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233B1 -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 Google Patents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233B1
KR101407233B1 KR1020120022346A KR20120022346A KR101407233B1 KR 101407233 B1 KR101407233 B1 KR 101407233B1 KR 1020120022346 A KR1020120022346 A KR 1020120022346A KR 20120022346 A KR20120022346 A KR 20120022346A KR 101407233 B1 KR101407233 B1 KR 10140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biodiesel
brownie
acid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308A (ko
Inventor
오희목
안치용
이영기
고소라
김희식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233B1/ko
Priority to US13/816,735 priority patent/US9102972B2/en
Priority to PCT/KR2013/000258 priority patent/WO2013133526A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9/00Processes involving microorganisms of different genera in the same process, simultane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02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 C10L1/026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for compression ign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80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natural products, e.g. waxes, extracts, fatty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4Organic compounds
    • C10L2200/0461Fractions defined by their origin
    • C10L2200/0469Renewables or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C10L2200/0476Biodiesel, i.e. defined lower alkyl esters of fatty acids first generation biodie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6Composting, fermenting or anaerobic digestion fuel components or materials from which fuels are prepar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1Rhizob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 생산 조류인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과 동시에 바이오디젤 생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 리조비움 속 KB10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오디젤 생산에 사용되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을 촉진하면서 양질의 바이오디젤 성분에 해당하는 C18 (올레인산) 함량을 최대 9배까지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진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 균주에 관한 것이다.
리조비움 같은 근균류 박테리아를 이용함으로써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저조한 세포 생장을 효과적으로 촉진함과 동시에 양질의 바이오디젤 성분인 올레인산 함량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혼합 배양함으로써 옥외배양을 통한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시 다른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발생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Rhizobium sp. KB10 having the ability of promoting cell growth and increasing fatty acid content of Botryococcus braunii}
본 발명은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올레인산을 포함한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리조비움 속 KB10(Rhizobium sp. KB10) 균주,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를 공동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방법 및 지방산의 대량생산 방법,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의 공동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산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 및 바이오디젤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를 공동배양하여 지방산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수수, 유채 혹은 팜과 같은 유지성 식물 오일을 원료로 하는 바이오디젤은 이미 상용화가 이루어진 대표적 바이오디젤로서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생산량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원료작물의 높은 가격, 부가 비용 발생 등으로 인한 상대적인 비용 증가 문제는 원유 유래의 디젤과 비교할 경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하다. 또한 최근 원료 작물 가격 상승은 바이오디젤 경쟁력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발생하게 하였다. 바이오디젤의 주 원료 공급원으로는 식물성 유지, 미세조류 오일 등과 같은 광합성 오일이 공급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광합성 오일을 원료로 하는 바이오디젤의 확대는 식량 부족이나 원료작물 대량 재배에 따른 새로운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또 다른 형태의 공급원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최근 바이오디젤을 안정적이며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조류가 각광받고 있다. 조류는 독립 혹은 종속 영양 광합성균으로 태양에너지와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 성장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식물성 원료인 옥수수, 팜 혹은 사탕수수에 비해 생산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며 바이오디젤 생산 물질인 지질의 함량이 다른 공급원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장점이 있다. 조류는 바이오디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유용물질을 생산할 수 있고, 기존의 식용작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재생에너지원으로서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조류 가운데 하나인 미세조류의 경우 단위 면적당 바이오디젤 생산은 오일 함량이 30%인 경우를 기준으로 해서 계산할 경우 약 58,700 L/ha로 446 L/ha인 대두에 비해 130배 높다(Chisti. Biotechology Advances 2007. vol. 25 p394-306). 따라서 미세조류의 대량 배양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함으로써 지구온난화 방지 효과와 동시에 생산된 조류의 조체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녹색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근래에 이러한 조류를 이용하여 생물연료 생산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되면서 관련 연구는 물론 국가적으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대표적 기업으로 SOLIX, GreenFuel, Cyannotech 등이 있으며 국내의 경우 정부 주도로 기초 연구 및 산업화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세조류 중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는 담수, 염분 호수와 온대, 열대 지방 등에 널리 분포하는 군집형 미세조류로서, 체내 오일함량이 최대 75%로 지금까지 밝혀진 다른 조류에 비해 월등히 높고 생산되는 지질은 바이오디젤로 전환하기가 용이한 종이다. 그러나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에 있어서 가장 큰 단점은 생장이 느리다는 점이고 (6일에 2배), 또한 저조한 생장률로 인해 옥외 대량 배양시 다른 미생물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07989 호에는 '오일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0-0000842호에는 '미세조류로부터 탄화수소의 추출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1-0002951호에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올레인산 함량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에 관해서는 개시된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수계에서 분리한 신규한 근균류 박테리아인 리조비움 속 KB10과 공동 배양하여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세포성장 촉진과 동시에 양질의 바이오디젤 성분인 올레인산 함량을 9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인 느린 세포성장을 해결하였고, 배양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에서 올레인산을 포함한 다양한 지방산 함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리조비움 속 KB10(Rhizobium sp. KB10)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를 공동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방법 및 지방산의 대량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의 공동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산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 및 바이오디젤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를 공동배양하여 지방산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은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양질의 바이오디젤 성분인 올레인산 함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 균주를 이용하여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옥외 대량 배양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양질의 바이오디젤 성분을 9배 이상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 산업화에서 바이오매스 대량 확보, 안정적인 균주 배양 및 산업화 공정에 따른 경제적 비용 절감 등 그 파급효과 크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과 공동 배양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세포 생장 차이를 나타낸다 (좌,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만 배양; 우,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공동 배양).
도 2는 공동 배양시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 첨가량에 따른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세포 생장 차이를 엽록소 a농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rol, 리조비움 속 KB10 무첨가; 0.5%, 0.5% 리조비움 속 KB10 첨가; 5%, 5% 리조비움 속 KB10 첨가).
도 3은 표준 지방산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 프로파일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30일간 단일 배양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지방산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30일간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과 공동 배양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지방산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30일 단일 배양한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의 지방산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리조비움 속 KB10(Rhizobium sp. KB10)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균주는 수계에서 표층수와 저니를 채취하여 다양한 영양배지를 사용하여 미생물을 분리한 후 서너 차례 계대를 통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배양액에 순수 분리한 미생물 조체와 배양액을 처리하여 생장을 촉진하고 올레인산 함량을 증가시키는 미생물을 최종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균주 중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을 분자 생물학적 방법인 16s rDNA 염기서열 동정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리조비움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를 리조비움 속 KB10 (Rhizobium sp. KB10)으로 명명하였다. 상기 신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2년 2월 7일자로 기탁하였다 (기탁번호: KCTC 12131B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를 공동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조비움 속 KB10 균주를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 배양에 너무 많이 첨가할 경우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 생장에 저해(inhibition)를 줄 수 있고, 리조비움 속 KB10 균주를 너무 적게 첨가할 경우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 생장을 촉진시키는데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 배양액 기준으로 리조비움 속 KB10 균주를 0.1 ~ 10%(v/v)로 첨가하여 공동배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조비움 속 KB10 균주를 0.3 ~ 5%(v/v)로 첨가하여 공동배양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v/v)로 첨가하여 공동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의 공동배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균주의 공동배양은 28℃에서 120 μmol m-2s-1로 30일간 공동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를 공동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대량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또는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올레인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공동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산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에서, 상기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올레인산, 리놀렌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또는 팔미톨레산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올레인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공동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디젤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방산 또는 바이오디젤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공동 배양액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 또는 바이오디젤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는 용액, 분말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를 공동배양하여 지방산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지방산을 바이오디젤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로 생산된 지방산을 바이오디젤로 전환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생물의 분리
수계에서 표층수와 저니를 채취하여 다양한 영양배지(LB, R2A, NA 및 1/5 희석된 LB : SERVA LB (Code 48502), Difco™ R2A (Item No. 218263), Difco™ NA (Item No. 213000))를 사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을 통해 다양한 미생물을 1차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들은 동일 영양배지를 사용하여 서너 차례 계대를 통하여 순수 분리한 후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UTEX572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The culture collection of algae) 배양액에 순수 분리한 미생물 조체와 배양액을 처리하여 생장을 1.2배 이상 증가시키는 미생물을 선별하였다.
실시예 2: 분리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균주의 동정은 동일한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한 후, 게놈 DNA 분리 키트 (Quiagen, Hilden, Germany)를 이용하여 게놈 DNA를 분리하였다. 16S rDNA 내의 가변부위를 PCR로 증폭하기 위하여 16s rDNA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두 유니버셜 프라이머(9F, 536R)를 사용하였다 ; 9F 프라이머: GAGTTTGATCCTGGCTCAG (서열번호 1), 536R 프라이머: AAGGAGGTGATCCAGCCGCA (서열번호 2). PCR 조건은 95℃에서 5분간 변성하고, 95℃에서 1분, 58℃에서 1분, 72℃에서 1분씩 30번 반복하여 DNA를 증폭시키고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간 연장하여 PCR 반응을 종결시켰다. 전기영동 결과에서 약 1500bp의 증폭된 DNA를 분리한 뒤 이를 클로닝 벡터인 pGEM T-이지 벡터(Quiagen, Hilden, Germany)를 사용하여 형질전환하였다. 얻어진 서열번호 3의 16S rDNA 내의 가변 부위의 서열은 BLAST Search Program(NCBI)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신균주는 리조비움과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표 1), 본 발명의 신균주를 리조비움 속 KB10(Rhizobium sp. KB10)라 명명하였고, 미생물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2년 2월 7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2131BP를 부여받았다.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
균주 유사성(%) 근접 미생물명 Accession No.
Rhizobium sp. KB10 1398/1407(99.6) Candidatus Rhizobium massiliae AF531767
실시예 3: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생장 촉진 및 올레인산 생산 조사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을 R2A 배지(Difco™ R2A (Item No. 218263))에 접종하였고,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새로운 동일 배지에 전배양액 10%를 접종하여 동일 조건으로 16시간 배양한 후 4,000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조체와 배양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한 조체를 멸균된 증류수로 2회 세척한 후 OD600nm=0.4로 세포 개수를 조정하였다.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URTEX572를 BG11 배지(NaNO3 1.5g, K2HPO4 0.039g, MgSO4·7H2O 0.075g, Na2CO3 0.021g, CaCl2 0.027g, 페릭 시트레이트 0.006g, 시트르산 0.006g, EDTA 0.001g, Microelement stock solution 1ml per Liter; microelement stock solution (H3BO3 2.86g, MnCl2·4H2O 1.81g, ZnSO4·7H2O 0.222g, Na2MoO4·2H2O 0.391g, CuSO4·5H2O 0.079, Co(NO3)2·6H2O 0.0494g per 0.5 Liter)) 100 ml에 접종하여 28℃, 120 μmol m-2s-1 배양하였다.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URTEX572 배양액 100 ml에 2회 세척한 리조비움 속 KB10 조체를 0.5%와 5% 접종하여 28℃에서 120 μmol m-2s-1로 30일간 공동 배양하였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을 접종하지 않은 단일 배양액과 0.5% 접종한 공동 배양액에서의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UTEX572의 생장을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균주 리조비움 속 KB10을 처리한 공동 배양 실험군의 세포 생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단일 배양액과 리조비움 속 KB10을 접종한 혼합 배양액에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엽록소 a 농도를 비교하였다(도 2). 그 결과, 공동 배양된 실험군에서 엽록소 a가 1.3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배양 17일째 세포 생장의 차이가 확연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일 배양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단일 배양액과 공동 배양된 실험군의 올레인산 함량 증가를 비교하였다.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올레인산 생산 양을 비교하기 위해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그마알드리치에서 구입한 지방산 표준 물질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30일간 배양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실험군과 대조군으로부터 Bligh and Dyer (Can . J. Biochem . Physiol . 1959, vol 37 p911-917) 방법을 사용하여 지방산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지방산을 동일 조건으로 GC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일 배양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에 비해(도 4)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동 배양한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올레인산(oleate)이 9배 이상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고, 리놀렌산(linolenate), 리놀레산(linoleate), 팔미트산(palmitate) 및 팔미톨레산(palmitoleate)도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2). 공동 배양을 통해 증가된 올레인산의 유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공동 배양에 사용된 리조비움 KB10 균주를 영양배지인 R2A 배지를 사용하여 30일간 배양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지방산을 분석하였다(도 6).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30일 배양된 신균주 리조비움 KB10의 올레인산 함량은 극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4시간 동안 동일 배지에서 배양된 경우에서도 올레인산은 극히 낮게 검출되었다 (데이터 미제시).
신균주 리조비움 KB10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공동배양된 배양액의 지방산 함량 분석 결과 (Peak area)
대조군 실험군
palmitate(C16:0) 5042.7 18616.1
palmitoleate(C16:1) 1705.0 5972.8
oleate(C18:1) 15740.4 142421.8
linoleate(C18:2) 6100.8 13887.0
linolenate(C18:3) 8339.1 27339.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131 20120207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Rhizobium sp. KB10 having the ability of promoting cell growth and increasing fatty acid content of Botryococcus braunii <130> PN12023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agtttgatc ctggctcag 1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aggaggtga tccagccgca 20 <210> 3 <211> 1407 <212> DNA <213> Rhizobium sp. <400> 3 aacgaacgct ggcggcaggc ttaacacatg caagtcgaac gccccgcaag gggagtggca 60 gacgggtgag taacgcgtgg gaatctaccc atctctgcgg aatagctctg ggaaactgga 120 attaataccg catacgccct acgggggaaa gatttatcgg ggatggatga gcccgcgttg 180 gattagctag ttggtggggt aaaggcctac caaggcgacg atccatagct ggtctgagag 240 gatgatcagc cacattggga ctgagacacg gcccaaactc ctacgggagg cagcagtggg 300 gaatattgga caatgggcgc aagcctgatc cagccatgcc gcgtgagtga tgaaggcctt 360 agggttgtaa agctctttca ccgatgaaga taatgacggt agtcggagaa gaagccccgg 420 ctaacttcgt gccagcagcc gcggtaatac gaagggggct agcgttgttc ggaattactg 480 ggcgtaaagc gcacgtaggc ggatatttaa gtcaggggtg aaatcccgca gctcaactgc 540 ggaactgcct ttgatactgg gtatcttgag tatggaagag gtaagtggaa ttccgagtgt 600 agaggtgaaa ttcgtagata ttcggaggaa caccagtggc gaaggcggct tactggtcca 660 ttactgacgc tgaggtgcga aagcgtgggg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720 acgccgtaaa cgatgaatgt tagccgtcgg gcagtatact gttcggtggc gcagctaacg 780 cattaaacat tccgcctggg gagtacggtc gcaagattaa aactcaaagg aattgacggg 840 ggcccgcaca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caga accttaccag 900 ctcttgacat tcggggtatg ggcattggag acgatgtcct tcagttaggc tggccccaga 960 acaggtgctg catggctgtc gtcagctcgt gtcgtgagat gttgggttaa gtcccgcaac 1020 gagcgcaacc ctcgccctta gttgccagca tttagttggg cactctaagg ggactgccgg 1080 tgataagccg agaggaaggt ggggatgacg tcaagtcctc atggccctta cgggctgggc 1140 tacacacgtg ctacaatggt ggtgacagtg ggcagcgaga cagcgatgtc gagctaatct 1200 ccaaaagcca tctcagttcg gattgcactc tgcaactcga gtgcatgaag ttggaatcgc 1260 tagtaatcgc agatcagcat gctgcggtga atacgttccc gggccttgta cacaccgccc 1320 gtcacaccat gggagttggt tttacccgaa ggtagtgcgc taaccgcaag gaggcagcta 1380 accacggtag ggtcagcgac tggggtg 1407

Claims (9)

  1.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리조비움 속 KB10(Rhizobium sp. KB10) 균주 (KCTC 12131BP).
  2. 제1항의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를 공동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 균주 배양액 기준으로 리조비움 속 KB10 균주를 0.1 ~ 10%(v/v)로 첨가하여 공동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의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를 공동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대량생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올레인산, 리놀렌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또는 팔미톨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의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공동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산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올레인산, 리놀렌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또는 팔미톨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8. 제1항의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의 공동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디젤 대량생산용 미생물 제제.
  9. 제1항의 리조비움 속 KB10 균주 및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Botryococcus braunii) 균주를 공동배양하여 지방산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지방산을 바이오디젤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의 생산 방법.
KR1020120022346A 2012-03-05 2012-03-05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KR10140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46A KR101407233B1 (ko) 2012-03-05 2012-03-05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US13/816,735 US9102972B2 (en) 2012-03-05 2013-01-11 Microorganism Rhizobium sp. KB10 having properties of promoting growth of Botryococcus braunii and increasing fatty acid content
PCT/KR2013/000258 WO2013133526A1 (ko) 2012-03-05 2013-01-11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46A KR101407233B1 (ko) 2012-03-05 2012-03-05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08A KR20130101308A (ko) 2013-09-13
KR101407233B1 true KR101407233B1 (ko) 2014-06-16

Family

ID=4911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346A KR101407233B1 (ko) 2012-03-05 2012-03-05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02972B2 (ko)
KR (1) KR101407233B1 (ko)
WO (1) WO2013133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84B1 (ko) 2018-12-11 2020-03-09 대한민국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네포툼 cht97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486B1 (ko) 2016-06-08 2017-11-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Lb 배지를 포함하는 미세조류 배양용 배지 조성물
WO2018227184A1 (en) * 2017-06-09 2018-12-13 C16, Llc Methods of producing lipi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786B1 (ko) 1998-06-03 2002-05-13 박호군 미세조류로부터탄화수소의추출방법
WO2008119082A2 (en) 2007-03-28 2008-10-02 Ls9, Inc. Enhanced production of fatty acid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5118A1 (en) * 2008-10-09 2011-11-10 De Crecy Eudes Method of producing fatty acids for biofuel, biodiesel, and other valuable chemicals
KR101076043B1 (ko) 2009-07-03 2011-10-21 바이오퓨얼켐 주식회사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ES2713526T3 (es) 2009-07-17 2019-05-22 Korea Advanced Inst Sci & Tech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ésteres alquílicos de ácidos grasos usando microorganismos que tienen capacidad de producir acei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786B1 (ko) 1998-06-03 2002-05-13 박호군 미세조류로부터탄화수소의추출방법
WO2008119082A2 (en) 2007-03-28 2008-10-02 Ls9, Inc. Enhanced production of fatty acid derivativ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Vol.17, pp.551-556(2005.12.) *
Microbial Ecology, Vol.60, pp.628-635(2010.05.2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84B1 (ko) 2018-12-11 2020-03-09 대한민국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네포툼 cht97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02972B2 (en) 2015-08-11
US20140087420A1 (en) 2014-03-27
WO2013133526A1 (ko) 2013-09-12
KR20130101308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8338A1 (en) Mixotrophic algae for the production of algae biofuel feedstock on wastewater
WO2014083534A1 (en) Mixotrophic cultivatio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biofuel
KR101407233B1 (ko) 보트리오코커스 브라우니의 생장 촉진 및 지방산 함량 증가 특성을 가진 신규 미생물 리조비움 속 kb10
KR101575208B1 (ko) 북극 해양에서 분리한 전분 및 지질 고생산 미세조류 클로렐라 세포주 및 이의 용도
KR101424852B1 (ko)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클로렐라 불가리스 cv-16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KR101401413B1 (ko) 클로스트리디움 속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부티르산 생산방법 및 상기 균주의 분리방법
KR101777217B1 (ko) Dha를 고농도로 포함한 바이오오일 생산 미세조류인 스키조키트리움 속 sh10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47450B1 (ko) 신규 유지성 미세조류 krs1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오일의 제조방법
KR101424853B1 (ko)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클로렐라 불가리스 cv-18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KR101504159B1 (ko) 미세조류의 성장을 촉진하는 엑소피아라 올리고스퍼마 및 이의 용도
KR101499912B1 (ko) 신규 테트라셀미스 MBEyh04Gc 균주(KCTC 12432BP)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101654219B1 (ko) 고 함량의 다중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트라우스토키트리대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47451B1 (ko) Thraustochytrid계 미세조류의 배양방법
KR101244836B1 (ko) 신규한 니트치아 푸실라 균주 및 그 용도
Rasouli et al. Single-cell oil production using low-cost carbon sources by newly isolated Kocuria Y205
CN110894512A (zh) 一种利用微藻直接生产乙醇的方法
KR101626394B1 (ko) 활동성 어류를 이용한 옥외 배양시 응집성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692695B1 (ko) 고 함량의 다중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트라우스토키트리대 속 돌연변이 균주 ga 및 이의 용도
KR101424316B1 (ko)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3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KR101780298B1 (ko) 트라우스토키트리드계 미세조류를 이용한 섬유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오일의 제조방법
KR101678076B1 (ko) 신규 패오닥틸럼 트리코누툼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101424315B1 (ko)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KR20140019616A (ko) 신규 테트라셀미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101499914B1 (ko) 신규 테트라셀미스 MBEyh05Gc(KCTC 12433B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101499910B1 (ko) 신규 테트라셀미스 MBEyh02L(KCTC 12430BP)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