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17B1 -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317B1
KR102130317B1 KR1020180159666A KR20180159666A KR102130317B1 KR 102130317 B1 KR102130317 B1 KR 102130317B1 KR 1020180159666 A KR1020180159666 A KR 1020180159666A KR 20180159666 A KR20180159666 A KR 20180159666A KR 102130317 B1 KR102130317 B1 KR 102130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bongan
box
content
dec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992A (ko
Inventor
정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융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융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융합기술
Priority to KR102018015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3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봉안함에 접속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추모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 및 사진 등의 업-다운 로드와 추모의 글쓰기, 종교적 콘텐츠 등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A Smart cinerary box system with a transparent display uni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s in real time that through internet and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격지 봉안함에 접속하여 추모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례문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유교적 관습에 따라 화장(火葬)보다는 매장을 선호하였으나, 최근에는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화장하는 비율이 매장하는 비율보다 훨씬 높아졌다. 화장을 한 경우에는 유골을 납골함(유골함)에 넣어 납골당(추모공원)의 봉안함 내에 안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기존에 설치되었던 봉안함은 일반적으로 전면이 유리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납골함, 고인과 관련된 사진, 위패(종교에 따라 십자가, 불상 등), 기념품, 조화 등을 넣어 두는 방식이며, 유가족 등 방문객이 고인을 추모하기 위하여 납골당을 방문할 경우 봉안함 앞에서 간단한 묵념을 한 후에 되돌아 오는 것이 전부이다.
종래에는 방문객이 납골당을 방문했을 경우 봉안함 앞에서 한동안 머물러 있을 만한 이벤트가 없었으나, 최근에는 납골당(추모공원)이 단순히 납골함을 보관하는 기능 이외에 봉안함에 디스플레이장치 및 음향장치와 같은 전자장치 등을 설치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하면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봉안함이 출현하면서 추모문화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장치가 부착된 봉안함에 관하여,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15-136831호 "납골함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기술은 봉안함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여 납골함 내부가 보이도록 하거나 임의의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 것인데, 이런 추모 방식은 방문객이 봉안함을 직접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으로 방문하지 못할 경우, 또는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고인을 추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인의 모습이 기억에서 잊혀져 가게 되므로 추모의 시간이 점차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봉안함 내부에 조명을 하도록 구성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점(dot) 형태의 LED광원을 사용하고 있어서, 전면부에서 LED 불빛이 직접 보이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부로 납골함 내부를 빛을 균등하게 투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격지에 있는 봉안함에 접속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추모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 및 사진 등의 업-다운 로드와 추모의 글쓰기, 고인이 돌아가시기 전에 지정한 미래의 날짜에 고인이 지정한 대상에게 미래편지쓰기, 종교적 콘텐츠 등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은, 스마트 봉안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납골당에 안치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봉안함; 납골당에 위치하는 봉안함의 위치와 방명록을 확인할 수 있는 키오스크장치; 상기 서버에 접속되는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봉안함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고인의 영정사진이 표시되는 고인 영정사진 콘텐츠 표시영역, 헌화가 표시되는 헌화 콘텐츠 표시영역, 종교 관련 콘텐츠가 표시되는 종교 콘텐츠 표시영역, 추모객이 등록한 추모의 글이 표시되는 추모글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봉안함의 복수의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 또는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용자는 상주 이용자 및 일반 이용자로 구분되고, 일반 이용자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인의 상주 이용자에게 추모 허락을 요청하고, 상주 이용자가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모 허락을 허가한 경우에만 일반 이용자가 고인에 대한 추모의 글을 작성할 수 있고, 상주 이용자는 서버 관리자가 권한을 수락하면 추모 허락을 요청한 일반 사용자에 의한 해당 봉안함으로의 접속을 수락, 거절, 퇴출할 수 있으며, 상기 봉안함의 복수의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 또는 추가하는 것은 상주 이용자에게만 허가하여 봉안함에 디스플레이된 추모객의 악의적인 콘텐츠 변경 또는 제어를 방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 이용자가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인에 대한 추모의 글을 등록하면, 서버는 일반 이용자가 등록한 추모의 글을 봉안함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추모글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추모의 글이 등록되었음을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푸쉬 메시지를 통해 상주 이용자에게 통보되고, 상주 이용자가 선택한 일반 이용자에게 추모글 전달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에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주변을 따라 표시되는 테두리 컨텐츠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테두리 컨텐츠, 헌화 콘텐츠, 종교 콘텐츠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구매 메뉴를 통해 구매 가능하고, 구매된 콘텐츠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보관함에 보관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인의 영정사진, 테두리 콘텐츠, 헌화 콘텐츠, 종교 관련 콘텐츠, 이미지, 동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은 납골당에 설치되고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고, 키오스크 장치는 납골당을 방문한 이용객에게 고인의 봉안함이 위치된 구역, 단, 열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키오스크 장치는 고인에 대한 방명록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용자가 키오스크 장치를 통해 방명록을 작성하면 서버는 고인의 상주 이용자에게 새로운 방명록이 작성되었음을 통보하고, 상주 이용자는 고인 상세보기 화면에 제공되는 방명록 보기 버튼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은, 전면에 장착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봉안함 내의 납골함 및 기념품 등을 볼 수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인의 생전 모습을 담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사진, 동영상, 음성 등)가 디스플레이 되며, 고인의 유가족 또는 추모객이 원격지에서도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웹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스마트 봉안함 서비스에 접속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추모의 글 등을 기록하면 봉안함의 전면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서 연동하여 적용되므로 더욱 뜻 깊은 추모의 장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당 등에 안치되는 봉안함과 봉안함의 조명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의 고인 등록 화면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의 메인 메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의 고인 찾기 메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에서 추모 수락 요청을 한 이후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추모 수락 요청을 받은 상주 이용자의 스마트 봉안함의 내 봉안함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의 내 봉안함에 등록된 고인들에 대한 추모 요청 수락/거절에 따른 결과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내 봉안함 상세보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통해 콘텐츠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이용하여 이미지 갤러리 또는 동영상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콘텐츠 컨트롤 탭을 이용하여 추모글 또는 알림글을 작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화면에 제공되는 이미지 갤러리 버튼 또는 동영상 갤러리 버튼을 이용하여 각각 이미지 갤러리와 동영상 갤러리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삭제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콘텐츠 보관함에 보관된 콘텐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방명록 보관함에 보관된 방명록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추모 요청이 허락된 고인의 상세보기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스마트 봉안함 설정 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키오스크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키오스크 초기 화면에서 방명록 작성을 터치한 경우 제공되는 고인 찾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선택된 고인에 대해 방명록 작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2는 일정 시간 경과 후 나타나는 문양 표시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인데,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은 납골당 등과 같은 장소에 고인의 유골이 안치되는 봉안함(10)과, 봉안함(1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서비스 제공 서버(2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 가능한 이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납골당에 안치되는 봉안함(10)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봉안함(10a∼10i)을 포함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봉안함으로 설명하지만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봉안함(10)"은 단수 및 복수를 모두 의미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봉안함(10)은 공유기 또는 라우터와 같은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20)에 접속되는데, 각각의 봉안함(10)은, 예를 들면, 이더넷 기반의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를 통해 AP에 접속될 수 있으며, 서버(20)는 봉안함이 위치하는 건물이나 또는 봉안함과 떨어진 원격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웹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버이거나, 또는 이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이거나,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30)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가능한 이동식 단말(30a)이거나, 노트북, 랩탑 컴퓨터 또는 PC와 같은 고정식 단말(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300))을 통해 또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서버(20)에 접속하고, 봉안함(10)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하거나 새로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30)을 통해 봉안함(10)의 설정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연결되는 키오스크 장치(4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 장치(40)는 납골당 등과 같은 장소에 비치되어 납골당에 방문한 추모객들에게 현장에서 찾고자 하는 납골당의 단/열을 포함하는 위치를 알려주고 또한 방문록 등을 작성하며, 이를 서버(20)에 통지하고 상주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의 (B)는 상기 봉안함(10)의 조명부(14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a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안함(10)은, 박스 형태의 몸체(120), 몸체(120)에 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감싸도록 형성된 프레임부(130) 및 봉안함 상부에 형성된 조명부(140)를 포함한다.
몸체(120)의 내부는 납골함이나 고인의 기념품 등이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고, 몸체(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몸체(120)의 내부로 납골함이나 기념품 등을 수납할 때 문으로 이용되도록 개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감싸는 프레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몸체에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138)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봉안함(10) 내에 있는 납골함이나 기념품 등을 볼 수 있도록 하고, 투명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고인의 생전모습을 사진, 영상, 음성 형태로 보고 들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소리의 재생을 위해 봉안함의 디스플레이 프레임부(130)에는 소리출력부 또는 스피커(135)가 더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봉안함(10)의 상부에는 몸체(120)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부(140)가 더 설치된다. 도 2a의 (B)는 본 발명의 봉안함(10)에 채용된 조명부(14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봉안함에 채용되는 LED 조명의 경우 점(dot) 형태의 LED를 봉안함의 상측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봉안함(10)은 전면에 투명 디스플레이(100)이를 채용함에 따라 기존의 점(dot) 형태의 LED 광원을 사용할 경우 전면부에서 LED 불빛이 직접 보여짐에 따라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납골함에 빛을 균등하게 투영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명부(140)는, 몸체(120)의 상단부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141), 반사 패널의 하측에 설치되는 도광판(145), 도광판의 4변 중 적어도 마주보는 2변에 설치되고 도광판의 측면에서 발광되는 LED 어레이(143), 및 도광판(145)과 복수의 LED 어레이 하부에 설치되는 광확산판(147)을 포함한다.
복수의 LED 어레이(143)가 도광판(145)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광판 내부가 광이 조사되고 도광판(145) 내부로 진입한 광이 반사판과 도광판에 의해 도광판의 수직하방으로 조사되고, 도광판 하부에 위치된 확산판(147)에 의해 봉안함(10) 내부 공간으로 부드럽게 확산되어 비춰지게 된다. 따라서 LED 도트(dot) 광원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봉안함(10)에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회로보드가 설치되고,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에 저장된 고인과 관련된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소리 콘텐츠 등을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거나, 이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 콘텐츠(예를 들면, 방명록, 추모글 등)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하거나 스피커(13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유가족 또는 추모객이 납골당을 방문하면, 봉안함(10)은 이용자 입력에 따라 봉안함(10) 전면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서 추모글, 추모 영상 등을 구현 가능하게 되어 고인의 추모를 위해 방문한 납골당이 더욱 뜻 깊은 추모의 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봉안함(10)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b는 봉안함(10)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은,
1) 고인 영정사진 표시영역,
2) 꽃(또는 헌화) 콘텐츠 표시영역,
3) 종교 관련 표시영역,
4) 추모글 표시영역,
5) 이미지 갤러리 버튼,
6) 동영상 갤러리 버튼,
7) 메뉴 잠금 버튼,
8) 고인 관련 정보 표시영역
으로 구분된다.
한편 이와 같은 메인 화면은 봉안당에 방문한 추모자가 봉안함(10)을 콘트롤하는 경우 나타나게 되며, 봉안함(10)에 미리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30초) 이상 봉안함에 어떤 콘트롤도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골당에서 지정한 공통무늬로 변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봉안당의 통일문양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인의 이름, 생년월일 등과 같은 메인 화면에 노출되는 고인의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화면 구성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더하여 투명 터치 스크린이 더 부가된 경우 봉안함(10)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서 인가된 이용자(예를 들면, 상주 또는 가족)가 변경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서버(20)의 웹 사이트의 봉안함 상세 페이지 상에서 또는 스마트폰 등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통해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 등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스마트 봉안함의 화면이 오프라인에 위치된 봉안함의 메인 화면과 연동하여 변경되는 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용자는 먼저 본 발명의 따른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구글의 스토어 또는 애플 스토어 등을 통해 다운로드 하여 자신의 이동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를 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이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인 페이지 화면에서 제공되는 회원가입 메뉴를 통해 스마트 봉안함 서비스에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이용자는 회원가입 정보에서 최소한의 정보(예를 들면, 아이디, 비밀번호, 국가, 이름, 연락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절차를 통해 회원으로서 등록될 수 있다.
회원은 가입시 특정 조건에 따라 상주 이용자와 일반 이용자로 구별되어 권한이 부여되는데, 상주 이용자는 봉안함(10)을 구입하고 이용하는 이용자를 의미하고, 일반 이용자는 봉안함을 구매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이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상주 이용자의 ID는 봉안함(10)의 메인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지만, 일반 이용자의 경우 봉안함(10)의 메인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권한은 없고 추모글을 남기거나 콘텐츠를 구매하여 장바구니에 넣어두는 권한만 부여된다.
따라서 상주 이용자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회원 등록시 스마트 봉안함은 도 3과 같은 고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반면 일반 이용자의 경우에는 고인 정보를 건너뛰기 하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한편, 고인이 죽음을 맞이하기 전, 상주 이용자가 봉안함(10)을 미리 구매한 경우 상주 이용자에게는 미래 편지 쓰기 기능이 주어진다. 미래 편지 쓰기 기능은 고인이 돌아가시기 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인척관계(예를 들면, 아들, 고모, 삼촌, 조카 등)을 선택하고 고인이 남기고자 하는 대상자에게 유언 또는 메시지를 남기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아들에 대한 메시지, 고모에 대한 메시지, 삼촌에 대한 메시지, 조카에 대한 메시지 등과 같이 해당하는 인척관계별로 작성될 수 있다.
미래 편지 쓰기 기능을 통해 남겨진 메시지는 후일 고인이 돌아가신 후 추모인이 일반 이용자로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을 할 때 입력되는 고인 관계 정보(예를 들면, 아들, 고모, 삼촌, 조카 등)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메시지가 일반 이용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메시지가 전달되는 일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인이 미리 지정한 특정 날자에 일괄적으로 모두에게 발송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 미래 편지 쓰기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메시지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인이 육성으로 남긴 음성 메시지일 수도 있고, 고인의 모습이 촬영된 동영상 메시지일 수도 있다.
도 3은 회원 가입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나타나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구성을 나타낸다. 봉안함(10)을 구입하지 않은 일반 이용자의 스마트 봉안함에는 고인이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주 이용자의 경우 회원 가입시 고인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스마트 봉안함에는 상주 본인이 등록한 고인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자신이 등록한 봉안함을 볼 수 있는 스마트 봉안함 메뉴, 관련 콘텐츠 구매하기 위한 콘텐츠 구매 메뉴, 현재 로그인한 이용자를 나타내는 로그인 이용자 표시, 추모글을 피드백하여 이용자가 확인 못한 추모글 건수를 나타내는 추모글 피드 메뉴, 고인을 찾아 일반 이용자 또는 상주 이용자 자신의 스마트 봉안함에 등록하기 위한 고인 찾기 메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 봉안함 메뉴, 콘텐츠 구매 메뉴, 로그인 이용자 표시, 추모글 피드 메뉴 및 고인 찾기 메뉴는 일반 이용자 또는 상주 이용자에게 모두 공통으로 적용된다.
먼저, 일반 이용자의 경우 본 스마트 보관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인을 추모하고자 하는 경우 메인 메뉴에서 제공된 고인 찾기 메뉴를 통해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을 찾고 스마트 봉안함의 내 봉안함 메뉴에 등록할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인 찾기 메뉴를 통해 고인 찾기 동작을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용자는 먼저 고인 찾기 메뉴를 클릭 또는 터치 하고 고인 찾기 화면에서 제공되는 검색창에 고인의 이름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면 서버(20)는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는 고인들을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표시하게 되고, 이용자는 표시된 고인 정보 중에 한 명을 선택하여 고인과의 관계 등을 선택하여 고인에 대한 추모 요청을 서버(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서버(20)는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고인에 대한 추모 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고인의 상주 이용자의 ID 검색하고, 이를 상주 이용자 ID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 이용자에 의한 고인에 대한 추모 요청은, 상주 이용자가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에서 고인의 관계를 포함하는 추모 요청을 수신하고 상주가 이를 허락한 경우에만 일반 이용자에게 추모글을 올릴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악의성 있는 추모 및 비방글이나 상업적 광고 등이 올라갈 수 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봉안함을 통해 추모 요청을 신청한 고객은 내 봉안함 메뉴를 통해 표시된다. 도 6은 추모 요청한 고인들에 대한 정보가 사진 및 고인정보가 함께 표시되고, 고인의 상주 이용자로부터의 추모 요청 수락 상태가 표시되게 된다.
한편, 도 7은 이와 같은 수락 요청을 받은 상주 이용자의 스마트 봉안함의 내 봉안함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주 이용자는 자신의 봉안함에서 일반 이용자의 수락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활성화된 수락 버튼 또는 거절 버튼을 통해 일반 이용자의 수락요청을 허락 또는 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의 내 봉안함에 등록된 고인들에 대한 추모 요청 수락/거절에 따른 결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모 요청이 대기중인 상태, 추모요청이 거절된 상태, 추모 요청이 허가된 상태로 각각 구별되도록 표시되어 이용자가는 본인이 등록한 고인에 대한 추모 가능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며, 추모 허가된 고인에 대해서 추모글을 남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 봉안함에서 본인이 상주로 있는 고인에 대해서는 리본 모양과 같은 식별 표식이 제공되어 본인이 관리 중인 봉안함을 별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인이 상주로서 관리하고 있는 봉안함에 대해서는 상세보기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 화면으로의 진입은 도 8의 노란 리본이 표시된 고인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상세보기 버튼을 이용하여 상세보기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내 봉안함 상세보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내 봉안함 상세보기 화면은 전술한 바와 같은 납골당에 안치중인 봉안함(10)의 화면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내 봉안함 상세보기 화면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화면을 예로 들 수 있다.
1) 고인 영정사진 표시 영역,
2) 꽃(또는 헌화) 콘텐츠 표시 영역,
3) 종교 관련 콘텐츠 표시 영역,
4) 추모글 표시 영역
5) 이미지 갤러리 버튼
6) 동영상 갤러리 버튼,
7) 각종 콘텐츠(테두리, 이미지, 동영상 등) 컨트롤 탭
8) 미리보기 버튼
9) 게시하기 버튼
10) 콘텐츠 보관함 버튼
11) 방명록 버튼
12) 콘텐츠 구매 페이지로 이동 버튼
특히 상주 이용자는 7)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통해 게시되는 콘텐츠들, 예를 들면, 고인 영정 사진, 꽃 콘텐츠, 종교 관련 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등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통해 콘텐츠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의 탑-다운 방식의 메뉴를 통해 (a)는 테두리 콘텐츠, (b) 헌화 콘텐츠, (c) 및 종교 관련 콘텐츠를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중에서 선택하여 변경하거나,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이용하여 이미지 갤러리 또는 동영상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상주 이용자는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통해 이미지 갤러리 또는 동영상 갤러리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콘텐츠 컨트롤 탭을 이용하여 추모글 또는 알림글을 작성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주 이용자는 글작성 아이콘을 클릭한 후 표시되는 화면 상의 추모글 등록 기능을 통해 추모의 글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추모의 글은 도 12에서 "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봉안함의 하단부 영역에 표시된다. 작성된 글은 또한 납골당에 안치된 봉안함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추모글 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작성된 글은 고인에 대해 추모 요청이 허락된 이용자들에게 푸쉬 등의 알림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상주 이용자는 도 9에서 "5" 및 "6"으로 표기된 바와 같은 이미지 갤러리 버튼 또는 동영상 갤러리 버튼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 콘텐츠 또는 동영상 콘텐츠를 서버에 등록할 수 있고 또한 서버에 등록된 이미지 콘텐츠 또는 동영상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13 및 도 14는 화면에 제공되는 이미지 갤러리 버튼 또는 동영상 갤러리 버튼을 이용하여 각각 이미지 갤러리와 동영상 갤러리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삭제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내 봉안함 상세보기 화면은, 도 9에서 "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콘텐츠 보관함 기능을 더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세보기 화면에서 콘텐츠 보관함 메뉴를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자신이 보관 중인 헌화, 테투리, 종교 관련 콘텐츠를 선택, 적용, 삭제 및 검색할 수 있다. 도 15는 전술한 바와 같은 콘텐츠 보관함에 보관된 콘텐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내 봉안함 상세보기 화면은, 도 9에서 "1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명록 기능을 더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세보기 화면에서 방명록 메뉴를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현재 작성된 방명록의 리스트 또는 이미지를 볼 수 있고, 또한 작성된 방명록의 이미지를 삭제 관리할 수 있다. 도 16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명록 보관함에 보관된 방명록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이용자가 추모 요청을 신청하고 추모 요청이 허락된 고인에 대한 고인 상세보기, 즉 이용자가 상주가 아닌 일반 이용자로서 스마트 봉안함을 이용하는 경우 고인 상세보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서 추모 요청이 허가된 고인은 내 봉안함에서 "3"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용자는 고인의 사진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고인 상세보기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7은 추모 요청이 허락된 고인의 상세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일반 이용자는 고인의 상세보기 화면의 추모글 남기기 메뉴를 통해 고인의 상주 또는 가족이 아닌 고인에 대한 추모글을 남길 수 있다. 일반 이용자가 남긴 추모글은 서버(20)를 통해 도 9에서 "4"로 표시한 바와 같은 추모글 영역에 기록되고 상주 이용자에게는 푸쉬 메시지 등을 통해 추모글이 등록되었음이 통보되고, 동시에 등록된 추모글은 스마트 봉안함 뿐만 아니라 납골당에 안치된 봉안함(10)의 추모글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일반 이용자의 경우, 상주 이용자와 같이 고인의 메인화면에 대해 수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 이용자의 메인메뉴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구매 메뉴를 통해 테두리 콘텐츠, 헌화 콘텐츠 및 종교 관련 콘텐츠를 구매하고, 구매된 콘텐츠를 고인의 상주 이용자에게 선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물로서 제공된 콘텐츠는 상주 이용자가 허락하면 상주 이용자의 콘텐츠 보관함에 저장되고 상주 이용자는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하여 고인의 영정 화면을 더 아름답게 꾸밀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봉안함(10)을 이용하는 상주 이용자의 경우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설정 기능을 통해 봉안함(10)의 각종 기능 설정 및 봉안함(10)의 고장 신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전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 봉안함 설정 기능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이다. 이용자는 스마트 봉안함의 어느 화면 페이지에서도 도 18a에 도시한 것 처럼 스마트 폰의 화면 슬라이드 기능을 통해 설정 메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메뉴는 추모글(on/off), 디바이스 정보, 봉안함 고장 등록, 이관 및 계약 해지 메뉴가 표시된다.
이용자가 추모글 ON/OFF 기능 중 OFF 선택하면 사용자의 스마트 봉안함이나 봉안함(10)에는 추모글이 표시되지 않고, 추모글 ON을 선택하면 반대로 사용자의 스마트 봉안함이나 봉안함(10)에 추모글이 표시된다. 또한, 상주 이용자가 추모글 OFF를 선택된 경우 다른 추모객 역시 해당하는 고인에 대해 추모글을 작성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이용자가 도 18a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안함(10)에 대한 각종 설정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이용자는 이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일련번호, 인증번호, 업데이트 주기, 창자동 종료 사용 여부, 창 자동 종료시간, 메뉴 잠금, 자동실행, 자동슬라이드 기능, 자동 슬라이드 주기, 이미지 변경 시간, 동영상 자동종료 사용 여부, 동영상 자동종료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은 서버와 통신하는 키오스크(4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40)는 봉안함이 비치되는 납골당에 설치되고, 납골당을 직접 방문한 추모객은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고인의 봉안함이 어느 구역의 몇단 몇열레 위치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고인에 대한 방명록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키오스크(40)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방문객은 키오스크에 제공된 화면을 통해 고인의 봉안함의 위치를 검색하거나 방명록을 작성하거나 방명록을 검색할 수 있다. 방문록 작성을 터치한 경우 키오스크의 화면은 고인 찾기 화면으로 변경되고 방명록 검색을 터치한 경우 작성된 방명록을 조회할 수 있는 리스트 화면으로 이동된다.
도 20은 키오스크 초기 화면에서 방명록 작성을 터치한 경우 제공되는 고인 찾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용자는 고인의 이름 등을 검색창에 입력하고 화면 상에 표시된 고인중 추모하고자 하는 고인을 선택한다. 고인이 선택되고 나면 키오스크의 화면은 방명록 작성화면으로 이동된다.
도 21은 선택된 고인에 대해 방명록 작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방문객은 표시된 화면 상에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방명록을 작성하고, 또한 메뉴 상에 저장된 지우개 기능을 이용하여 작성된 방명록의 글을 삭제할 수도 있다. 방명록 작성이 완료되면 방문객은 메뉴 상의 저장하기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작성된 방명록은 서버(20)를 통해 고인의 상주 이용자의 방명록에 저장되는 동시에 푸시 메시지 등을 통해 상주 이용자에게 새로운 방명록이 작성되었음을 통보한다.
또한, 추모객이 키오스크를 통해 고인 찾기 화면에서 고인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고인의 봉안함이 위치한 구역, 단, 열의 번호가 함께 제공되어 추모객이 고인을 찾기 위해 봉안함 관리소를 찾을 필요가 없이 신속하게 고인의 봉안함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고인 추모 사이트 처럼 온라인 상에서만 표출되거나,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방식이 아닌, 원격지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 또는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변경된 콘텐츠들이 실시간으로 원격지 봉안당안에 있는 봉안함에 반영되어 원거리에서 봉안함의 콘텐츠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봉안함 장치 10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몸체 130 : 프레임부
20 :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30 : 이용자 단말기
40 : 키오스크
300 :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

Claims (7)

  1. 스마트 봉안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납골당에 안치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봉안함;
    납골당에 위치하는 봉안함의 위치와 방명록을 확인할 수 있는 키오스크장치;
    상기 서버에 접속되는 이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봉안함은 봉안함의 몸체의 상단부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 반사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도광판, 도광판의 네 변 중 적어도 마주보는 두 변에 설치되고 도광판의 측면에서 발광되는 LED 어레이, 및 도광판과 복수의 LED 어레이 하부에 설치되는 광 확산판을 포함하고, LED 어레이로부터의 광이 도광판 내부로 진입되고 도광판 내부로 진입한 광이 반사판과 도광판에 의해 도광판의 수직하방으로 조사되고, 도광판 하부에 위치된 광 확산판에 의해 봉안함 내부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안함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고인의 영정사진이 표시되는 고인 영정사진 콘텐츠 표시영역, 헌화가 표시되는 헌화 콘텐츠 표시영역, 종교 관련 콘텐츠가 표시되는 종교 콘텐츠 표시영역, 추모객이 등록한 추모의 글이 표시되는 추모글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봉안함의 복수의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 또는 추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상주 이용자 및 일반 이용자로 구분되고,
    일반 이용자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인의 상주 이용자에게 추모 허락을 요청하고, 상주 이용자가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모 허락을 허가한 경우에만 일반 이용자가 고인에 대한 추모의 글을 작성할 수 있고,
    상주 이용자는 서버 관리자가 권한을 수락하면 추모 허락을 요청한 일반 사용자에 의한 해당 봉안함으로의 접속을 수락, 거절, 퇴출할 수 있으며,
    상기 봉안함의 복수의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 또는 추가하는 것은 상주 이용자에게만 허가하여 봉안함에 디스플레이된 추모객의 악의적인 콘텐츠 변경 또는 제어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일반 이용자가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인에 대한 추모의 글을 등록하면, 서버는 일반 이용자가 등록한 추모의 글을 봉안함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추모글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추모의 글이 등록되었음을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푸쉬 메시지를 통해 상주 이용자에게 통보되고, 상주 이용자가 선택한 일반 이용자에게 추모글 전달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주변을 따라 표시되는 테두리 컨텐츠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테두리 컨텐츠, 헌화 콘텐츠, 종교 콘텐츠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구매 메뉴를 통해 구매 가능하고, 구매된 콘텐츠는 스마트 봉안함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보관함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고인의 영정사진, 테두리 콘텐츠, 헌화 콘텐츠, 종교 관련 콘텐츠, 이미지, 동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 콘텐츠 컨트롤 탭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은 납골당에 설치되고,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고,
    키오스크 장치는 납골당을 방문한 이용객에게 고인의 봉안함이 위치된 구역, 단, 열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키오스크 장치는 고인에 대한 방명록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용자가 키오스크 장치를 통해 방명록을 작성하면 서버는 고인의 상주 이용자에게 새로운 방명록이 작성되었음을 통보하고, 상주 이용자는 고인 상세보기 화면에 제공되는 방명록 보기 버튼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KR1020180159666A 2018-12-12 2018-12-12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KR10213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66A KR102130317B1 (ko) 2018-12-12 2018-12-12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66A KR102130317B1 (ko) 2018-12-12 2018-12-12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92A KR20200071992A (ko) 2020-06-22
KR102130317B1 true KR102130317B1 (ko) 2020-07-08

Family

ID=7114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666A KR102130317B1 (ko) 2018-12-12 2018-12-12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3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15B1 (ko) * 2006-04-14 2008-07-11 텔미정보통신 주식회사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방법
KR101411070B1 (ko) * 2012-07-19 2014-06-25 오명진 장례 시스템
KR20180130961A (ko) * 2017-05-31 2018-12-10 (주)유미테크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봉안함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92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73166A (zh) 一种提供与附件对应的内容的方法及电子装置
US20140136996A1 (en) Virtual remembrance system
US11336768B2 (en) Visual translation for telephone commands
CN103488860A (zh) 远程纪念遗体被埋葬在纪念设施中的死者的纪念系统和方法
US9985942B2 (en) Portable sign-in service
BR112014019335B1 (pt) Sistema e método de serviços remotos de integração
WO2016063554A1 (ja) 拡張現実システム
US20120011570A1 (en) Web-based aid for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
EP3295449A1 (fr) Tableau d'affichage electronique, systeme et procede associes
US202003945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20230419758A1 (en) Access Control Smart System
JP6156859B2 (ja) 異常事態対応システム
KR102130317B1 (ko)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 납골함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봉안함 시스템
US20160344675A1 (en) Memorial website, system and method
US10200333B1 (en) Virtual bulletin board system
CN202995734U (zh) 远程纪念遗体被埋葬在纪念设施中的死者的纪念系统
JP2014081724A (ja) 情報処理装置、そ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75520A (ko) 사이버 추모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추모 방법
US20210211608A1 (en) Remote gravesite experience system
Papadaki Curating lights and shadows, or the remapping of the lived experience of space
US10242595B2 (en) Visually impaired accessible signage
Strejilevich Performative memorial sites and resistance in Argentina
Lushetich On the Performativity of Absence: Death as community
JP3242681U7 (ja) ホログラム入力式遺影投射装置
KR20190092071A (ko) 기부유도 기능을 갖는 사이버 추모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