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483A -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483A
KR20050078483A KR1020040006618A KR20040006618A KR20050078483A KR 20050078483 A KR20050078483 A KR 20050078483A KR 1020040006618 A KR1020040006618 A KR 1020040006618A KR 20040006618 A KR20040006618 A KR 20040006618A KR 20050078483 A KR20050078483 A KR 20050078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fingerprint
client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140B1 (ko
Inventor
황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0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1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of the biometric kind, e.g. fingerprint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와 의료 기관의 종사자 및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문 인식기 또는 지문 인식기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시간 및 의료 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접수를 수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의 신원을 먼저 조사한 후, 조사 결과가 정상이면 바로 의료 접수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손쉽고 빠르게 각종 의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 기관의 종사자 및 관계자 역시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시 환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빠르게 관련 의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곧, 의료 기관 종사자 또는 환자들로 하여금 최적의 의료 행위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LESS MEDICAL ACCEPTANCE AND INFORMA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본 발명은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의료 기관에서는 개인의 신원 확인 및 의료 관련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의료 기관에서 발급한 의료카드에서부터 주민등록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개인 신분증 또는 의료보험카드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류를 가지고 있지 않은 무의식 상태의 응급 환자의 경우,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 처치가 가장 요구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응급 환자의 신원 불명으로 인해 의료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어 부적절한 의료 행위로 인한 인명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의료보험 관리 기관에서도 개인별 주민등록번호를 알고 있어야만 의료보험 관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의료보험 관리 기관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의료기관은 물론이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의료기관 조차 주민등록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어린아이, 고령층, 치매 환자의 경우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의료카드, 의료보험카드, 신분증 등을 소지하지 않으면,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카드 형태로 존재하는 신분증류을 이용한 신원 확인 및 인증 방법은 보안성 측면에서도 카드 분실시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타인에 의해 오용되거나 개인의 중요한 의료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드 발급 및 분실, 훼손시 재발급에 따른 비용 문제 역시 현실적으로 여러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통상적으로, 개인에 대한 의료 정보는 개별 진료기관에 분산 및 고립된 형태로 보관,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의료기관에서는 과거 환자에 대한 병력이나 특이 사항, 현재 타 기관에서의 이루어지고 있는 진료 내역 등을 알 수 없어 최적의 의료 행위를 행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리고, 치료를 반드시 받아야만 하는 환자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검사 및 진료에 따른 비용 부담, 이중 진료에 따른 과다한 약물 복용으로 인해 부작용의 위험까지 안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자카드를 이용한 개인 의료 정보의 통합적 제공 방법이 있으나, 전자칩에 내장할 수 있는 정보량이 극히 제한적이며, 무엇보다도 카드 분실시 개인의 의료 정보가 전면적으로 유출될 수 있는 보안상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카드 발행에 따른 비용 문제 또한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아직도 상당수의 의료기관이 진료 카드를 종이로 관리하고 있으며, 진료 카드를 전산화한 기관 역시 의료보험 카드나 각종 형태의 의료카드 등과 같은 신체 외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의료 접수를 수행하고 있다.
이는 곧, 의료 접수를 위한 고액 연봉의 인력을 별도로 고용해야할 뿐만 아니라, 의료 접수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상당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의료 접수에 필요한 증빙 서류를 구비하기 위한 준비 과정 역시 번거롭기 때문에 다수의 환자들로 하여금 시간 및 자원 낭비라는 문제점을 안겨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 및 의료 기관의 담당의에게 (예약)진료 접수 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손쉽고 빠르게 각종 의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 기관의 종사자 및 관계자 역시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시 환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빠르게 관련 의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 및 의료 기관의 종사자와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문 인식기 또는 상기 지문 인식기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하는 지문 조회/인증부; 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권한이 환자인지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종사자인지, 관리자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등록부; 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무인 의료 접수/관리부; 및 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권한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신상 및 진료, 처방, 검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통합 의료 정보를 조회 또는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상기 의료 기관에서 이루어진 의료 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무인 의료 접수 서비스 제공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의료기관의 중앙 서버와 연결되는 무인 의료 접수 서비스 제공 단말기에 있어서, 지문 인식기 또는 상기 지문 인식기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한 후, 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방법은, 환자 및 의료 기관의 종사자와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지문 인식기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하는 단계; b)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권한이 환자인지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종사자인지, 관리자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c)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단계; 및 d)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권한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신상 및 진료, 처방, 검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는, 환자 및 의료 기관의 종사자와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지문 인식기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하는 기능; b)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권한이 환자인지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종사자인지, 관리자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기능; c)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기능; 및 d)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권한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신상 및 진료, 처방, 검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제1 내지 제3 클라이언트 단말기(301~303)와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다수 개의 지문 인식기(101~100n)와도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지문 인식기(101~100n)가 오프 라인상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병원 및 약국, 검진 기관 등과 같은 각종 장소에 설치되어 클라이언트의 지문 인식 결과를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핸드폰에서부터 PDA 및 IMT-2000에 이르는 각종 단말기에 부착 또는 내장되어 클라이언트 지문 인식 결과를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클라이언트(의료기관 관리자/종사자/환자 등)는 지문 인식기(101~100n)를 통해 자신의 지문을 인식시키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지문 인식기(101~100n)로부터 클라이언트 지문 인식 결과를 제공 받아 신원을 조회한다.
조회 결과, 클라이언트의 신원이 확인되면 그 확인 결과에 따라 그에 맞는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하거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병원 진료 접수 등을 수행한다.
즉,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환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한 후, 의료보험 관리 공단(400)을 통해 의료보험 적용 여부를 검색한다. 그리고, 병원이나 약국, 검사 기관 등과 같은 의료 기관을 통해 관련 진료 카드 등을 검색한 후,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의료 진료를 접수한다. 이렇게 접수된 결과는 해당 기관의 단말기, 즉 중앙 서버로 전송되어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곧,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의료 접수시 발생하는 시간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 접수로 인한 병원 및 약국 등과 같은 각종 기관의 인력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자격(의료기관 관리자/종사자/환자 등)에 따라 그에 맞는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데, 환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환자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 번호, 보호자 연락처 등)를 의료기관 관리자 또는 종사자에게 제공하며, 환자의 병원 진료시 기본이 되는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혈액형, 몸무게, 신장, 가족 병력 및 지병, 특이체질, 금기약 등)를 환자 및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게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의료 보험 정보에서부터 진료 정보(진료일, 진료소견 및 당담의 등), 처방 정보(진료일, 처방약품, 투여량, 투여상태 및 조제약국 코드 등), 검사 정보(검사일, 검사명 및 검사 결과 등) 등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드 정보(사용자 권한 코드/의료기관 구분 코드/의료기관 코드/진료과 코드 등)에서부터 의료 기관 정보(의료기관명, 의료보험 정보, 검사 정보 및 코드 정보 등), 종사자 정보(종사자명, 담당업무 및 권한 코드 등) 및 지문 정보(지문값, 인증 번호, 의료기관 등) 등을 더 관리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손쉽게 각종 의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의료 기관의 종사자 및 관계자 역시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시 환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빠르게 관련 의료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이는 곧, 빠른 응급 처치로 인한 최적의 의료 행위를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각종 의료 기관에서 행해진 의료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제공 받은 후, 이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 및 관리함으로써, 환자 또는 각종 기관의 종사자 및 관계자로 하여금 필요시 바로 조회 및 제공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110)와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관리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관리부(111) 및 웹페이지 관리부(112)를 포함하며,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관리 서버(120)는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와 지문 조회/인증부(122), 사용자 인증/등록부(122), 데이터 관리부(123), 무인 의료 접수/관리부(124) 및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125)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30)는 클라이언트 DB(131)와 프로그램 DB(132), 지문 DB(133), 인증 DB(134) 및 의료 정보 DB(135)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110)는 클라이언트별(의료 기관 관리자/종사자/환자) 관련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 저장에서부터 무인 의료 접수 및 의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관리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관리 서버(110) 내의 클라이언트 관리부(111)는 변경 및 추가되는 클라이언트 정보 저장에서부터 회원 관련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패스워드 등) 추가/삭제 및, 정보 검색을 통한 회원/비회원 판단에 이르기까지 클라이언트와 관련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웹페이지 관리부(112)는 무인 의료 접수 및 의료 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이러한 웹페이지(메인 및 서브 웹페이지)를 관리한다.
다음으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관리 서버(120)는 오프 라인상에 위치한 지문 인식기(101~100n)로부터 수신되는 클라이언트별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의료 접수를 수행하며, 클라이언트의 정보 요청에 따라 통합적인 의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료 기관의 중앙 서버)에 인스톨(install)되어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의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환자와 관련된 의료 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 이라 함)을 제공 및 관리한다. 이러한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해당 의료 기관에서 이루어진 의료 행위 관련 정보를 바로 업로딩(uploading)한다.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지문 인식기(101~100n)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그와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문 인식 결과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내장된 지문 인식기를 통한 지문 인식 및 조회를 바로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등록부(122)는 조회한 지문에 따라, 클라이언트별 사용자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인증/등록부(122)는 의료기관 관리자인지 종사자인지 또는 환자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데이터 관리부(123)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및 등록에 필요한 세션키 및 공개키, 전자 서명 등을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인증 정보를 복호화 및 분리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무인 의료 접수/관리부(124)는 사용자 인증 및 등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환자)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 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또는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 접수를 수행한다. 이는 곧, 환자로 하여금 의료 접수로 인한 시간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하며, 의료 기관 역시 진료 접수로 인한 인력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125)는 환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환자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 번호, 보호자 연락처 등)를 의료기관 관리자 또는 종사자에게 제공 및 관리하며, 환자의 병원 진료시 기본이 되는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혈액형, 몸무게, 신장, 가족 병력 및 지병, 특이체질, 금기약 등) 역시 환자 또는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제공 및 관리한다.
이외에도,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125)는 의료 보험 정보에서부터 진료 정보(진료일, 진료소견 및 당담의 등), 처방 정보(진료일, 처방약품, 투여량, 투여상태 및 조제약국 코드 등) 및 검사 정보(검사일, 검사명 및 검사 결과 등) 등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또한,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125)는 코드 정보(사용자 권한 코드/의료기관 구분 코드/의료기관 코드/진료과 코드 등)에서부터 의료 기관 정보(의료기관명, 의료보험 정보, 검사 정보 및 코드 정보 등), 종사자 정보(종사자명, 담당업무 및 권한 코드 등) 및 지문 정보(지문값, 인증 번호, 의료기관 등) 등을 관리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환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필요한 의료 정보를 빠르게 조회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곧 자신이 원하는 시간 및 의료 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접수까지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의료 기관의 종사자 및 관계자 역시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시 환자의 지문을 통해 빠른 신원 조회 및 관련 의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곧, 빠른 응급 처치로 인한 최적의 의료 행위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30)는 클라이언트별 지문 관련 정보에서부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결과에 따른 통합적인 의료 정보에 이르기까지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한다.
클라이언트 DB(131)는 클라이언트별(의료기관 관리자, 종사자 및 환자 또는의료 기관 등) 관련 정보에서부터 변경 및 추가, 갱신되는 클라이언트 정보가 저장된다.
프로그램 DB(132)는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의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환자와 관련된 의료 정보를 바로 조회하여 제공하는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지문 DB(133)는 클라이언트별(의료기관 관리자, 종사자 및 환자) 지문과 관련된 정보에서부터 추가되는 지문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인증 DB(134)는 세션키 및 공개키, 전자서명 등과 같이 사용자 인증 및 등록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다.
의료 정보 DB(135)는 환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환자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 번호, 보호자 연락처 등)에서부터 환자별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혈액형, 몸무게, 신장, 가족 병력 및 지병, 특이체질, 금기약 등) 및 환자별 병원 진료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의료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의료기관 및 의료기관 관리자)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이 의료기관 등록 요청(1)을 하면,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신원 확인 절차를 통해 신청 의료기관에 대한 기관 확인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신청 의료기관을 조사하여 인증서 발급 기준에 적합한 대상자인지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의료기관으로 인증서를 발급(2)한다. 이후, 의료기관의 인증서를 모든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인 인증 DB(134)에 게시(3)한다.
이후,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인증서를 발급한 의료기관에 대해 의료기관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한편, 의료기관에서 기보유하고 있던 의료정보를 표준화 코드에 따라 변환하여 의료정보 DB(135)에 저장하는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수행(4)한다.
이후,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등록시킨 의료기관 구분에 따라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 설치한다(5). 참고로, 의료기관별 인증서는 의료기관의 규모 및 필요에 따라 복수 개를 발급할 수도 있다.
의료기관 관리자 등록을 위해 의료기관 관리자는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관리자 등록을 선택한 후, 지문 인식기(301)를 통해 지문을 입력한다. 그리고, 관리자명, 주민등록번호, 담당업무, 연락번호 등 관리자 기본정보를 입력한다(6).
이후,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입력된 관리자의 지문값과 관리자 기본정보에 관리자임을 알리는 권한코드를 합하여 관리자 등록정보를 만든 후, 인증 DB(134)에 게시된 인증서(7)를 이용하여 공개키를 추출한 후, 연결된 세션에서만 유효한 일회용 세션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생성한 세션키를 D용하여 관리자 등록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에 사용한 세션키는 공개키로 다시 암호화하여 지문 조회/인증부(122)에서 해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료기관이 송신한 것임을 증명하기 위해 의료기관의 개인키로 전자서명을 생성한다. 전자서명은 관리자 등록정보에 해쉬(hash) 함수를 적용하여 메시지다이제스트(digest)를 생성한 후, 의료기관의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한다(8).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로서, 이때 암호화 및 전자서명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공인된 알고리즘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8)과정에서 생성한 관리자 등록정보에 대한 암호문, 세션키 암호문, 전자서명과 함께 송신 의료기관 인증서로 전송문을 만든 후, 관리자 등록임을 알리는 태그(tag)값을 붙여서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로 전송한다(9).
그러면,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는 수신한 전송문에 붙여진 태그값을 통해 의료기관 관리자 등록 요청임을 확인하고, 지문 조회/인증부(122)로 전송문을 전달하여 정당한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에 관한 의료기관 인증을 의뢰한다(10).
이후,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로부터 전달 받은 전송문을 분석하여 관리자 등록정보 암호문, 세션키 암호문, 상기 송신한 의료기관의 전자서명, 송신 의료기관 인증서를 분리한다.
그리고, 지문 조회/인증부(122)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세션키를 복호화한 후, 세션키를 사용하여 관리자 등록정보 암호문을 해독하여 암호화 전 상태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이후, 인증 DB(134)로부터 의료기관의 인증서 및 인증서 폐기목록을 가져와 송신 의료기관의 인증서에 대해 유효한지 유효성 검증 작업을 수행한 후, 유효성이 검증된 송신 의료기관의 인증서에서 의료기관의 공개키를 추출하여 송신 의료기관의 공개키를 통해 전자서명을 복호화한다.
그리고, 그 결과값이 복원된 관리자 등록정보에 해쉬 함수를 적용하여 나온 메시지 다이제스트(digest) 값과 동일한지 비교한다. 두 결과값이 일치하면 상기 전자서명은 송신 의료기관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송신 의료기관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결과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이는 송신 의료기관으로 위장한 누군가에 의한 부정한 전송임을 판명할 수 있다(11).
다음으로,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지문 조회/인증부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송신 의료기관에 대해 의료정보 DB(135)에서 조회한 의료기관 코드(12)와 복원된 관리자 등록 정보를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로 인증 확인 의뢰의 결과값을 보내준다.
만약, 신원 불명의 송신자이거나 의료정보 DB(135)를 검색한 결과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송신자이면, 부당한 사용자에 의한 요청임을 나타내는 결과값을 보내준다(13).
이후,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지문 조회/인증부(122)에 의해 신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의료기관코드, 관리자 등록정보를 사용하여 의료기관의 관리자 등록을 수행(14)한 후, 등록에 따른 결과값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 (15).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에 대한 사용자 등록 및 권한 부여는 의료기관의 관리자의 기능에 속한다.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관리자를 통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의료기관 관리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하여 의료기관 단말기에 구비된 지문 인식기 통해 관리자 지문을 입력한다.
그러면, 의료기관 단말기에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입력된 지문값을 임시 저장소에 저장하는데, 이는 관리자 로그인이 성공한 후 종사자 등록을 포함하여 기타 관리자 인증이 필요한 기능 수행시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관리자가 모든 동작을 수행하고 로그 아웃하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자동 삭제된다.
이후,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관리자의 지문값을 암호화한 후, 전자서명을 수행하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관리자 등록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암호화의 대상이 관리자 등록 정보가 아닌, 관리자의 지문값이다.
이처럼, 의료기관의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이유는 정당한 사용자로 등록된 의료기관에 의한 송신임을 증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히 의료기관 사용자(의료기관 종사자 중 본 시스템의 사용자로 등록된 종사자)의 프로그램 로그인시, 의료기관 관리자에 의한 의료기관 종사자 등록시, 개인 사용자에 대한 등록 권한이 있는 의료기관 종사자에 의한 개인 사용자 등록시 요구된다.
이후,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지문값 암호문, 세션키 암호문, 전자서명, 송신 의료기관의 인증서로 전송문을 만들고 사용자 로그인을 표시하는 태그값을 전송문에 붙여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로 전송한다.
그러면,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는 태그값을 통해 의료기관 사용자 로그인 요청을 확인하고, 지문 조회/인증부(122)로 전송문을 전달하여 정상적인 의료기관 및 의료기관 사용자인지에 관한 사용자 인증을 의뢰한다.
이후,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개인키로 세션키를 복호화하여 복원된 세션키로 암호화된 지문값을 복원한다.
이후, 인증 DB(134)로부터 의료기관의 인증서 및 인증서 폐기 목록을 가져와서 송신 의료기관의 인증서에 대해 유효성 검증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유효성이 검증된 인증서에 송신 의료기관의 인증서에서 의료기관의 공개키를 추출하여 의료기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전자서명을 복호화한다.
이후,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복원된 지문값에 해쉬 함수를 적용하여 나온 메시지 다이제스트(digest)와 결과값을 비교하여 송신한 의료기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당한 의료 기관임이 인증되면 의료 정보 DB(135)로부터 의료기관 코드를 추출한다.
이후,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지문 정보 DB에서 추출한 지문값과 일치하는 지문값을 검색하여 지문값에 해당하는 주민등록번호를 추출한다. 이후, 의료기관 코드와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종사자 정보 DB에서 의료기관 코드와 주민등록번호가 일치하는 종사자가 있는지 검색하여 해당 종사자의 권한 코드를 추출한다.
이후,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로 지문 인증 의뢰에 대한 결과값을 전달하는데, 지문 인증이 정상이면 종사자의 권한 코드를, 지문 인증이 실패한 경우이면 실패를 표시하는 결과값을 전달한다.
그러면,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전달받은 사용자 권한 코드를 의료기관 단말기(즉,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기 내의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수신한 사용자 권한 코드를 확인하여 의료기관 종사자 등록 기능을 포함하여 권한코드에 해당하는 모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관 종사자의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의료기관 관리자는 의료기관 종사자로 하여금 지문 인식기가 구비된 의료기관 단말기를 통해 종사자의 지문을 입력하게 하고, 종사자명, 종사자번호, 담당업무 등과 같은 종사자 기본정보와 사용자 등록, 조회, 기록 등과 같은 시스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한다.
그러면, 의료기관 단말기의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입력된 종사자 지문값, 기본정보, 권한정보와 임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의 지문값을 세션키로 암호화하고, 세션키를 지문 조회/인증부(122)의 공개키로 암호화한다.
그리고, 의료기관에 대한 전자서명을 생성하여 전송문을 만들고 의료기관 종사자 등록을 표시하는 태그값을 붙여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로 전송한다.
이후, 프로그램 제공/관리부(121)는 태그값을 보고 종사자 등록 요청을 확인한 후, 지문 조회/인증부(122)로 종사자 등록 요청자가 의료기관 관리자가 맞는지에 대한 인증을 의뢰한다.
그리고,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문을 복호하고 의료기관의 공개키로 전자서명을 복호화하여 의료기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인증이 성공한 의료기관에 대해 복원된 암호문을 분류하여 의료기관 관리자 지문값을 추출한 후, 추출된 지문값으로 지문정보 DB를 검색하여 지문값의 주민등록번호를 추출하여 의료기관 정보 DB에서 검색한 의료기관 코드를 이용해 종사자정보 DB에서 지문값에 해당하는 종사자의 권한코드를 확인하여 의료기관의 관리자인지 확인한다.
이후, 의료기관 관리자의 지문 인증이 완료되면,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의료기관 코드, 복원된 종사자 등록 정보를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로 결과값을 전달한다.
그러면,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의료기관코드, 종사자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사용자 등록을 수행한 다음, 종사자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으로 통보한다.
참고로, 위의 과정은 등록하고자 하는 종사자의 수 만큼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종사자가 환자에 대한 진료 내역, 처방 내역 등과 같은 의료 정보를 조회하거나 새로운 진료 내역이나 처방, 조제 내역을 기록하기 위해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관리자에 대한 인증시와 동일한 절차를 통해 인증을 받는다. 다만, 사용자의 권한코드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사용자 등록시 타인 명의, 주민등록번호 도용을 통한 불법적인 지문 등록을 통한 타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악의적인 정탐 행위를 막기 위해, 개인 사용자 등록은 반드시 개인에 대한 신원 확인을 한 후, 의료기관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한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조회 및 제공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개인은 환자용 지문 인식기를 통해 자신의 지문을 입력하며, 환자용 지문 인식기와 연결된 의료기관 단말기의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입력된 개인의 지문값을 대기자 저장소에 저장한다. 그리고, 세션키를 생성하여 암호화하고, 세션키는 다시 지문 조회/인증부(122)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개인정보 조회를 표시하는 태그 값을 붙여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태그 값을 통해 개인정보 조회 요청을 확인하고, 전송문을 지문 조회/인증부(122)로 전달한다.
이후, 지문 조회/인증부(123)는 개인키로 전달 받은 세션키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세션키를 사용하여 지문값을 복원한다. 그리고, 복원된 지문값으로 지문정보 DB를 검색하여 지문값과 일치하는 지문값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는 지문값의 개인 주민등록번호를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로 되돌려 준다.
이후,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전달 받은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DB를 검색하여 개인의 의료정보를 추출한 후, 지문 조회/인증부(122)로 개인 의료 정보에 대한 암호화를 의뢰한다.
그러면,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전송 받은 세션키로 개인 의료정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로 전달하고,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암호화된 정보를 의료기관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값과 일치하는 지문 정보가 없으면, 지문 조회/인증부(122)는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로 지문 인증 실패를 결과값을 전달하며, 사용자 인증/등록부(123)는 의료기관 단말기의 프로그램으로 미등록 사용자임을 알린다.
그러면, 의료기관 단말기의 의료 통합정보 프로그램은 전송 받은 개인 의료정보 암호문을 개인의 지문값 암호화에 사용했던 세션키로 다시 복호화하여 진료 대기자 저장소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료정보는 단말기 내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순서대로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며, 새로운 의료 행위에 따른 새로운 정보의 기록이 이루어지면,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126)는 새로운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정보 DB의 데이터 갱신 및 추가, 삭제 등을 수행한다.
한편, 의료기관 단말기 내의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의료 행위가 끝난 사용자의 지문값 및 의료 정보를 대기자 저장소에서 삭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의료기관 관리자, 종사자, 환자 등)의 지문 인식 결과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 및 등록 과정 후, 통합적인 의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조회 및 정보 제공시 웹사이트 접속을 통한, 즉 웹페이지를 통한 조회 및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처럼,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손쉽게 각종 의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 기관의 종사자 및 관계자 역시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시 환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관련 의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곧, 빠른 응급 처치로 인한 최적의 의료 행위를 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 및 의료 기관의 담당의에게 (예약)진료 접수 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의료 기관 역시 의료 접수로 인한 인력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은 클라이언트(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 및 의료 기관의 담당의에게 (예약)진료 접수 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손쉽고 빠르게 각종 의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 기관의 종사자 및 관계자 역시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시 환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빠르게 관련 의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의료기관 및 의료기관 관리자)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지문 조회/인증부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관리자를 통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관 종사자의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조회 및 제공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환자 및 의료 기관의 종사자와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문 인식기 또는 상기 지문 인식기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하는 지문 조회/인증부;
    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권한이 환자인지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종사자인지, 관리자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등록부;
    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무인 의료 접수/관리부; 및
    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권한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신상 및 진료, 처방, 검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
    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통합 의료 정보를 조회 또는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은,
    상기 의료 기관에서 이루어진 의료 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합 의료정보 제공/관리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통합 의료 정보를 조회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웹페이지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리하여 복호화하거나 상기 통합 의료 정보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및 RSA(Rivest, Shamir, Adelman) 공개키 암호 방식 중 적어도 어는 하나를 포함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의료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신장 및 몸무게, 혈액형, 특이체질, 금기약물 및 가족 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의료기관 구분 코드와 진료과 코드, 질병 코드, 검사 코드 및 약물/약품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
    상기 의료기관의 명칭과 진료과, 대표자, 관리자, 대표 번호 및 등록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기관 관련 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값과 주민등록번호, 인증 번호 및 인증기관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지문 정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시스템.
  8.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의료기관의 중앙 서버와 연결되는 무인 의료 접수 서비스 제공 단말기에 있어서,
    지문 인식기 또는 상기 지문 인식기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한 후, 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의료 접수 서비스 제공 단말기.
  9. 환자 및 의료 기관의 종사자와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지문 인식기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하는 단계;
    b)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권한이 환자인지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종사자인지, 관리자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c)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단계; 및
    d)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권한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신상 및 진료, 처방, 검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e)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통합 의료 정보를 조회 또는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통합 의료정보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f)상기 통합 의료 정보를 조회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g)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리하여 복호화하거나 상기 통합 의료 정보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 방법.
  13. 환자 및 의료 기관의 종사자와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지문 인식기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을 조회하는 기능;
    b)상기 조회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권한이 환자인지 또는 상기 의료 기관의 종사자인지, 관리자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기능;
    c)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지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시간 및 의료기관의 담당의에게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 접수를 수행하는 기능; 및
    d)상기 등록한 클라이언트의 권한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신상 및 진료, 처방, 검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40006618A 2004-02-02 2004-02-02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KR10104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618A KR101047140B1 (ko) 2004-02-02 2004-02-02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618A KR101047140B1 (ko) 2004-02-02 2004-02-02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483A true KR20050078483A (ko) 2005-08-05
KR101047140B1 KR101047140B1 (ko) 2011-07-07

Family

ID=3726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618A KR101047140B1 (ko) 2004-02-02 2004-02-02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1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64B1 (ko) * 2005-08-08 2007-03-20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6-12-21 고현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KR102356778B1 (ko) * 2021-04-08 2022-02-08 주식회사 랩82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인증 기술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및 전염병 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5900A (ko) * 2021-11-23 2023-05-31 (주)엑스센싱 바이오 키 기반의 개인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039A (ko) * 2016-09-02 2018-03-12 남기원 응급환자 신고용 개인정보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484A (ko) * 1999-12-10 2001-07-04 장용우 지문인식을 이용한 문서 자동발급시스템 및 자동발급방법
KR20020007506A (ko) * 2000-07-14 2002-01-29 노환규 인터넷 기반 병원 진료 예약 방법과 그 시스템
KR20030082300A (ko) * 2002-04-17 2003-10-22 (주)아이. 이. 에스 2차원 칼라 바코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64B1 (ko) * 2005-08-08 2007-03-20 강성욱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6-12-21 고현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KR102356778B1 (ko) * 2021-04-08 2022-02-08 주식회사 랩82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인증 기술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및 전염병 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5900A (ko) * 2021-11-23 2023-05-31 (주)엑스센싱 바이오 키 기반의 개인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140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00B1 (ko) 사용증명방식 블록체인 기반의 일회용 개인키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335440B1 (en) Health status system, platform, and method
US8275995B2 (en) Identity authentication and secured access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US202001683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electronic medical and health records
Flores Zuniga et al. Biometrics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US7941534B2 (en) System and method to authenticate users to computer systems
US7191451B2 (en) Medical system with a management software, database, and a network interface to protect patient information from unauthorized personnel
CN105339949B (zh) 用于管理对医学数据的访问的系统
TW510997B (en) Privacy and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a world-wide-web site
US2005018266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atient controlled access of medical records
EP4165644A1 (en) Health safety system, service, and method
KR101528785B1 (ko) 개인정보 소유자의 동의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정보 보호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30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edical data
WO2006091956A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ross enterprise data sharing in a healthcare setting
JP4723909B2 (ja) データ交換方法、データ交換管理装置およびデータ交換管理プログラム
KR20020081306A (ko) 전자 카드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56988A1 (en) Medical emergency-response data management mechanism on wide-area distributed medical information network
US20210243185A1 (en) Tap and Go PHI System
CN110692103A (zh) 系统的登录方法
KR101754659B1 (ko) 응급구조 시의 안전한 자동권한위임 방법
WO20182324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CONFIRMATION
KR101047140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JP6118128B2 (ja) 認証システム
WO2004038630A1 (en) Secure method to identify and retrieve patient information
US20220278840A1 (en)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utilization control device, user terminal, utiliz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