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545B1 -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545B1
KR101408545B1 KR1020117027235A KR20117027235A KR101408545B1 KR 101408545 B1 KR101408545 B1 KR 101408545B1 KR 1020117027235 A KR1020117027235 A KR 1020117027235A KR 20117027235 A KR20117027235 A KR 20117027235A KR 101408545 B1 KR101408545 B1 KR 10140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ide plates
frame members
plate
typ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043A (ko
Inventor
다케오 다카쿠라
사토루 다나카
유미 다나카
도시아키 가토
나오유키 기타
노부유키 가와바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Abstract

두께가 큰 슬래브여도, 하프 프리캐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은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및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를 재축 직교 방향으로 또한 서로 평행해지도록 연이어 형성함과 함께, 그것들을 재축 직교 방향을 따라 바인딩한다.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는 장척 형상의 저판 (4) 및 그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측판 (5, 5) 으로 이루어지고,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는 장척 형상의 저판 (6) 및 그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측판 (7, 8) 으로 이루어지는데, 측판 (5) 및 측판 (7) 은 그것들의 높이를 측판 (8) 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한다.

Description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HALF PRECAST FLOOR PLANK,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발전소의 터빈 가대 (架臺) 그 밖에 슬래브 두께가 큰 부위에 주로 적용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현장치기 콘크리트 대신에, 공장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 반입하고, 이것들을 소정 위치에 설치한 후, 인접 부위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구축하는 프리캐스트 공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공법에 따르면, 현장에서의 몰드폼 조립, 타설 콘크리트의 양생, 몰드폼 철거와 같은 일련된 콘크리트 관련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과 함께, 철근을 선행 매설해 두는 경우에는 배근 (配筋) 공정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 콘크리트 공사 전체의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프리캐스트 공법은, 부재 전체를 프리캐스트화시키는 이른바 풀 프리캐스트와, 부재의 일부를 프리캐스트화시키고 나머지를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로 대응하는 하프 프리캐스트로 크게 나뉘고, 풀 프리캐스트화에 따른 중량 증가나 그것에 수반되는 반송 조립의 부담 증가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하프 프리캐스트 공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프 프리캐스트 공법을 플로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이면 바닥형 프레임에 상당하는 부분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으로서 공장 제작해 두고, 이것을 현장에 반입하여 빔에 걸쳐 줌과 함께 필요한 배근을 실시한 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자를 일체화시켜 합성 플로어판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하프 프리캐스트 공법에 따르면, 슬래브 구축을 위한 바닥형 프레임이 불필요해져, 프리캐스트화에 따른 본래적인 장점을 향유할 수 있음과 함께, 중량 경감에 따라 반송이나 조립을 실시할 때의 취급도 용이해진다.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47109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10498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26252호
발전소 건설에 있어서는, 전력 수요 기타 사정에 따라 조속한 공용 (供用) 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맨션이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일반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공사기간 단축이 필요 불가피해진다.
그러나, 예를 들어 터빈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대 (이하, 간단히 터빈 가대) 를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경우, 그 중량과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강도이며 또한 고강성인 슬래브로 할 필요가 있고, 그 두께는 1 m 이상이나 됨과 함께, 주근 (主筋) 에는 D32 등의 직경이 굵은 철근이 사용된다.
그래서, 슬래브 두께가 수십 cm 정도인 슬래브에 채용된 프리캐스트 공법을 따르는 것만으로는,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의 중량이 매우 커져 반송이나 조립에 곤란함이 발생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현장 타설을 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두께가 큰 슬래브일지라도 하프 프리캐스트화가 가능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장척 형상의 저판 및 그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그것들의 재축 (材軸) 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또한 서로 평행해지도록 연이어 형성함과 함께, 연이어 형성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일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과 타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이 맞닿도록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그것들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 중,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을 제외한 측판의 높이를, 상기 저판 및 그것에 세워 형성된 상기 1 쌍의 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마다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단일 철근 배치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은 청구항 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장척 형상의 저판 및 그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그것들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또한 서로 평행해지도록 연이어 형성하고, 연이어 형성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일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과 타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이 맞닿도록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그것들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결하고, 그 연결 공정과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상기 저판 및 그것에 세워 형성된 상기 1 쌍의 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마다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단일 철근 배치 영역에 철근을 배치하고, 상기 단일 철근 배치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그 타설 콘크리트와 상기 철근과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합성 슬래브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은, 상기 연결 공정에 있어서, PC 강선을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그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에 관통 배치하고, 상기 PC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그것들의 단부 (端部) 를 정착재로 정착시킴으로써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은, 상기 PC 강선을 상기 저판의 단면 내에서 관통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은, 상기 타설 콘크리트의 강도가 발현된 후, 상기 정착재를 철거하거나 또는 상기 정착재 및 상기 PC 강선을 철거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은, 상기 연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측판 중, 서로 맞닿는 측판에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슬래브를 프리캐스트화시킴에 있어서, 두께가 수십 cm 정도인 일반 건축물이라면 몰라도, 1 m 를 초과하는 슬래브 두께를 갖는 슬래브를 풀 프리캐스트화시키는 것은 중량이 과대해져 현실성이 결여된다.
한편, 일반 건축물의 빔을 구축할 때에 적용되는 빔형 프레임을 재축 직교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고, 이것들을 이어 맞추어 슬래브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슬래브로서의 일체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빔형 프레임끼리를 강고하게 연결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상당량의 보강재가 별도로 필요해져, 터빈 가대와 같이 고강성ㆍ고강도를 만족시키는 레벨에서의 일체화는 경제성이 결여된다.
또, 각 빔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철근을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철근량이 많아져 배근 작업에도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상기 서술한 발명을 이룬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가 큰 슬래브여도 적절한 프리캐스트화가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에 있어서는, 장척 형상의 저판 및 그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복수개 연이어 형성하여 그것들을 재축 직교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 중,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을 제외한 측판의 높이를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마다의 저판 상방 공간은, 독립된 상태가 아니라, 서로 연통된 상태로 되어 하나의 공간 영역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 내면을 측방 경계로 하고, 그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의 천정단 (端) 끼리를 잇는 가상 라인을 상방 경계로 하고,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저판 상면을 대략 하방 경계로 한 단일 공간 영역이 형성된다.
그래서, 이러한 공간 영역을 단일 철근 배치 영역으로 하여 철근을 배치하면, 그 철근에 의해 합성 슬래브의 일체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전체적인 소요 철근량은, 현장 타설만으로 슬래브를 구축하는 경우에 필요해질 철근량과 거의 동등해진다. 게다가, 슬래브로서 요구되는 일체화는, 단일 철근 배치 영역에 배치된 철근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에,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끼리는 어디까지나 콘크리트 타설시의 하중에만 견딜 수 있도록 일체화시키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은, 두께가 큰 슬래브, 특히, 고강성ㆍ고강도가 요구되는 슬래브이면 널리 적용이 가능하고, 터빈 가대를 비롯한 발전소 기타 특수한 건축물 용도뿐만 아니라, 오피스 빌딩, 공장 기타 일반 건축물에도 널리 채용이 가능하다.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는, 높은 측판과 낮은 측판이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각각 세워 형성된 J 자 형상 단면을 이루는 타입과, 낮은 측판이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각각 세워 형성된 U 자 형상 단면 타입의 2 종류가 되고,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재축 직교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함에 있어서는, J 자 형상 단면 타입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가장 외측에 배치하고, 그것들 사이에 U 자 형상 단면 타입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배치한다.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연이어 형성함에 있어서는, 측판끼리를 맞닿게 하면서 원하는 수만큼 재축 직교 방향으로 나열해 가면 되는데, 가장 외측에는, 높은 측판이 외측이 되도록 J 자 형상 단면 타입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대칭으로 대향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U 자 형상 단면 타입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부재 점수를 1, J 자 형상 단면 타입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부재 점수를 2 로 한 구성을 최소 구성으로 하여 U 자 형상 단면 타입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부재 점수를 슬래브 크기에 따라 적절히 증가시키도록 하면 된다.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는, 재축 방향을 따라 저판에 매설된 PC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로 함으로써, 재축 직교 방향 둘레의 휨 강성을 높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저판에 세워 형성된 측판도 보강 리브로서 재축 직교 방향 둘레의 휨 강성 향상에 기여한다.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재축 직교 방향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임의적이며, PC 강선이나 PC 강봉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 PC 강선을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그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에 관통 배치하고, 상기 PC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그것들의 단부를 정착재로 정착시킴으로써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이나, 서로 맞닿는 측판에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PC 강선을 저판의 단면 내에서 관통시키도록 했다면, PC 강선이 철근 배치 영역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철근과 간섭될 우려가 모두 없어져, 설계 효율이나 배근 작업 효율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PC 강선이나 정착재는, 콘크리트 타설시의 콘크리트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끼리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가설재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강도 발현 후에는, 정착재만을, 또는 정착재와 함께 PC 강선을 철거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참고로, 정착재를 철거하도록 하면, 그 정착재가 슬래브 측방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를 연이어 형성함으로써,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의 저판 상방 공간 (31, 32) 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고, 그 결과, 단일 철근 배치 영역 (33) 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하여 구축된 슬래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변형예에 관련된 슬래브 구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슬래브 구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또한, 종래 기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품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 는 동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은,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및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는, 장척 형상의 저판 (4) 및 그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측판 (5, 5) 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도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와 마찬가지로, 장척 형상의 저판 (6) 및 그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측판 (7, 8) 으로 이루어지는데, 측판 (5) 및 측판 (7) 은, 그것들의 높이를 측판 (8) 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하고,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는 전체적으로 U 자 형상 단면을 이루고,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는 전체적으로 J 자 형상 단면을 이룬다.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은, 2 개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2) 를 그것들의 측판 (5, 5) 이 맞닿도록 재축 직교 방향으로 또한 서로 평행해지도록 연이어 형성함과 함께, 그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판 (5) 에 측판 (7) 이 맞닿도록,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를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재축 직교 방향으로 또한 서로 평행해지록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이들을 재축 직교 방향을 따른 PC 강선 (9) 에 의한 바인딩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 (8) 을 제외한 측판, 즉 측판 (5) 및 측판 (7) 의 높이 (H1) 는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의 저판 상방 공간 (31, 31) 과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저판 상방 공간 (32, 32) 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어 단일 철근 배치 영역 (33) 이 형성되도록,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 (8) 의 높이 (H2) 보다 낮게 설정한다.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는, 예를 들어 폭을 3,500 mm, 재축 방향 길이를 10,000 mm, 두께를 200 mm 로 설정함과 함께, 측판 (8) 의 높이 (H2) 를 1,500 mm, 측판 (5) 및 측판 (7) 의 높이 (H1) 를 예를 들어 200 mm ∼ 300 mm 정도로 설정한다.
또한, 이러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로 이루어지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을 사용하여 구축되는 합성 슬래브는, 그 두께가 1,500 mm 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을 사용하여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2 개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2) 및 2 개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3) 를 그것들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또한 서로 평행해지도록, 이미 형성된 빔, 기둥 또는 벽 (21, 21) 에 걸쳐 주는 형태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이어 형성한다 (도 2 참조).
다음으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의 측판 (7) 과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측판 (5) 이 서로 맞닿고,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2) 의 측판 (5, 5) 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를 그것들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PC 강선 (9) 으로 바인딩한다.
이러한 연결 공정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의 측판 (8, 7) 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 (10, 11) 및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측판 (5, 5) 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 (12, 12) 에 PC 강선 (9) 을 삽입 통과시키고, 그 PC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착재 (22) 로 PC 강선 (9) 의 단부를 정착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시의 누설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면,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의 측판 (7) 과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측판 (5) 의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시일재를 배치하고, 그 시일재를 개재하여 측판 (5, 7) 을 맞닿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2) 의 측판 (5, 5) 의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시일재를 배치하고, 그 시일재를 개재하여 측판 (5, 5) 을 맞닿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PC 강선 (9) 으로 바인딩하면,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의 저판 상방 공간 (31) 및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저판 상방 공간 (32) 은 도 3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독립된 상태가 아니라, 서로 연통된 상태로 되고,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 (8, 8) 의 내면을 측방 경계로 하고, 그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 (8) 의 천단끼리를 잇는 가상 라인 (34) 을 상방 경계로 하고,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의 저판 (6) 및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저판 (4) 의 각 상면을 대략 하방 경계로 한 공간 영역이 철근 배치 영역 (33) 으로서 형성되므로, 이 철근 배치 영역 (33) 에 철근을 배치한다.
도 4 는, 철근 배치 영역 (33) 에 철근 (41) 을 배치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동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철근 (41) 은, 상단근 (42), 하단근 (43) 및 전단보강근 (44) 으로 이루어지는데, 철근 배치 영역 (33) 은,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의 저판 상방 공간 (31) 및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의 저판 상방 공간 (32) 으로 이루어지는 일체 공간이기 때문에, 동 도면의 좌측 단에서 우측 단까지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와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배근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동 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 즉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의 재축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은, 합성 슬래브로서 일체화시키기 위해서 중요한 철근이 되는데, 이러한 철근은, 상단근 (42) 은 물론, 하단근 (43) 에 대해서도 수평 방향으로 배근할 수 있으며, 합성 슬래브의 일체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측판 (5, 7) 의 높이 (H1) 는, 그것이 커지면,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의 재축 직교 방향 회전의 휨 강성이 커져 보강 리브 효과가 높아지는 반면, 철근이 간섭되어 배근하기 어려워져, 슬래브로서의 일체화가 어려워진다.
그래서, 측판 (5, 7) 의 높이 (H1) 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측판 (8) 보다 낮게 하는 것에 덧붙여, 슬래브에 매설되는 철근 중,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의 재축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근의 설치 높이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하나의 기준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슬래브 일체화에 대한 기여가 큰 철근을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의 재축 직교 방향을 따라 확실히 배근할 수 있게 된다.
배근이 종료되었다면, 다음으로, 철근 배치 영역 (33) 에 콘크리트를 타설 하고, 그 타설된 콘크리트와 철근 (41) 과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로 이루어지는 합성 슬래브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타설 콘크리트의 강도가 발현되는 것을 기다려, 정착재 (22) 를 철거한다. 또,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에 미리 배치된 시스관 (도시 생략) 에 PC 강선 (9) 을 삽입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PC 강선 (9) 도 시스관으로부터 뽑아 내어 철거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1)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에 따르면,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 (8) 을 제외한 측판 (5) 이나 측판 (7) 의 높이를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 (8) 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하였으므로,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마다의 저판 상방 공간 (31, 32) 은 독립된 상태가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통된 상태로 되어 하나의 공간 영역을 형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공간 영역을 단일 철근 배치 영역 (33) 으로 하여 철근을 배치함으로써, 합성 슬래브의 일체화를 확실히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해서 두께가 큰 슬래브여도, 그 슬래브에 요구되는 강도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프리캐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착재 (22) 를 철거함으로써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3) 로부터의 돌출을 방지하도록 했는데, 이러한 필요가 없는 것이면, 정착재 (22) 를 남겨 둬도 상관없고, PC 강선 (9) 을 철거할지 남겨 둘지의 선택도 임의적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PC 강선 (9) 을 저판 (4, 6) 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했는데, 이것 대신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 (4, 6) 의 단면 내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 (51) 에 PC 강선 (9) 을 삽입 통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르면, PC 강선 (9) 이 철근 배치 영역 (33) 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철근과의 간섭 우려가 모두 없어져, 설계 효율이나 배근 작업 효율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PC 강선 (9) 으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를 바인딩하도록 했는데, 연이어 형성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재축 직교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구성은 임의적이며,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대신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맞닿는 측판 (7, 5) 또는 측판 (5, 5) 에 형성된 볼트구멍 (61) 에 볼트 (62) 를 관통시키고, 그 볼트의 선단에 너트 (63) 로 나사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2, 3) 를 서로 연결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볼트의 피치나 갯수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강도를 감안하여 적절히 정하면 된다.

Claims (6)

  1. 장척 형상의 저판 및 상기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또한 서로 평행해지도록 연이어 형성함과 함께, 연이어 형성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일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과 타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이 맞닿도록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부재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각 측판 중, 최외측 위치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측판으로서 전체 위치가 최외측 가장자리인 측판을 제외한 측판의 높이를,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저판 상방 공간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어 단일 철근 배치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2. 장척 형상의 저판 및 상기 저판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그것들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또한 서로 평행해지도록 연이어 형성함과 함께,
    상기 연이어 형성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각 측판 중, 최외측 위치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측판으로서 전체 위치가 최외측 가장자리인 측판을 제외한 측판의 높이를,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저판 상방 공간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어 단일 철근 배치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최외측 가장자리의 측판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하고,
    연이어 형성된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일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과 타방의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측판이 맞닿도록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그것들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결하고,
    그 연결 공정과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상기 저판 및 저판에 세워 형성된 상기 1 쌍의 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마다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단일 철근 배치 영역에 철근을 배치하고,
    상기 단일 철근 배치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타설 콘크리트와 상기 철근과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합성 슬래브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공정에 있어서, PC 강선을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의 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에 관통 배치하고, 상기 PC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강선의 단부를 정착재로 정착시킴으로써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C 강선을 상기 저판의 단면 내에서 관통시키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 콘크리트의 강도가 발현된 후, 상기 정착재를 철거하거나 또는 상기 정착재 및 상기 PC 강선을 철거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측판 중, 서로 맞닿는 측판에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상기 각 플로어형 프레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KR1020117027235A 2009-12-22 2010-10-21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KR101408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0561 2009-12-22
JP2009290561A JP5442421B2 (ja) 2009-12-22 2009-12-22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PCT/JP2010/068632 WO2011077822A1 (ja) 2009-12-22 2010-10-21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43A KR20120011043A (ko) 2012-02-06
KR101408545B1 true KR101408545B1 (ko) 2014-06-17

Family

ID=4414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235A KR101408545B1 (ko) 2009-12-22 2010-10-21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375676B2 (ko)
EP (1) EP2518231A4 (ko)
JP (1) JP5442421B2 (ko)
KR (1) KR101408545B1 (ko)
CN (1) CN102449247B (ko)
MX (1) MX2011012554A (ko)
MY (1) MY153498A (ko)
SG (1) SG175868A1 (ko)
TW (1) TWI438326B (ko)
WO (1) WO2011077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2421B2 (ja) 2009-12-22 2014-03-12 株式会社大林組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KR101404477B1 (ko) * 2012-06-05 2014-06-10 주식회사 홍지 종방향 분절형 거더
US10513858B2 (en) * 2014-07-31 2019-12-24 Pgpi—Marcas E Patentes, S.A Construction process of structures with empty segments and construction system of structures with empty segments
JP7034433B2 (ja) * 2017-09-19 2022-03-14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製埋設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製埋設型枠と後打ちコンクリートとの一体化方法
CN107700728A (zh) * 2017-09-30 2018-02-16 沈阳建筑大学 易连接带抗剪键混凝土叠合楼板结构及连接方法
KR102002804B1 (ko) * 2019-05-20 2019-07-23 주식회사 브이원 동일한 구조물 동적특성을 갖는 분리형 일체화 제진대
CN110039639A (zh) * 2019-05-28 2019-07-23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自密实混凝土带肋预应力叠合板的生产方法及模具
CN111926997B (zh) * 2020-10-16 2021-03-02 湖南大学 一种预应力组合建筑构件及其预应力复合楼板
JP7405381B1 (ja) 2022-06-27 2023-12-26 森田建設株式会社 スラブ型枠パネル
CN115627846B (zh) * 2022-11-08 2023-07-14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叠合板的施工方法及后浇带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2889A (en) * 1987-02-26 1989-11-28 Monier Limited Composite structures
US20050115195A1 (en) * 2003-12-01 2005-06-02 D. S. Brown Co. Prestressed or post-tension composite structural system
KR100836079B1 (ko) * 2008-01-08 2008-06-09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하프 프리캐스트 슬래브 유닛 거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상부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606A (en) * 1905-11-28 1907-11-19 Valentine Moeslein Ceiling construction.
US850112A (en) * 1906-04-21 1907-04-09 Sidney W Hendrickson Method of manufacturing concrete blocks for building purposes.
US3049786A (en) * 1958-05-28 1962-08-21 Cordis W Jones Apparatus for making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s
JPS434378Y1 (ko) * 1964-12-25 1968-02-24
US3609935A (en) * 1969-05-01 1971-10-05 Delmar L Thomas Permanent form for precast tilt-up concrete modules and process
US3608267A (en) * 1970-05-14 1971-09-28 Robertson Co H H Floor structure and building construction panel therefor
CH577605A5 (en) * 1974-04-19 1976-07-15 Tinaro Rag Domenico Ribbed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slab building element - with one or more surface ribs higher than others
US3935685A (en) * 1974-06-07 1976-02-03 Howlett Machine Works Anchor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same
CA1012376A (en) * 1974-12-30 1977-06-21 Westeel-Rosco Limited Composite structural assembly
US4040775A (en) * 1975-09-29 1977-08-09 Nordbak John A Apparatus for making a prestressed concrete slab
FR2428113A1 (fr) 1978-06-06 1980-01-04 Algrin Maurice Procede pour la construction d'ouvrages architecturaux
JPS59123573U (ja) * 1983-02-09 1984-08-2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ライニング装置
JPS63148711U (ko) * 1987-03-19 1988-09-30
JP2578627B2 (ja) * 1987-12-29 1997-02-05 東急建設株式会社 ハーフPCa板
US4942707A (en) * 1988-02-22 1990-07-24 Huettemann Erik W Load-bearing roof or ceiling assembly made up of insulated concrete panels
US4809474A (en) * 1988-04-01 1989-03-0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Prestressed composite floor slab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729718B2 (ja) * 1991-12-06 1998-03-18 昭和電工株式会社 表面材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工法
JPH05272189A (ja) * 1992-03-26 1993-10-19 Ueki Kokan Kk 建築用金属パネル
JPH07173894A (ja) 1993-12-17 1995-07-11 Nippon Concrete Ind Co Ltd ハー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該ハー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の製造方法
US5493836A (en) * 1993-12-20 1996-02-27 Lopez-Munoz; Humberto Building system based upon preformed modules
JP2990221B2 (ja) * 1994-12-06 1999-12-13 東急建設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版によるフローティングスラブ
US5881527A (en) * 1995-04-21 1999-03-16 Hasco, L.P. Portable precast concrete slabs for storage facility
JPH10110498A (ja) 1996-10-07 1998-04-28 Taisei Corp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およびこれを用いた中空フラットスラブの構築方法
US5910087A (en) * 1997-01-17 1999-06-08 Carter; Randy A. Control joint for forming concrete
US5956912A (en) * 1997-01-17 1999-09-28 Carter; Randy Control joint for forming concrete
JP4089761B2 (ja) * 1998-03-05 2008-05-28 東急建設株式会社 ラーメン鉄道高架橋の構築方法
US6101779A (en) * 1998-05-20 2000-08-15 Space Master Building Systems, Llc Construction unit for a modular building
US6415557B1 (en) * 1999-01-26 2002-07-09 Mccalley Richard M. Protective shelter
US7743580B2 (en) * 2002-03-27 2010-06-29 Deloach Sr W Michael Tilt-up anchor and anchor pocket form
US6631599B1 (en) * 2002-04-01 2003-10-14 Fukuvi Usa, Inc. Precast panel insert and attachments thereto
US6948289B2 (en) * 2002-09-24 2005-09-27 Leonid Bravinski Method and means for prefabrication of 3D construction forms
MXPA05009322A (es) * 2003-03-01 2006-02-22 Charles T Brackett Perno para cable.
US7497059B2 (en) * 2003-11-14 2009-03-03 Dayton Superior Corporation Multi-level post tension cable support chair and method of use
CN2663559Y (zh) 2003-12-11 2004-12-15 吴方伯 一种带肋钢筋混凝土预制构件板
JP4379703B2 (ja) 2004-02-10 2009-12-09 清水建設株式会社 合成床版及び合成床版の構築方法
JP3978524B2 (ja) * 2005-02-25 2007-09-19 飛島建設株式会社 Pc鋼撚線の除去方法及びその除去装置
US20090100776A1 (en) * 2005-12-12 2009-04-23 Bluescope Steel Limited Formwork
ES1063390U (es) 2006-07-06 2006-10-16 Ingenieria De Prefabricados S.L. Prelosa mixta para forjados.
CN102301077B (zh) * 2008-12-19 2014-08-20 蓝野钢铁有限公司 固定系统及方法
JP5442421B2 (ja) 2009-12-22 2014-03-12 株式会社大林組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US8109691B2 (en) * 2010-02-09 2012-02-07 Clark Pacific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n site pouring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2889A (en) * 1987-02-26 1989-11-28 Monier Limited Composite structures
US20050115195A1 (en) * 2003-12-01 2005-06-02 D. S. Brown Co. Prestressed or post-tension composite structural system
KR100836079B1 (ko) * 2008-01-08 2008-06-09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하프 프리캐스트 슬래브 유닛 거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상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2421B2 (ja) 2014-03-12
US8375676B2 (en) 2013-02-19
MY153498A (en) 2015-02-27
EP2518231A4 (en) 2016-07-20
WO2011077822A1 (ja) 2011-06-30
US20130160392A1 (en) 2013-06-27
TWI438326B (zh) 2014-05-21
SG175868A1 (en) 2011-12-29
CN102449247B (zh) 2014-05-21
US20110146190A1 (en) 2011-06-23
TW201135026A (en) 2011-10-16
US8671641B2 (en) 2014-03-18
EP2518231A1 (en) 2012-10-31
KR20120011043A (ko) 2012-02-06
JP2011132681A (ja) 2011-07-07
CN102449247A (zh) 2012-05-09
MX2011012554A (es)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545B1 (ko)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KR101505579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파이프 렉 구조체 또는 보 기둥 접합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652664B1 (ko) 프리캐스트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1086222B1 (ko)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KR20090068536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798138B1 (ko) 멀티 프리캐스트 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JP4391539B2 (ja) 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ユニット、組立式橋梁用中空床版及び中空床版橋梁の施工方法
KR101229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20571B1 (ko) 강합성 거더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1028372B1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KR20170108215A (ko) 아이 형강 하프피씨 바닥판 및 이의 제작 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1530761B1 (ko) 라멘교의 슬라브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CN212453065U (zh) 装配式建筑框架结构构件
CN112359965A (zh) 一种带肋模构造的预制混凝土装配式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50797B1 (ko) 강연선 위치 고정수단을 가진 pc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1방향 장선 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
CN110984367A (zh) 装配式建筑框架结构构件及其施工方法
WO2014073506A1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構築方法
KR100619233B1 (ko) 포스트-텐션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 및 시공방법
KR20190048601A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