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839B1 -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839B1
KR101410839B1 KR1020120107379A KR20120107379A KR101410839B1 KR 101410839 B1 KR101410839 B1 KR 101410839B1 KR 1020120107379 A KR1020120107379 A KR 1020120107379A KR 20120107379 A KR20120107379 A KR 20120107379A KR 101410839 B1 KR101410839 B1 KR 10141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oxide
solution
silica
coating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542A (ko
Inventor
나문경
강인호
김상철
문정현
주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83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0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 H01L21/0220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 H01L21/0221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the compound comprising silicon and oxy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리카 입자를 용매인 물에 분산시켜 실리카 용액을 형성시키고, 실리카 입자를 유기실란을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실리카 용액의 용매인 물을 유기용매로 대체시키는 제2단계와; 에폭시 수지가 용해된 용액을 상기 제2단계의 유기용매로 대체된 실리카 용액과 혼합시키고 반응시켜 혼합 용액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용액을 기판에 코팅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거친 후 12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용액 상태의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하여 3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를 제작하여, 유연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 소재의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silicon oxide for gate dielectrics using a low temperature process}
본 발명은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액 상태의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하여 3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를 제작하여 유연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 소재의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한 저온 공정을 이용한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은 주로 실리콘 옥사이드가 사용된다. 실리콘 옥사이드는 실리콘 기반 소자에서 절연 특성이 우수하고 계면 트랩이 작아 가장 우수한 절연막이다.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는 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제작된다.
첫 번째는 실리콘 기판을 900℃ 이상 1300℃ 이하 사이의 고온에서 산소나, 수증기 분위기에서 산화를 하여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한다.
다른 방법은 화학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이나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이용하는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한다.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전구체 (precursor)를 실리콘 옥사이드가 증착될 기판이 들어있는 진공 반응기 내로 흘려주게 되면, 전구체와 기판의 표면 반응에 의해 실리콘 옥사이드가 형성되게 된다. 전구체는 실란계 물질과 반응 가스로 이루어지며, 기판의 온도는 250℃에서 500℃의 높은 온도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소자의 대면적화와 집적화로 인해 실리콘 옥사이드보다 유전상수가 높은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또는 하프늄 옥사이드(HfO2) 등의 물질이 대체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물질들 또한 화학증착법 또는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할 경우 기판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실리콘 옥사이드 형성은 고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온 공정에서의 온도 제어에 어려움으로 인해 제작된 실리콘 옥사이드의 균일성의 문제와 고온으로 인해 기판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즉, 고온에서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열산화 공정이나 화학 증착법의 표면 반응이 불균일하게 일어나므로 형성되는 실리콘 옥사이드 또한 불균일하게 형성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높은 온도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기판에 제한되어 있어,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유연 기판 소자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액 상태의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하여 3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를 제작하여, 유연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 소재의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한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카 입자를 용매인 물에 분산시켜 실리카 용액을 형성시키고, 실리카 입자를 유기실란을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실리카 용액의 용매인 물을 유기용매로 대체시키는 제2단계와; 에폭시 수지가 용해된 용액을 상기 제2단계의 유기용매로 대체된 실리카 용액과 혼합시키고 반응시켜 혼합 용액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용액을 기판에 코팅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거친 후 12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제1단계의 표면 개질은 2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계의 유기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dimethylacetamide, DMA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의 코팅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슬롯 코팅(slot coating),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슬롯-다이 코팅(slot-die coating), 그라비어 코팅(gravure coating)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단계의 열처리 온도는 12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액 상태의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하여 3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를 제작하여, 유연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 소재의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용액 상태의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하여 3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를 제작하여, 유연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 소재의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의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의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를 용액 공정법을 이용하여 저온 공정으로 형성하는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 사이즈 입자의 실리카(이하 실리카 입자)를 이용하여 실리콘 옥사이드 막을 형성한다. 실리카 입자를 절연막 형태의 막(film)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막 형성에 유리한 고분자 물질과 용액 중에서 반응을 통하여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다.
용액 공정법으로 실리콘 옥사이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 사이즈 크기를 가진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였다. 실리카 입자는 표면의 하이드록시기(-OH)와 용액 중의 안정화 이온으로 물이나 유기용매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실리카 입자를 이용해 게이트용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실리카 입자만으로는 막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실리카 입자가 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공정을 거쳐야 한다. 실리카 입자가 막 형태로 연속적인 구조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메트릭스(metrix) 역할을 해주는 물질과 반응을 일으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표면의 하이드록시기를 다른 반응기로 치환시켜 주어야 한다.
표면개질에는 실리콘 원자(Si) 에 알콕시기(-OR, R: alkyl group)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실란이 이용된다. 실리카 입자의 하이드록시기와 유기실란의 알콕시가 반응을 일으켜 물 또는 알콜이 빠져나오고, 실리카 입자의 표면은 알콕시기로 대체되게 된다. 유기실란의 경우 실리콘 원자를 포함하고 있고 반응이 쉽게 일어나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된다. 유기실란은 실리카 함량 대비 0.5에서 10배가량 첨가하게 된다.
유기 실란은 실리카 입자와 연속적인 반응뿐 아니라 유기실란 간의 반응도 활발히 일으키므로, 반응의 진행 정도를 조절하기 힘들고 반응 중 높은 점도로 인해 용액이 굳어버려 막을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카 입자와 반응하는 유기실란의 양을 최소화하여 유기실란이 실리카 입자의 표면을 개질 할 수 있는 양만큼만 첨가하였다. 표면 개질을 통해 실리카 입자 표면의 하이드록시가 알콕시기로 대체되게 된다. 실리카의 표면 개질 반응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이것은 유기실란과의 초기의 급격한 반응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표면의 불균일한 개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기 실란을 실리카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반응을 일으킨다. 단계별로 시간은 3시간 이상 3일 정도 교반 시켜주면서 진행한다.
실리카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메트릭스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로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였다. 에폭시 수지는 절연 특성이 우수한 물질로 에폭시 간의 반응으로 인해 막을 형성하기에 유리한 물질이다. 에폭시 수지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표면 개질된 실리카와 혼합할 수 있는 용액 상태로 용해시킨다.
표면개질된 실리카와 에폭시 수지를 용해시킨 유기용매가 서로 혼합되는 용매이면 중량비에 따라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에서 1시간 가량 교반하면서 반응을 일으킨다. 표면개질된 실리카의 용매와 에폭시 수지의 용매가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면 추가의 공정이 필요하다. 이것은 실리카의 용매를 다른 용매로 대체해주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진공 감압기를 이용하여 두 용매 간의 끊는 점이 낮은 용매를 먼저 추출함으로써 용매를 대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표면개질된 실리카가 포함된 용액의 용매와 동일량 또는 과량의 교체하고자 하는 용매를 넣어준다. 그리고 진공감압기를 이용하여 원래 용매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용매 대체된 표면개질된 실리카와 에폭시 수지를 중량비에 따라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에서 1시간 가량 교반하면서 반응을 일으킨다. 혼합하는 중량비는 실리카가 10~80wt%가 되도록 한다. 혼합하는 질량비는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과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표면 개질된 실리카 입자는 단독으로는 코팅막을 형성할 수 없다. 에폭시 수지만을 이용하여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하기에는 에폭시 수지의 코팅막은 우수한 절연 특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표면 개질된 실리카와 에폭시 수지가 반응을 하여 만들어진 용액으로 기판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슬롯 코팅(slot coating),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슬롯-다이 코팅(slot-die coating), 그라비어코팅(gravure coating) 등의 용액으로 가능한 코팅 공정을 이용한다.
코팅된 절연막은 열처리를 걸쳐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가 형성된다. 코팅된 막을 120℃ 이상 300℃ 이하에서 열처리를 하게 된다. 용액 중의 표면개질된 실리카 입자의 알콕시기와 에폭시 수지의 반응은 열을 가하게 되면 개시되게 된다. 유연한 소재의 기판을 사용할 경우 기판이 변형되지 않고 열처리를 할 수 있는 온도가 250℃ 이므로, 120℃와 250℃ 사이의 온도에서 30분 이상의 열처리를 거쳐주게 되면 유연기판에도 게이트 절연막용 실리콘 옥사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이 실리콘이나 그 외 기판일 경우 300℃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가능하다. 에폭시 수지의 열분해로 인해 300℃ 이상에서 일어나기 시작하므로 그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해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물에 30wt%의 비율로 분산되어 있는 지름 12㎚의 실리카 입자를 유기실란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MTMS)과 페닐트리메톡시실란(phenyltrimethoxysilane, PTMS)을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시킨다. 실리카 표면의 하이드록시와 유기실란의 알콕시기가 반응하여 실리카 표면에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는 알콕시기가 된다.
유기실란은 이용한 개질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1단계에는 MTMS를 실리카 1몰에 대하여 0.03몰을 넣어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하며 반응을 진행시킨다. 2단계는 PTMS를 0.01몰 넣어 상온에서 18시간 교반하며 반응을 진행시킨다.
에폭시 수지가 용해된 용액과 혼합하기 위하여 2단계 종료 후 진공감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물에서 유기용매인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로 치환시킨다.
그리고 에폭시 수지는 trikis(glycidyloxyphenyl) methane(TGPM) 과 (3,4-epoxycyclohexane) methyl 3′-4′-epoxycyclohexyl-carboxylate(ECMECC)를 4:1의 비율로 혼합하고 경화제로써 Methylbicyclo[2.2.1]heptane-2,3-dicarboxylic anhydride(MBHDA)를 혼합하여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에 30wt%가 되도록 60℃에서 가열하며 용해시킨다. 반응개시제로서는 2-methylimidazole(2-MI)를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1 wt% 가 되도록 첨가시킨다.
두 물질을 용질 질량 비율 1:1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시킨다. 표면개질된 실리카와 에폭시 수지의 혼합 용액을 스핀 코팅법을 이용하여 고농도 도핑된 실리콘 웨이퍼에 300㎚ 두께로 코팅시킨다.
코팅막은 150℃에서 1시간 동안 용액 건조를 위해 열처리시키고, 연속적으로 18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실리콘 옥사이드 막을 제작한다.
제작된 코팅막의 상단과 실리콘 웨이퍼 아래쪽에 각각 알루미늄 전극을 증착하여 형성된 실리콘 옥사이드 막에 0V에서 50V의 전류를 가해주며 누설 전류를 측정하였다.
누설전류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절연막의 항복전압은 0.5 MV/cm로 나타났으며, 항복전압 이후에도 10-6/cm2 의 낮은 누설전류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실리카 입자를 용매인 물에 분산시켜 실리카 용액을 형성시키고, 실리카 입자를 유기실란을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실리카 용액의 용매인 물을 유기용매로 대체시키는 제2단계와; 에폭시 수지가 용해된 용액을 상기 제2단계의 유기용매로 대체된 실리카 용액과 혼합시키고 반응시켜 혼합 용액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용액을 기판에 코팅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거친 후 12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단계의 표면개질은, 유기실란과의 초기의 급격한 반응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표면의 불균일한 개질을 방지하기 위해 2단계의 공정으로 진행되고,
    상기 제2단계의 유기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코팅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슬롯 코팅(slot coating),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슬롯-다이 코팅(slot-die coating), 그라비어 코팅(gravure coating)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열처리 온도는 120℃ 내지 25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KR1020120107379A 2012-09-26 2012-09-26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KR10141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79A KR101410839B1 (ko) 2012-09-26 2012-09-26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79A KR101410839B1 (ko) 2012-09-26 2012-09-26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42A KR20140040542A (ko) 2014-04-03
KR101410839B1 true KR101410839B1 (ko) 2014-06-23

Family

ID=5065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379A KR101410839B1 (ko) 2012-09-26 2012-09-26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489B1 (ko) * 2017-10-25 2022-06-16 한국전기연구원 결정질 실리카-에폭시 나노복합절연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93991B1 (ko) * 2017-10-26 2022-05-02 한국전기연구원 결정질 알루미나-에폭시 나노복합절연소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137A (ko) * 1998-04-24 2006-06-15 쇼쿠바이가세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저유전율 실리카계 피막 형성용 도포액 및 저유전율피막으로 도포된 기재
KR100791049B1 (ko) 2006-07-28 2008-01-03 한국전기연구원 고분자수지와 소수화된 무기물로 형성된 유무기 하이브리드졸 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료
KR20090120257A (ko) * 2008-05-19 2009-11-24 한국전기연구원 유무기하이브리드 습식 절연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습식 절연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137A (ko) * 1998-04-24 2006-06-15 쇼쿠바이가세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저유전율 실리카계 피막 형성용 도포액 및 저유전율피막으로 도포된 기재
KR100791049B1 (ko) 2006-07-28 2008-01-03 한국전기연구원 고분자수지와 소수화된 무기물로 형성된 유무기 하이브리드졸 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료
KR20090120257A (ko) * 2008-05-19 2009-11-24 한국전기연구원 유무기하이브리드 습식 절연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습식 절연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42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95166A (ja) 電子デバイス、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作製方法
WO2014080841A1 (ja) シリカ質膜の形成方法及び同方法で形成されたシリカ質膜
JP2005509299A (ja) シロキサンポリマー界面を有する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JP4021131B2 (ja) 低誘電率シリカ系被膜形成用塗布液および低誘電率シリカ系被膜付基板
Park et al. Effects of vinylsilane-modified nanosilica particles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nanocomposites
JP3998979B2 (ja) 低誘電率シリカ系被膜の形成方法および低誘電率被膜付半導体基板
Sánchez-Ahumada et al. In-situ low-temperature synthesis of PS-ZrO2 hybrid films and their characterization for high-k gate dielectric application
KR101410839B1 (ko) 저온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옥사이드 게이트 절연막 제조방법
KR101895912B1 (ko) 실리카 막의 제조방법, 실리카 막 및 전자소자
CN109957261B (zh) 用于形成二氧化硅层的组合物、二氧化硅层以及电子装置
US20030091748A1 (en) Method for forming thin film from electrically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KR20110023411A (ko)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KR20210023018A (ko) 실리카 막 형성용 조성물 및 실리카 막
KR100383103B1 (ko) 저유전 절연재료의 제조방법
JP2004307693A (ja) 多孔質膜形成用組成物、多孔質膜の製造方法、多孔質膜、層間絶縁膜、及び半導体装置
KR101968224B1 (ko) 실리카 막의 제조방법, 실리카 막 및 전자소자
KR100683557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솔-젤 용액,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유전체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KR102255103B1 (ko) 실리카 막 제조방법, 실리카 막 및 전자소자
KR20190041822A (ko) 실리카 막 형성용 조성물, 실리카 막의 제조방법 및 실리카 막
Byun et al. One‐Step Fabrication of Hydrophobic Hybrid Gate Dielectrics for Low‐Voltage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CN115703943B (zh) 用于形成二氧化硅层的组合物、二氧化硅层以及电子装置
KR101591647B1 (ko) 고전압용 소자의 필드 옥사이드 제조방법
Na et al. Solution-processed crack-free oxide films formed using SiO2 nanoparticles and organoalkoxysiloxane precursors
TWI270530B (en) Use of multifunctional Si-based oligomer/polymer for the surface modification of nanoporous silica films
CN110105712A (zh) 一种抑制闪络电压降低的电绝缘材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