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830B1 -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830B1
KR101407830B1 KR1020107028595A KR20107028595A KR101407830B1 KR 101407830 B1 KR101407830 B1 KR 101407830B1 KR 1020107028595 A KR1020107028595 A KR 1020107028595A KR 20107028595 A KR20107028595 A KR 20107028595A KR 101407830 B1 KR101407830 B1 KR 10140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waist
inelastic
web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906A (ko
Inventor
아키요시 기노시타
야스히코 겐모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2013/566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connected to itself
    • A61F2013/5677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connected to itself refasten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2013/5683Disposition or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64Partial cutting [e.g., grooving or in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하고 있는 파스너의 분리와 결합을 반복할 수 있는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6, 7) 중 적어도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인, 예컨대 앞 몸통 둘레 영역(6)의 양 측가장자리부(11)에 몸통 둘레 방향(R)으로 신장·수축하는 일이 없는 비탄성 영역(51)이 형성된다. 비탄성 영역(51)에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파스너부(12)와 제2 파스너부(14) 중 제1 파스너부(12)가 형성된다. 앞 몸통 둘레 영역(6)에는, 몸통 둘레 방향(R)에 있어서 비탄성 영역(51)보다 내측의 부위에 측가장자리부(11)를 형성하고 있는 시트 재료끼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91)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PANTS-SHAPED WEAR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일회용 트레이닝 팬츠 등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으로서,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를 파스너를 통해 분리 가능하고 또한 재연결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것은 종래 공지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5-95574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 각각의 측가장자리부가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는 파스너 부재를 갖고 있다.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에서의 파스너 부재와,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에서의 파스너 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하는 파스너로서 기능한다. 이 흡수성 물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파스너 부재의 각각이 부착되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는, 미리 비탄성화되어 있다. 그 비탄성화되어 있는 측가장자리부를 얻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각각을 신장 상태로 횡단하고 있던 탄성 부재를, 그 후에 측가장자리부에서만 수축시킨다고 하는, 소위 스냅백의 수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95574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파스너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분리와 연결을 반복하고 있을 때에, 파스너 부재와 그 파스너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측가장자리부의 시트 부재와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시트 부재에 찢어짐이 발생하고, 그 찢어짐이 몸통 둘레 방향으로 확대해 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분리와 연결을 반복해도 측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시트 부재에 있어서 찢어짐이 확대되는 일이 없도록, 종래의 착용 물품에 개량을 실시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는,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에 관한 제1 발명과, 그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제2 발명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 중 제1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쪽이 되는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다른 한쪽이 되는 제2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1,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에서의 제1 파스너부의 외면에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각각에서의 제2 파스너부의 내면이 중첩되어 이탈 가능하게 서로 결합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이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점은 이하와 같다.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은,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을 횡단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수축하는 일이 없는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파스너부 및 상기 제2 파스너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비탄성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몸통 둘레 방향에서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의 상기 비탄성 영역보다 내측의 부위에,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중첩된 시트 재료끼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 및 상기 시트 재료끼리와 상기 탄성 부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스폿 형상 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착용 물품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 사이의 전체에 분포하는 접합부 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의 몸통 둘레 방향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상기 비탄성 영역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에서도 절단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보다 더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중첩된 상기 시트 재료끼리 중 적어도 한쪽이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탄성 부재가 절단되어 있는 상기 복수 부위에 있어서는, 상기 열가소성 합성 섬유끼리가 용착된 상태에 있다.
제1 발명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재료끼리가 용착된 상태에 있다.
본 발명 중 제2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쪽이 되는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다른 한쪽이 되는 제2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1,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에서의 제1 파스너부의 외면에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각각에서의 제2 파스너부의 내면이 중첩되어 이탈 가능하게 서로 결합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점은 이하와 같다.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은,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을 횡단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수축하는 일이 없는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파스너부 및 상기 제2 파스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비탄성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몸통 둘레 방향에서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의 상기 비탄성 영역보다 내측의 부위에,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중첩된 시트 재료끼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 및 상기 시트 재료끼리와 상기 탄성 부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착용 물품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 사이의 전체에 분포하는 접합부 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탄성 영역과 상기 접합부 집합 영역은, 적어도 하기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a. 중첩되어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고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제1, 제2 웨브와, 상기 제1, 제2 웨브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고 상기 제1, 제2 웨브 중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속 탄성 부재를 포함한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복합 웨브에 대하여,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로 커터를 작용시켜, 상기 복합 웨브의 소정 범위에 있는 상기 연속 탄성 부재의 각각을 복수 부위에서 절단하여 상기 소정 범위로부터 상기 비탄성 영역을 얻는 공정, 및
b. 중첩되어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고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제1, 제2 웨브와, 상기 제1, 제2 웨브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고 상기 제1, 제2 웨브 중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속 탄성 부재를 포함한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복합 웨브에 대하여,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비탄성 영역이 되어야 할 범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 부위에서 복수 개의 핀에 의한 가압 처리 및 가열·가압 처리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를 필름 형상으로 일체화시킨 접합부 및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와 상기 연속 탄성 부재를 필름 형상으로 일체화시킨 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를, 상기 기계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으로 복수 형성하여 상기 접합부 집합 영역을 얻는 공정.
제2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웨브 중 적어도 한쪽이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와 상기 핀이, 상기 기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1개의 롤에 형성되어 있어 가열 상태에 있고, 상기 복합 웨브를 상기 커터와 상기 핀에 의해 가압하면, 상기 연속 탄성 부재를 절단한 상기 복수 부위와 상기 접합부를 형성한 상기 복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합성 섬유가 용융되어 상기 열가소성 합성 섬유끼리가 일체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과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1 파스너부 및 제2 파스너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비탄성 영역은, 각각의 탄성 부재가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 있어서 절단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그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는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에서는, 그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어 있는 시트 부재끼리를 탄성 부재가 절단되기에 앞서 접착제를 통해 접합해 둘 수 있다. 몸통 둘레 방향에 있어서, 비탄성 영역보다 내측의 부위에는, 양 측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중첩된 시트 재료끼리의 필름 형상의 접합부 및 시트 재료끼리와 탄성 부재와의 필름 형상의 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어 접합부 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파스너부 및/또는 제2 파스너부와 시트 부재의 경계에 있어서 시트 부재에 찢어짐이 발생해도, 그 찢어짐의 확대가 접합부 집합 영역에서의 필름 형상의 접합부에 의해 저지된다. 시트 재료와 탄성 부재와의 필름 형상의 접합부는, 그 탄성 부재가 접합하고 있을 시트 재료의 사이에서 탄성 부재만이 수축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기저귀의 부분 파단 측면도.
도 2는 몸통 둘레 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기저귀에 대한 도 1과 동일한 도면.
도 3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분리시킨 상태에 있는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4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5는 기저귀의 제조 공정도.
도 6은 제1 롤의 부분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과, 그 제조 방법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의 일례인 팬츠 형상의 일회용 기저귀(1)의 부분 파단 측면도와, 그 기저귀(1)에서의 양 측부 중 한쪽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의 기저귀(1)의 부분 파단 측면도이며, 기저귀(1)의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과 몸통 둘레 방향이 쌍두 화살표 A, B, R로 표시되어 있다. 기저귀(1)는, 앞 몸통 둘레 영역(6)과, 뒤 몸통 둘레 영역(7)과, 이들 양 영역(6, 7) 사이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8)을 갖고 있다. 이들 각 영역(6, 7, 8)은, 서로 중첩되는 액체 투과성 내면 시트(2)와 액체 불투과성 외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 코어재(4)(도 3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앞 몸통 둘레 영역(6)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R)의 양측에 있고 상하 방향(B)으로 연장되는 전방 측가장자리부(11)의 외면에 전방 파스너 부재(12)가 부착되어 있다(도 2 참조). 뒤 몸통 둘레 영역(7)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R)의 양측에 있고 상하 방향(B)으로 연장되는 후방 측가장자리부(13)의 내면에 후방 파스너 부재(14)가 부착되어 있다. 내면 시트(2)는 예컨대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고, 외면 시트(3)는 예컨대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필름 형상 시트나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부직포, 이들 필름 형상 시트와 부직포가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는 복합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전방 파스너 부재(12)와 후방 파스너 부재(14)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6, 7)을 분리 가능하고 또한 재연결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20)를 형성하는 것이며, 전방 파스너 부재(12)에는, 예컨대 상품명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로 알려져 있는 메커니컬 파스너 중 훅 부재가 사용된다. 후방 파스너 부재(14)에는, 예컨대 메커니컬 파스너의 루프 부재가 사용된다. 도 1의 기저귀(1)에서는, 몸통 둘레의 양 측부에 있어서 전방 측가장자리부(11)와 후방 측가장자리부(13)가 파스너(20)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 있고, 도 2의 기저귀(1)에서는, 연결된 상태에 있는 전방 측가장자리부(11)와 후방 측가장자리부(13)가 도면의 안쪽에 도시되는 한편,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 있는 전방 측가장자리부(11)와 후방 측가장자리부(13)가 도면의 앞쪽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1)는, 주지의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와 마찬가지로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서 있을 때라도 기저귀(1)의 측부를 개방하여 기저귀(1)의 더러움을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것이며, 기저귀의 사용자에게 도 1과 같은 팬츠 형상의 것으로서 공급되었을 때에 그 이점이 발휘된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6, 7)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팬츠 형상으로 되어 있는 도 1의 기저귀(1)에는, 몸통 둘레 개구(31)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파스너 부재(12)와 후방 파스너 부재(14)의 각각이 몸통 둘레 개구(31)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32)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단, 도면에서는, 전방 파스너 부재(12)가 상하로 이분된 상태로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던 앞 몸통 둘레 영역(6)과 뒤 몸통 둘레 영역(7)을 분리하여, 기저귀(1) 전체를 평평하게 펼쳤을 때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며, 앞뒤 몸통 둘레 영역(6, 7)의 폭 방향이 쌍두 화살표 C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의 기저귀(1)에 있어서, 코어재(4)는 그 전체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모래시계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는 코어재(4)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또한 똑같이 도포되어 있는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 연장되는 부분에는, 전방 측가장자리부(11)와 후방 측가장자리부(13)가 포함되어 있다.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는 또한, 코어재(4)의 표면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는, 앞 몸통 둘레 영역(6)에 있어서 폭 방향(C)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16)와, 뒤 몸통 둘레 영역(7)에 있어서 폭 방향(C)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17)와, 가랑이 영역(8)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32)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만곡되면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 외에, 앞 몸통 둘레 탄성 부재(16)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 사이에 있고 폭 방향(C)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전방 중간 탄성 부재(36)와, 뒤 몸통 둘레 탄성 부재(17)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 사이에 있고 폭 방향(C)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후방 중간 탄성 부재(37)가 있다. 이들 탄성 부재(16, 17, 18, 36, 37)는, 각각의 전체 길이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내면 시트(2) 및/또는 외면 시트(3)에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탄성 부재(16, 36)는 앞 몸통 둘레 영역(6)을 횡단하고 있으며, 탄성 부재(17, 37)는 뒤 몸통 둘레 영역(7)을 횡단하고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6, 7)의 각각은, 이들 탄성 부재(16, 17, 36, 37)의 신장·수축에 따라 폭 방향(C)으로, 환언하면 도 1에서의 몸통 둘레 방향(R)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수축하지만, 앞 몸통 둘레 영역(6)에서의 전방 측가장자리부(11)의 각각에는,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과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이 형성되고,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의 내측에는 스폿 형상의 전방 접합부(91)가 복수 형성되며, 이들 전방 접합부(91)에 의해 전방 접합부 집합 영역(53)이 형성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7)에서의 후방 측가장자리부(13)의 각각에는,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과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2)이 형성되고,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2)의 내측에는 스폿 형상의 후방 접합부(92)가 복수 형성되며, 이들 후방 접합부(92)에 의해 후방 접합부 집합 영역(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은, 거기에 포함되는 앞 몸통 둘레 탄성 부재(16)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와, 전방 중간 탄성 부재(36) 중 적어도 탄성 부재(16, 36)의 각각이 길이 방향에서의 복수의 부위(55)에서 절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C)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일도 없고 수축하는 일도 없다. 탄성 부재(16, 18, 36)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이들 탄성 부재(16, 18, 36)를 샌드위치하고 있는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중 어느 한쪽측으로부터 탄성 부재(16, 18, 36)를 향하여 커터의 날을 대어 커트 라인(56)을 형성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은, 커트 라인(56)의 집합 영역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절단되어 발생한 탄성 부재(16, 18, 36)의 소편(小片)은 개개로 수축하여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의 내부에 머물고 있다.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의 크기는, 거기에 부착되는 전방 파스너 부재(1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 크기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탄성 부재(16, 18, 36)가 수축하여 전방 파스너 부재(12)에 개더가 발생하고, 그 개더에 의해 전방 파스너 부재(12)와 후방 파스너 부재(14)의 결합 면적이 실질적으로 감소한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은, 가로 방향(C)에 있어서,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보다 내측이며, 바람직하게는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으로부터 5 ㎜∼15 ㎜의 거리를 두고 인접해 있는 부위에 형성된다.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에서는, 탄성 부재(16, 18, 36) 중 적어도 탄성 부재(16, 36)의 각각이 커트 라인(58)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위(57)에서 절단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의 존재에 의해, 앞 몸통 둘레 영역(6)과 뒤 몸통 둘레 영역(7)의 연결과 분리를 반복할 때에, 전방 파스너 부재(12)가 탄성 부재(16, 18, 36)에 의해 몸통 둘레 방향(R)으로 직접적으로 인장된다고 하는 일이 없어진다. 단, 기저귀(1)가 그와 같은 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일 때에는,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을 형성하지 않고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전방 접합부(91)는,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가 스폿 형상으로 실온에서 가압되거나 스폿 형상으로 가열하에서 가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이들 양 시트(2, 3)와 탄성 부재(16, 18, 36) 중 어느 하나가 스폿 형상으로 실온에서 가압되거나 스폿 형상으로 가열하에서 가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가압된 것끼리는 밀착해서 일체가 되며, 가압된 것의 두께의 합보다 얇은 필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내면 시트(2)나 외면 시트(3)가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경우에는, 그 열가소성 합성 섬유끼리가 밀착해서 일체가 되고, 개개의 섬유로서의 형상이 소실되어 필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 형상 시트인 경우에는, 이들 필름 형상 시트끼리가 밀착해서 일체가 되고, 양 시트(2, 3)의 두께의 합보다 얇은 필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내면 시트(2) 및/또는 외면 시트(3)가 가열하에 가압되어 얻어지는 전방 접합부(91)의 바람직한 경우에서는, 이들 양 시트(2, 3) 중 적어도 한쪽이 용융된 후 고화된 상태에 있다. 전방 접합부(91)는, 도 1, 도 2의 몸통 둘레 방향(R)에 있어서 제2 전방 비용착부(52)의 바로 내측에 있고, 상하 방향(B)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31)와 다리 둘레 개구(32) 사이의 전체에,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가 되거나 그것보다 긴 범위가 되도록 분포하고 있다(도 1, 도 2 참조). 전방 접합부(91)가 스폿 형상이라는 것은, 상하 방향(B)과 몸통 둘레 방향(R) 중 적어도 상하 방향(B)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분포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전방 접합부(91)의 형상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단, 바람직한 전방 접합부(91)의 형상은, 0.5 ㎜∼5 ㎜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것이다.
이러한 전방 접합부(91)로 이루어지는 전방 접합부 집합 영역(53)을 갖는 기저귀(1)는, 전방 파스너 부재(12)를 조작하고 있을 때에, 전방 파스너 부재(12)의 근방에서 내면 시트(2)나 외면 시트(3)에 찢어짐이 발생해도, 그 찢어짐의 확대를 전방 접합부(91)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부직포에서의 섬유끼리가 떨어져 부직포의 찢어짐이 확대되는 것이 염려되는 경우라도, 복수의 섬유가 일체가 되어 필름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전방 접합부(91)에서는 섬유끼리가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찢어짐의 확대를 저지할 수 있다.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전방 접합부(91)는, 전방 제1 비탄성 영역(51)으로부터 5 ㎜∼30 ㎜의 거리를 두고 인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은, 거기에 포함되는 뒤 몸통 둘레 탄성 부재(17)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와, 후방 중간 탄성 부재(37) 중 적어도 탄성 부재(17, 37)의 각각이 길이 방향에서의 복수의 부위(65)에서 절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C)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일도 없으면 수축하는 일도 없다. 탄성 부재(17, 18, 37)는, 커트 라인(56)과 마찬가지로 형성되는 커트 라인(66)에 있어서 절단된다.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의 크기는, 거기에 부착되는 후방 파스너 부재(1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 크기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에 부착된 후방 파스너 부재(14)에는, 폭 방향(C) 즉 도 1의 몸통 둘레 방향(R)에 있어서 기복을 반복하는 개더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2)은, 폭 방향(C)에 있어서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보다 내측이며, 바람직하게는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으로부터 5 ㎜∼15 ㎜의 거리를 두고 인접해 있는 부위에 형성된다.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2)에서는, 탄성 부재(17, 18, 37) 중 적어도 탄성 부재(17, 37)의 각각이 커트 라인(68)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위(67)에서 절단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2)의 존재에 의해, 앞 몸통 둘레 영역(6)과 뒤 몸통 둘레 영역(7)의 연결과 분리를 반복할 때에, 후방 파스너 부재(14)가 탄성 부재(17, 18, 37)에 의해 직접적으로 몸통 둘레 방향(R)으로 인장된다고 하는 일이 없어진다. 단, 본 발명은,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2)을 형성하지 않고서 실시할 수도 있다.
도시 예의 후방 접합부(92)는, 그것이 제2 후방 비용착부(62)의 바로 내측에 있는 것을 제외하면, 전방 접합부(91)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방 접합부(91)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몸통 둘레 개구(31)와 다리 둘레 개구(32) 사이의 전체에 간헐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후방 접합부(92)로 이루어지는 후방 접합부 집합 영역(63)을 갖는 기저귀(1)는, 후방 파스너 부재(14)를 조작하고 있을 때에, 후방 파스너 부재(14)의 근방에서 내면 시트(2)나 외면 시트(3)에 찢어짐이 발생해도, 그 찢어짐의 확대를 후방 접합부(92)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제2 후방 비용착부(6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후방 접합부(92)는, 후방 제1 비용착부(61)로부터 5 ㎜∼30 ㎜의 거리를 두고 인접해 있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기저귀(1)에 있어서, 상하로 이분할되어 있는 전방 파스너 부재(12)는, 이들 전방 파스너 부재(12) 사이에 있어서 전방 측가장자리부(11)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하기 쉬워진다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그와 같은 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 파스너 부재(12)를 일련의 것으로 바꿀 수 있다. 전방 파스너 부재(12)에 결합되는 루프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도시 예의 후방 파스너 부재(14)는, 그것이 부착되어 있는 내면 시트(2)가 전방 파스너 부재(12)에 대한 결합·이탈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내면 시트(2)를 후방 파스너 부재(14)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예의 파스너(20)는, 전방 파스너 부재(12)에 메커니컬 파스너의 루프 부재를 사용하고, 후방 파스너 부재(14)에 그 루프 부재에 결합되는 훅 부재를 사용한 것으로 바꿀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또한, 전방 파스너 부재(12)를 전방 측가장자리부(11)의 내면에 부착하는 한편, 후방 파스너 부재(14)를 후방 측가장자리부(13)의 외면에 부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펼쳐진 상태에 있는 도 4의 기저귀(1)에서는, 도 3의 코어재(4)를 대신하여, 직사각형의 체액 흡수성 패널(80)이 내면 시트(2)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패널(80)은, 체액 흡수성 코어재(81)를 액체 투과성 시트(82)로 피복한 것이며, 코어재(81)와 내면 시트(2) 사이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83)이 개재되어 있다. 패널(80)의 양 측부에는,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패널(80)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기립해서 다리 둘레에 피트하여, 체액의 옆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주지의 누설 방지 뱅크(bank)(84)가 형성되어 있다. 누설 방지 뱅크(84)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85)를 포함하고 있다. 이 기저귀(1)에서의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는 이들 시트(2, 3)에 대하여 똑같이 분포하도록 도포된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양 시트(2, 3)에 대해서는, 탄성 부재(16, 17, 18, 36, 37)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나, 전방 측가장자리부(11)와 후방 측가장자리부(13)에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제1,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1, 52)과 제1,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1, 62) 외에, 전방 접합부(91)로 이루어지는 전방 접합부 집합 영역(53)과 후방 접합부(92)로 이루어지는 후방 접합부 집합 영역(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에는 전방 파스너 부재(12)가 부착되어 있고,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에는 후방 파스너 부재(14)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1)를 얻기 위해서는, 서로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는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의 복합체를 미리 만들어 두고, 그 복합체에 대하여 패널(80)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면 된다. 또, 이러한 기저귀(1)의 내면 시트(2)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을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기계 방향이 화살표 MD로 표시되고, 기계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이 쌍두 화살표 CD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공정 I에서는, 도 1에서의 외면 시트(3)의 연속체이며 기계 방향(MD)으로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웨브(103)에 앞 몸통 둘레 탄성 부재(16), 뒤 몸통 둘레 탄성 부재(17),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 전방 중간 탄성 부재(36), 후방 중간 탄성 부재(37) 각각의 연속체(116, 117, 118, 136, 137)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또,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의 연속체(118)는, 118a와 118b의 2군의 연속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연속체(118a)와 연속체(118b)가 서로 교차하는 사인 곡선 형상의 곡선을 그리고 있다.
공정 II에서는, 웨브(103)에 대하여 모래시계형의 체액 흡수성 코어재(4)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기계 방향(MD)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소정의 부위에 부착된다.
공정 III에서는, 탄성 부재의 연속체(116, 117, 118, 136, 137)와 개개의 코어재(4)를 웨브(103)와 협동하여 샌드위치하도록 내면 시트(2)의 연속체인 웨브(102)를 기계 방향(MD)으로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고, 웨브(103)와 웨브(102)를 양 웨브(102, 103) 중 어느 하나에 간헐적으로 또한 똑같이 도포되어 있는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하여, 제1 복합 웨브(171)를 형성한다. 제1 복합 웨브(171)는, 기계 방향(MD)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수축 가능한 것이다.
공정 IV에서는, 커터(160)를 형성하여 기계 방향(MD)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제1 롤(161)과 제2 롤(162) 사이에 제1 복합 웨브(171)를 공급하고, 인접하는 코어재(4)와 코어재(4) 사이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연속체(116, 117, 118, 136, 137)를 절단하여, 도 3에 도시되는 절단 부위(55, 57, 65, 67)와, 기계 방향(MD)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소정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1, 52)과, 마찬가지로 기계 방향(MD)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소정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1, 62)을 갖는 제2 복합 웨브(172)를 형성한다. 공정 IV에서는 또한, 제1, 제2 롤(161, 162)을 사용하여 도 1∼도 3에 도시된 전방 접합부(91)로 이루어지는 전방 접합부 집합 영역(53)과 후방 접합부(92)로 이루어지는 후방 접합부 집합 영역(63)을 형성한다.
공정 V에서는, 제2 복합 웨브(172)의 제1 전방 비탄성 영역(51)에서의 웨브(102)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되는 전방 파스너 부재(12)를 부착하고, 제1 후방 비탄성 영역(61)에서의 웨브(103)에 대하여 후방 파스너 부재(14)를 부착한다. 공정 V에서는 또한, 제2 복합 웨브(172)의 코어재(4)와 코어재(4) 사이로부터, 중첩되는 웨브(102와 103)를 원반 형상의 적층체(184)로서 잘라내어, 개구(132)가 형성된 제3 복합 웨브(173)를 얻는다.
공정 VI에서는, 인접하는 코어재(4)와 코어재(4) 사이의 중심선(T)(공정 IV, V 참조)을 따라 제3 복합 웨브(173)를 절단하고, 전방 파스너 부재(12)에 후방 파스너 부재(14)를 결합시킴으로써, 팬츠 형상의 기저귀(1)를 얻는다. 제3 복합 웨브(173)를 절단하면, 중심선(T)의 양측에 제1,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1, 52)과, 제1,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1, 62)과, 전방 접합부 집합 영역(53)과, 후방 접합부 집합 영역(6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구(132)를 이등분함으로써, 도 1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32)의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커터(160)에서의 제1 롤(161)의 일부분을 평면 형상으로 전개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며, 커터(160)에 의해 절단되는 탄성 부재 중의 일부의 것(117, 137)이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1 롤(161)은, 평활한 둘레면(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제2 롤(162)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제1 롤(161)의 둘레면(164)에는 복수의 블레이드편(180)과 복수의 기둥 형상 돌기인 핀(190)이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편(180)은, 둘레면(164)으로부터 제1 롤(16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며, 블레이드편(180)과 제2 롤(162)의 둘레면 사이에 있는 탄성 부재의 연속체(116, 117, 118, 136, 137)를 가압하에, 또는 가열·가압하에 있어서 절단할 수 있다. 그 블레이드편(180)은, 제1 롤(161)의 축 방향(X)으로 간헐적으로 배열됨으로써 블레이드열(181)을 형성하고 있다. 제1 롤(161)은 복수 줄의 블레이드열(181)을 갖는 것이며, 도시 예에서는, 서로 평행한 제1∼제5 블레이드열(181a∼181e)이 축 방향(X)으로 연장되는 가상선(S)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롤(161)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근해 있는 제1, 제2, 제3 블레이드열(181a, 181b, 181c)은, 전방 제1 비탄성 영역(51)과 후방 제1 비탄성 영역(61)을 기저귀(1)에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4, 제5 블레이드열(181d, 181e)은, 전방 제2 비탄성 영역(52)과 후방 제2 비탄성 영역(62)을 기저귀(1)에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제1 롤(161)에 있어서, 개개의 블레이드편(180)이 축 방향(X)에 대하여 경사지는 각도 및 축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각 열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다. 또한, 1줄의 블레이드열(181)에 있어서, 개개의 블레이드편(180)은, 그것을 제1 롤(161)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켰다고 하면, 축 방향(X)에 있어서 인접해 있는 블레이드편(18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블레이드열(181)은, 복수의 블레이드편(180)이 축 방향(X)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1장의 블레이드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 같기 때문에, 도 5에 있어서 기계 방향(MD)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의 연속체(116, 117, 118, 136, 137)의 각각을 반드시 절단할 수 있다.
핀(190)은, 핀(190)과 제2 롤(162) 사이에 있는 제1 복합 웨브(171)를 가압하거나, 또는 가열하에 가압하여 전방 접합부(91)와 후방 접합부(92)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블레이드(180)와 핀(190)은 소요의 온도로까지 가열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연속체(116, 117, 118, 136, 137)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거나, 웨브(102)나 웨브(103)를 형성하고 있는 부직포나 필름 형상 시트의 블레이드편(180)과의 접촉 부위를 용융 고화하거나, 핀(190)에 의한 전방 접합부(91)와 후방 접합부(92)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롤(162)도 소요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롤(161)과 제2 롤(162)은, 상호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와 같은 것이어도, 블레이드편(180)에 의해 탄성 부재의 연속체(116, 117, 118, 136, 137)를 절단할 때에는, 웨브(102)나 웨브(103)에 어떠한 손상을 주게 된다. 그때에는 또한, 부직포를 형성하고 있는 섬유가 넓은 범위에서 풀리거나, 필름 형상 시트가 넓은 범위에서 찢어지는 것처럼, 손상의 확대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블레이드편(180)과의 접촉 부위나 핀(190)과의 접촉 부위에 있어서 부직포나 필름 형상 시트편이 용융 고화되어 있으면, 그와 같은 손상의 확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시 예의 롤(160)에 있어서, 블레이드(180)와 제2 롤(162) 사이의 클리어런스(도시하지 않음)는, 핀(190)과 제2 롤(162) 사이의 클리어런스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기계 방향(MD)으로 주행하여 제1 롤(161)과 제2 롤(162) 사이에 진입하는 제1 복합 웨브(171)는, 핀(190)과 제2 롤(162)에 의해 가압된 후에, 블레이드(180)와 제2 롤(162)에 의해 가압된다. 이러한 가압 과정을 거치는 제1 복합 웨브(171)는, 기계 방향(MD)에 있어서 점차로 강하게 가압된다고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기 때문에, 그것이 갑자기 강하게 가압된다고 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에 비해서, 주행 중의 가압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이 적어진다.
도 5에 예시하는 제조 방법과 도 6의 제1 롤(161)은, 기저귀(1)의 형상·구조에 대응하도록,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공정 V에서의 전방 파스너 부재(12)와 후방 파스너 부재(14)는, 제3 복합 웨브(173)를 그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W)(도 5 참조)을 따라 접어 포개면, 양 파스너 부재(12, 14)가 결합된 상태로 평평하게 접혀져 있는 기저귀(1)를 얻을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롤(161)에서의 블레이드열(181)의 줄수나 둘레 방향에서의 서로의 간격을 변경하거나, 블레이드열(181)에서의 블레이드편(180)의 길이나 축 방향(X)에 대한 경사 각도, 블레이드편(180) 상호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핀(190)에 대해서도, 그 선단 형상이나, 선단 형상의 직경이나, 제1 롤(161)에서의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복합 웨브(171)에 대하여 제1,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1, 52)이나 제1,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1, 62), 전방 접합부 집합 영역(53), 후방 접합부 집합 영역(63)을 형성하는 순서에 특별한 규정은 없다. 예컨대, 제1,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1, 52)과, 제1,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1, 62)을 제1, 제2 롤(161, 162)을 사용하여 제1 복합 웨브(171)에 형성한 후에, 전방 용착부(91)와 후방 용착부(92)를 제1, 제2 롤(161, 162)과는 별개의 롤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방 탄성 영역(51)과 제1 후방 탄성 영역(61)을 제1, 제2 롤(161, 162)을 사용하여 제1 복합 웨브(171)에 형성한 후에, 제2 전방 비탄성 영역(52)과 제2 후방 비탄성 영역(62)을 제1, 제2 롤(161, 162)과는 별개의 롤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일회용 기저귀(1)를 예로 들어 설명한 본 발명은, 트레이닝 팬츠나 실금 환자용 팬츠, 일회용 팬츠 등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1: 착용 물품(기저귀) 6: 앞 몸통 둘레 영역
7: 뒤 몸통 둘레 영역 8: 가랑이 영역
11: 측가장자리부(전방 측가장자리부)
12: 제1 파스너부(전방 파스너 부재)
13: 측가장자리부(후방 측가장자리부)
14: 제2 파스너부(후방 파스너 부재)
16: 탄성 부재 17: 탄성 부재
18: 탄성 부재 36: 탄성 부재
37: 탄성 부재 51: 비탄성 영역
52: 비탄성 영역 53: 접합부 집합 영역
61: 비탄성 영역 62: 비탄성 영역
63: 접합부 집합 영역 91: 접합부(용착부)
92: 접합부(용착부) 102: 제1 웨브(웨브)
103: 제2 웨브(웨브) 116: 탄성 부재
117: 탄성 부재 118: 탄성 부재
136: 탄성 부재 137: 탄성 부재
160: 커터 180: 블레이드
190: 핀(돌기) A: 전후 방향
B: 상하 방향 MD: 기계 방향

Claims (8)

  1.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쪽이 되는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다른 한쪽이 되는 제2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1,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에서의 제1 파스너부의 외면에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각각에서의 제2 파스너부의 내면이 중첩되어 이탈 가능하게 서로 결합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으로서,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은,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을 횡단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는 일이 없는 제1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파스너부 및 상기 제2 파스너부 중 어느 하나의 파스너부가 상기 제1 비탄성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몸통 둘레 방향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탄성 영역보다 내측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스너부보다 내측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상기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는 일이 없는 제2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비탄성 영역과 상기 제2 비탄성 영역 사이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스너부보다 내측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몸통 둘레 방향에서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의 상기 제2 비탄성 영역보다 내측의 부위에,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중첩된 시트 재료끼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 및 상기 시트 재료끼리와 상기 탄성 부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부가 상기 착용 물품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 사이의 전체에 분포하는 접합부 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스너부는 훅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분할되며,
    상기 제2 파스너부는 루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련인 착용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탄성 영역은 적어도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이분할된 상기 제1 파스너부 중 위쪽에 위치하는 제1 파스너부가 형성되는 영역과, 이분할된 상기 제1 파스너부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파스너부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기 위쪽 및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파스너부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절단되어 있는 착용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절단하는 절단선은,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착용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첩된 상기 시트 재료끼리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탄성 부재가 절단되어 있는 상기 복수 부위에 있어서는, 상기 열가소성 합성 섬유끼리가 용착된 상태에 있는 착용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재료끼리가 용착된 상태에 있는 착용 물품.
  7.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쪽이 되는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다른 한쪽이 되는 제2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1,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에서의 제1 파스너부의 외면에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각각에서의 제2 파스너부의 내면이 중첩되어 이탈 가능하게 서로 결합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은,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을 횡단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의 양 측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는 일이 없는 제1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파스너부 및 상기 제2 파스너부 중 어느 하나의 파스너부가 상기 제1 비탄성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몸통 둘레 방향의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탄성 영역보다 내측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스너부보다 내측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상기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 및 수축하는 일이 없는 제2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비탄성 영역과 상기 제2 비탄성 영역 사이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스너부보다 내측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각각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몸통 둘레 방향에서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 각각의 상기 제2 비탄성 영역보다 내측의 부위에,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중첩된 시트 재료끼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 및 상기 시트 재료끼리와 상기 탄성 부재가 일체로 된 필름 형상의 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부가 상기 착용 물품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개구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 사이의 전체에 분포하는 접합부 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비탄성 영역과 상기 접합부 집합 영역이 하기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 방법;
    a. 중첩되어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고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제1, 제2 웨브와, 상기 제1, 제2 웨브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고 상기 제1, 제2 웨브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신장 상태로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속 탄성 부재를 포함한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복합 웨브에 대하여,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로 커터를 작용시켜, 상기 복합 웨브의 소정 범위에 있는 상기 연속 탄성 부재의 각각을 복수 부위에서 절단하여 상기 소정 범위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비탄성 영역을 얻는 공정, 및
    b. 중첩되어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고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제1, 제2 웨브와, 상기 제1, 제2 웨브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고 상기 제1, 제2 웨브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신장 상태로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속 탄성 부재를 포함한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복합 웨브에 대하여,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제2 비탄성 영역이 되어야 할 범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 부위에서 복수 개의 핀에 의한 가압 처리 및 가열 가압 처리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를 필름 형상으로 일체화시킨 접합부 및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와 상기 연속 탄성 부재를 필름 형상으로 일체화시킨 접합부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를, 상기 기계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으로 복수 형성하여 상기 접합부 집합 영역을 얻는 공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웨브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와 상기 핀이, 상기 기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1개의 롤에 형성되어 있어 가열 상태에 있고, 상기 복합 웨브를 상기 커터와 상기 핀에 의해 가압하면, 상기 연속 탄성 부재를 절단한 상기 복수 부위와 상기 접합부를 형성한 상기 복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합성 섬유가 용융되어 상기 열가소성 합성 섬유끼리가 일체화되는 제조 방법.
KR1020107028595A 2008-06-03 2009-04-20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7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6313 2008-06-03
JP2008146313A JP5346177B2 (ja) 2008-06-03 2008-06-03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09/057870 WO2009147907A1 (ja) 2008-06-03 2009-04-20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906A KR20110021906A (ko) 2011-03-04
KR101407830B1 true KR101407830B1 (ko) 2014-06-17

Family

ID=4139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595A KR101407830B1 (ko) 2008-06-03 2009-04-20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34418B2 (ko)
EP (1) EP2283798B1 (ko)
JP (1) JP5346177B2 (ko)
KR (1) KR101407830B1 (ko)
CN (1) CN102098997B (ko)
AU (1) AU2009255264B2 (ko)
EG (1) EG26496A (ko)
MY (1) MY152383A (ko)
TW (1) TWI480035B (ko)
WO (1) WO2009147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4160B2 (ja) * 2009-12-25 2014-07-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523147B2 (ja) * 2010-03-03 2014-06-18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US9017241B2 (en) * 2010-04-09 2015-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ucking side panels of absorbent articles
JP5863359B2 (ja) * 2011-09-22 2016-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07090B2 (ja) * 2015-04-08 2018-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6400554B2 (ja) * 2015-09-28 2018-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6402092B2 (ja) * 2015-12-28 2018-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547980B1 (en) 2016-12-05 2022-09-1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 disposable pant-type absorbent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030A (ja) 2000-05-15 2002-02-05 Kao Corp 吸収性物品
US6454751B1 (en) 1999-11-22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JP2005095574A (ja) 2003-08-19 2005-04-14 Uni Charm Corp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7568A (ja) 2004-09-22 2006-04-06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818A (ja) 1992-07-31 1994-02-25 Ulvac Japan Ltd イオンビーム照射装置
JP2594946Y2 (ja) * 1992-08-12 1999-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DE60114289T2 (de) * 2000-05-15 2006-04-20 Kao Corp. Absorbierender Artikel
JP4243008B2 (ja) * 2000-07-21 2009-03-25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
JP3929249B2 (ja) * 2001-02-27 2007-06-13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AU2002359935A1 (en) * 2002-02-20 2003-09-09 Kao Corporation Perforated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JP4208602B2 (ja) * 2003-02-25 2009-01-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229921B2 (ja) * 2003-08-19 2009-0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522186B2 (ja) * 2003-08-19 2010-08-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551125B2 (ja) * 2004-05-28 2010-09-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US20080249493A1 (en) * 2004-09-22 2008-10-09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4020902B2 (ja) * 2004-09-22 2007-12-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4751B1 (en) 1999-11-22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JP2002035030A (ja) 2000-05-15 2002-02-05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5095574A (ja) 2003-08-19 2005-04-14 Uni Charm Corp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7568A (ja) 2004-09-22 2006-04-06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G26496A (en) 2013-12-23
KR20110021906A (ko) 2011-03-04
EP2283798B1 (en) 2017-04-12
TW201023840A (en) 2010-07-01
WO2009147907A1 (ja) 2009-12-10
JP2009291331A (ja) 2009-12-17
US20110190721A1 (en) 2011-08-04
CN102098997A (zh) 2011-06-15
US8734418B2 (en) 2014-05-27
CN102098997B (zh) 2013-10-30
MY152383A (en) 2014-09-15
JP5346177B2 (ja) 2013-11-20
TWI480035B (zh) 2015-04-11
EP2283798A4 (en) 2014-01-15
EP2283798A1 (en) 2011-02-16
AU2009255264A1 (en) 2009-12-10
AU2009255264B2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830B1 (ko)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9183B1 (ko)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USRE42478E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ts-type diaper of a sanitary panty, and one such absorbent article
JP5475195B2 (ja) 使い捨て吸収剤おむつパンツを作製する方法
JP2016526963A (ja) 接合装置及び方法
JP2016526401A (ja) 接合装置及び方法
JPH0515552A (ja) 使い捨てパンツ及びその製造方法
JP5947610B2 (ja) 吸収性物品
KR20130139309A (ko) 흡수용품의 다리 및 플랩 탄성체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U2009272064A1 (en) Method of making wearing article
JP2003079661A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074774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6019175B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054982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2015536832A (ja) 基材を切断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15122094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482617B (zh) A disposable pants-type wearing article and a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