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418A -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418A
KR20160146418A KR1020150083679A KR20150083679A KR20160146418A KR 20160146418 A KR20160146418 A KR 20160146418A KR 1020150083679 A KR1020150083679 A KR 1020150083679A KR 20150083679 A KR20150083679 A KR 20150083679A KR 20160146418 A KR20160146418 A KR 2016014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biometric
medical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규
Original Assignee
고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규 filed Critical 고현규
Priority to KR102015008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418A/ko
Publication of KR2016014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G06F19/322
    • G06K9/00006
    • G06K9/00127
    • G06K9/0059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 내원 환자의 지문, 홍채 및 혈관 등의 개인별 고유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보화 인증 방식으로 타인에 의한 개인 정보 도용 및 복제를 방지하고 환자에 대한 사후 추적도 가능한 고신뢰성 내원 환자 관리 시스템 구현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은 환자의 지문 형상의 고유 패턴 데이터를 획득하는 지문 패턴 분석 모듈; 환자의 고유 생체 패턴 데이터를 획득하는 혈관 패턴 분석 모듈; 환자의 홍채의 고유 패턴 데이터를 획득하는 홍채 패턴 분석 모듈; 내원 환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진료 담당 의사의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하는 진료 정보 연계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을 이용한 진료 접수 및 활용 방법은 내원 환자가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에 등록할 신체 인식 부위를 선정하는 단계; 생체 정보 패턴 분석 모듈에 신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의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와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여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를 일원화하는 단계; 일원화된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에 보안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로 실시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Biometric Recognition Technology for Hospital Patients}
본 발명은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 내원 환자의 지문, 홍채 및 혈관 등의 개인별 고유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보화 인증 방식으로 타인에 의한 개인 정보 도용 및 복제를 방지하고 환자에 대한 사후 추적도 가능한 고신뢰성 내원 환자 관리 시스템 구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생체 인식 기술은 각 개인마다 상이한 지문, 홍채 및 혈관 등의 고유 생체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화시키는 인증 방식으로 타인의 도용이나 복제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변경되거나 분실할 위험성이 없어서 보안 유지 측면의 실효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생체 인식 기술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생체 정보에는 도 1과 같이 지문(110), 정맥(120) 및 홍채(130) 등이 있다. 지문 인식의 경우 가장 대중적인 생체 인식 방법 중 하나로, 피부의 표피 하부 층인 진피에서 만들어진 지문의 고유 형상에 대한 패턴(111)을 이용하는 것이며 진피 부분이 손상되지 않는다면 평생 동안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개인별 고유 인식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 생활 특성에 기인한 지문 손상이 발생하거나 지문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인식률이 급격히 저하되고 인식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정맥 인식은 개인의 손등이나 손목 혈관의 고유 형상에 대한 패턴(121)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적외선을 혈관에 투사한 후 잔영을 이용하여 신분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여 높은 보안성을 갖는 특성이 있다. 정맥 인식 기술은 1999년 국방부의 전산소 출입 통제 시스템에 도입된 바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손등 정맥 패턴이 복잡하고 손의 위치에 따른 오인식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손가락 정맥을 인식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손가락 정맥 패턴은 손등 정맥에 비하여 패턴이 단순하고 혈관 크기가 작아서 보다 높은 인식 효율을 갖는 특성이 있다.
홍채 인식은 개인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패턴(131)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의 정확성, 안정성, 사용 편리성 및 처리 속도 측면에서 지문 또는 망막 인식에 비하여 가장 진일보한 보안 시스템으로 평가 받고 있다. 홍채는 생후 1~2년 내에 고유한 패턴이 형성되어 평생 동안 변하지 않으며, 홍채의 주름을 주파수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빠른 시간 내에 신분 판별이 가능하다. 또한 살아있는 사람의 홍채는 미세한 떨림이 있기 때문에 도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지문 및 정맥 인식 방법과 같이 인식용 단말기에 사람의 신체를 접촉해야만 패턴 인식이 수행되는 것과 다르게, 홍채 인식 방법은 8~25cm 떨어진 상태에서 사람이 자동 초점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를 응시하면 인식용 단말기가 홍채 패턴을 분석하는 비접촉 방식이기 때문에 신체 접촉에 기인한 사용자의 심리적 거부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
다수의 환자를 응대해야 하는 중대형 병원과 같은 환자 진료 기관에서 내원 환자의 진료 접수를 위한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병원을 내원한 환자가 접수처에서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을 구두 또는 서면 상의 기입 과정으로 개인 정보를 전달해야 하므로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개인 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고, 접수처에서 수작업 방식으로 초기 응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수 과정에 불필요한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된다. 재방문 내원 환자의 경우에도 전술한 과정이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내원 환자에게 심리적인 불편감과 이질감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을 이용한다면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 스스로가 생체 인식 모듈에 손 또는 눈을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자동으로 진료를 접수할 수 있어서 환자가 접수처의 병원 직원에게 구두 또는 서면 상으로 접수 내용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 이는 보안 상의 높은 효용성을 갖게 되며 불필요한 인력 낭비와 시간 소요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화된 접수 시스템으로 내원 환자에게 심리적으로 신뢰성을 줄 수 있고 병원 측에서도 환자 관리가 자동화되어 업무의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을 개시하려는 유사 선행 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KR-10-2005-0070620A; KR-10-2005-0078483A; KR-10-2007-0017588A; KR-10-2010-0095780A; KR-10-0697564B1 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내원 환자의 지문, 홍채 및 혈관 등의 개인별 고유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보화 인증 방식 기반의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이 제공되지 못하였다.
KR-10-2005-0070620A KR-10-2005-0078483A KR-10-2007-0017588A KR-10-2010-0095780A KR-10-0697564B1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배경으로부터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 내원 환자의 지문, 홍채 및 혈관 등의 개인별 고유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보화 인증 방식으로 타인에 의한 개인 정보 도용 및 복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자동화된 접수 시스템으로 병원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환자에 대한 사후 추적도 가능한 고신뢰성 내원 환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은 환자의 지문 형상의 고유 패턴 데이터를 획득하는 지문 패턴 분석 모듈; 환자의 고유 생체 패턴 데이터를 획득하는 혈관 패턴 분석 모듈; 환자의 홍채의 고유 패턴 데이터를 획득하는 홍채 패턴 분석 모듈; 내원 환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진료 담당 의사의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하는 진료 정보 연계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을 이용한 진료 접수 및 활용 방법은 내원 환자가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에 등록할 신체 인식 부위를 선정하는 단계; 생체 정보 패턴 분석 모듈에 신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의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와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여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를 일원화하는 단계; 일원화된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에 보안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로 실시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생체 인식 기반의 내원 환자 응대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로 진료 접수를 자동으로 수행하고 구두 또는 서면 상으로 개인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없어서 진료 접수 시 보안 상의 높은 효용성을 갖게 되며 불필요한 인력 낭비와 시간 소요를 줄일 수 있고, 환자 관리가 자동화되어 병원 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환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기 때문에 기존의 사진이 부착되지 않은 건강보험증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동일 성별 및 유사 나이대의 환자에 대한 식별력이 증대되어 진료 방법 및 진료 대상의 명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보험 부정 수급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을 마련함으로써 공공의 성격을 가진 국가 의료 시스템을 고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생체 인식 시스템에 활용되는 생체 인식 부위 및 고유 패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의 구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의 활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의 내원 환자 데이터베이스 운영 및 관리 소프트웨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의 전자 서명 작성 기반 접속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을 이용하는 의사가 입력하는 진료 내용, 진료 방법 및 진료 결과의 데이터베이스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자가 확인하는 세부 진료 내역 및 진료 소견 정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부적인 모듈의 구성 요소는,
환자(100)의 지문(110) 형상의 고유 지문 패턴 데이터(111)를 획득하는 지문 패턴 분석 모듈(210);
상기 환자(100)의 손등, 손목, 또는 손가락 정맥(120)의 고유 정맥 패턴 데이터(121)를 획득하는 혈관 패턴 분석 모듈(220);
상기 환자(100)의 홍채(130)의 고유 홍채 패턴 데이터(131)를 획득하는 홍채 패턴 분석 모듈(230);
상기 지문 패턴 분석 모듈(210), 상기 혈관 패턴 분석 모듈(220), 또는 상기 홍채 패턴 분석 모듈(230)에서 획득한 상기 환자(100)의 생체 인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310);
상기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31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환자(100)의 생체 정보를 진료 담당 의사(400)의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하는 진료 정보 연계 모듈(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4, 또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310)에서 상기 환자(100)의 생체 인식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기 위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된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가 구비되고, 필요 시에 상기 환자(100)의 정보를 서면 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프린터 출력 장치(3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에 필수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되어야 하는 항목은, 상기 환자(100)가 내원하여 진료를 의뢰한 일시(311a); 환자명(311b); 성별(311c); 나이(311d); 진료과(311e); 진료 의사명(311f); 진료가 실제 수행된 진료 일시(311g); 진료 여부 상태(311h); 진료 정보 공개 여부 상태(311i); 진료 방법에 대한 세부 내역(311j)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모든 의무 기록은 전산화되고 의사는 환자의 진료와 관련하여 비밀 준수의 의무가 있으므로 진료 정보 및 생체 인식 정보 취급의 보안성 확보와 세부 진료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를 사용하는 병원 직원 또는 진료 담당 의사는 도 5와 같이 공인 인증서 방식의 전자 서명 작성 기반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료의 정확성 및 투명성을 위하여 의사의 진료 내용, 진료 방법 및 진료 결과는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에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는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가 상기 환자(100)의 진료 이후 질병의 확진과 치료법을 확정하기 위하여 수반되는 후속 검사의 실시 일자(311k); 검사명(311l); 검사 의뢰과(311m); 검사 세부 항목(311n); 검사 결과(311o); 검사 결과 수치의 이상 유무 확인을 위한 기준 참고 수치(311p) 정보를 저장, 관리 및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자(100)의 알 권리를 충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을 이용하는 상기 환자(100)가 본인의 생체 인식 정보로 접속하여 도 7과 같이 진료 내역 및 진료 소견 정보를 상기 환자(100)와 진료 담당 의사(400)가 모두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확인 가능한 세부 항목은 환자명(311q); 환자 주민번호(311r); 환자 휴대폰 번호(311s); 환자 주소(311t); 환자 병명(311u); 진료과명(311v); 진료의사명(311w); 진료일(311x); 진료 소견(311y); 검사 결과 파일(311z)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을 이용한 진료 접수 및 활용 방법은, 진료를 받고자 하는 상기 환자(100)가 병원에 방문(S100)하여 진료 접수를 위한 안내 데스크로 이동(S200)한다. 이 때, 초진인 경우(S210)에는 신규로 환자 생체 인식 정보를 등록하여야 하므로 지문, 혈관 및 홍채와 같이 고유 식별이 가능한 신체 부위 중에서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에 신규 등록하고자 하는 신체 인식 부위를 선정(S300)하면, 상기 지문 패턴 분석 모듈(210), 상기 혈관 패턴 분석 모듈(220) 또는 상기 홍채 패턴 분석 모듈(230)과 같은 생체 정보 패턴 분석 모듈에서 상기 환자(100)의 생체 정보를 획득(S310)한다.
상기 S310 단계에서 제공된 환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고유 패턴 데이터를 산출(S320)하게 되며, 이렇게 산출된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저장(S330)한다. 상기 S330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의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또는 기존의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여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를 동기화(S340)하고, 상기 S340 단계에서 동기화된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를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서 보안 코드를 설정(S350)하면, 최종적으로 환자 정보를 등록하고 확인(S400)하여 상기 일련의 단계에 대한 설정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순차적인 실시 흐름이 형성된다.
상기 S210 단계에서 초진이 아니고 재진으로 병원을 방문(S220)한 경우에는 상기 S300, S310, S320, S330, S340 및 S350 단계가 생략되고 바로 상기 S400 단계에서 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일치 및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재진을 위한 진료 접수 준비를 수행한다.
상기 S400 단계에서 초진 또는 재진 환자가 본인의 생체 인식 정보에 대한 등록 및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의 상기 진료 정보 연계 모듈(320)로 환자 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는 초진 또는 재진 환자의 신상 정보와 의료 기록 정보를 확인(S500)한다. 그 후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는 초진 또는 재진 환자의 진료를 수행한 후 진료 내용을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에 기록(S600)한다. 상기 S600 단계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S700)되고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가 보안 전자 서명을 수행하여 전자 문서를 발행(S800)하면 진료 접수 안내 데스크로 전달되어 처방전 전달 또는 주사실 이동 등의 후속 행위를 수행(S900)하는 순차적인 실시 흐름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환자
110 : 지문
120 : 손가락 정맥
130 : 홍채
210 : 지문 패턴 분석 모듈
220 : 혈관 패턴 분석 모듈
230 : 홍채 패턴 분석 모듈
310 :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
320 : 진료 정보 연계 모듈
400 : 진료 담당 의사

Claims (8)

  1.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에 있어서 세부적인 모듈의 구성 요소는,
    환자(100)의 지문(110) 형상의 고유 지문 패턴 데이터(111)를 획득하는 지문 패턴 분석 모듈(210);
    상기 환자(100)의 손등, 손목, 또는 손가락 정맥(120)의 고유 정맥 패턴 데이터(121)를 획득하는 혈관 패턴 분석 모듈(220);
    상기 환자(100)의 홍채(130)의 고유 홍채 패턴 데이터(131)를 획득하는 홍채 패턴 분석 모듈(230);
    상기 지문 패턴 분석 모듈(210), 상기 혈관 패턴 분석 모듈(220), 또는 상기 홍채 패턴 분석 모듈(230)에서 획득한 상기 환자(100)의 생체 인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310);
    상기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31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환자(100)의 생체 정보를 진료 담당 의사(400)의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하는 진료 정보 연계 모듈(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생체 정보 처리 모듈(310)에서 상기 환자(100)의 생체 인식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운영 및 관리하기 위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된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와 상기 환자(100) 정보를 서면 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프린터 출력 장치(3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는 상기 환자(100)가 내원하여 진료를 의뢰한 일시(311a); 환자명(311b); 성별(311c); 나이(311d); 진료과(311e); 진료 의사명(311f); 진료가 실제 수행된 진료 일시(311g); 진료 여부 상태(311h); 진료 정보 공개 여부 상태(311i); 진료 방법에 대한 세부 내역(311j)의 저장, 관리 및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는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가 상기 환자(100)의 진료 이후 질병의 확진과 치료법을 확정하기 위하여 수반되는 후속 검사의 실시 일자(311k); 검사명(311l); 검사 의뢰과(311m); 검사 세부 항목(311n); 검사 결과(311o); 검사 결과 수치의 이상 유무 확인을 위한 기준 참고 수치(311p) 정보를 저장, 관리 및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명(311q); 환자 주민번호(311r); 환자 휴대폰 번호(311s); 환자 주소(311t); 환자 병명(311u); 진료과명(311v); 진료의사명(311w); 진료일(311x); 진료 소견(311y); 검사 결과 파일(311z)의 진료 내역 및 진료 소견 정보의 공통적인 세부 내역을 상기 환자(100)와 진료 담당 의사(400)가 공유 및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진료 정보 및 생체 인식 정보 취급의 보안성 확보와 세부 진료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하여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를 사용하는 병원 직원 또는 진료 담당 의사는 공인 인증서 방식의 전자 서명 작성 기반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7.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에 있어서 이를 이용한 진료 접수 및 활용 방법은,
    상기 환자(100)가 병원에 방문하는 단계(S100);
    상기 환자(100)가 병원 내, 안내 데스크로 이동하는 단계(S200);
    상기 환자(100)가 초진인지 확인하는 단계(S210);
    상기 환자(100)가 초진인 경우,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에 등록할 신체 인식 부위를 선정하는 단계(S300);
    상기 S300 단계에서 선정된 신체 인식 부위에 해당하는 생체 정보 패턴 분석 모듈로 신체 정보 획득하는 단계(S310);
    상기 S310 단계에서 제공된 환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고유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320);
    상기 S320 단계에서 산출된 환자의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S330);
    상기 S330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환자의 생체 고유 패턴 데이터와 진료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여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S340);
    상기 S340 단계에서 동기화된 내원 환자 정보와 진료 기록 정보에 보안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S350);
    상기 S350 단계가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환자 정보를 등록하고 확인하여 생체 정보 등록 및 설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S400);
    상기 S40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진료 정보 연계 모듈(320)로 환자 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가 상기 환자(100)의 신상 정보와 의료 기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500);
    상기 S50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가 상기 환자(100)의 진료를 수행하고 진료 내용을 상기 환자 이력 소프트웨어(311)에 기록하는 단계(S600);
    상기 S600 단계가 완료되면 기록된 진료 내용이 자동으로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와 동기화 되는 단계(S700);
    상기 S70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진료 담당 의사(400)가 보안 전자 서명을 수행하여 전자 문서를 발행하는 단계(S800);
    상기 S800 단계에서 발행된 전자 문서가 안내 데스크로 전달되어 후속 행위를 수행하는 단계(S900)로 순차적인 실시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활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210 단계에서 초진이 아니고 재진인 경우, 상기 S300 단계; S310 단계; S320 단계; S330 단계; S340 단계; S350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상기 S400 단계에서 기 등록된 생체 정보와 일치 및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S220)하고,
    상기 S220 단계에서 초진 또는 재진이 모두 아닌 것으로 확인될 경우, 신원 확인을 위하여 상기 S200 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활용 방법.
KR1020150083679A 2015-06-12 2015-06-12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KR20160146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679A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5-06-12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679A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5-06-12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18A true KR20160146418A (ko) 2016-12-21

Family

ID=5773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679A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5-06-12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4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9930A (zh) * 2019-05-22 2019-10-0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预约就诊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992305A (zh) * 2021-03-15 2021-06-18 深圳市南山区慢性病防治院 一种健康档案管理系统及方法
CN113901415A (zh) * 2020-06-22 2022-01-07 苏州沈苏自动化技术开发有限公司 利用生物识别判断治疗后患者留观时间的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20A (ko) 2003-12-30 2005-07-07 이승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78483A (ko) 2004-02-02 2005-08-05 주식회사 케이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KR20070017588A (ko) 2005-08-08 2007-02-13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환자의 처방전 공유시스템 및 방법
KR100697564B1 (ko) 2005-08-08 2007-03-20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00095780A (ko) 2009-02-23 2010-09-01 박태영 의료용 환자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20A (ko) 2003-12-30 2005-07-07 이승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78483A (ko) 2004-02-02 2005-08-05 주식회사 케이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KR20070017588A (ko) 2005-08-08 2007-02-13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환자의 처방전 공유시스템 및 방법
KR100697564B1 (ko) 2005-08-08 2007-03-20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00095780A (ko) 2009-02-23 2010-09-01 박태영 의료용 환자 관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9930A (zh) * 2019-05-22 2019-10-0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预约就诊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901415A (zh) * 2020-06-22 2022-01-07 苏州沈苏自动化技术开发有限公司 利用生物识别判断治疗后患者留观时间的监测方法及系统
CN113901415B (zh) * 2020-06-22 2024-04-12 沈苏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利用生物识别判断治疗后患者留观时间的监测方法及系统
CN112992305A (zh) * 2021-03-15 2021-06-18 深圳市南山区慢性病防治院 一种健康档案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aadi Physiological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s,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future development: A review
Hernandez-de-Menendez et al. Biometric applications in education
US20050065815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202100897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ally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uthentication Data and Liveness Data
KR20160111447A (ko) 개인용 식별 시스템 및 방법
WO2005124624A1 (en) Biomeric information reader and system
KR20160146418A (ko)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Akram et al. RIDB: a dataset of fundus images for retina based person identification
US20220367015A1 (en) Biometric-Medical Emergency Data System, Med+ Card, and 911 Mobile Application
Vidyasree et al. A bio-application for accident victim identification using biometrics
CN111160247A (zh) 一种扫描掌静脉进行立体三维建模、识别的方法
US201403585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patient
Saeed Biometrics principles and important concerns
Jonas et al. Patient identification, a review of the use of biometrics in the ICU
Shrotri et al. IR-webcam imaging and vascular pattern analysis towards hand vein authentication
KR20150044614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명확인 시스템 및 방법
Nanayakkara et al. Biometric Traits in Enhancing Security of Healthcare
Sandamal et al. Emergency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
Adeniyi et al. PriHealth: A Fingerprint-Based Mobile Primary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Di Nardo Biometric technologies: functionality, emerging trends, and vulnerabilities
Matos Identifikace uživatele na základě biometrických parametrů
KR20060038119A (ko) 생체인식을 이용한 의료네트워크의 개인 인증 시스템 및방법
Kanakam et al. A concise survey on biometric recognition methods
Chatterjee Biometric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Towards Securing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s
US202301866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4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14

Effective date: 2018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