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773A - 옷수선장치 - Google Patents

옷수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773A
KR20150068773A KR1020130154832A KR20130154832A KR20150068773A KR 20150068773 A KR20150068773 A KR 20150068773A KR 1020130154832 A KR1020130154832 A KR 1020130154832A KR 20130154832 A KR20130154832 A KR 20130154832A KR 20150068773 A KR20150068773 A KR 2015006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repair
pair
rollers
grip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석
Original Assignee
김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석 filed Critical 김병석
Priority to KR102013015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773A/ko
Publication of KR2015006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재단, 오버로크, 단뜨기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일체화한 옷수선장치를 제공한다. 옷수선장치는 i) 옷을 걸어서 옷에 상하 방향의 장력을 부여하고 회전 가능한 거치 유닛, ii) 거치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고, 옷을 수선하기 위한 수선 디바이스들과 수선 디바이스들이 장착되어 수선 디바이스들을 지지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수선 유닛, 및 iii) 턴테이블과 이웃하여 위치하고, 옷을 파지하여 옷을 접도록 적용되며, 옷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복수의 파지부들을 포함하는 폴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옷수선장치 {DEVICE FOR REPARING CLOTHES}
본 발명은 옷수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재단, 오버로크, 단뜨기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일체화한 옷수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옷 수선 사업의 사양화로 인해 인력난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옷을 수선하는 작업자는 대부분 고령자이고, 젊은 인력이 유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옷 수선 작업은 어느 정도의 숙련된 작업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옷이라는 부드러운 소재의 특성상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바지 등의 단 수선시, 재단기, 미싱, 오버로크, 밑단 접음, 단뜨기의 작업을 각각 별개의 기계에서 실시하여 옷을 수선하고 있다. 따라서 옷 수선에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고, 작업 속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재단, 오버로크, 단뜨기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한번에 수행할 수 있는 옷수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수선장치는 i) 옷을 걸어서 옷에 상하 방향의 장력을 부여하고 회전 가능한 거치 유닛, ii) 거치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고, 옷을 수선하기 위한 수선 디바이스들과 수선 디바이스들이 장착되어 수선 디바이스들을 지지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수선 유닛, 및 iii) 턴테이블과 이웃하여 위치하고, 옷을 파지하여 옷을 접도록 적용되며, 옷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복수의 파지부들을 포함하는 폴딩 유닛을 포함한다.
수선 디바이스들은, i) 한 쌍의 제1 롤러들 및 한 쌍의 제1 롤러들과 이격 배치된 오버로크부를 포함하는 오버로크기, ii) 오버로크기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한 쌍의 제2 롤러들 및 한 쌍의 제2 롤러들과 이격 배치된 단뜨기부를 포함하는 단뜨기 장치, 및 iii) 오버로크기 및 단뜨기 장치와 이격 배치되고, 옷의 양측에서 옷을 파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적용된 길게 뻗은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과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 중 한 파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설치되어 홈부를 따라 옷을 재단하면서 이동하도록 적용된 커팅부를 포함하는 재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수선장치는, i) 오버로크기 및 단뜨기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버로크기 및 단뜨기 장치를 각각 회전시키는 회전테이블들, 및 ii) 오버로크기 및 단뜨기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오버로크기 및 단뜨기 장치를 턴테이블의 중심으로부터 턴테이블의 외부로 각각 가변 이동시키로록 적용된 이송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들은, i) 옷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파지부들, 및 ii) 복수의 제1 파지부들의 외측에 위치하고, 벤딩되는 제2 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유닛은, i) 제1 파지부들을 고정 지지하고, 제1 파지부들을 회전 고정시키는 제1 힌지부들이 장착되며, 승하강되는 제1 승하강부, 및 ii) 제1 승하강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 파지부들을 고정 지지하고, 제2 파지부들을 회전 고정시키는 제2 힌지부들이 장착되며, 승하강되는 제2 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파지부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파지부는, i) 지지대, ii) 지지대와 연결된 모터, iii)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적용되고, 옷을 흡입 파지하는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수선장치는 i) 옷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고정대, 및 ii) 고정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옷을 파지 고정하도록 적용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옷수선장치를 사용하여 바지 등의 단을 한번에 수선할 수 있다. 또한, 옷수선장치 공정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수선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선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옷수선장치를 이용한 옷 수선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수선장치(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옷수선장치(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옷수선장치(1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수선장치(100)는 거치 유닛(10), 수선 유닛(20) 및 폴딩 유닛(30)을 포함한다. 이외에, 옷수선장치(100)는 고정대(40)와 고정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선 대상인 옷(C)은 케이싱(60)에 수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먼저, 거치 유닛(10)은 옷걸이의 기능과 유사하게 옷(C)을 걸어서 옷에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의 장력을 부여한다. 즉, 옷(C), 예를 들면 도 1의 바지의 단부를 수선하는 경우, 옷(C)이 잘 펴져야 수선이 쉽다. 따라서 옷(C)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케이싱(60)의 상부에 위치한 거치 유닛(10)을 이용해 옷(C)을 잘 펴준다. 한편, 거치 유닛(10)에 포함된 회전판(101)은 도 1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즉, 옷(C)을 수선하는 경우, 양다리 중 일단 한쪽 다리의 단부를 수선한 후에 다른쪽 다리의 단부를 수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쪽 다리를 먼저 수선 유닛(20)에 인접 배치시켜 수선한 후 회전판(101)을 사용해 옷(C)을 회전시켜서 다른쪽 다리를 수선 유닛(20)에 인접 배치해 수선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옷(C)의 모든 다리들의 단부를 수선할 수 있다.
옷수선장치(100)는 자동판매기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케이싱(60) 외부에 노출된 선택 버튼(50)을 눌러서 옷(C)의 수선에 필요한 수치, 예를 들면 옷(C)의 재단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옷(C)의 재단 길이를 선택하면 거치 유닛(10) 또는 턴테이블(201)이 승강하면서 옷(C)의 재단에 필요한 높이로 수선 디바이스들(203)이 배치된다. 선택 버튼(50)에 의한 거치 유닛(10) 또는 턴테이블(201)의 승강 제어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수선 유닛(20)은 턴테이블(201)과 수선 디바이스들(203)을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수선 유닛(20)은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201)은 회전하면서 옷(C)을 수선하기 위해 필요한 수선 디바이스들(203)을 옷(C)에 인접 배치시킨다. 이를 위해 턴테이블(201) 위에는 수선 디바이스들(203)이 지지되어 장착된다. 턴테이블(201)의 상세 구조 및 작동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수선 디바이스들(203)은 거치 유닛(10)의 아래에 위치한다. 수선 디바이스들(203)은 옷(C)에 이웃하여 옷(C)에 접근하면서 옷(C)을 수선한다. 이를 위해 수선 디바이스들(203)은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를 포함한다. 재단기(2035)는 옷(C)을 자르고, 오버로크기(2031)는 잘려진 옷(C)의 단부를 휘갑치기하여 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하며, 단뜨기 장치(2033)는 옷(C)의 단부를 접어서 바느질 처리하고 옷(C)의 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옷(C)의 기장을 조절한다. 한편, 도 1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선택 버튼(50)을 눌러서 옷(C)의 재단에 사용되는 실의 색깔도 선택할 수 있다. 실의 색깔을 선택하는 경우, 오버로크기(2031)와 단뜨기 장치(2033)의 내부에 장착된 실패가 자동으로 변경되면서 원하는 색의 실로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 이외에 미싱을 별도로 턴테이블(201) 위에 함께 장착할 수도 있다. 미싱을 이용하여 옷(C)에 천을 덧대어 박음질할 수도 있다.
한편, 폴딩 유닛(30)은 단뜨기 장치(2033)가 옷(C)의 단부를 바느질 처리하기 전에 옷(C)의 단부를 접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해 폴딩 유닛(30)은 옷(C)의 길이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복수의 파지부들(301, 305)을 포함한다. 복수의 파지부들(301, 305)을 이용하여 옷(C)을 파지하여 옷의 단부를 쉽게 접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40)는 옷(C)의 길이 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고정대(40)는 케이싱(60)의 내벽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42)는 고정대(40)에 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미도시)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옷(C)을 파지해 고정한다. 고정부(42)는 x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부(42)의 단부에 흡입공을 형성하여 공기 흡입에 의해 옷(C)을 고정하거나 고정부(42)의 단부를 로봇팔 형태로 제조하여 옷(C)을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옷(C)의 단부 위에서 옷(C)을 파지함으로써 옷(C)의 단부를 좀더 쉽게 수선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42)는 선택버튼(50)에 의해 이와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즉, 선택버튼(50)에 의해 수선에 필요한 옷(C)의 기장 길이가 선택되는 경우, 이에 부합하도록 고정부(42)가 적절하게 이동하여 옷(C)을 파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수선 유닛(20)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즉, 도 2는 도 1의 수선 유닛(20)을 z축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수선 유닛(20)의 평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선 유닛(2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201) 위에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가 위치한다.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를 사용하여 각각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오버로크기(2031)와 단뜨기 장치(2033)의 하부에는 각각 회전테이블(205)이 배치된다. 회전테이블(205)은 턴테이블(201) 위에 위치한다. 도 2에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205)이 회전하면서 그 위에 위치한 오버로크기(2031)와 단뜨기 장치(2033)가 회전한다. 회전테이블(205)을 통 형상을 가지는 옷(C)의 아래, 예를 들면 바지의 단부 아래로 오버로크기(2031)와 단뜨기 장치(2033)를 각각 이송한 후 오버로크기(2031)와 단뜨기 장치(2033)를 회전테이블(205)에 의해 각각 회전시키면서 바지의 단부를 처리한다. 따라서 회전테이블(205)의 크기는 바지의 통 크기에 대응한다.
이송기(207)는 각각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에 부착되어 턴테이블(201) 위에 위치한다.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기(207)는 턴테이블(201)의 중심으로부터 그 외부측으로 각각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를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이송기(207)는 그 길이가 가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를 옷(C)(도 1에 도시, 이하 동일) 근처로 이송해 옷(C)을 수선하고 옷(C)의 수선이 완료되면 오버로크기(2031), 단뜨기 장치(2033) 및 재단기(2035)를 다시 턴테이블(20) 위로 리턴시킨다. 한편, 도 2에는 재단기(2035)에도 이송기(207)가 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이송기(207) 없이 재단기(2035)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의 재단기(2035)는 선형 파지부(2035a), 홈부(2035b)(도 3에 도시, 이하 동일), 커팅부(2035c) 및 회전축부(2035d)를 포함한다. 이외에, 재단기(2035)는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재단기(2035)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재단기(2035)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파지부(2035a)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게 뻗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파지부(2035a)를 가운데로 모으거나 양쪽으로 펴서 옷(C)의 양측에서 옷을 파지하여 고정 또는 그 파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2035a) 중 한 선형 파지부(2035a)의 측면에 홈부(2035b)를 형성하고 홈부(2035b)를 따라 커팅부(2035c)를 이동시켜서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2035a)에 의해 고정된 옷(C)을 안정적으로 재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하여 도 1의 옷수선장치(100)를 이용한 옷의 수선 과정을 차례대로 설명한다. 이러한 옷의 수선 과정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3은 재단기(2035)를 이용하여 옷(C)을 재단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좀더, 상세하게는, 옷(C)인 바지의 단을 줄이는 과정을 나타낸다. 재단기(2035)는 이송기(207)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기(207)가 적절한 길이로 조절되어 재단기(2035)를 옷(C)측으로 이송한다. 재단기(2035)는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2035a)을 포함하고,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2035a)이 모아지면서 옷(C)을 파지한다. 그리고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2035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2035b)을 따라 커팅부(2035c)가 이동하면서 옷(C)을 재단한다. 한편, 옷(C)을 재단하는 경우 옷(C)을 수직 상태, 즉 z축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부(42)로 옷(C)의 단부 위를 고정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옷(C)을 x축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재단할 수 있으므로, 좀더 정밀하게 옷(C)을 원하는 형태로 재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선형 파지부들(2035a)의 내측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히터가 내장된다. 따라서 후속 공정에서 옷(C)의 단부를 폴딩 유닛(30)을 이용하여 접은 후 바로 재단기(2035)를 이동시켜 선형 파지부들(2035a)을 이용해 옷(C)의 단부를 파지해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옷(C)의 단부를 빳빳하게 똑바로 잘 접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오버로크기(2031)를 이용하여 옷(C)의 단부를 휘갑치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도 3의 재단기(2035)를 이용해 재단한 옷(C)의 단부가 잘려 있으므로, 이를 휘갑치기해야 옷(C)의 단부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로크기(2031)를 이용하여 옷(C)의 단부를 휘갑치기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로크기(2031)는 한 쌍의 제1 롤러들(2031a) 및 오버로크부(203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롤러들(2031a)과 오버로크부(2031b)는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오버로크기(2031)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로크기(2031)는 옷(C)의 단부 아래 위치한 후 회전테이블(205)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옷(C)의 단부를 휘갑치기한다. 이 경우, xy 평면 방향으로 옷(C)에 장력을 주어야 옷(C)의 단부를 휘갑치기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턴테이블(201)(도 2에 도시)을 +z축 방향으로 승강시켜서 한 쌍의 제1 롤러들(2031a) 사이에 옷(C)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제1 롤러들(2031a)을 상호 접근 이동시켜서 옷(C)의 단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원활한 오버로킹 작업을 위해 옷(C)을 파지했던 고정부(42)를 해제시키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테이블(205)을 회전시키면, 먼저 한 쌍의 제1 롤러들(2031a)이 옷(C)의 단부를 팽팽하게 펴준 후 한 쌍의 제1 롤러들(2031a)을 따라 오버로크부(2031b)가 옷(C)의 단부를 휘갑치기한다. 따라서 회전테이블(205)이 1회전하면 옷(C)의 단부의 휘갑치기가 완료된다. 한편, 오버로크기(2031)의 기본적인 오버로킹 장치 구조 및 그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휘갑치기된 옷(C)의 내부로 폴딩 유닛(30)을 삽입하여 옷(C)을 접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 유닛(30)은 제1 파지부들(301), 제2 파지부들(305), 제1 승하강부(303) 및 제2 승하강부(307)를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폴딩 유닛(30)은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폴딩 유닛(3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폴딩 유닛(3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제1 파지부들(301)은 옷(C)의 길이 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따라서 제1 파지부들(301)은 옷(C)의 내부로 삽입되어 옷(C)을 파지한다. 이를 위해 제1 파지부들(301)의 단부에는 흡입부(3011)가 형성된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에어펌프 등을 이용하여 흡입부(30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제1 파지부들(301)이 옷(C)의 내부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옷(C)이 통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부합하도록 제1 파지부들(301)은 원형의 제1 승하강부(303)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제1 파지부들(301)은 제1 힌지부(3031)와 연결되어 제1 힌지부(303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힌지부(3031)는 모터(미도시) 등에 자동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옷(C)의 통 크기에 따라 제1 파지부들(301)을 회전시켜서 옷(C)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도와준다.
한편, 제2 파지부들(305)은 제1 파지부들(301)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파지부(305)는 지지대(3053), 모터(3055), 흡입부(3051)를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제2 파지부(305)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053)는 제2 힌지부(3071)와 연결되어 제2 힌지부(307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힌지부(3071)는 모터(미도시) 등에 자동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옷(C)의 통 크기에 따라 제2 파지부들(305)을 회전시켜서 옷(C)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도와준다. 모터(3055)는 지지대(3053)와 연결된다. 모터(3055)에 의해 제2 파지부들(305)은 벤딩될 수 있다. 흡입부(3051)는 모터(3055)와 연결되어 모터(3055)에 의해 회전한다. 흡입부(305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제2 파지부들(305)이 옷(C)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옷(C)이 통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부합하도록 제2 파지부들(305)은 원형으로 제2 승하강부(307)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제1 승하강부(303)는 제1 파지부들(301)을 고정 지지한다. 제1 승하강부(303)에는 제1 힌지부들(3031)이 장착되어 제1 파지부들(30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승하강부(303)는 제2 승하강부(307)와 독립적으로 상하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제2 승하강부(307)는 제1 승하강부(303)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승하강부(307)는 제2 파지부들(305)을 고정 지지한다. 제2 승하강부(307)에는 제2 힌지부들(3071)이 장착되어 제2 파지부들(30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승하강부(303)와 제2 승하강부(307)는 공압 또는 유압에 따라 움직인다. 제1 승하강부(303)와 제2 승하강부(307)의 승하강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폴딩 유닛(30)의 제2 파지부들(305)을 이용하여 옷(C)을 뒤집어 접을 수 있다. 즉, 흡입부(3051)로 옷(C)의 내부 또는 외부를 파지하고 고정부(42)를 옷(C)에서 떼어낸다. 그리고 제2 승하강부(307)에 의해 제2 파지부들(305)을 약간 상승시키면서 순간적으로 모터(3055)를 이용해 흡입부(3051)를 꺾는다. 이러한 순간적인 제2 파지부들(305)의 동작에 의해 옷(C)의 단부를 접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과정을 도 6을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제1 파지부(301)와 제2 파지부(305)의 동작에 따라 옷(C)의 내부로 단을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옷(C)의 내부에 제1 파지부(301) 및 제2 파지부(305)가 삽입 및 파지되어 옷(C)의 단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301)는 단순히 옷(C)의 내부를 파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파지부(301)는 제2 파지부(305)보다 높은 위치에서 흡입부(3011)의 흡입공(3011a)을 통하여 옷(C)의 내부를 안정적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제2 파지부(3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옷(C)의 단부를 접는다. 제1 파지부(301)에 의해 옷(C)의 내부를 -z축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제2 파지부(305)를 작동시켜서 옷(C)의 단부를 접으므로, 옷(C)을 접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파지부(305)의 흡입부(3051)에 형성된 흡입공(3051a)을 통하여 옷(C)의 외부를 흡입 파지한 후 모터(3055)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서 지지대(3053)를 내측으로 끌어당기면서 상승시킨다. 이 경우, 흡입부(3051)가 옷(C)의 외부에 부착된 상태로 옷(C)의 내부로 이동하므로, 옷(C)의 단부가 접히게 된다. 그 결과, 옷(C)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접을 수 있다. 즉, 도 6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공(3051a)을 통하여 옷(C)을 안정적으로 흡입 파지할 수 있으므로, 옷(C)의 단부를 잘 접을 수 있다.
한편, 흡입부(3051)에 형성된 흡입공(3051a)내에는 이격판(3051b)이 설치된다. 따라서 이격판(3051b)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그 양측으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즉 +x축 방향 및 -x축 방향을 향하여 각각 흡입공(305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양 흡입공(3051a)을 모두 이용하여 옷(C)의 단부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모두 접을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입공(3051a)을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흡입부(3051)의 흡입력을 최대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재단기(2035a)를 옷(C)으로 이동시켜 선형 파지부들(2035a)을 이용해 옷(C)의 단부를 파지한 후 선형 파지부들(2035a)에 내장된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옷(C)의 단부가 빳빳하게 똑바로 잘 접혀서 후속 공정에서 단뜨기를 쉽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단뜨기 장치(2033)를 이용하여 옷(C)의 단을 단뜨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즉, 도 5의 폴딩 유닛(30)을 이용해 재단한 옷(C)의 단부가 접혀져 있으므로, 이를 고정시켜야 옷(C)의 수선이 마무리될 수 있다. 따라서 단뜨기 장치(2033)를 이용하여 옷(C)의 단부를 단뜨기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뜨기 장치(2033)는 한 쌍의 제2 롤러들(2033a) 및 단뜨기부(2033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롤러들(2033a)과 단뜨기부(2033b)는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단뜨기부(2033b)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뜨기 장치(2033)는 옷(C)의 단부 아래 위치한 후 회전테이블(205)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옷(C)의 단부를 단뜨기한다. 즉,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옷(C)이 그 안쪽으로 접혀 있는 상태에서 단뜨기 장치(2033)를 옷(C)의 단부를 따라 회전시켜서 옷(C)을 접힌 상태로 고정한다. 이 경우, xy 평면 방향으로 옷(C)에 장력을 주어야 옷(C)의 단부를 휘갑치기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턴테이블(201)(도 2에 도시)을 +z축 방향으로 승강시켜서 한 쌍의 제1 롤러들(2033a) 사이에 옷(C)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제1 롤러들(2033a)을 상호 접근 이동시켜서 옷(C)의 단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원활한 단뜨기 작업을 위해 옷(C)을 파지했던 고정부(42)를 해제시키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테이블(205)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제2 롤러들(2033a)이 옷(C)의 단부를 팽팽하게 펴주고, 한 쌍의 제2 롤러들(2033a)을 따라 단뜨기부(2033b)가 옷(C)의 단부를 단뜨기한다. 따라서 회전테이블(205)이 1회전하면 옷(C)의 단부의 단뜨기가 완료된다. 한편, 단뜨기 장치(2033)의 기본적인 장치 구조 및 그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공정을 이용하여 옷(C)의 기장을 원하는 상태로 재단해 간단히 수선할 수 있다.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기계를 이용하여 옷(C)을 수선하므로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을 크게 줄여서 공간 사용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거치 유닛
101. 회전판
20. 수선 유닛
201. 턴테이블
203. 수선 디바이스
2031. 오버로크기
2031a, 2033a. 한 쌍의 롤러들
2031b. 오버로크부
2033. 단뜨기 장치
2033b. 단뜨기부
2035. 재단기
2035a. 선형 파지부
2035b. 홈부
2035c. 커팅부
2035d. 회전축부
205. 회전테이블
207. 이송기
30. 폴딩 유닛
301. 제1 파지부
3011, 3051. 흡입부
3051b. 이격판
3011a, 3051a. 흡입공
305. 제2 파지부
303. 제1 승하강부
307. 제2 승하강부
3031. 제1 힌지부
3071. 제2 힌지부
3053. 지지대
3055. 모터
40. 고정대
42. 고정부
100. 옷수선장치
50. 선택버튼
60. 케이싱
C. 옷

Claims (6)

  1. 옷을 걸어서 옷에 상하 방향의 장력을 부여하고 회전 가능한 거치 유닛,
    상기 거치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옷을 수선하기 위한 수선 디바이스들과 상기 수선 디바이스들이 장착되어 상기 수선 디바이스들을 지지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수선 유닛, 및
    상기 턴테이블과 이웃하여 위치하고, 상기 옷을 파지하여 상기 옷을 접도록 적용되며, 상기 옷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복수의 파지부들을 포함하는 폴딩 유닛
    을 포함하는 옷수선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수선 디바이스들은,
    한 쌍의 제1 롤러들 및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들과 이격 배치된 오버로크부를 포함하는 오버로크기,
    상기 오버로크기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한 쌍의 제2 롤러들 및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들과 이격 배치된 단뜨기부를 포함하는 단뜨기 장치, 및
    상기 오버로크기 및 상기 단뜨기 장치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옷의 양측에서 상기 옷을 파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적용된 길게 뻗은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과 상기 한 쌍의 선형 파지부들 중 한 파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설치되어 상기 홈부를 따라 상기 옷을 재단하면서 이동하도록 적용된 커팅부를 포함하는 재단기
    를 포함하는 옷수선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오버로크기 및 상기 단뜨기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버로크기 및 상기 단뜨기 장치를 각각 회전시키는 회전테이블들, 및
    상기 오버로크기 및 상기 단뜨기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오버로크기 및 상기 단뜨기 장치를 상기 턴테이블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의 외부로 각각 가변 이동시키로록 적용된 이송기들
    을 더 포함하는 옷수선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파지부들은,
    상기 옷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파지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파지부들의 외측에 위치하고, 벤딩되는 제2 파지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유닛은,
    상기 제1 파지부들을 고정 지지하고, 상기 제1 파지부들을 회전 고정시키는 제1 힌지부들이 장착되며, 승하강되는 제1 승하강부, 및
    상기 제1 승하강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지부들을 고정 지지하고, 상기 제2 파지부들을 회전 고정시키는 제2 힌지부들이 장착되며, 승하강되는 제2 승하강부
    를 더 포함하는 옷수선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파지부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파지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된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옷을 흡입 파지하는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
    를 포함하는 옷수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옷을 파지 고정하도록 적용된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옷수선장치.
KR1020130154832A 2013-12-12 2013-12-12 옷수선장치 KR20150068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32A KR20150068773A (ko) 2013-12-12 2013-12-12 옷수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832A KR20150068773A (ko) 2013-12-12 2013-12-12 옷수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773A true KR20150068773A (ko) 2015-06-22

Family

ID=5351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832A KR20150068773A (ko) 2013-12-12 2013-12-12 옷수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7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9B1 (ko) 2018-10-17 2019-04-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자동 바짓단 수선장치
KR102026182B1 (ko) * 2018-03-23 2019-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장치
KR102045921B1 (ko) 2018-12-12 2019-11-18 (주)에스엔 직물 재단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82B1 (ko) * 2018-03-23 2019-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장치
KR101972709B1 (ko) 2018-10-17 2019-04-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자동 바짓단 수선장치
KR102045921B1 (ko) 2018-12-12 2019-11-18 (주)에스엔 직물 재단 장치
WO2020122401A1 (ko) * 2018-12-12 2020-06-18 (주)에스엔 직물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9934B2 (ja) 変形性薄物展開装置および変形性薄物展開方法
WO2014078106A1 (en) Fabric article folding machine and method
JP2019524360A (ja) 改良された駆動メカニズムを備えたコンパクト型家庭用物品折たたみ機
US4196681A (en) Apparatus for loading tubular elements of textile material on mounting tubes in sewing machines
KR20150068773A (ko) 옷수선장치
MX2012009338A (es) Metodo y maquina para etiquetar conjuntos de lienzos.
JP2017148112A (ja) 被服の肩ヨーク布縫製装置及び肩ヨーク布縫製方法
WO2019237699A1 (zh) 自动衬衫袖叉机
JP4204154B2 (ja) 布類展張方法及び布類展張機
JP4043345B2 (ja) 布類展張方法及び布類展張機
KR102026187B1 (ko) 의류 폴딩 장치
JP3021655B2 (ja) 股部オーバーロッキングおよびシーミング装置
JP2007284820A (ja) 布類展張搬送機
CN105803685B (zh) 边缝缝纫机
KR102026182B1 (ko) 의류 폴딩 장치
JPH0350869Y2 (ko)
JP2019058520A (ja) 布類展開装置
KR101609728B1 (ko) 셔츠 프레스 및 이의 제어 방법
JP5022674B2 (ja) 衣類整形供給装置
EP2310565B1 (en) Trousers pressing machine
KR101817602B1 (ko) 재봉부 위치가 가변되는 자동 재봉장치
ITBO960567A1 (it) Procedimento di taglio di un materasso di strati di tessuto per agevolare il prelievo di pacchetti di pezzi tagliati e macchina per
JPS60188242A (ja) 生地の把持開口方法並びに装置
JP2007029629A (ja) 玉縁縫いミシン
KR20150068774A (ko) 의류용 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