 정보만을 조문객에게 전달할 뿐 더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없으며, 조문객이 장례식장에 방문하였으나 방명록에 자신의 정보를 남기지 않거나, 실수로 누락됐을 경우 추후 상주가 해당 조문객에게 감사의 표시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1630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문객이 장례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주가 조문 온 조문객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되며 장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가 기록된 태그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와 연동되는 시스템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리더기는 조문객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태그 정보는 조문객 정보와 조문객 식별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조문객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계획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연동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연동 정보는 장례식장 위치와 발인 일시 및 묘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와, 모바일 웹 또는 앱 접속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문객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 연동 정보에 의해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고인의 영상 재생, 고인의 음성 재생, 유가족 및 친지들이 고인에게 올리는 편지, 음성, 영상 표시 작업을 수행하는 모바일 웹 또는 앱에 접속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더기는 장례식장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태그 정보는 조문객 정보와 조문객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장례식장 리더기는 상기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 모듈과, 상기 태그 인식 모듈의 태그 인식에 따라, 인식된 태그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태그 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에서 작성된 조문/전자방명록은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더기는 주차장 입구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장 입구 리더기는 상기 태그에 차량번호, 입차 일시를 기록한다.
상기 리더기는 납골당/묘지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태그 정보는 조문객 정보와 조문객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납골당( 납골함 포함 ) 또는 묘지에 구비되어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점등되는 점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납골당 또는 묘지에 구비되어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고인의 영상 재생, 고인의 음성 재생, 유가족 편지 표시 작업을 수행하는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납골당 또는 묘지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납골당 또는 묘지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운영 서버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주인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부고장에 부착된 태그를 조문객 단말기로 인식하여 장례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조문객이 조문/방명록을 모바일 웹 또는 앱에 쉽게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상주가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장례식장에 실제로 조문 온 조문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안내 정보와 함께 해당 납골당 또는 묘지에 구비된 표시 장치를 작동시켜 조문객이 납골당 또는 묘지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례시스템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례시스템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례시스템 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례시스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례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00)와, 태그를 인식하는 리더기(200)와, 리더기와 연동되는 시스템 운영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서버와 접속되는 고객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100)는 조문객에게 장례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부고장(10)에 태그(100)가 부착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태그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사용한다. 또한 이를 확대하여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태그(100)에는 태그 정보가 기록되며, 태그 정보는 조문객의 기본 정보와, 해당 조문객의 식별코드, 스마트폰 연동 정보 등의 장례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문객 기본 정보는 조문객의 이름, 주소, 망자와의 관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문객 식별코드는 해당 조문객을 식별할 수 있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연동 정보는 해당 부고장을 받은 조문객이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NFC 또는 RFID 태그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이 인식할 때 미리 계획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연동 정보에는 장례식장 위치와 발인 일시 및 묘지 위치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 조문/전자방명록 작성과 고인 영상/음성 유가족 편지 및 문상객 의 애도의 글을 볼 수 있는 모바일 웹 또는 앱 접속 정보 등을 포함한다.
물론, 조문객 기본 정보는 제외하고 조문객의 식별코드만이 기록될 수도 있으며, 후술될 실시예를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부고장을 스마트폰으로 인식하여 스마트폰 연동 정보에 기록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종료될 경우, 태그에는 스마트폰 연동 정보만이 기록될 수 있다.
리더기(200)는 태그(100)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조문객이 소유한 스마트폰을 예시한다. 이때, 전술된 스마트폰은 NFC 또는 RFID 태그의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이어야 한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특별한 구성이 추가됨이 없이, 부고장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함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이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발현되어 전술된 스마트폰 연동 정보에 기록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문객이 태그(100)를 인식하면, 시스템 운영 서버(300)에 구비된 모바일 웹과 연동되어 장례식장 위치와 발인 일시 및 묘지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가 스마트폰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모바일 웹 또는 앱 에 구비된 버튼을 클릭하여 고인 영상/음성과 유가족 편지 등을 보거나, 조문/전자방명록을 작성할 수 있다.
시스템 운영 서버(300)는 스마트폰 연동 정보에 기록된 모바일 웹 또는 앱이 구비된다. 또한, 모바일 웹 또는 앱은 고인의 생전 영상과 음성, 유가족 편지 등과, 문상객이 조문/방명록을 작성하고 이를 볼 수 있는 조문/방명록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술된 태그에 조문객 기본 정보가 수록될 경우, 해당 문상객이 조문/방명록을 작성할 때 추가적으로 자신의 이름과 같은 정보를 수동으로 작성하지 않아도 태그에 기록된 조문객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가 자동으로 기록된다. 물론, 조문객이 작성한 조문/방명록은 조문/방명록 전송 모듈을 통해 상주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태그가 부착된 부고장 및 또는 장례식장 입구의 태그를 조문객 단말기로 인식하여 장례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태그를 인식하여 조문객이 조문/방명록을 모바일 웹 또는 앱에 쉽게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상주가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또한, 후술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는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00)와, 태그를 인식하는 리더기와, 리더기와 연동되는 시스템 운영서버(410)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서버와 접속되는 고객 단말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100)는 장례식장에 조문 온 조문객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부고장(10)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태그가 부착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태그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사용한다.
태그(100)에는 장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가 기록되며, 장례 정보는 조문객의 기본 정보와, 해당 조문객의 식별코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문객의 기본 정보는 조문객의 이름, 주소, 망자와의 관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장례식장에는 다수의 장례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조문객 정보와 조문객 식별코드 외에 상주 정보와 상주 식별코드도 함께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주 정보와 상주 식별코드가 생략되더라도, 후술될 시스템 운영서버에 저장된 조문객 데이터베이스와 조문객 정보 또는 조문객 식별코드를 비교할 경우, 해당 조문객이 방문할 장례식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주 정보는 해당 장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상주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이 수록될 수 있으며, 고인의 이름이 부가적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물론,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주민등록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제외될 수도 있다. 여기서, 조문객 식별코드와 상주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는 각각의 조문객을 구분할 수 있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식별코드는 상주와 조문객마다 상이해야 한다.
리더기는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장례식장 입구에 구비된 장례식장 리더기를 예시한다. 이러한 장례식장 리더기(210)는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 모듈(212)과, 인식된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전송하는 태그 정보 전송 모듈(214)을 포함한다.
태그 인식 모듈(212)은 조문객이 부고장에 부착된 태그(100)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태그로 NFC 또는 RFID 태그를 예시하므로, 태그 인식 모듈 역시 NFC 또는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태그 인식 모듈에 의한 태그 인식은 태그의 터치 또는 자동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센서는 조문객이 태그를 별도로 터치하지 않고 소지한 채 입구를 통과하더라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태그 인식 모듈은 일반적인 RFID와 같이 단순히 해당 태그를 인식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는 NFC 또는 RFID 태그를 예시하므로, 태그 인식 모듈은 NFC 또는 RFID 태그에 기록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태그 인식 모듈이 NFC 또는 RFID 태그를 인식할 경우, NFC 또는 RFID 태그의 태그 정보에 기록된, 해당 조문객 정보를 태그 정보 전송 모듈을 통해 시스템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태그 정보 전송 모듈(214)은 태그 인식 모듈(212)에서 인식된 태그 정보를 시스템 운영서버에 전송한다. 후술될,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500)에서 기록되는 조문/전자방명록 역시 시스템 운영서버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500)는 리더기와 연동되어 조문객이 리더기에 태그를 인식했을 때, 해당 조문객이 조문/전자방명록을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입력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로 일반적인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입력 모듈은 마우스와 키보드 등의 입력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로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 입력 모듈 역시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다. 조문객의 연령이 높을 경우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입력 도구의 사용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조문객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입력 모듈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조문객이 차량을 이용하여 방문하였을 경우,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주차장 입구 리더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입구 리더기(220)는 태그 인식 모듈과 태그 정보 전송 모듈을 동일하게 포함하되, 태그 기록 모듈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주차장 입구 리더기의 태그 인식 모듈에서 태그를 인식 했을 때, 태그 기록 모듈은 인식된 태그에 차량 정보와 입차 시간 등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이는 추후, 주차 요금 정산 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주차장 입구 리더기가 구비될 경우, 전술된 태그 정보는 장례 정보와 주차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시스템 운영서버(410)는 리더기(장례식장 리더기(210), 주차장 입구 리더기(220)) 및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500)와 연동되며, 모바일 웹과, 조문객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리더기와 시스템 운영서버의 연동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웹은 조문/방명록 작성 장치에 표시되는 조문/방명록 작성 양식을 제공하는 조문/방명록 작성 양식 제공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문/방명록 작성 양식 제공 모듈은 모바일 웹 또는 앱에서 구현되어 조문/방명록 작성 장치는 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해당 기능은 모바일 웹에서 구현되지 않고 조문/방명록 작성 장치 내부에 저장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조문/방명록 작성 내용만이 시스템 운영서버에 전송되어 조문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조문객 데이터베이스는 상주가 미리 제공한 조문객 정보와, 조문/방명록 작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문객 정보에 포함되어 부고장이 송부된 조문객이 실제로 장례식장에 방문(태그 인식)했을 경우, 해당 조문객 정보에는 조문 여부 정보가 추가적으로 기록된다. 이에 따라, 상주는 추후 장례식장에 조문 온 조문객에 대해 감사의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조문/방명록 작성 정보는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를 통해 볼 수 있으며, 전술된 제 1 실시예의 리더기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장례식장에 실제로 조문 온 조문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또한, 후술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는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00)와, 태그를 인식하는 리더기와, 리더기와 연동되는 시스템 운영서버(420)와, 납골함에 위치된 표시 장치(700)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서버와 접속되는 고객 단말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례 시스템의 설명에 따른다.
리더기(210)는 부고장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납골당/묘지 입구(예를 들어, 다수의 묘가 안치된 공동묘지)에 비치된 납골당/묘지 리더기를 예시한다. 이와 같은 납골당/묘지 리더기는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 모듈(212)과, 인식된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전송하는 태그 정보 전송 모듈(214)을 포함한다. 여기서, 태그 인식 모듈은 전술된 실시예와 같다.
태그 정보 전송 모듈(214)은 조문객이 방문하여 납골당/묘지 입구에 있는 태그를 인식하면 해당 태그에 기록된 태그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태그 정보에는 전술된 정보들이 모두 기록되거나, 예를 들어, 조문객 식별코드만이 기록되거나, 조문객 식별코드와 함께 상주 식별코드가 기록되는 등의 일부 태그 정보만이 기록될 수도 있다. 즉, 후술될 시스템 운영 서버의 조문객 데이터베이스에는 해당 태그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된 태그에 기록된 태그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조문객과 상주를 식별할 수 있다.
표시 장치(700)는 태그 정보 전송 모듈(214)에서 전송된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계획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700)는 점등 장치(710)와, 디스플레이 장치(720)를 포함한다.
점등 장치(710)는 조문객의 납골당 또는 묘지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문객이 납골당/묘지 리더기에 태그를 인식하면 점등된다. 즉, 점등 장치는 납골당 또는 묘지마다 구비되며, 조문객이 납골당/묘지 리더기에 태그를 인식하면 해당 태그에 대응되는 점등 장치가 점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720)는 안내 정보 또는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와,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는 납골함 또는 묘지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문객이 납골당/묘지 리더기에 태그를 인식하면 납골당/묘지 리더기에 인접하게 위치된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납골당 또는 묘지의 위치가 안내된다. 이와 같은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술될 시스템 운영 서버와 연동된다. 즉, 납골당/묘지 리더기에서 태그를 인식하면, 태그 정보가 우선 시스템 운영 서버에 전송되고, 시스템 운영 서버는 내부에 저장된 안내 정보를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다.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인의 영상, 고인의 음성 등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게 납골당/묘지 리더기에서 태그를 인식하면, 태그 정보가 우선 시스템 운영 서버에 전송되고, 시스템 운영 서버는 내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다. 물론, 납골당/묘지 리더기와 조문객이 방문하고자 하는 납골당/묘지의 위치가 멀다면, 콘텐츠 재생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으므로, 납골당 또는 묘지 마다 별도의 리더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별도의 리더기를 구비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버튼을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버튼을 납골당 또는 묘지마다 구비할 수도 있다.
시스템 운영 서버는 전술된 바와 같이, 조문객 정보 등을 포함하는 조문객 데이터베이스와, 콘텐츠, 안내 정보가 저장된다. 물론, 납골당/묘지를 방문한 조문객을 구별할 수 있도록 조문객 데이터베이스에는 조문 여부 정보가 추가적으로 기록되며,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에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안내 정보 전송 모듈과,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모듈이 구비된다.
더욱이, 조문 여부 정보가 추가적으로 기록된 조문객 데이터베이스를 상주인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조문객 정보 전송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조문/방명록 기능 역시 본 실시예에 추가될 수 있으며, 조문객이 작성한 조문/방명록 역시 조문객 정보 전송 모듈을 통해 고객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조문객이 납골당 또는 묘지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부고장 100: 태그
200: 리더기 300: 시스템 운영 서버

Claims (10)

  1. 장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가 기록된 태그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와 연동되어 상기 리더기의 기능 수행에 따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더기는 조문객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태그 정보는 조문객 정보와 조문객 식별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조문객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계획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연동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리더기는 장례식장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는 부고장 또는 장례식장 입구에 부착되며, 상기 태그 정보는 조문객 정보와 조문객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장례식장 리더기는 상기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 모듈과, 상기 태그 인식 모듈의 태그 인식에 따라, 인식된 태그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태그 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납골당/묘지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 정보는 조문객 정보와 조문객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납골당 또는 묘지에 구비되어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점등되는 점등 장치; 상기 납골당 또는 묘지에 구비되어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고인의 영상 재생, 고인의 음성 재생, 유가족 및 친지들이 고인에게 올리는 편지,음성,영상 표시 작업을 수행하는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납골당 또는 묘지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납골당/묘지 리더기의 태그 인식에 따라 납골당 또는 묘지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입구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연동 정보는 장례식장 위치와 발인 일시 및 묘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와, 모바일 웹 또는 앱 접속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문객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 연동 정보에 의해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고인의 영상 재생, 고인의 음성 재생, 유가족 및 친지들이 고인에게 올리는 편지,음성,영상 표시 작업을 수행하는 모바일 웹 또는 앱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문/전자방명록 작성 장치에서 작성된 조문/전자방명록은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78950A 2012-07-19 2012-07-19 장례 시스템 KR10141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950A KR101411070B1 (ko) 2012-07-19 2012-07-19 장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950A KR101411070B1 (ko) 2012-07-19 2012-07-19 장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89A KR20140011789A (ko) 2014-01-29
KR101411070B1 true KR101411070B1 (ko) 2014-06-25

Family

ID=5014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950A KR101411070B1 (ko) 2012-07-19 2012-07-19 장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41B1 (ko) * 2015-05-21 2016-11-09 타임시스템(주) 장례 및 발인 통합 관리 시스템
WO2021010589A1 (ko) * 2019-07-16 2021-01-21 이상원 경조사시 방문자를 위한 전자 시스템 운영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67B1 (ko) * 2015-10-20 2017-05-18 최석일 사후 시점 및 초청 조문객별 메시지 발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후 메시지 발송 방법
KR101697150B1 (ko) * 2016-05-27 2017-01-17 (주)삼가 부고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7151B1 (ko) * 2016-05-30 2017-01-17 (주)삼가 장례식장 사망자 정보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2130317B1 (ko) * 2018-12-12 2020-07-08 주식회사 융합기술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63A (ko) * 2006-07-21 2008-01-24 안드레스-클라베라 미구엘 Rfid를 이용한 추억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80080250A (ko) * 2007-02-14 2008-09-03 심규원 정보화기반 수목장 관리 및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63A (ko) * 2006-07-21 2008-01-24 안드레스-클라베라 미구엘 Rfid를 이용한 추억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80080250A (ko) * 2007-02-14 2008-09-03 심규원 정보화기반 수목장 관리 및 운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41B1 (ko) * 2015-05-21 2016-11-09 타임시스템(주) 장례 및 발인 통합 관리 시스템
WO2021010589A1 (ko) * 2019-07-16 2021-01-21 이상원 경조사시 방문자를 위한 전자 시스템 운영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89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070B1 (ko) 장례 시스템
WO2016053008A1 (ko) 수하인 정보 보호를 위한 운송장 및 물류배송관리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물류배송 지원 방법
JP6073381B2 (ja) 乳幼児のためのインタラクションサービスを提供する装置及び方法、これを利用したシステム
JP2012014654A (ja) 患者誘導システム、患者誘導方法、及び患者誘導プログラム
US20170140113A1 (en) Interactive display for use in operating rooms
JP2009025335A (ja) ガイダンス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69239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医療情報管理方法
JP2016149066A (ja) 行動管理装置、情報端末、行動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18852A (ja) 個人認証カードおよび個人認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737467B1 (ko) 사후 시점 및 초청 조문객별 메시지 발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후 메시지 발송 방법
JP2008029619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101411219B1 (ko) 결혼예식 시스템
JP2021022341A (ja)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101701214B1 (ko)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283682B1 (ko)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634859B1 (ko)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JP6418853B2 (ja) 受験者管理システム、情報サーバ、及び受験者管理プログラム
US20170140186A1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JP2008165346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JP2006119689A (ja) 座席案内システム
US20240095443A1 (en) Data input assistance system
JP2008015614A (ja) 訪問者誘導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6201871A (ja) 電子式行先・予定表示装置
KR20230153664A (ko) 청첩장에 부착된 태그 인식을 이용한 예식 시스템
JP2007272852A (ja) 施設利用者の所在等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