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620A -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620A
KR20050070620A KR1020030100372A KR20030100372A KR20050070620A KR 20050070620 A KR20050070620 A KR 20050070620A KR 1020030100372 A KR1020030100372 A KR 1020030100372A KR 20030100372 A KR20030100372 A KR 20030100372A KR 20050070620 A KR20050070620 A KR 2005007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waiting
server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형
Original Assignee
이승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형 filed Critical 이승형
Priority to KR102003010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620A/ko
Publication of KR2005007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출력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병원내의 대기 환자를 효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은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가 예약증 및 진료카드 내용을 입력하는 진료실 입구의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는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조합에 의해서 순차적인 대기환자 정보가 추출되도록 하는 서버엔진으로 이루어진 서버시스템과, 상기 서버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서버엔진으로부터 추출 전송된 대기 환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진찰용 PC와, 영상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내용의 출력 스케쥴을 조정하는 관리자 모니터로 이루어진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성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이 제공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은, 예약 환자의 병원 내원시 진료 접수에서 대기환자 호출까지의 과정이 자동화되도록 하고 간호사를 비롯한 병원 인력의 업무 부담을 줄여 진료 효율성이 증가될 뿐 만 아니라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상에서 별도의 분할 화면을 통해 TV 방송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영상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대기시간의 무료함을 해소시킴과 아울러 영상과 음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대기환자 안내가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of a waiting patient using a multi-media terminal}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출력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병원내의 대기 환자를 효율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의 진료카드 정보 입력에 의해서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갱신되고 갱신된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프로그램상에서 화면이 분할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별도의 영상과 함께 출력되며, 대기 순번에 의한 환자 호출시 단말기를 통한 시각적인 문자 정보 제공과 동시에 음성을 이용한 방송 정보에 의해서 대기 환자 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상에서 별도의 분할 화면을 통해 TV 방송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영상 정보가 제공되어 대기시간의 무료함을 해소시킴과 아울러 영상과 음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병원과 종합병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병원 진료를 받기 위한 절차는 진료를 받기 위해 담당 의사와 사전 예약된 환자가 해당 진료과를 방문하여 담당 간호사에게 예약증을 제출하고 간호사는 제출된 환자의 예약증을 확인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거나 대기환자순으로 챠트를 정렬하게 된다.
이때, 해당 진료과의 담당 간호사는 예약 환자들로부터 건네받은 예약증 확인과 함께 예약 순서대로 대기중인 환자를 호출하게 되고 호출된 환자의 진찰 안내와 동시에 의사의 진료 내용을 보조해야 하며, 수시로 환자의 도착 여부를 확인해야 함으로써 이중의 과다한 업무처리에 의해서 환자의 진찰을 보조해야 하는 고유 업무를 수행하는 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진료실 밖에서 대기중인 예약 환자가 예약된 시간에 진료받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자체 발급되는 진료카드 외에 예약증을 항상 소지해야 하고 예약증에 명시된 예약시간에 해당 진료과를 방문한다 하더라도 예약증을 해당 진료과의 간호사에게 제출한 후 예약 순서 및 도착 순서에 따라 적지않은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부 대형병원에서는 다수의 환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진료실의 외벽면에 LED 전광판을 설치하고 전광판에 표시되는 대기자의 성명이나 대기번호를 통해서 순서대로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간호사는 예약 환자의 도착 상황을 체크하기 위해서 진료실 밖의 환자로부터 예약증을 회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일이 대기 환자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대기 환자는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의 지루함을 덜어내기 위하여 신문이나 잡지 또는 TV등을 보면서 진료실 외벽면의 전광판에 표시되는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게 되며, 전광판에 표시되는 대기 숫자 또는 자신의 이름을 확인하고 진료를 받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광판 표시 시스템은 대기 환자 순서를 표시하기 위한 LED 전광판 외에 진료실 외부 곳곳에 별도의 TV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이중의 시설비용 부담이 중복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환자 안내 시스템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예약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가 예약증 정보나 진료 카드 정보가 터치스크린등에 의해서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가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갱신되고 갱신된 데이터 정보가 프로그램상의 화면 분할 가능한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서 광고를 비롯한 영상정보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며, 단말기를 통한 시각적인 문자 정보 제공과 동시에 TTS 서버에 의한 음성을 이용한 대기 환자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예약 환자의 병원 내원시 진료 접수에서 호출 과정이 자동화되도록 하여 간호사를 비롯한 병원 인력의 업무 부담을 줄여 진료 효율성이 증가될 뿐 만 아니라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상에서 별도의 분할 화면을 통해 TV 방송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영상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대기시간의 무료함을 해소시킴과 아울러 영상과 음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이 제공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가 예약증 및 진료카드 내용을 입력되는 진료실 입구의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는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조합에 의해서 순차적인 대기환자 정보가 추출되도록 하는 서버엔진으로 이루어진 서버시스템과, 상기 서버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서버엔진으로부터 추출 전송된 대기 환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진찰용 PC와, 영상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내용의 출력 스케쥴을 조정하는 관리자 모니터로 이루어진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성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이 제공됨에 있다.
이때, 상기 서버시스템은 각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조합에 의해서 추출된 대기 환자 정보 및 분할된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영상 장치와 연결되고, 영상장치를 통해 텍스트화되어 출력되는 대기 환자 안내 정보가 음성으로 변환되어 병원내의 다수 스피커를 통해 영상장치의 문자 정보와 동시에 안내 멘트가 방송되도록 하는 TTS(Text Transfer Speech)서버가 더 포함된 구조이다.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는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하는 환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 즉, 당일의 진료 예약 환자가 도착하는 대로 입력되면서 작성되고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는 병원내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서버엔진에 의해서 조합 추출되어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진찰용 PC로 전송됨으로써 담당 전문의의 진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영상장치는 대기환자들에게 대기 순번과 영상 매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부적으로 분할 처리된 화면이 재생 가능한 영상재생 단말기로서 PDP나 LCD 및 브라운관 TV, 프로젝터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재생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은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의 예약증 및 진료카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110)과,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입력된 환자의 도착 정보와 진료 과목 정보가 저장되는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 정보와 실시간 조합되며 해당 환자의 진료 기록과 병적 기록 데이터가 저장되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와, 환자의 도착 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와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 정보를 조합하여 순차적인 대기환자 정보를 비롯한 병적기록을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추출되도록 하는 서버엔진(140)으로 구성된 서버시스템(100);
상기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으로 수신받은 대기환자 정보가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추가된 진료 기록의 갱신 입력이 이루어지는 진찰용 PC(210)와, 상기 서버시스템(100)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내용 제어와 스케줄이 조정되도록 하는 관리자 모니터(220)로 구성된 클라이언트 시스템(200);
상기 서버시스템(100)의 각 데이터베이스(120)(130)를 조합 정보에 의해 생성된 문자 정보가 청취 가능 주파수대의 웨이브(.wav) 파일로 변환되고 변환된 웨이브 파일에 의해서 영상장치(400)를 통한 문자 정보 제공과 동시에 스피커(310)를 이용한 음성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TTS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시스템(100)의 터치스크린(110)은 터치스크린의 전면을 통해 출력되는 키패드를 통해 예약증의 예약번호나 진료카드 정보를 입력하거나 별도의 카드리더기를 통해 진료카드 정보를 수신받게 되면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엔진(140)에 의해서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 정보와 조합되어 추출된 정보가 서버엔진(140)을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진찰용 PC(210)로 전송된다.
상기 진찰용 PC(210)는 별도의 OCS 프로그램을 통해 예약 환자의 도착 여부를 알려주게 되고 진찰용 PC(210)의 OCS 프로그램상에서 간호사가 환자 정보를 확인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120) 등록 순서에 따라 진료실 외부의 영상장치(400)를 통한 대기 안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시스템(100)은 터치스크린(110)에 의해 예약 환자의 최초 도착 여부를 입력받게 되고 실시간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 저장과 동시에 서버엔진(140)에 의해서 해당 환자에 대한 예약 여부가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상에 등록 처리하여 도착 여부의 플래그를 생성시키고 진료용 PC(210)를 이용한 간호사의 플래그 호출에 의해 도착 환자의 순차적인 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진찰용 PC(210)는 자동 접수된 대기환자의 진료 및 병적기록에 의해서 진료가 이루어지게 되면 의료진에 의한 환자의 진료 정보 입력에 따라 추가된 진료 기록이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되어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가 갱신 재작성된다.
한편, 진료실 외부에 설치되는 영상장치(400)는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으로부터 전송되는 환자 데이터의 조합 정보와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관리자 모니터(220)를 통한 제어 명령에 의해서 영상을 비롯한 환자의 대기 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상장치(400)는 다양하게 분할된 화면과 다양한 포맷의 영상 파일이 출력될 수 있는 영상재생 단말기로서 주로 PDP나 LCD등의 디지털 수신이 가능한 패널 형태 단말기가 사용되고 경우에 따라서 일반 브라운관 TV나 프로젝터등이 이용될 수 도 있다.
상기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을 통해 각 데이터베이스(120)(130) 조합 정보는 관리자 모니터(220)에 의해서 제어될 때, 상기 관리자 모니터(220)는 영상장치(400)의 분할 화면 모드를 설정하고 분할 모드의 일측 화면을 통해서 출력되는 영상이나 공지사항 및 대기환자 안내등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스케쥴링 데이터가 작성된다.
상기와 같이, 화면 분할 가능한 영상장치(400)를 이용하여 순차적인 대기 환자의 안내될 때 서버시스템(100)에 연결된 TTS(Text Transfer Speech)서버를 통해서 안내 내용이 음성으로 변환되어 스피커(310)를 통해 대기중인 환자에게 방송된다.
이때, 상기 TTS서버(300)는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진찰용 PC(210)를 통한 갱신 정보에 따라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으로부터 조합 추출된 다음 대기 환자의 텍스트 정보가 유선의 근거리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통해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음성 출력 가능한 웨이브(.wav) 파일로 변환되도록 하고 1초 이내의 시간에 스피커(310)를 통해 변환된 음성 정보가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 방법을 아래 도시된 도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자동 접수 과정의 실시 가능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은, 사전 진료 예약된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여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예약 기록을 입력(S100 단계)하게 되면, 터치스크린(110)상에서 접수된 예약 환자의 정보가 서버시스템(100)의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로 전송(S101 단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예약 정보와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 정보가 서버엔진(140)에 의해 조합 추출(S102 단계)되어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진찰용 PC(210)로 전송(S103 단계)된다.
이때, 상기 진찰용 PC(210)는 금일 진료 예약 환자의 진료 대기실 도착 현황 챠트와 각 환자의 과거 진료 기록 및 병적 기록 정보를 수신받게 되고 진료실 내에서 진료 예약 환자의 도착 여부를 확인하게 되면 진료실 PC(210)를 통한 확인 정보에 의해서 각 환자의 대기 순번 데이터가 다시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이 수신(S104 단계)받게 된다.
상기 서버엔진(140)은 진찰용 PC(2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의해서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를 갱신하고 재작성된 환자 정보와 대기 순번을 진료실 외부의 영상장치(400)를 통해서 출력(S105 단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료 예약 환자의 자동 접수와 대기 순번 출력 과정에서 환자의 진료 대기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한 대기 안내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기상에서의 실시 가능한 대기환자 안내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진찰용 PC(210)에서 확인된 당일 대기자 정보가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에 수신(S200 단계)되면 상기 서버엔진(140)은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관리자 모니터(220)로 전송(S201 단계)한다.
이때, 상기 관리자 모니터(220)는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금일의 진료 과코드, 진료 의사코드, 진료실 코드, 진료시간 코드별로 스케쥴링된 정보와 시간별 영상출력 데이터 및 서버엔진(140)으로부터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조합(S202 단계)하여 기입력된 공지사항 데이터와 함께 영상장치(400)로 전송(S203 단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영상장치(400)를 통한 영상 정보 제공과 대기 순번에 따른 대기자 정보 제공시 웨이브(.wav) 파일 형태의 음성정보가 동시 출력(S204 단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영상장치(400)를 통한 대기자 정보의 문자 정보 제공시 음성 출력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의 음성정보 출력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서버시스템(100)의 각 데이터베이스(120)(130)를 통해 조합 추출된 대기자의 텍스트 정보가 서버시스템(100)에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TTS 서버(300)로 전송(S300 단계)되고 전송된 텍스트 정보는 다시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관리자 모니터(220)를 통해 영상장치(400)에서 출력 가능한 텍스트 정보가 비교 검토(S301 단계)된다.
이때, 상기 관리자 모니터(220) 출력 데이터와 일치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텍스트 정보는 TTS 서버(300)상에서 웨이브(.wav) 파일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S302 단계)되어 진료실 외부에 설치된 스피커(310)를 통해 대기자 정보의 음성 안내(S303 단계)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은, 예약 진료를 받기 위한 환자의 예약 정보가 터치스크린등에 의해서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가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갱신되고 갱신된 데이터 정보가 프로그램상에서 분할된 화면으로 단말기를 통해서 영상정보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단말기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가 TTS 서버에서 변환되어 음성을 이용한 대기 환자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예약 환자의 병원 내원시 진료 접수에서 대기환자 호출까지의 과정이 자동화되도록 하고 간호사를 비롯한 병원 인력의 업무 부담을 줄여 진료 효율성이 증가될 뿐 만 아니라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상에서 별도의 분할 화면을 통해 TV 방송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영상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대기시간의 무료함을 해소시킴과 아울러 영상과 음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대기환자 안내가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은, 서버시스템과 TTS 서버에 연결된 영상장치를 통해 음성을 비롯한 문자 정보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장치가 다양한 종류의 영상 파일 재생이 지원 가능함으로써 직원과 환자의 의료교육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화면 분할된 영상 출력 부분을 통해서 광고 내용을 방송할 수 있음으로 하여 광고 수입을 통한 시스템 설치,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자동 접수 과정의 실시 가능한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기상에서의 실시 가능한 대기환자 안내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의 음성정보 출력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서버시스템 110. 터치스크린
120. 대기환자 DB 130. 환자정보 DB
140. 서버엔진 200. 클라이언트 시스템
210. 진찰용 PC 220. 관리자 모니터
300. TTS 서버 400. 영상장치

Claims (7)

  1. 진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의 예약증 및 진료카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110)과,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입력된 환자의 도착 정보와 진료 과목 정보가 저장되는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 정보와 실시간 조합되며 해당 환자의 진료 기록과 병적 기록 데이터가 저장되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와, 환자의 도착 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120)와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 정보를 조합하여 순차적인 대기환자 정보를 비롯한 병적기록을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추출되도록 하는 서버엔진(140)으로 구성된 서버시스템(100);
    상기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으로 수신받은 대기환자 정보가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추가된 진료 기록의 갱신 입력이 이루어지는 진찰용 PC(210)와, 상기 서버시스템(100)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내용 제어와 스케줄이 조정되도록 하는 관리자 모니터(220)로 구성된 클라이언트 시스템(200);
    상기 서버시스템(100)의 각 데이터베이스(120)(130)를 조합 정보에 의해 생성된 문자 정보가 청취 가능 주파수대의 웨이브(.wav) 파일로 변환되고 변환된 웨이브 파일에 의해서 영상장치(400)를 통한 문자 정보 제공과 동시에 스피커(310)를 이용한 음성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TTS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찰용 PC(210)는 자동 접수된 대기환자의 진료 및 병적기록에 의해서 진료가 이루어지게 되면 의료진에 의한 환자의 진료 정보 입력에 따라 추가된 진료 기록이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되어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30)가 갱신 재작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니터(220)는 영상장치(400)의 분할 화면 모드를 설정하고 분할 모드의 일측 화면을 통해서 출력되는 영상이나 공지사항 및 대기환자 안내등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스케쥴링 데이터가 작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TS서버(300)는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진찰용 PC(210)를 통한 갱신 정보에 따라 서버시스템(100)의 서버엔진(140)으로부터 조합 추출된 대기 환자의 텍스트 정보가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음성 출력 가능한 웨이브(.wav) 파일로 변환되어 실시간으로 스피커(310)를 통해 변환된 음성 정보가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5. 사전 진료 예약된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해 예약 기록을 입력(S100)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상에서 접수된 예약 환자의 정보가 서버시스템의 대기환자 데이터베이스로 전송(S101)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약 정보와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서버엔진에 의해 조합 추출(S102)되어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진찰용 PC로 전송(S103)되는 단계와,
    상기 진찰용 PC는 금일 진료 예약 환자의 진료 대기실 도착 현황 챠트와 각 환자의 과거 진료 기록 및 병적 기록 정보를 수신받게 되고 진료실 내에서 진료 예약 환자의 도착 여부를 확인하게 되면 진료실 PC를 통한 확인 정보에 의해서 각 환자의 대기 순번 데이터가 다시 서버시스템의 서버엔진이 수신(S104)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엔진이 진찰용 PC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의해서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재작성된 환자 정보와 대기 순번을 진료실 외부의 영상장치를 통해서 출력(S105)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찰용 PC에서 확인된 당일 대기자 정보가 서버시스템의 서버엔진에 수신(S200)되면 상기 서버엔진은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관리자 모니터로 전송(S201)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니터가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금일의 진료 과코드, 진료 의사코드, 진료실 코드, 진료시간 코드별로 스케쥴링된 정보와 시간별 영상출력 데이터 및 서버엔진으로부터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조합(S202)하여 기입력된 공지사항 데이터와 함께 영상장치로 전송(S203)하는 단계,
    상기 영상장치를 통한 영상 정보 제공과 대기 순번에 따른 대기자 정보 제공시 웨이브(.wav) 파일 형태의 음성정보가 동시 출력(S204)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버시스템의 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합 추출된 대기자의 텍스트 정보가 서버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TTS 서버로 전송(S300)되고 전송된 텍스트 정보는 다시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관리자 모니터를 통해 영상장치에서 출력 가능한 텍스트 정보가 비교 검토(S301)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니터 출력 데이터와 일치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텍스트 정보는 TTS 서버상에서 웨이브(.wav) 파일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S302)되어 진료실 외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대기자 정보의 음성 안내(S303)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KR1020030100372A 2003-12-30 2003-12-30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70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372A KR20050070620A (ko) 2003-12-30 2003-12-30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372A KR20050070620A (ko) 2003-12-30 2003-12-30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620A true KR20050070620A (ko) 2005-07-07

Family

ID=3726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372A KR20050070620A (ko) 2003-12-30 2003-12-30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062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64B1 (ko) * 2005-08-08 2007-03-20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WO2012026738A2 (ko) * 2010-08-23 2012-03-01 (주)중외정보기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7393B1 (ko) * 2010-02-05 2013-03-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예약 관리 시스템, 환자예약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20150134555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유비케어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6-12-21 고현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403A (ko) * 1992-02-12 1993-09-21 윤건식 무인 진료 예약 시스템
KR19990075367A (ko) * 1998-03-19 1999-10-15 민병호 프로젝터를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KR20020039291A (ko) * 2002-04-18 2002-05-25 박영석 디스플레이 광고 시스템
KR20030062011A (ko) * 2002-01-15 2003-07-23 지에스지 주식회사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0993A (ko) * 2003-02-05 2004-08-11 (주)미디어에스아이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403A (ko) * 1992-02-12 1993-09-21 윤건식 무인 진료 예약 시스템
KR19990075367A (ko) * 1998-03-19 1999-10-15 민병호 프로젝터를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KR20030062011A (ko) * 2002-01-15 2003-07-23 지에스지 주식회사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9291A (ko) * 2002-04-18 2002-05-25 박영석 디스플레이 광고 시스템
KR20040070993A (ko) * 2003-02-05 2004-08-11 (주)미디어에스아이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64B1 (ko) * 2005-08-08 2007-03-20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101247393B1 (ko) * 2010-02-05 2013-03-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예약 관리 시스템, 환자예약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WO2012026738A2 (ko) * 2010-08-23 2012-03-01 (주)중외정보기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26738A3 (ko) * 2010-08-23 2012-06-21 (주)중외정보기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4555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유비케어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6-12-21 고현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ng et al. Patient 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e of virtual care
US7904312B2 (en) Patien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60253281A1 (en) Healthcare communications and documentation system
US10943694B2 (en) Automated incident response method and system
Riddick Improving access for limited English-speaking consumers: a review of strategies in health care settings
CN104750997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的诊疗随访业务实现方法
US7664657B1 (en) Healthcare communications and documentation system
WO2010036858A1 (en) Clinical information system
Willig et al. Closing the feedback loop: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to provide follow-up and feedback in primary care settings
KR101033619B1 (ko)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0620A (ko)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Taira et al. A mixed methods evaluation of intervention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California Senate Bill 1152 in the emergency departments of a public hospital system
US6792091B2 (en) Network-based intercom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 hardware based dedicated intercom system
Simacek et al. Supporting aid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via telepractice: A tutorial
KR20050100929A (ko) 의료기관에서 대기중인 진료대기자 호출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광고방법
WO2022173741A1 (en) Medical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JP2002092173A (ja) 在宅介護支援システム
JPH09282380A (ja) 診察予約システム
KR20160037284A (ko) 개인별 맞춤형 기반의 태교적 및 산부인과적 교육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Law The technology in your cell phone wasn't invented for you
US20090037218A1 (en) Method of operating a healthcare facility
JP7282407B2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システム
Jones Electronic House Calls: 21st Century Options
JP2005031822A (ja) 自治体向け外国人相談窓口支援システム
Fele Responses and Dispatch on the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