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935B1 - 가죽제의 시접장치 - Google Patents

가죽제의 시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935B1
KR101410935B1 KR1020130051664A KR20130051664A KR101410935B1 KR 101410935 B1 KR101410935 B1 KR 101410935B1 KR 1020130051664 A KR1020130051664 A KR 1020130051664A KR 20130051664 A KR20130051664 A KR 20130051664A KR 101410935 B1 KR101410935 B1 KR 10141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eather
rod
gear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민
Original Assignee
정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민 filed Critical 정창민
Priority to KR102013005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1/00Finishing the edges of leather pieces, e.g. by folding, by bur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2700/00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Making driving belts; Machines for splitting intestines
    • C14B2700/07Leather tensioning or stretching frames; Stretching-machines; Setting-out boards; Pasting boards; Fastening devices; Drying of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죽제의 시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제가 도포된 가죽제의 가장자리를 시접하는 작업대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죽제를 시접하는 시접부와, 상기 시접부의 전방에 가죽제를 눌러주는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정확하고 간편하게 시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시접부의 작동과 지지부를 함께 눌러 시접하도록 함으로써, 시접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가죽제의 시접장치{APPARATUS FOR A MARGIN TO SEAM OF LEATHERS}
본 발명은 가죽제의 시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죽제품의 가장자리 부위를 매끄럽고 미려하게 접어주는 가죽제의 일면 또는 양면의 가장자리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시접할 수 있도록 한 가죽제의 시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죽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제품에는 가죽제의 일면 또는 양면 가장자리 부위를 매끄럽게 제작하기 위해 가죽제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죽과 가죽을 접착하거나, 접착제가 도포된 가죽의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시접 공정을 반드시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접 공정은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많은 량을 제작하게 되는 경우 일일이 수작업할 수 없어 장치를 이용하지 않으면 도저히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시접장치(등록특허 10-0285775호, 명칭;가죽류 외장재 시접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작업대(1)의 상부에 가죽류 외장재 지지기구(2)와, 작업대(1) 선단의 외장재 시접기구(3)를 구성하고, 상기 외장재 지지기구(2)는 공압으로 테이블작업대 상면의 외장재(11)를 지지판(22)으로 누르도록 공압 구동 피스톤로드(24) 말단에 지지판(22)을 부착하여 구성하며, 외장재 시접기구(3)는 작업대 (1)선단에 시접 헤드(31)를 힌지 동작 되도록 설치하고, 공압 구동 피스톤 로드(33)에 시접헤드(31)를 연결하여 공압 구동 피스톤로드(33)의 운동으로 시접헤드(31)를 작동하여 외장재 지지기구(2)로 지지하고 있는 외장재(11)의 가장자리를 시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접장치는 외장재(11)를 시접하기 위해 작업대(1)의 상면에 올려 시접 위치로 밀어 넣을 때, 상기 외장재(11)가 움직이지 않도록 눌러서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기구(2)가 전방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작업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게 되어 상기 외장재(11)를 시접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없어 외장재(11)를 정확하게 시접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의 시접장치는 외장재(11)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기구(2)와, 상기 외장재(11)를 시접하는 외장재 시접기구(3)가 각각 별도의 공압기구의 피스톤 로드(24)(33)로 각각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시접시 먼저 외장재 지지기구(2)를 구동하여 외장재(11)를 지지하고 난 후, 시접기구(3)를 구동하여 시접하는 즉 일련의 두 단계의 과정을 걸쳐 시접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가죽제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의 시접 작업시,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하여 정확한 시접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가죽제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의 시접을 간편하게 시접할 수 있는 시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가죽제가 놓여지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후단 양측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작업대의 후단과 고정부에 설치되어 가죽제를 시접하는 시접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제를 눌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시접부의 양측단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 축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회동봉, 상기 회동봉의 하면에 결합 형성되는 누름바, 상기 회동봉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누름바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시접부는 작업대의 하부 내측에 고정 형성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작동기, 상기 작동기의 작동로드와 힌지 결합되어 가죽제를 시접하는 시접헤드, 상기 시접헤드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헤드고정대, 상기 헤드고정대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를 승하강 시키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작동기는 전기모터, 전기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결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결합되는 제3 기어, 상기 제3 기어의 축에 축설되어 함께 회동하는 회동링, 상기 제3 기어의 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시접헤드와 결합되는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링크, 상기 전기모터와 회동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링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로드가 작동하면서 상기 전기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 및 회동링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로드를 작동시키는 작동돌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작동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의 시접부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누름바, 상기 누름바의 양측단에 로드의 상단을 고정 결합하는 실린더로 형성하되, 상기 로드는 작업대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누름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는 작업대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접착제가 도포될 가죽제의 가장자리를 시접하는 작업대의 후단에 설치되는 시접부와, 상기 시접부의 전방으로 가죽제를 눌러주는 지지부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접부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는 시접부의 작동과 함께 작동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정확하고 간편하게 시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접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작동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가죽제 삽입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시접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작동기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접장치(100)는 가죽제(10)가 놓여지는 작업대(20), 상기 작업대(20)의 후단 양측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30), 상기 작업대(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죽제(10)를 시접하는 시접부(40),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되고 상기 시접부(40)의 작동시 함께 작동하여 상기 가죽제(10)를 지지하는 지지부(5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시접장치(100)는 작업대(20)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50)의 하방으로 가죽제(10)를 밀어넣어 상기 가죽제(10)의 선단이 상기 시접부(40)의 끝단에 맞닿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시접부(40)를 작동시키면 시접부(40)의 작동과 함께 상기 지지부(50)가 하방으로 작동하면서 가죽제(10)를 눌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시접부(40)는 회동하면서 가죽제(10)의 가장자리를 접어 작업대(20)의 상면으로 눌러주면서 시접하게 된다.
상기 작업대(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다리를 형성하고 상부에 사각형상의 판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의 판상에는 시접하고자 하는 가죽제(10)가 놓여지게 된다.
고정대(30)는 상기 작업대(20)의 상면 후단 양측 가장자리에 상부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고정대(30)는 선단과 후단에 상기 작업대(20)와 볼트로 고정 형성하여 상기 작업대(20)로부터 외력에 의해 움직임이나 이탈되지 않게 고정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대(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사각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접부(40)는 작업대(20)의 후단과 상기 고정대(3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작업대(20)의 상면에 놓여지는 가죽제(10)의 가장자리를 시접하게 되며, 상기 시접부(40)는 작업대(20)의 하부 내측에 상방으로 작동로드(41)를 구비한 작동기(42)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작동기(42)의 작동로드(41)는 상기 가죽제(10)를 시접하는 시접헤드(43)와 힌지(44)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시접헤드(43)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고정부(30)의 내측면과 회동되게 결합되는 헤드고정대(4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4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421), 상기 전기모터(421)의 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422), 상기 제1기어(422)와 결합되는 제2 기어(423), 상기 제2 기어(423)와 결합되는 제3 기어(424)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기어(424)의 축에 축설되어 함께 회동하는 회동링(425), 상기 제3 기어(424)의 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시접헤드(43)와 결합되는 작동로드(41)와 연결되는 링크(426), 상기 전기모터(421)와 회동링(42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링(4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기모터(421)의 전원을 차단하는 선단에 스위치로드(427)이 구비된 스위치(428), 및 회동링(425)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427)를 작동시키는 작동돌기(429)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기모터(421)의 구동시 함께 구동하는 제1기어(422)에 의해 제2 기어(423)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제3 기어(4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동링(425)과 링크(426)를 회전시켜 링크(426)에 결합된 작동로드(41)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동링(425)의 1 회전하게 되면, 회동링(425)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428)가 전기모터(421)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로드(427)를 작동시키게 되어 상기 스위치(428)는 상기 전기모터(421)의 전원을 차단하여 더 이상 작동기(42)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기(42)는 전기적신호를 이용한 전기모터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시접헤드(4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죽제(10)가 놓여지는 받침단(431), 상기 받침단(431)의 상단에 가죽제(10)의 가장자리 끝단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단(432)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단(432)은 받침단(43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가죽제(10)의 가장자리 시접되는 부위의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게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접헤드(43)는 작업대(20)의 상면에 삽입되는 가죽제(20)의 가장자리가 상기 걸림단(431)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고정시킨 후, 상기 걸림단(431)을 기준으로 가죽제(20)의 가장자리를 접어주면서 시접하게 된다.
헤드고정대(45)는 일측면을 내측으로 절삭하여 상기 시접헤드(43)의 측면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 형성하게 되고, 상기 시접헤드(43)가 고정되지 않은 측면의 상부에는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451)을 형성하여 일종의 편심 캠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헤드고정대(45)의 타측면은 상기 고정부(30)의 내측면에 회동되게 축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접헤드(43)와 힌지(44)로 결합된 작동기(42)의 작동로드(41)가 신장, 압축 작동시, 상기 헤드고정대(45)는 상기 고정부(30)를 기준으로 시접헤드(43)와 함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시접작업을 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고정대(45)의 경사면(451)으로 상기 후술할 지지부(5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지지부(50)는 작업대(20)에 형성된 시접헤드(43)의 전방과 상기 고정부(20)와 사이에 내측으로 형성되게 되며, 상기 지지부(50)는 고정부(30)의 내측면에 축으로 일측이 상하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회동봉(51), 상기 회동봉(51)의 하면에 상기 가죽제(10)를 눌러주는 누름바(52). 상기 상하로 회동하는 회동봉(51)의 일측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누름바(52)와 작업대(20)를 하방으로 관통하여 작업대(20)에 고정되는 스프링(53)으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53)은 인장 스프링으로 형성하여 항상 상기 회동봉(51)의 일측을 하방으로 당겨 상기 누름바(52)가 하방으로 작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헤드고정대(45)와 마주보는 위치의 회동봉(51)의 일측 선단이 상기 헤드고정대(45)의 경사면(451)의 상면에 놓여지게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헤드고정대(4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시, 경사면(451)에 놓여진 지지부(50)의 회동봉(51)은 스프링(53)의 인장력에 의해 경사면(451)을 벗어나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봉(51)의 저면에 결합된 누름바(52)가 작업대(20)에 놓여진 가죽제(10)를 눌러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헤드고정대(4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헤드고정대(44)의 경사면(451)이 상기 회동봉(51)의 일측 선단 저면을 밀어서 들어올려 주게 되고, 이때 상기 경사면(451)의 회동은 회동봉(51)에 결합된 스프링(53)의 인장력을 이기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어 상기 누름바(52)는 작업대(20)로부터 이격되어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에 가죽제 삽입 상태도 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20)의 고정부(30)에 형성된 지지부(50)의 회동봉(51)은 상기 작업대(20)의 후단에 형성된 시접부(40)의 시접헤드(43)가 고정 형성된 헤드고정대(45)의 경사면(451)에 의해 인장력을 받으면서 들어 올려져 있게 되어 상기 회동봉(51)의 하면에 형성된 누름바(52)가 작업대(20)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시접하고자 하는 가죽제(10)를 상기 작업대(20)의 상면과 상기 누름바(52)의 하부 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작업대(20)의 후단에 형성된 시접부(40)의 시접헤드(43)에 형성된 걸림단(432)에 맞닿게 삽입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시접 작동 상태도 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접헤드(43)에 형성된 걸림단(432)에 가죽제(10)가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4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기(41)의 링크(42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작동로드(41)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힌지(44)로 결합된 시접헤드(43)를 상부로 들어올리면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시접헤드(43)의 회전은 시접헤드(43)가 고정 결합된 헤드고정대(45)를 시계방향으로 함께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접헤드(43)과 함께 회동하는 헤드고정대(45)의 경사면(451)으로 받쳐 주고 있던 지지부(50)의 회동봉(51)은 헤드고정대(45)의 경사면(451)의 회동에 의해 작업대(20)에 고정된 스프링(53)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회동봉(51)의 하면에 결합된 누름바(52)는 가죽제(10)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하는 시접헤드(43)는 계속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걸림단(431)에 걸려 있는 가죽제(10)의 가장자리를 수직 상태로 접어주고 계속해서 회전하는 시접헤드(43)는 가죽제(10)의 가장자리를 접은 상태에서 작업대(20)에 눌러주게 되어 상기 가죽제(10)의 가장자리를 시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접헤드(43)를 회전 작동시키는 작동기(42)는 계속해서 회전동작하게 되고 계속되는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시접헤드(43)는 작동기(42)의 링크(426)의 회전동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하게 되고, 상기 시접헤드(43)와 함께 회동하는 헤드고정대(45)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헤드고정대(45)의 경사면(451)은 작업대(20)의 가죽제(10)를 눌러주고 있던 지지부(50)의 회동봉(51)을 들어올려 주게 된다.
상기 회동봉(51)은 상기 스프링(53)의 인장력을 이기면서 작업대(20)의 상면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누름바(52)를 올려줌으로써, 시접이 완료된 가죽제(10)를 시접헤드(43)로부터 빼내게 됨으로써 가죽제(10)의 시접 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가죽제의 시접장치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20), 고정부(30), 시접부(40), 헤드고정대(45)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지지부(50)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50)의 누름바(52)는 상기 고정부(30)의 내측으로 상기 시접부(40)의 시접헤드(43)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바(52)의 양측단은 하부가 작업대(20)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54)로 승,하강되게 결합하되, 상기 누름바(52)는 작업대(20)의 상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실린더로드(55)에 고정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접 작업시 실린더(54)의 실린더로드(55)를 상부에서 하부로 작동시켜 가죽제(10)를 눌러 고정하고, 시접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54)의 실린더로드(55)를 하부에서 상부로 작동시켜 상기 누름바(52)를 가죽제(10)로부터 이완하여 상기 가죽제(10)를 누름바(52)로부터 빼내게 됨으로써 가죽제(10)의 시접작업이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가죽제 20; 작업대
30; 고정부 40; 시접부
41; 작동로드 42; 작동기
43; 시접헤드 431; 받침단
432; 걸림단 44; 힌지
45; 헤드고정대 451; 경사면
50; 지지부 51; 회동봉
52; 누름바 53; 스프링
54; 실린더 55; 실린더로드

Claims (5)

  1. 가죽제가 놓여지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후단 양측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작업대의 후단과 고정부에 설치되어 가죽제를 시접하는 시접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제를 눌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시접부의 양측단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제의 시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 축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회동봉,
    상기 회동봉의 하면에 결합 형성되는 누름바,
    상기 회동봉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누름바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제의 시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부는 작업대의 하부 내측에 고정 형성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작동기,
    상기 작동기의 작동로드와 힌지 결합되어 가죽제를 시접하는 시접헤드,
    상기 시접헤드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헤드고정대,
    상기 헤드고정대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를 승하강 시키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제의 시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전기모터, 전기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결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결합되는 제3 기어,
    상기 제3 기어의 축에 축설되어 함께 회동하는 회동링,
    상기 제3 기어의 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시접헤드와 결합되는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링크,
    상기 전기모터와 회동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링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로드가 작동하면서 전기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 및
    상기 회동링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스위치로드를 작동시키는 작동돌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제의 시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의 시접부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누름바,
    상기 누름바의 양측단에 로드의 상단을 고정 결합하는 실린더로 형성하되,
    상기 로드는 작업대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누름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는 작업대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제의 시접장치.
KR1020130051664A 2013-05-08 2013-05-08 가죽제의 시접장치 KR10141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64A KR101410935B1 (ko) 2013-05-08 2013-05-08 가죽제의 시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64A KR101410935B1 (ko) 2013-05-08 2013-05-08 가죽제의 시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935B1 true KR101410935B1 (ko) 2014-07-01

Family

ID=5174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664A KR101410935B1 (ko) 2013-05-08 2013-05-08 가죽제의 시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8583A (zh) * 2018-07-16 2018-12-14 南通思瑞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皮革自动绷板机用夹持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376U (ja) * 1992-04-22 1993-11-19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自動口伏せ縫い装置
KR20000060351A (ko) * 1999-03-15 2000-10-16 최선진 가죽류 외장재 라운드 시접 장치
KR100285775B1 (ko) 1999-02-19 2001-03-15 최선진 가죽류 외장재 시접 장치
KR20120049561A (ko) * 2010-11-09 2012-05-17 윤영수 피혁 접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376U (ja) * 1992-04-22 1993-11-19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自動口伏せ縫い装置
KR100285775B1 (ko) 1999-02-19 2001-03-15 최선진 가죽류 외장재 시접 장치
KR20000060351A (ko) * 1999-03-15 2000-10-16 최선진 가죽류 외장재 라운드 시접 장치
KR20120049561A (ko) * 2010-11-09 2012-05-17 윤영수 피혁 접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8583A (zh) * 2018-07-16 2018-12-14 南通思瑞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皮革自动绷板机用夹持器
CN108998583B (zh) * 2018-07-16 2024-03-26 南通思瑞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皮革自动绷板机用夹持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5320B2 (ja) ヘミング加工装置およびヘミング加工装置の点検方法
CN107321875A (zh) 一种钮扣的铆压装置
KR102156039B1 (ko) 전기모터를 이용한 홀 커팅 기계
CN211394883U (zh) 一种激光开袋装置
BR102012012045A2 (pt) Dispositivo de prensa acoplável com uma máquina de costura, máquina de costura e método para costura de um tecido de espessura variável
CN202482601U (zh) 一种花样缝纫机的压布装置
KR101410935B1 (ko) 가죽제의 시접장치
CN109594220B (zh) 一种贴袋机
CN205915069U (zh) 夹持装置
KR100876706B1 (ko) 테두리 장식용 재봉틀의 주머니 천 공급장치
TW200728548A (en) A device for sewing braiding or the like and an embroidery machine or quilting machine with such a device
CN106012328A (zh) 服装袖侧折叠车缝机构及服装袖侧折叠车缝方法
JP4909102B2 (ja) 刺繍ミシン
CA2210569A1 (en) Locker patch attachment system
JP2007097764A (ja) ミシンのスタッカ装置
CN102943353B (zh) 全自动贴袋机的叠料装置
CN204455527U (zh) 切布包边一体机
JP2006149440A (ja) ミシン
CN109594222A (zh) 贴袋机的叠料装置
CN106868725B (zh) 一种开袋机的夹持装置
KR20150068773A (ko) 옷수선장치
CN211092069U (zh) 一种拷钮自动烫衬装置
CN104695142B (zh) 切布包边一体机
WO2012032615A1 (ja) フライサージング装置
CN203096374U (zh) 用于缝纫机的翻转压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