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315B1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4315B1 KR101424315B1 KR1020100119005A KR20100119005A KR101424315B1 KR 101424315 B1 KR101424315 B1 KR 101424315B1 KR 1020100119005 A KR1020100119005 A KR 1020100119005A KR 20100119005 A KR20100119005 A KR 20100119005A KR 101424315 B1 KR101424315 B1 KR 1014243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ethesmus
- productivity
- biodiesel
- scenedesmus
- se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5—Unicellular algae isol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1—Preparation of mutants without inserting foreign genetic material therein; Screening process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9—Biodiesel, i.e. fatty acid alkyl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네데스무스 M001은 세네데스무스 균주를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MS)로 처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함으로써, 세포 생장률이 증가되고 빠른 생장으로 인해 세포의 분열, 신진대사 및 이산화탄소 고정능이 높아져 생물량 생산성이 높으며, 지질 함량이 높고, 지질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이 높다. 따라서 세네데스무스 M001은 대량배양을 통하여 바이오디젤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이오에너지의 생산원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저감, 친환경 연료 개발, 새로운 녹색산업 창출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 이용의 급증으로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원을 강화하기 위하여 육상에 산림조성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산림을 조성하기 위한 육상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고, 육상식물의 광합성 대사가 매우 느려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육상식물보다 태양에너지와 이산화탄소 이용률이 10배 정도 높은 미세조류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산업화로 인해 대기 중에 증가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방법으로는 물리/화학적 제어방법, 생물학적 고정방법, 해양 저장법 등이 있다. 이들 중 생물학적 고정방법은 자연계의 탄소순환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장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며, 다른 2차 오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미세조류를 이용한 탄소 고정방법은 광합성 효율이 고등 식물에 비하여 우수하고, 상온·상압에서 반응이 진행되므로 에너지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다.
최근, 원유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석유 대체 연료원으로 생물자원을 활용한 생물연료(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식용작물을 이용한 생물연료의 개발은 경작지 확대에 따른 생태계 파괴, 식량부족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용작물 대신 미세조류를 원료로 활용하는 기술이 차세대 바이오디젤 기술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미세조류(microalgae)는 지구표면의 71%를 차지하는 바다에서 광합성 (photosynthesis)을 하는 식물 플랑크톤으로, 물과 이산화탄소 및 햇빛을 이용하여 광합성 성장이 가능한 단세포성 광합성 미생물을 통칭한다. 미세조류는 광합성만 가능하다면 황무지, 해안가, 바다 등 어디서든 배양할 수 있어, 유휴 경작지를 활용한 배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양 전체에 골고루 서식하고 있고, 지구 전체 산소 발생량의 50%를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미세조류를 유휴 경작지에서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으며, 매일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세조류는 화력발전소 등의 부생가스내 고농도 이산화탄소(15% 수준)를 직접 흡수해 성장할 수 있으므로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도 매우 크다. 광합성 미생물인 미세조류의 태양에너지 이용효율은 5% 정도로, 육상식물의 0.2%에 비해 약 25배 정도 높으며, 이산화탄소 고정화 속도는 소나무의 15배로 매우 효율적이다(Matsumoto, H., N. Shioji, A. Hamasaki, Y. Ikuta, Y. Fukuda, M. Sato, N. Endo, and T. Tsukamoto. 1995. Carbon dioxide fixation by microalgae photosynthesis using actual flue gas discharged from a boiler. Appl. Biochem. Biotech. 51/52: 681-692.). 또한, 미세조류의 단위면적당 바이오디젤 생산량(오일 함량이 30%인 경우)은 약 58,700 L/ha로 대두의 446 L/ha에 비해 130배에 달한다(Chisti, Y. 2007. Biodiesel from microalgae. Biotechnol. Adv. 25: 294-306.). 또한, 미세조류는 유휴 경작지를 이용한 배양, 균주개량의 용이성, 식량문제와 무관함, 이산화탄소 고정능의 획기적 증대 등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화석연료로부터 생산되는 디젤을 대체할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소위 2세대 생물연료로 분류되는 식물의 셀룰로오스 또는 리그닌, 생물 폐자원, 초본에 비하여 단위 생산성이 높은 미세조류(3세대 생물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생물연료가 재생에너지 자원으로 고려되고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전환 및 처리는 자연계 물질순환의 기본 원리인 광합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환경친화적 방법이며, 공정이 상온·상압에서 이루어지고, 생산된 생물량(biomass)을 유용물질로 활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sp.)는 녹조류로 분류되며, 분류체계로는 Chlorophyta 목, Chlorophyceae 과에 속하고, 4~8개의 단위세포가 붙어서 존재한다. 세네데스무스는 전세계의 담수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체내 지질의 함량이 20~30%로 존재하고, 지질의 조성은 팔미트산(C16:0)과 리놀레산(linoleic acid, 18:2)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다(Yoo, C., Jun, S-Y., Lee, J-Y., Ahn, C-Y., and Oh, H-M. 2010. Selection of microalgae for lipid production under high levels carbon dioxide. Biores. Technol.101:S71-S74). 또한, 세네데스무스 유래의 지질은 바이오디젤로 전환이 용이하며, 석유를 기반으로 하는 디젤과 물성이 비슷하다.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미세조류의 생장과 지질 함량이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미세조류의 생장과 지질의 축적은 상반된 결과, 즉 미세조류의 생장이 빠른 경우 지질 함량이 낮고, 미세조류의 지질 함량이 높은 경우는 생장이 느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장이 빠르고 지질 함량이 높은 미세조류의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생장이 빠르고 지질 함량이 높은 미세조류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세네데스무스를 배양한 후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thyl methanesulfonate, EMS)로 처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시켰으며, 상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의 세포 생장률, 생물량 생산성, 지질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이 향상되고 지질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네데스무스 M001(Scenedesmus sp. M001, KCTC 11777BP)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도이다.
도 2는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생장곡선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생물량 생산성, 지질 생산성 및 지방산 생산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한 도이다.
도 2는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생장곡선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생물량 생산성, 지질 생산성 및 지방산 생산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한 도이다.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Scenedesmus sp. M001, KCTC 11777BP)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세네데스무스 Y831을 배양한 후,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thyl methanesulfonate, EMS)로 처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하는 단계, 및
2) 상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를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지질과 지방산을 추출 및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네데스무스 M001(Scenedesmus sp. M001, KCTC 11777BP)은 세네데스무스 Y831을 배양한 후,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thyl methanesulfonate, EMS)로 처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4개의 세포가 뭉쳐서 존재하고, 모 균주인 세네데스무스 Y831과 형태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돌연변이 세네데스무스의 18S rDNA의 염기는 세네데스무스 Y831와 동일한 염기 서열을 갖는다. 따라서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가 세네데스무스 속임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를 세네데스무스 M001 (Scenedesmus sp. M001)로 명명하였다(KCTC 11777BP).
본 발명의 세네데스무스 M001의 세포 생장률, 생물량 생산성, 지질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은 세네데스무스 Y831에 비해 각각 1.2배씩 향상된다. 또한, 세네데스무스 M001의 총 지질 함량은 세네데스무스 Y831에 비해 약간 증가하고,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방산 조성은 올레산(oleic acid, C18:1)과 리놀렌산(linolenic acid, C18:3)이 주를 이루어 세네데스무스 Y831과 지방산 조성이 비숫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네데스무스 M001은 세네데스무스 균주를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MS)로 처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함으로써, 세포 생장률이 증가되고 빠른 생장으로 인해 세포의 분열, 신진대사 및 이산화탄소 고정능이 높아져 생물량 생산성이 높으며, 지질 함량이 높고, 지질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이 높다. 따라서 세네데스무스 M001은 대량배양을 통하여 바이오디젤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이오에너지의 생산원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저감, 친환경 연료 개발, 새로운 녹색산업 창출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돌연변이 세네데스무스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세네데스무스 Y831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배양 조건으로는 광배양기에서 광도 120±5 μmol/photons/㎡/s, 온도 26±0.2℃ 조건에서 광을 24시간 조사하며 진탕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BG11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BG11 배지의 조성 성분 | 함량(g/L) | |
NaNO3 | 1.500 | |
K2HPO4 | 0.039 | |
MgSO4·7H2O | 0.075 | |
Na2CO3 | 0.021 | |
CaCl2 | 0.027 | |
Na2SiO3·9H2O | 0.058 | |
구연산철(Ferric citrate) | 0.006 | |
구연산(Citric acid) | 0.006 | |
EDTA | 0.001 | |
미량 성분 |
H3BO3 | 2.86 |
MnCl2·4H2O | 1.86 | |
ZnSO4·7H2O | 0.22 | |
Na2MoO4·2H2O | 0.391 | |
CuSO4·5H2O | 0.079 | |
Co(NO3)2·6H2O | 0.0494 |
1. 세네데스무스의 돌연변이 유도
세네데스무스 Y831을 BG11 배지에서 10일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5,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한 다음 BG11 배지로 현탁하였다. 상기 현탁액에 돌연변이 유도물질인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thyl methanesulfonate, EMS)를 최종농도 0.24%(v/v)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마이크로 튜브(2㎖)에 1㎖씩 분취하여 상온에서 각각 10분, 20분, 30분 동안 반응시켜 돌연변이를 유도하였다. 반응 후 5,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5% 티오황산염(sodium thiosulfate) 1㎖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반응액을 5,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잔류 에틸 메탄설포네이트와 티오황산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BG11 배지 1㎖로 3회 세척한 후, BG11 배지로 현탁하였다. 현탁액의 일부(100㎕)를 BG11 한천 고체 평판배지에 도말하고, 광배양기에서 광도 120±5 μmol/photons/㎡/s, 온도 26±0.2℃ 조건에서 광을 24시간 조사하며 2주 동안 진탕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는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BG11 액체 배지에 옮겨 동일한 조건에서 진탕배양하였다.
2. 돌연변이 세네데스무스의 동정
상기 1에서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를 BG11 배지에서 배양하여 광학현미경 Microphot FX-A(Nikon, JAPAN)로 관찰하였으며, 조류도감(Prescott,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1973; Canter-Lund와 Lund, Freshwater algae: Their microscopic world explored, 1995)을 참조하여 동정하였다. 또한, 분자생물학적인 동정에 사용되는 18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모 균주와 돌연변이 균주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의 18S rDNA 염기서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돌연변이 세네데스무스의 18S rDNA 염기서열 | Blast 검색 결과 |
CGCTTACTAG CAATTCCTCG TTGAAGACTA ATAATTGCAA TAATCTATCC CCATCACGAT GCAGTTTCAA AGATTACCCA GACCCTTCGG TCAAGGATAG GCTTGTTGAA TGCATCAGTG TAGCGCGCGT GCGGCCCAGA ACATCTAAGG GCATCACAGA CCTGTTATTG CCTCATACTT CCATTGACTA AACGCCAATA GTCCCTCTAA GAAGTCAGCC AGCTGCAAAA AGCAACTGAG ACTATTTAGC AGGCTGAGGT CTCGTTCGTT ACCGGAATCA ACCTGACAAG GCAACCCACC AACTAAGAAC GGCCATGCAC CACCACCCA TAGAATCAAGA AAGAGCTCTC AATCTGTCAA TCCTCACTAT GTCTGGACCT GGTAAGTTT TCCCGTGTTGA GTCAAATTAA GCCGCAGGCT CCACGCCTGG TGGTGCCCTT CCGTCAATTC CTTTAAGTTT CAGCCTTGCG ACCATACTCC CCCCGGAACC CAAAAACTTT GATTTCTCAT AAGGTGCTGG CGAAGTCATT AAAAAAACAT TCGCCAATCC CTAGTCGGCA TCGTTTATGG TTGAGACTAC GACGGTATCT AATCGTCTTC GAGCCCCCAA CTTTCGTTCT TGATTAATGA AAACATCCTT GGCAAATGCT TTCGCAGTAG TTCGTCTTTC ATAAATCCAA GAATTTCACC TCTGACAATG AAATACGAAT GCCCCCGACT GTCCCTCTTA ATCATTACTC CGGTCCTACA GACCAACAAG ATAGACCAGA GTCCTATCGT GTTATTCCAT GCTAAAGTAT TCTGGCGTAA GCCTGCTTTG AACACTCTAA TTTACTCAAA GTAACCACGT CGACTCCGAG TCCCGGACAG TGAAGCCCAG AAGCCCGTCC CCGACAGAAA GGAAGGCCAT AGCAGTACTC ACCATAGGCG GACCGCTAGA ACCCACCCGA AATCCAACTA CGAGCTTTTT AACTGCAACA ACTTAAATAT ACGCTATTGG AGCTGGAATT ACCGCGGCTG CTGGCACCAG ACTTGCCCTC CAATGGATCC TCGTTAAGGG ATTTAGATTG TACTCATTCC AATTACCAGA CATAAAATGC CCGGTATTGT TATTTATTGT CACTACCTCC CCGTATCAGG ATTGGGTAAT TTGCGCGCCT GCTGCCTTCC TTGGATGTGG TAGCCGTTTC TCAGGCTCCC TCTCCGGAAT CGAACCCTAA TCCTCCGTCA CCCGTTACCA CCATGGTAGG CCTCTATCCT ACCATCGAAA GTTGATAGGG CAGAAATTTG AATG |
gi|6624717|emb|AJ249515.1| Scenedesmus obliquus 18S rRNA gene, strain UTEX 1450 Length=1633 Score = 2320 bits (2572), Expect = 0.0 Identities = 1291/1294 (99%), Gaps = 0/1294 (0%) |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는 4개의 세포가 뭉쳐서 존재하였고, 모 균주인 세네데스무스 Y831과 형태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연변이 세네데스무스의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MS)에 의한 염기상의 변이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돌연변이 세네데스무스의 18S rDNA의 염기는 세네데스무스 Y831와 동일한 염기 서열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물론, 전체의 DNA를 대상으로 검정한 것이 아니고, 검정한 부분의 길이가 너무 짧아 염기서열상의 변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가 세네데스무스 속임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를 세네데스무스 M001(Scenedesmus sp. M001)로 명명하였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2010년 10월 5일자로 기탁하였다(KCTC 11777BP).
실험예 1
: 세네데스무스 M001의 생장률 측정
세네데스무스의 생장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을 BG11 배지에서 1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은 형광등을 이용하여 120 μmol/photons/㎡/s의 광량이 공급되는 광배양기를 사용하였으며, 배양 조건은 26℃로 항온을 유지하고 120rpm으로 교반하였다. 세네데스무스를 접종 후 매일 시료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80㎚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세포 생장률(specific growth rate, μ)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μ = Ln(N1/N0) / (t1-t0)
※ N0: 초기 680㎚의 흡광도, N1: 최종 680㎚의 흡광도,
t0: 초기 배양일, t1: 최종 배양일.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생장곡선은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세포 생장률과 배수기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생물량 생산성은 도 3에 나타내었다.
미세조류 | 세포 생장률(/d) | 배수기(day) |
Scenedesmus sp. Y831 | 0.177 | 3.91 |
Scenedesmus sp. M001 | 0.214 | 3.23 |
도 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네데스무스 Y831의 세포 생장률은 0.177 /d인 반면, 세네데스무스 M001의 세포 생장률은 0.214 /d로 약 1.2배 빠르게 생장하였다. 또한, 두 배씩 증가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배수기(doubling time)의 경우, 세네데스무스 Y831은 3.9 일인 반면, 세네데스무스 M001은 3.2 일로 약 0.7 일 정도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네데스무스 Y831의 생물량 생산성은 32.0 ㎎/L/d인 반면, 세네데스무스 M001은 38.0 ㎎/L/d로 약 1.2배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질과 지방산의 정량 분석
총 지질(Total lipid)의 분석은 Bligh와 Dyer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총 지질은 미세조류 건체를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chloroform-methanol solution, 2:1, v/v)을 이용하여 용출하였다. 용출 후 물을 가하여 클로로포름과 메탄올 층을 분리하였다. 클로로포름 층은 5% 염화나트륨(NaCl)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용매를 증발기를 사용하여 증발시켰다. 증발하고 남은 무게를 측정하여 총 지질의 양을 얻었다. 지방산(fatty acid) 분석은 Lepage와 Roy의 방법에 따라 전처리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총 지질 함량과 지방산 함량은 각각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고,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질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은 도 3에 나타내었으며,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미세조류 | 총 지질 함량(%) |
Scenedesmus sp. Y831 | 33.2 |
Scenedesmus sp. M001 | 36.3 |
미세조류 | 지방산 함량(%) | |||||
C16:0 | C16:1 | C18:0 | C18:1 | C18:2 | C18:3 | |
Scenedesmus sp. Y831 | 13.4 | 0.6 | 0.2 | 26.6 | 13.6 | 41.4 |
Scenedesmus sp. M001 | 14.2 | 0.7 | 0.3 | 28.1 | 13.2 | 40.5 |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네데스무스 M001의 총 지질 함량은 세네데스무스 Y831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또한 표 5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네데스무스 Y831과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방산 조성은 올레산(oleic acid, C18:1)(각각 26.6%, 28.1%)과 리놀렌산 (linolenic acid, C18:3)(각각 41.4%, 40.5%)이 주를 이루었으며, 두개의 균주에서 비숫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네데스무스 M001의 지질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은 세네데스무스 Y831에 비해 각각 1.2배 증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세네데스무스 M001은 세네데스무스 균주를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MS)로 처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함으로써, 세포 생장률이 증가되고 빠른 생장으로 인해 세포의 분열, 신진대사 및 이산화탄소 고정능이 높아져 생물량 생산성이 높으며, 지질 함량이 높고, 지질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이 높다. 따라서 세네데스무스 M001은 대량배양을 통하여 바이오디젤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이오에너지의 생산원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저감, 친환경 연료 개발, 새로운 녹색산업 창출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3)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Scenedesmus sp. M001, KCTC 11777BP).
- 1)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sp.) Y831을 배양한 후, 에틸 메탄설포네이트(ethyl methanesulfonate, EMS)로 처리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하는 단계, 및
2) 상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sp.)를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지질과 지방산을 추출 및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으로서,
상기 돌연변이 유도된 세네데스무스는 세네데스무스 M001 (Scenedesmus sp. M001, KCTC 11777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9005A KR101424315B1 (ko) | 2010-11-26 | 2010-11-26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9005A KR101424315B1 (ko) | 2010-11-26 | 2010-11-26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7327A KR20120057327A (ko) | 2012-06-05 |
KR101424315B1 true KR101424315B1 (ko) | 2014-08-01 |
Family
ID=4660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9005A KR101424315B1 (ko) | 2010-11-26 | 2010-11-26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4315B1 (ko) |
-
2010
- 2010-11-26 KR KR1020100119005A patent/KR101424315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Biosource Technology, Vol. 101, Pages S71-S74(공개일: 2009. 4. 11.). * |
Biosource Technology, Vol. 101, Pages S71-S74(공개일: 2009. 4. 11.).* |
SLOCOMBE, S., Scottish Marine Institute, Venue: University of Strathclyde (2010. 4.26.). * |
SLOCOMBE, S., Scottish Marine Institute, Venue: University of Strathclyde (2010. 4.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7327A (ko) | 2012-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ripathi et al. | Characterization of microalga Scenedesmus sp. ISTGA1 for potential CO2 sequestration and biodiesel production | |
Feng et al. | Lipid accumul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Chlorella zofingiensis under different nitrate and phosphate concentrations | |
Feng et al. | Lipid accumulation and growth of Chlorella zofingiensis in flat plate photobioreactors outdoors | |
EP2668259B1 (en) | Process for production of microalgae, cyanobacteria and metabolites thereof | |
Řezanka et al. | Pilot cultivation of the green alga Monoraphidium sp. producing a high cont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 |
CN106467896B (zh) | 一种耐受高ph的凯氏拟小球藻及其培养应用 | |
Narayanan et al. |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outdoor cultivation of thermophilic freshwater microalgae Coelastrella sp. FI69 in bubble column reactor for the application of biofuel production | |
Heidari et al. | Effect of culture age and initial inoculum size on lipid accumulation and productivity in a hybrid cultivation system of Chlorella vulgaris | |
KR101424852B1 (ko)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클로렐라 불가리스 cv-16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
KR101563148B1 (ko) | 감마선 조사에 의해 바이오매스, 전분 및 지질 함량이 증진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드티아이 변이체 및 이의 용도 | |
KR101424853B1 (ko)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클로렐라 불가리스 cv-18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
ES2759017T3 (es) | Variante de levadura oleaginosa, método para obtener la misma y uso de la misma para la producción de lípidos | |
US9102972B2 (en) | Microorganism Rhizobium sp. KB10 having properties of promoting growth of Botryococcus braunii and increasing fatty acid content | |
Talukdar et al. | Effects of Salinity on Growth and Total Lipid Con-tent of the Biofuel Potential Microalga Ankistro-desmus falcatus (Corda) Ralfs | |
JP5534267B2 (ja) | ボトリオコッカス・ブラウニー(Botryococcusbraunii)属の新規株 | |
Wijayasekera et al. | Assessment of the Potential of CO 2 Sequestration from Cement Flue Gas Using Locally Isolated Microalgae | |
Puangbut et al. | Integrated cultivation technique for microbial lipid production by photosynthetic microalgae and locally oleaginous yeast | |
KR101499912B1 (ko) | 신규 테트라셀미스 MBEyh04Gc 균주(KCTC 12432BP)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 |
KR101424316B1 (ko)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3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
Jeon et al. | Enhanced production of biomass and lipids by supplying CO 2 in marine microalga Dunaliella sp. | |
KR101176560B1 (ko) | 로더박터 속 광합성 세균을 이용한 바이오오일 생산 방법 | |
Hariram et al. | Scenedesmus obliquus and Chlorella vulgaris–A Prospective Algal Fuel Source | |
KR101424315B1 (ko)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세네데스무스 m00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 |
KR101672407B1 (ko) |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방사선변이 미세조류 | |
KR101244836B1 (ko) | 신규한 니트치아 푸실라 균주 및 그 용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