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859B1 -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859B1
KR101634859B1 KR1020140061398A KR20140061398A KR101634859B1 KR 101634859 B1 KR101634859 B1 KR 101634859B1 KR 1020140061398 A KR1020140061398 A KR 1020140061398A KR 20140061398 A KR20140061398 A KR 20140061398A KR 101634859 B1 KR101634859 B1 KR 10163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patient terminal
terminal
co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555A (ko
Inventor
유세현
최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4006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8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은,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 및 환자단말에 관한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에서 이탈 함에 연동하여 삭제 함으로써, 병의원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진료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단말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따르면, 병의원에 방문한 환자는 진료를 받기 전에 병의원에서 요구하는 진료 신청 서류를 기입하여 진료 접수를 하고, 진료 순서가 되면 진료실에 들어가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대학병원과 같이 환자 수가 많은 대형병원에서는 진료 접수 시 상당한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환자들이 병의원 이용 시 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스스로 진료 접수를 하는 데 곤란을 느낄 수 있다.
더욱이, 환자가 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와 같은 개인정보를 진료 신청 서류에 기입하여 접수 함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진료를 받은 환자는 다시 소정의 대기시간을 거쳐 처방전을 발급받고, 이를 약국에 제출해야 조제 약품을 처방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는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약국에서 약품을 처방 받는 과정이 복잡하고 대기시간이 소요되어 병의원 및 약국 이용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병의원이나 약국 측에서도 일일이 환자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를 조회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어, 환자의 접수, 수납, 처방전 발급, 약품 조제 등의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해, 환자의 대기시간이 보다 길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동시에, 환자의 병의원 및 약국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 및 환자단말에 관한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에서 이탈 함에 연동하여 삭제 함으로써, 병의원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진료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단말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단말에 할당된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를 의사단말로 전달하여, 환자단말에 관한 전자차트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환자단말에게 진료 접수를 위한 별도의 서류 작성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진료 접수에 따른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단말과 관련하여 처방 정보가 생성 됨에 따라, 병의원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Wi-Fi, NFC 등)을 통해, 상기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에 자동으로 전송 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을 통해, 처방전 발급을 위한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처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처방 정보를 암호화하여 환자단말로 전송 함으로써, 환자단말에 처방 정보를 안전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약국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 및 환자단말로부터 리드되는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이 약국 커버리지에서 이탈 함에 연동하여 삭제 함으로써, 약국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약품 조제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단말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에 기초하여, 약국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Wi-Fi, NFC 등)을 통해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자동으로 전송되는 처방 정보에 따른 약품 조제 요청을, 약국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환자단말이 약국단말에 직접 처방전을 제출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제 약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은,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방법은,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 및 환자단말에 관한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에서 이탈 함에 연동하여 삭제 함으로써, 병의원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진료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단말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단말에 할당된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를 의사단말로 전달하여, 환자단말에 관한 전자차트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환자단말에게 진료 접수를 위한 별도의 서류 작성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진료 접수에 따른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단말과 관련하여 처방 정보가 생성 됨에 따라, 병의원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Wi-Fi, NFC 등)을 통해, 상기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에 자동으로 전송 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을 통해, 처방전 발급을 위한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처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처방 정보를 암호화하여 환자단말로 전송 함으로써, 환자단말에 처방 정보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약국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 및 환자단말로부터 리드되는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이 약국 커버리지에서 이탈 함에 연동하여 삭제 함으로써, 약국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약품 조제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단말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한 건강보험정보에 기초하여, 약국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Wi-Fi, NFC 등)을 통해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자동으로 전송되는 처방 정보에 따른 약품 조제 요청을, 약국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환자단말이 약국단말에 직접 처방전을 제출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제 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과, 환자단말 및 병의원 커버리지와 약국 커버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환자단말을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진료 순서를 대기하는 환자단말로, 진료 대기 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와, 키 정보 및 상기 환자단말에 관해 수집한 건강보험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과, 환자단말 및 병의원 커버리지와 약국 커버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자단말(110)은 병의원 커버리지(101)로 진입 함에 따라, 병의원 커버리지(101)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Wi-Fi, NFC 등)을 통해, 인증 정보(예를 들면, 공인인증서)와 식별번호(즉, 전화번호)를 환자 진료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환자단말(110)이 병의원 커버리지(101)로 진입 함에 연동하여 환자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단말(110)을 인증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환자단말(110)로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암호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환자단말(110)에 대한 건강보험정보(예를 들면, 건강보험 자격 유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12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환자단말(110)이 병의원 커버리지(101)에 마련된 리더기에 의해 리드 됨에 따라, 상기 리더기와 관련된 병과(예, '내과')에 대해, 환자단말(110)의 진료 순서를 할당하고,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상기 병과 내 의사단말(130)로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전달하여, 환자단말(110)에 관한 전자차트에 상기 건강보험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환자단말(110)에게 진료 접수를 위한 별도의 서류 작성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진료 접수에 따른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의사단말(130)에서 환자단말(110)에 관한 처방 정보(조제약품명, 조제량, 조제일수 등)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예, 공인인증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환자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병의원 커버리지(101)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110)에 자동으로 전송 함으로써, 환자단말(110)이 처방전 발급을 위한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환자단말(110)이 병의원 커버리지(101)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또는 환자단말(110)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에 대한 수신완료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 및 상기 처방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환자단말(110)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한편, 병의원 커버리지(101)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진료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병의원 커버리지(101)를 이탈한 환자단말(110)이 약국 커버리지(102)로 진입 함에 연동하여 환자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예를 들면,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환자단말(110)을 인증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환자단말(110)에 대한 건강보험정보(예를 들면, 건강보험 자격 유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12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환자단말(110)은 약국 커버리지(102)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처방 정보를 환자 진료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상기 수집한 건강보험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처방 정보에 따른 약품 조제 요청을 약국단말(14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단말(110)은 약국단말(140)에 직접 처방전을 제출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제 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약국단말(140)로의 상기 약품 조제 요청 제공에 연동하여,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와 함께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진료 시스템(100)은 환자단말(110)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한편, 약국 커버리지(102)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진료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인증부(210), 수집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접수부(240), 데이터베이스(250), 표시부(260) 및 인터페이스부(27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증부(210)는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한다.
일례로, 병의원 커버리지로 진입한 환자단말은, 병의원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Wi-Fi, NFC 등)에 접속하여,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 정보를 환자 진료 시스템(200)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우선, 환자단말은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별번호(즉, 전화번호)를 환자 진료 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증 정보(예를 들면, 공인인증서)가 환자 진료 시스템(200) 내 데이터베이스(250)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200)에 인증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환자단말은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 정보(예를 들면, 공인인증서)를, 식별번호(즉, 전화번호)와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환자 진료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부(210)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대해, 암호 입력(예, 공인인증서 암호)을 요청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부(210)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와 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고,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하지 않는 동안, 상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수집부(220)는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한다.
여기서,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는 건강보험관리공단과 같은 공공기관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건강보험 피부양자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 건강보험료 등에 관한 건강보험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수집부(220)는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식별번호를 통해,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건강보험 피부양자를 식별하고, 상기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에서 상기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상기 건강보험 피부양자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에 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부(220)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식별번호 '010-2631-5555'를 통해 건강보험 가입자 '김진혁'을 식별하고,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건강보험 가입자 '김진혁'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에 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수집부(220)는 건강보험 자격이 있을 경우 건강보험 관리번호 '28013156'을 수집하고, 건강보험 자격이 없을 경우, 건강보험 자격 확인불가에 관한 메시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험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250)에 유지될 수 있다. 즉, 수집부(220)는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한 건강보험정보를,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공인인증서 키 'f#{@$***')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접수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수부(240)는 환자단말이 리더기에 의해 리드 됨에 따라, 상기 리더기와 관련된 병과에 대해, 상기 환자단말의 진료 순서를 할당한다.
일례로, 접수부(240)는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에 마련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에 의해 리드 됨에 따라, 상기 리더기에 의해 리드된 키 정보(예, 공인인증서 키 'f#{@$***')가, 병과(예, '내과') 별로 제공된 스택(stack)에 입력되는 순으로 상기 진료 순서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접수부(240)는 환자단말이 리더기에 의해 리드되는 시점에 상응하여, 환자단말에 대해 병과 별로 진료 순서를 할당하여, 환자단말을 자동으로 접수할 수 있다.
또한, 접수부(240)는 상기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상기 병과 내 의사단말로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건강보험정보가 상기 환자단말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전자차트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례로, 접수부(240)는 상기 진료 순서가 도래하여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상기 스택에서 출력되는 키 정보(예, 공인인증서 키 'f#{@$***')와 대응하는 건강보험정보(예, 건강보험 관리번호 '28013156')를, 데이터베이스(250)에서 검색하여 의사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단말에서는 전자차트에 표시되는 건강보험정보를 참조하여 환자단말에 처방할 조제 약품과 조제량, 조제일수 등을 지정하여 처방 정보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표시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환자단말이 진료 순서를 대기하면, 대기 환자 인원 및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단말 내 일정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진료실명, 진료실 위치 및 담당의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일정 영역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환자단말에서 실행되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일정 영역으로, '병과: 내과'에서의 '대기 환자 인원: 10명', '진료 순서: 2번째', '현재 상태: 고객님의 진료가 곧 시작됩니다. 진료실 앞 의자에서 대기해주세요.'와 같은 대기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는 환자단말에 할당된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진료실명: A동 301호', '진료실 위치 약도', '담당의사: 이지혜' 등을 환자단말에서 실행되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일정 영역으로 표시하여 알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단말에게 진료 접수를 위한 별도의 서류 작성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진료 접수에 따른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환자는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환자단말)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진료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260)는 환자단말에서 실행되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병의원 만족도 평가에 관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 대기 중이거나 또는 진료 받은 후의 환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점수 또는 메시지를 활용하여 병의원 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병의원 커버리지로 진입한 환자단말로, 환자단말 내 일정 영역에서 표시되는 광고 배너(banner)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30)는 진료를 대기하는 환자단말에서 실행되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일정 영역으로, 병의원에 관한 광고 배너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 중인 환자에게 자연스럽게 병의원에 관련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상기 환자단말에 관한 처방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환자단말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70)는 공인인증서 키 'f#{@$***'를 이용하여 처방 정보를 암호화하고, 병의원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암호화한 처방 정보를 환자단말에 전송 함으로써, 환자단말이 처방전 발급을 위한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환자단말에서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처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한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ⅰ)정해진 시간격(예를 들면, '1초')으로 상기 환자단말로 전송된 토큰 정보가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리턴되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ⅱ)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예, GPS 위치)가,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ⅲ)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AP 신호 세기가,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AP 신호 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값이 기준치(예컨대, 병의원 커버리지 내에서 측정되는 AP 신호 세기 중 최소값) 미만일 경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환자단말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에 대한 수신완료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와 함께 삭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병의원 커버리지를 벗어난 환자단말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삭제하여 환자단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처방 정보는 환자단말 내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르면, 처방 정보 뿐만 아니라 환자의 모든 의무기록(인증 정보, 건강보험정보 등)을 외부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의료기관 내에서 다이렉트로 환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 태블릿 피시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 저장할 수 있으며, 환자가 타 의료기관(예를 들면, 약국, 병의원 등)으로 이동 함에 따라, 의무기록을 안전하게 타 의료기관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진료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로 진입한 상기 환자단말로, 상기 환자단말 내 일정 영역에서 표시되는 광고 배너(banner)를 제공하되,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광고 배너의 제공을 중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 함에 따라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집부(220)는 약국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환자단말로부터 처방 정보와,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건강보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인증부(210)는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환자단말이 약국 커버리지로 진입 함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예를 들면,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환자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부(210)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대해, 암호 입력(예, 공인인증서 암호)을 요청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수집부(220)는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예를 들면, 건강보험 자격 유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예, 공인인증서 키 'f#{@$***')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수집부(220)는 약국 커버리지에 진입한 환자단말이, 약국 커버리지에 설치된 NFC 리더기에 의해 리드되면, 환자단말에 유지되는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예, 공인인증서 키)를 리드할 수 있다. 이때, 수집부(220)는 상기 리드한 키 정보와 매칭되는 건강보험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수집부(220)는 NFC 리더기를 통해 환자단말로부터 처방정보를 리드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수집부(220)는 약국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접속되는 환자단말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수집한 건강보험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처방 정보에 따른 약품 조제 요청을 약국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단말은 약국단말에 직접 처방전을 제출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제 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에 사용된 인증 정보,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ⅰ)정해진 시간격(예를 들면, '1초')으로 상기 환자단말로 전송된 토큰 정보가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리턴되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ⅱ)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예, GPS 위치)가, 상기 약국 커버리지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ⅲ)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AP 신호 세기가,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AP 신호 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값이 기준치(예컨대, 약국 커버리지 내에서 측정되는 AP 신호 세기 중 최소값) 미만일 경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약국단말로의 상기 약품 조제 요청 제공에 연동하여,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와 함께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약국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약품 조제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단말에 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환자단말을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병의원 커버리지(302) 내에 다수의 AP(303, 304)가 존재할 경우, 각 AP(303, 304) 사이의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어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병의원 커버리지(302) 내에 하나의 AP를 설치한 뒤, 익스텐더 디바이스(extender device)를 통해 신호 세기를 증폭하여 병의원 커버리지(302) 내에서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환자단말(301)은 병의원 커버리지(302)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인증 정보(예, 공인인증서) 및 식별번호(305)를 환자 진료 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환자단말(301)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인증 정보(305)를 이용하여 환자단말(301)을 인증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토큰(token) 정보, GPS 정보 및 AP MAC 어드레스(AP mac address)(306)를 정해진 시간격(예를 들면, '1초')으로 환자단말(301)로 전송하여, 환자단말(301)이 병의원 커버리지(302)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PS 정보는 병의원 커버리지의 중심 위치를 지칭할 수 있다.
환자단말(301)은 실행 중인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토큰 정보와, 환자단말(301)의 현 위치에 관한 GPS 정보 및 AP 신호 세기를 환자 진료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1초' 단위로 환자단말(301)로 전송된 토큰 정보가, 환자단말(301)로부터 리턴되어 수신되면, 환자단말(301)이 병의원 커버리지(302)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토큰 정보가 리턴되어 수신되지 않을 경우, 환자단말(307)이 병의원 커버리지(302)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환자단말(301)로부터 전송되는 GPS 정보에 따른 환자단말(301)의 현 위치가, 병의원 커버리지(302)를 벗어날 경우, 환자단말(307)이 병의원 커버리지(302)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환자단말(301)로부터 전송되는 AP 신호 세기가 기준치(예컨대, 병의원 커버리지(302) 내에서 측정되는 AP 신호 세기 중 최소값) 미만일 경우, 환자단말(307)이 병의원 커버리지(302)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300)은 환자단말(307)이 병의원 커버리지(302)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 함에 따라, 환자단말(307)에 관한 처방 정보 뿐만 아니라 환자의 모든 의무기록(인증 정보, 건강보험정보 등)을 삭제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환자단말(301)이 병의원 커버리지(302)를 이탈하여, 도시하지 않은 약국 커버리지에 진입 또는 이탈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진료 순서를 대기하는 환자단말로, 진료 대기 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은 진료 순서를 대기하는 환자단말(400)로, 대기 현황 정보(410, 430)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의 (ⅰ)을 참조하면, 환자 진료 시스템은 환자단말(400)에서 실행되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일정 영역으로, '병과: 내과'에서의 '대기 환자 인원: 10명', '진료 순서: 2번째', '현재 상태: 고객님의 진료가 곧 시작됩니다. 진료실 앞 의자에서 대기해주세요.'와 같은 대기 현황 정보(410)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ⅱ)을 참조하면, 환자 진료 시스템은 환자단말(400)에 할당된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진료실명: A동 301호', '진료실 위치 약도', '담당의사: 이지혜'와 같은 대기 현황 정보(430)를 상기 일정 영역으로 표시하여, 간호사의 안내가 없어도 환자단말(400)에게 진료 차례를 손쉽게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는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환자단말)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진료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 진료 시스템은 진료를 대기하는 환자단말(400)에서 실행되는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일정 영역으로, 병의원에 관한 광고 배너(420)를 삽입 함으로써, 병의원에 관련된 광고를 환자에게 자연스럽게 노출할 수 있다.
도 5는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와, 키 정보 및 상기 환자단말에 관해 수집한 건강보험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환자단말은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별번호(즉, 전화번호)를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증 정보(예를 들면, 공인인증서)가 데이터베이스(510)에 존재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환자단말은 데이터베이스(510)에 매칭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 정보 및 식별번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환자 진료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은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대해, 암호 입력(예, 공인인증서 암호)을 요청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 정보와 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여,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하지 않는 동안, 상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진료 시스템은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식별번호 '010-2631-5555'를 통해 건강보험 가입자 '김진혁'을 식별하고,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건강보험 가입자 '김진혁'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에 관한 건강보험정보(예컨대, 건강보험 관리번호 '28013156')을 수집하여,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공인인증서 키 'f#{@$***')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5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진료 시스템은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에 마련된 NFC 리더기에 의해 리드 됨에 따라, 상기 리더기에 의해 리드된 키 정보 'f#{@$***'가, 병과(예, '내과') 별로 제공된 스택(530)에 입력되는 순으로 상기 진료 순서를 할당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은 상기 진료 순서가 도래하여 FIFO 방식으로 스택(530)에서 출력되는 키 정보 'f#{@$***'와 대응하는 건강보험정보(예, 건강보험 관리번호 '28013156')를, 데이터베이스(520)에서 검색하여 의사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단말에서는 전자차트에 표시되는 건강보험정보를 참조하여 환자단말에 처방할 조제 약품과 조제량, 조제일수 등을 지정하여 처방 정보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 진료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진료 방법은 상술한 환자 진료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한다.
일례로, 병의원 커버리지로 진입한 환자단말은, 병의원 커버리지 내에서 활성화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Wi-Fi, NFC 등)에 접속하여,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 정보를 환자 진료 시스템(200)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대해, 암호 입력(예, 공인인증서 암호)을 요청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한다.
여기서,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는 건강보험관리공단과 같은 공공기관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건강보험 피부양자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 건강보험료 등에 관한 건강보험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식별번호 '010-2631-5555'를 통해 건강보험 가입자 '김진혁'을 식별하고,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건강보험 가입자 '김진혁'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에 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건강보험 자격이 있을 경우 건강보험 관리번호 '28013156'을 수집하고, 건강보험 자격이 없을 경우, 건강보험 자격 확인불가에 관한 메시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험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될 수 있다. 즉,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한 건강보험정보를,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공인인증서 키 'f#{@$***')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한다.
일례로,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ⅰ)정해진 시간격(예를 들면, '1초')으로 상기 환자단말로 전송된 토큰 정보가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리턴되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ⅱ)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예, GPS 위치)가,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AP 신호 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값이 기준치(예컨대, 병의원 커버리지 내에서 측정되는 AP 신호 세기 중 최소값) 미만일 경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환자단말이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환자단말로부터 처방 정보에 대한 수신완료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와 함께 삭제할 수 있다.
즉, 환자 진료 시스템(200)은 병의원 커버리지를 벗어난 환자단말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삭제하여 환자단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처방 정보는 환자단말 내 처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 커버리지를 출입하는 다수의 환자단말에 대해 진료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환자 진료 시스템
210: 인증부 220: 수집부
230: 제어부 240: 접수부
250: 데이터베이스 260: 표시부
270: 인터페이스부

Claims (18)

  1.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집부;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환자단말이 리더기에 의해 리드 됨에 따라, 상기 리더기에 의해 리드된 키 정보가, 병과 별로 제공된 스택(stack)에 입력되는 순으로 상기 환자단말의 진료 순서를 할당하되, 상기 환자단말 중 일부의 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환자단말 중에서, 상기 일부의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의 단말에 대해 진료 순서를 재할당하는 접수부
    를 포함하고,
    ⅰ)상기 진료 순서가 도래하여 상기 스택에서 출력되는 키 정보와 대응하는 건강보험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면,
    상기 접수부는,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상기 병과 내 의사단말로 전달하고,
    ⅱ)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건강보험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삭제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 전송된 토큰 정보가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리턴되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가,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며,
    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AP 신호 세기가,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는,
    상기 병과 내 의사단말로 전달된 상기 건강보험정보가 상기 환자단말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전자차트에 표시되도록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은,
    대기 환자 인원 및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진료 순서를 대기하는 상기 환자단말 내 일정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진료 순서가 도래하면, 진료실명, 진료실 위치 및 담당의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일정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환자단말로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암호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식별번호를 통해,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건강보험 피부양자를 식별하고, 상기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에서 상기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상기 건강보험 피부양자의 건강보험 자격 유무에 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집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로 진입한 상기 환자단말로, 상기 환자단말 내 일정 영역에서 표시되는 광고 배너(banner)를 제공하되,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광고 배너의 제공을 중지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은,
    상기 환자단말에 관한 처방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환자단말로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에 대한 수신완료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와 함께 삭제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약국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처방 정보와, 상기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건강보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에 사용된 인증 정보,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강보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처방 정보에 따른 약품 조제 요청을, 약국단말로 제공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국단말로의 상기 약품 조제 요청 제공에 연동하여,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와 함께 삭제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4. 환자 진료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환자 진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병의원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환자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건강보험정보를,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단말이 리더기에 의해 리드 됨에 따라, 상기 리더기에 의해 리드된 키 정보가, 병과 별로 제공된 스택에 입력되는 순으로 상기 환자단말의 진료 순서를 할당하는 단계로서, 상기 환자단말 중 일부의 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환자단말 중에서, 상기 일부의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의 단말에 대해 진료 순서를 재할당하는 단계;
    상기 진료 순서가 도래하여 상기 스택에서 출력되는 키 정보와 대응하는 건강보험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면,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상기 병과 내 의사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건강보험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 전송된 토큰 정보가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리턴되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또는
    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가,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또는
    정해진 시간격으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AP 신호 세기가,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병의원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단말에 관한 처방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환자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에 대한 수신완료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건강보험정보와 함께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약국 커버리지로의 진입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 함에 따라, 상기 환자단말로부터 처방 정보와, 상기 수진자 자격조회 서버로부터 건강보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단말이, 상기 약국 커버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인증에 사용된 인증 정보,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건강보험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방법.
KR1020140061398A 2014-05-22 2014-05-22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KR10163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398A KR101634859B1 (ko) 2014-05-22 2014-05-22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398A KR101634859B1 (ko) 2014-05-22 2014-05-22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55A KR20150134555A (ko) 2015-12-02
KR101634859B1 true KR101634859B1 (ko) 2016-06-29

Family

ID=5488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398A KR101634859B1 (ko) 2014-05-22 2014-05-22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830B1 (ko) * 2019-12-19 2021-10-1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3466B1 (ko) * 2020-12-10 2022-08-18 주식회사 유비케어 환자 접수 화면 동적 제공 방법 및 환자 접수 화면 동적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20A (ko) * 2003-12-30 2005-07-07 이승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KR20110049107A (ko) * 2009-11-04 2011-05-12 주식회사 에이치앤아이피 모바일기반 의료보험 청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9372A (ko) * 2012-02-29 2013-09-06 (주)에프에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9042A (ko) * 2012-05-29 2012-07-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순번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55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79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US11106818B2 (en)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996676B2 (en) Associating an information reader and a medical device
US8943556B2 (en) Secure information release
WO20151165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US201503562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care service
US101486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20020081306A (ko) 전자 카드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6350658B2 (ja) 薬歴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9198358A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KR20220097601A (ko) 약물 부작용의 개인화된 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34859B1 (ko)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CN106599575A (zh) 一种医疗服务身份认证方法、装置及系统
KR101743914B1 (ko) 모바일 장치를 통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모바일 장치
WO2022254484A1 (ja) システム、サーバ装置、認証方法及び記憶媒体
KR101969907B1 (ko)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JP6844761B1 (ja) 情報制御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40754A1 (ja) 医療情報制御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6327987B2 (ja) 行動管理システム
JP7116372B1 (ja) 認証端末、認証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208135A (ja) 情報取得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方法、薬歴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JP7352691B2 (ja) 支払処理方法、支払装置、精算処理システム、及び精算処理プログラム
KR102209842B1 (ko) 설문문진qr을 이용한 병원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7236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3927A (ko) 기존 신분증을 대체하기 위한 모바일 신분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건강보험 관리공단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