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011A -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011A
KR20030062011A KR1020020002372A KR20020002372A KR20030062011A KR 20030062011 A KR20030062011 A KR 20030062011A KR 1020020002372 A KR1020020002372 A KR 1020020002372A KR 20020002372 A KR20020002372 A KR 20020002372A KR 20030062011 A KR20030062011 A KR 2003006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control server
information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111B1 (ko
Inventor
박금용
Original Assignee
지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1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내의 어느 곳에서든지 환자 또는 의사가 환자의 도착/대기/진료상황/예약상황 등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각 환자별로 분류하여 저장/관리하며, 정보요구에 따라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예약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제어 서버; 및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에게 제공하며, 상기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대기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에게 요구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도착/대기/진료상황/예약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실시간적으로 병원내의 어느 곳에서나 확인가능하여 진료의 원활한 운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of Managing Patient in a Dental Clinic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도착/대기/진료상황/예약상황 등을 자동적으로 관리하여 환자 또는 의사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아플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치과 의원 또는 진료과목으로 치과가 존재하는 종합 병원을 방문하게 된다.
이때, 전화상으로 미리 진료 예약을 한 후에 방문하는 경우도 있고, 방문한 후에 진료 접수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진료 예약후의 방문 또는 방문후의 진료 접수이든지 간에 모든 환자는 자신의 진료차례가 될 때까지 무작정 대기해야 된다. 대기하는 것이 지루한 일부 환자의 경우는 접수창구의 간호사에게 자신의 차례에 대해서 문의해 보는 것이 고작이다.
그리고, 진료하는 의사도 역시 앞으로 자신이 진료해야 할 환자가 얼마나 대기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간호사에게 물어보아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병원내의 어느 곳에서든지 환자 또는 의사가 환자의 도착/대기/진료상황/예약상황 등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내의 어느 곳에서든지 환자 또는 의사가 환자의 도착/대기/진료상황/예약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신규환자 추가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도 2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차트 이미지 촬영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4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수실, 특진실, 진료실, 상담실, 원장실, 대기실의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환자 유동 화면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환경 설정시의 화면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예약관리시의 화면예,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케쥴표를 활용한 신규 예약자 추가동작을 설명하는 화면예,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케쥴표의 예약자에 대한 세부내역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경우의 화면예,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스케쥴표의 예약세부사항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전화망12 : PSTN망
14 : 인터넷16 : 제어 서버
18∼30 : 정보입력/확인 수단(컴퓨터)
32 :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4 :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은, 입력되는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각 환자별로 분류하여 저장/관리하며, 정보요구에 따라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예약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제어 서버; 및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에게 제공하며, 상기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진료상황, 대기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에게 요구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으로부터의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각 환자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1과정; 및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요구에 따라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예약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제 2과정을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환자관리 시스템은 이동 전화망(10)과 PSTN망(12) 및 인터넷(14) 등과 같은 각종 네트워크를 통해 병원 외부에서 입력되는 각종 예약 및 접수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고, 병원내에서 근거리 네트워크(100; LAN)를 통해 입력되는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각 환자별로 분류하여 저장/관리하며, 환자 또는 의사로부터의 정보요구에 따라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예약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제어 서버(16); 상기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16)에게 제공하며, 상기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대기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16)에게 요구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18, 20, 22, 24, 26, 28, 30; 컴퓨터(PC)); 그 정보입력/확인 수단(18, 20, 22, 24, 26, 28, 30)중에서 화상 카메라가 설치된 정보입력/확인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환자의 이미지 신호를 상기 제어 서버(1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2); 및 상기 제어 서버(16)로부터 제공되는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 정보 및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그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2)로부터 제공되는 각 환자의 이미지를 해당 환자의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는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18, 20, 22, 24, 26, 28, 30)은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방식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컴퓨터로서, 대기실, 원장실, 접수실, 진료실, 특진실에 설치되는 모든 컴퓨터에 화상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수실 또는 대기실에 설치되는 컴퓨터(18,30)에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화상 카메라가 설치되고 기타 컴퓨터에는 필요에 따라 구강 카메라 및 화상 카메라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 서버(16)는 상기 데이터화된 각 환자의 이미지를 시계열적으로 배열시킨 환자 유동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18, 20, 22, 24, 26, 28, 30)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상기 제어 서버(16)는 상기 환자 유동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에, 소정 주기별로 예약된 환자의 총수, 미도착자, 치료전의 대기자, 진료중인 환자, 진료가 종료되고 아직 병원내에 있는 자, 진료비 수납 및 다음 예약일 수속을 완료하고 귀가한 자들의 상황에 대하여 각기 차등적인 컬러를 부여하여 제공한다.
한편, 접수실과 상담실, 대기실, 원장실 및 로비에 설치되는 컴퓨터(18, 26, 28, 30)는 환자 유동 화면만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소정의 이미지가 터치됨으로 인해 그 터치신호를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16)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 서버(16)에 의해 카운트되어 제공되는 해당 터치된 이미지에 대한 도착시간 및 대기시간의 정보가 상기 환자 유동 화면상의 해당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제어 서버(16)는 상기 환자 유동 화면상에서 터치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그 외의 다른 이미지와는 차등적인 컬러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서버(16)는 상기 접수실과 상담실, 대기실, 원장실 및 로비에 설치되는 컴퓨터(18, 26, 28, 30)상의 환자 유동 화면상에서 임의의 이미지가 터치되면 그 터치된 이미지에 대한 도착시간 및 대기시간의 정보를 상기 접수실과 상담실, 대기실, 원장실 및 로비에 설치된 컴퓨터(18, 26, 28, 30)와 연동되는 다른 위치의 컴퓨터(20, 22, 24)에게도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 서버(16)는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18, 20, 22, 24, 26, 28, 30)으로부터의 스케쥴표 확인 요청이 있으면 일자별로 소정 형태로 작성된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를 해당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 실시간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는 해당 일자의 총 예약인원수 및 시간별/진료의자별 예약환자명 기입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서버(16)는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에서 어느 한 예약환자명이 선택되면 해당 예약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해당 정보입력/확인 수단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 서버(16)는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에 기록된 내용을 시간대별 및 담당의사별로 정리한 예약세부사항에 대한 화면을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18, 20, 22, 24, 26, 28, 30)에게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서버(16)는 이동 전화망(10)을 통하여 접수 또는 예약고객의 휴대폰으로 접수 및 예약현황에 대한 통지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를 취하여 해주기도 한다. 물론, PSTN망(12) 및 인터넷(14)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신규환자 추가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의 설명에서, 신규환자 추가 등록을 수행하는 운용 프로그램은 해당 컴퓨터(20, 22, 24)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그 신규환자 추가 등록에 따른 동작이 완료되면 그 완료된 최종적인 정보가 제어 서버(16)에게로 전송되는 것으로 한다.
진료실 또는 특진실에 설치된 컴퓨터(20, 22, 24)를 조작하는 조작자(즉, 의사)가 메인 화면에서 "신규환자 추가"사항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컴퓨터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신규등록 리스트를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S10, S12).
그후, 조작자가 필요한 각종 환자 정보(예를 들어, 차트번호, 환자의 주민등록번호, 핸드폰 번호, 환자의 생년월일, 담당의사명, 면담내용 등)를 입력하고 나서(단계 S14) 저장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단계 S16에서 "Yes") 그 입력된 환자 정보를 해당 컴퓨터에 저장한 후에 제어 서버(16)에게로 그 저장시킨 환자 정보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그 제어 서버(16)는 입력된 환자 정보를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시킨다(단계 S18).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차트 이미지 촬영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의 설명에서, 차트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는 운용 프로그램은 화상 카메라가 설치된 컴퓨터(즉, 20, 22, 24)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그 차트 이미지 촬영에 따른 동작이 완료되면 그 완료된 최종적인 이미지 정보가 제어 서버(16)에게로 전송되는 것으로 한다.
진료실 또는 특진실에 설치된 컴퓨터(20, 22, 24)를 조작하는 조작자(즉, 의사 또는 간호사)가 메인 화면에서 "차트사진 찍기"사항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컴퓨터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환자 리스트를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S30, S32).
그 후, 그 디스플레이된 환자 리스트중에서 촬영할 환자를 선택하게 되면(단계 S34에서 "Yes") 해당 컴퓨터는 도 5에서와 같은 화면 캡쳐창을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S36).
그리고, 화면 캡쳐창이 보이면 화상 카메라에 환자를 맞추고 스냅버튼을 클릭하게 된다. 그 스냅버튼이 클릭되면(단계 S38에서 "Yes") 해당 컴퓨터는 이미지 생성 여부를 문의하는 소정의 창을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생성 OK버튼이 클릭되면(단계 S40에서 "Yes") 해당 컴퓨터는 그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제어 서버(16)에게로 전송하고, 그 제어 서버(16)는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2)에게로 제공하여 데이터로 생성시킨 후에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4)내의 해당 환자 정보에 함께 저장시킨다(단계 S42).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수실, 특진실, 진료실, 상담실, 원장실, 대기실의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환자 유동 화면예로서, 환자의 도착상황/대기상황/진료상황/예약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시계열적으로 환자의 이미지가 배열된다.
즉, 도 6의 환자 유동 화면에 따르면, 근거리 네트워크(100)로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18, 20, 22, 24, 26, 28. 30)끼리 자동 반응함으로써 진료실에서도 환자의 도착여부 및 대기상황 등을 한눈에 파악하여 진료흐름을 원활하게 해줌과 동시에 대기 환자 역시 진료실의 치료상황 및 대기 순번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그 환자 유동 화면에 있어서, 당일 예약된 환자의 총수에 대해서는 흰색으로 표시되고, 미도착자에 대해서는 흐린 회색으로 표시되며, 치료전인 대기자에 대해서는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진료중인 환자에 대해서는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진료가 종료되고 아직 병원내에 있는 자에 대해서는 푸른색으로 표시되며, 진료비 수납 및 다음 예약일 등에 대한 수속을 마치고 댁으로 돌아간 자에게는 진한 회색으로 표시된다. 물론, 각각의 경우의 컬러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는 변경가능하다.
한편, 접수실, 특진실, 진료실, 상담실, 원장실, 대기실의 컴퓨터(18, 20, 22, 24, 26, 28, 30)에는 상기 환자 유동 화면을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클릭 방식으로 실행시켜 둔다. 그에 따라, 환자가 자신의 이미지에 터치함으로 인해 모든 도착시간 및 대기시간이 카운트되며 대기를 알리는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는 연동된 다른 컴퓨터에도 동시에 적용되므로 진료실에서는 진료중이라도 대기자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환경 설정시의 화면예로서,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시스템 환경 설정예이다.
즉, 도 7에서 예약시간 표시여부는 이미지 하단에 예약시간에 대한 표시여부를 정하기 위한 것이고, 대기시간 표시여부는 대기자로 넘어가면 이미지 상단에 카운트가 돌아가기 시작하는데 카운트를 보여줄 지에 대한 것이며, 리프레쉬 타임은 데이터 갱신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동 흐름(auto flow)은 터치시 다음 작업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할 지에 대한 여부를 정하는 것이고, 사용구분에서 내부용은 진료실이나 상담실 등의 내부 컴퓨터에서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구분에서 환자용은 환자가 이용시 설정해 놓는 것이다. 그리고, 깜빡임 설정은 이를 설정하게 되면 어느 상황이 되면 그 상황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깜빡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예약관리시의 화면예로서, 장기 치료를 요하는 교정환자의 경우에 이용되는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이다.
도 8의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는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18, 20, 22, 24, 26, 28, 30)으로부터의 스케쥴표 확인 요청이 있으면 제공되는 것으로, 제어 서버(16)에서 관리하고 있는 예약 정보에 근거하여 작성된 것이다.
즉, 상기 제어 서버(16)는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시켜 둔 해당 일자의 예약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일자의 총 예약인원수 및 시간별/진료의자별 예약환자명을 기입할 수 있는 기입공간 등을 만들어 제공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케쥴표를 활용한 신규 예약자 추가동작을 설명하는 화면예로서, 신규예약자를 추가하고자 할 때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에 시간에 맞는 해당 블록을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도 9의 화면에서, 지정(appointment)은 신규환자인지 기존의 치료환자인지를 체크하여 준다. 예를 들어 신규환자 체크시 스케쥴표에 스마일 마크가 표시된다. 도 9의 화면에서 예약자명에 이름을 넣고 엔터를 치고, 치료치아가 특정적이면 치아번호란을 더블 클릭하여 해당 치아를 선택하여 준다. 그리고, 예약내용을 간단히 기록하고, 유니트(unit)를 정하여 준다(환경설정에서 나눔수치가 1유니트에 해당함). 배경색 지정은 예약관리창에 나타날 색을 선택하여 주고,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스케쥴러에 기록이 된다. 이와 같은 스케쥴링 동작은 제어 서버(16)에서 총괄 제어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케쥴표의 예약자에 대한 세부내역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경우의 화면예로서,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에서 어느 한 예약환자명이 선택되면 해당 예약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가 해당 정보입력/확인 수단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의 화면 하단에 표시된 SMS버튼은 해당 휴대폰 번호로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전화걸기 버튼은 모뎀을 통하여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확인(confirm) 버튼은 전화나 문자로 통화했는지의 여부를 갈매기 형태로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차트열기 버튼은 해당 환자의 진료차트 창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삭제버튼은 스케쥴러에서 지우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스케쥴표의 예약세부사항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예로서, 스케쥴러에서 기록된 내용을 입체적(즉, 시간대별/담당의사별)으로 보여주며, 환자 유동 화면과 연동되므로 제어 서버(16)에서는 각 환자에 대한 진료상황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과 병원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치과 병원에서의 진료사항을 다른 진료사항(예컨대, 비뇨기과, 피부과, 내과, 외과 등)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도착/대기/진료상황/예약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실시간적으로 병원내의 어느 곳에서나 확인가능하므로 진료의 원활한 운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병원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대기자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자신의 대기 순번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진료대기에 따른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내지 않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5)

  1. 입력되는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각 환자별로 분류하여 저장/관리하며, 정보요구에 따라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예약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제어 서버; 및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에게 제공하며, 상기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대기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에게 요구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은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방식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컴퓨터이고, 대기실, 원장실, 접수실, 진료실, 특진실중에서 진료실 및 특진실에 설치되는 컴퓨터에만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화상 카메라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화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입력되는 환자의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환자의 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데이터화된 각 환자의 이미지를 시계열적으로 배열시킨 환자 유동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소정 주기별로 예약된 환자의 총수, 미도착자, 치료전의 대기자, 진료중인 환자, 진료가 종료되고 아직 병원내에 있는 자, 진료비 수납 및 다음 예약일 수속을 완료하고 귀가한 자들의 상황에 대하여 각기 차등적인 컬러를 부여한 상기 환자 유동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실 및 특진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는 컴퓨터는 화상 카메라없이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환자 유동 화면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실 및 특진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는 컴퓨터는, 소정의 이미지가 터치됨으로 인해 그 터치신호를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 서버에 의해 카운트되어 제공되는 해당 터치된 이미지에 대한 도착시간 및 대기시간의 정보가 상기 환자 유동 화면상의 해당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환자 유동 화면상에서 터치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그 외의 다른 이미지와는 차등적인 컬러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특진실 및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는 컴퓨터상의 환자 유동 화면상에서 임의의 이미지가 터치되면 그 터치된 이미지에 대한 도착시간 및 대기시간의 정보를 상기 특진실 및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는 컴퓨터와 연동된 다른 장소의 컴퓨터에게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은, 내부용 및 외부용에 따라 입력 및 확인가능한 정보의 항목수가 상호 차등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으로부터의 스케쥴표 확인 요청이 있으면 일자별로 소정 형태로 작성된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를 해당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 실시간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는 해당 일자의 총 예약인원수 및 시간별/진료의자별 예약환자명 기입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에서 어느 한 예약환자명이 선택되면 해당 예약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해당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에 기록된 내용을 시간대별 및 담당의사별로 정리한 예약세부사항에 대한 화면을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14.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으로부터의 각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각 환자별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1과정; 및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요구에 따라 환자의 도착상황, 대기상황, 진료상황, 예약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제 2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화상 카메라가 설치된 정보입력/확인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촬영된 환자의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환자의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카메라가 설치된 정보입력/확인 수단을,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방식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컴퓨터를 사용하고, 대기실, 원장실, 접수실, 진료실, 특진실중에서 진료실 및 특진실에 설치되는 컴퓨터에만 화상 카메라를 설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각 환자의 이미지를 시계열적으로 배열시킨 환자 유동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은, 소정 주기별로 예약된 환자의 총수, 미도착자, 치료전의 대기자, 진료중인 환자, 진료가 종료되고 아직 병원내에 있는 자, 진료비 수납 및 다음 예약일 수속을 완료하고 귀가한 자들의 상황에 대하여 각기 차등적인 컬러를 부여한 상기 환자 유동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진실 및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은 화상 카메라가 미부착되고 상기 환자 유동 화면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진실 및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상의 환자 유동 화면상에서 소정의 이미지가 터치되면 그 터치된 이미지에 대한 도착시간 및 대기시간의 정보가 카운트되어 상기 환자 유동 화면상의 해당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유동 화면상에서 터치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그 외의 다른 이미지와는 차등적인 컬러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특진실 및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는 정보입력/확인 수단상의 환자 유동 화면상에서 임의의 이미지가 터치되면 그 터치된 이미지에 대한 도착시간 및 대기시간의 정보를 상기 특진실 및 진료실 이외의 장소에 설치된 정보입력/확인수단과 연동된 다른 위치의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23. 제 14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확인 수단으로부터의 스케쥴표 확인 요청이 있으면 일자별로 소정 형태로 작성된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를 해당 정보입력/확인 수단에게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는 해당 일자의 총 예약인원수 및 시간별/진료의자별 예약환자명 기입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환자 관리 스케쥴표에서 어느 한 예약환자명이 선택되면 해당 예약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해당 정보입력/확인 수단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방법.
KR10-2002-0002372A 2002-01-15 2002-01-15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372A KR100452111B1 (ko) 2002-01-15 2002-01-15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372A KR100452111B1 (ko) 2002-01-15 2002-01-15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11A true KR20030062011A (ko) 2003-07-23
KR100452111B1 KR100452111B1 (ko) 2004-10-12

Family

ID=3221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372A KR100452111B1 (ko) 2002-01-15 2002-01-15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1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20A (ko) * 2003-12-30 2005-07-07 이승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WO2014030979A1 (en) * 2012-08-24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ssuing reservation numb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O2017183878A1 (ko) * 2016-04-18 2017-10-26 노형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4092979A1 (zh) * 2022-11-04 2024-05-10 上海维小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健康跟踪管理与实时诊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451A (ja) * 1994-11-30 1996-06-21 Canon Inc 情報通信装置及び映像通信システム
JPH1097582A (ja) * 1996-06-06 1998-04-14 Toshiba Corp 医療情報システム
KR100259548B1 (ko) * 1997-10-11 2000-06-15 황석 디지털다중화상감시시스템
JPH11213066A (ja) * 1998-01-23 1999-08-06 Hitachi Ltd 病院情報システム
KR19990075367A (ko) * 1998-03-19 1999-10-15 민병호 프로젝터를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KR100376252B1 (ko) * 2000-03-02 2003-03-15 주식회사 알파인터넷 원격 모니터링 및 리마인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5890A (ko) * 2000-07-10 2002-01-18 박인출 병원진료 관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20A (ko) * 2003-12-30 2005-07-07 이승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WO2014030979A1 (en) * 2012-08-24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ssuing reservation numb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O2017183878A1 (ko) * 2016-04-18 2017-10-26 노형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09155156A (zh) * 2016-04-18 2019-01-04 鲁亨泰 用于提供医疗服务的方法、系统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WO2024092979A1 (zh) * 2022-11-04 2024-05-10 上海维小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健康跟踪管理与实时诊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111B1 (ko) 2004-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2272B1 (en) Workstation with bedside portal
US80415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efficiencies to deliver health care in an ambulatory health care setting
CA2615128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edical records
US20060053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al-time status for managing encounters in health care settings
US7612679B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lerts from a multi-patient display
US9058635B1 (en) Medical patient data collaboration system
US20070083403A1 (en) Referral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1306793A2 (en) Remote health-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40220830A1 (en) Physician information system and software with automated data capture feature
US201101545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records
US20140249850A1 (en) Critical condition module
US20140129255A1 (en) Medical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mmunication
JP4946277B2 (ja) 回答依頼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84476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chnical support sessions
US20070143143A1 (en) Patient Discharge Data Processing System
JP2015507282A (ja) 遠隔医療及び健康監視デバイス機能による個人健康記録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4504404A (ja) 健康管理のための健康管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グラフィック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20070011029A1 (en) Access to inpatient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 and proxies
JP2006338523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US200502514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ltation on dermatological disorders
WO2001054011A1 (fr) Procede electronique de conseil sur la sante
JP2005353088A (ja) 電子健康相談方法、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JP2006338522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452111B1 (ko)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133270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支援装置及び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