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665B1 -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665B1
KR101406665B1 KR1020137016643A KR20137016643A KR101406665B1 KR 101406665 B1 KR101406665 B1 KR 101406665B1 KR 1020137016643 A KR1020137016643 A KR 1020137016643A KR 20137016643 A KR20137016643 A KR 20137016643A KR 101406665 B1 KR101406665 B1 KR 101406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nozzle
tubular portion
grommet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322A (ko
Inventor
노리히데 다치바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8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23Arrangements of the venting tube
    • B60K2015/03538Arrangements of the venting tube the venting tube being connected with the fille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Arrangements for sealing the fuel inlet during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급유구측 통부(30)의 내측에 고정되어, 급유 노즐(5)을 통부(30)로부터 필러 파이프 내로 삽입할 때에 안내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로서, 통부(30)의 안쪽에 배치되는 통 형상부(13), 및 통 형상부의 입구측 단부에 형성되어 급유 노즐(5)을 센터링 가능한 대략 깔때기 형상의 도입부(10)를 가진 가이드 본체(1)와, 통 형상부(13)의 외주에 끼워맞춰져서 당해 통 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임시 고정 위치로부터 본 고정 위치로 전환 가능함과 아울러, 임시 고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본체(1)의 통부(30)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당해 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35)와 걸어맞춰지고, 가이드 본체(1)의 통부 내로 더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을 유지하고 본 고정 위치로 전환되어 발거(拔去) 불가능하게 되는 그로밋(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급유구측 통부에의 조립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과대한 충격을 받아도 예기치 않게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어렵다.

Description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GUIDE DEVICE FOR FUEL FILLER NOZZLE}
본 발명은, 급유 노즐이 삽입되는 급유구에 설치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급유 노즐의 필러 파이프 내에의 삽입을 안내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차량의 급유구 구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8(a)는, 필러 파이프의 급유구측에 설치된 통부에 급유 노즐을 삽입해서 급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8(b)는, 급유 노즐을 안내하는 노즐 가이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노즐 가이드의 구조에서는, 급유 노즐(Nz)을 삽입하는 통부(6)와, 급유 노즐(Nz)로부터 토출된 연료(F)를 연료 탱크측으로 보내는 공급 경로를 형성하고 있는 필러 파이프(3)와, 통부(6)에 접속되어 연료 탱크의 연료 베이퍼를 배출하는 벤트 튜브(4)와, 통부(6) 내에 형성되어 급유 노즐(Nz)을 필러 파이프(3) 내로 안내하는 노즐 가이드(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노즐 가이드(10)는 분할체(11, 12)로 이루어진다. 분할체(11)에는 가동 돌조(11b) 및 벽부(11c)가 형성되며, 분할체(12)에는 압압부(押壓部)인 내벽부(12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돌조(11b)는, 분할체(11)와 분할체(12)가 상대 이동되면 내벽부(12e)에 의해 압압 변형된다. 한편, 통부(6)에는 통체(2)의 단차(段差)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피(被)걸어맞춤부(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가이드(10)는, 통부(6) 내에서, 가동 돌조(11b)가 부착된 분할체(11)와 내벽부(12e)가 형성된 분할체(12)를 상대 이동해서, 가동 돌조(11b)를 내벽부(12e)에 의해 압압 변위시켜 피걸어맞춤부(2c)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통 내에 고정된다.
즉, 노즐 가이드(10)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분할체(11)를 통부(6) 내의 안쪽에 삽입하고, 이어서 분할체(12)를 통부(6) 내로 삽입한다. 이 경우, 분할체(12)를 통부(6) 내로 삽입하면, 분할체(11, 12)끼리가 삽입 방향(I)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분할체(11)의 가동 돌조(11b) 및 벽부(11c)가 분할체(12)의 절결부(12d)에 삽입된다. 이때, 절결부(12d)의 개방측의 확개부(擴開部)(12f, 12g)가 가동 돌조(11b)의 가이드로 되기 때문에, 가동 돌조(11b)를 절결부(12d)에 의해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돌조(11b) 및 벽부(11c)는, 절결부(12d)의 내벽부(12e)에 의해 통 외측으로 밀어내어진다. 이것에 의해, 가동 돌조(11b)의 걸림 돌기(11d)와 벽부(11c)의 측벽부(11g)의 선단 부분이, 피걸어맞춤부(2c)에 걸어맞춰져, 분할체(11)가 통부(6) 내에 걸어맞춰진다. 동시에, 분할체(11, 12)끼리는, 분할체(12)를 삽입 방향(I)으로 밀어넣음으로써, 걸어맞춤 기구(13)를 구성하고 있는 분할체(11)측의 개구부(12h)와 분할체(12)측의 돌기(12i)의 걸어맞춤에 의해 일체화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0-188867호 공보
상기한 노즐 가이드 구조에서는, 통부(6) 내에 있어서 분할체(11, 12)끼리가 걸어맞춤 기구(13)에 의해 걸어맞춰짐으로써 일체화되는 한편 분할체(11)가 통부(6)에 걸어맞춤 고정된다. 이로 인해, 분할체(11, 12)끼리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어려워, 조립 조작성이 나빠진다. 또, 통부(6)에 대한 걸어맞춤 고정은, 벤트 튜브(4)의 단부를 이용한 둘레 방향의 회전 저지와, 가동 돌조의 걸림 돌기(11d) 및 벽부의 측벽부(11g)의 선단 부분을 통부(6)의 단차 단부 가장자리인 피걸어맞춤부(2c)에 걸어 고정하고 있을 뿐이므로, 추돌 사고 등과 같이 과대한 충격을 받았을 때에 분할체(11, 12)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거나, 분할체(11, 12)가 덜컹거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으며, 특히 급유구측 통부에 대한 조립 조작성을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과대한 충격을 받아도 예기치 않게 걸어맞춤 해제되지 않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1)의 특징을 가지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1) 급유구 측에 형성된 통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급유 노즐을 상기 통부로부터 필러 파이프 내로 삽입할 때에 상기 급유 노즐을 안내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통부의 안쪽에 배치되는 통 형상부, 및 상기 통 형상부의 입구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급유 노즐을 센터링 가능한 도입부를 가지는 가이드 본체와, 상기 통 형상부의 외주에 끼워맞춰져서 당해 통 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임시 고정 위치로부터 본 고정 위치로 전환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임시 고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상기 통부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당해 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가이드 본체의 상기 통부 내로 더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을 유지하고 상기 본 고정 위치로 전환되어 발거(拔去) 불가능하게 되는 그로밋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이하의 (2)∼(6)의 특징을 더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상기 그로밋은, 상기 통 형상부의 외주에 끼워맞춰지는 고리 형상부와, 상기 고리 형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탄성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통 형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 형상부가 상기 통부측 돌기(35)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통부 내로 더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부를 통 형상부 지름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트부를 가지고 있다.
(3) 상기 고리 형상부와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상기 통부측 돌기를 걸어맞춘다.
(4) 상기 그로밋은, 상기 가이드 본체의 본 고정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고리 형상부가 상기 통 형상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맞닿아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삽입을 규제하며, 또한 상기 다리부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어깨부가 상기 통 형상부에 형성된 제 2 걸림부에 걸어맞춰진다.
(5) 상기 제 2 걸림부는, 상기 시트부에 연접(連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6) 상기 도입부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날개부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통 형상부는 상기 통부에 접속된 밴트 튜브의 개구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된 판 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종래의 가이드 장치에 비해서, 상기 (1)의 특징을 가지는 것에 의해, 취급성, 조립 조작성, 발거 불가능한 안정 걸어맞춤성이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그로밋을 가이드 본체측 통 형상부에 끼워맞춰서 통 형상부의 임시 고정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양자를 일체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 그 그로밋을 부착한 가이드 본체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구측에 형성된 통부 내로 삽입 조작에 의해 통부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어맞춤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그 걸어맞춤 고정은, 동 도면과 같이 그로밋을 통부 내주면의 돌기와 걸어맞춘 상태에서, 가이드 본체의 통부 내로 더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을 통 형상부의 임시 고정 위치로부터 본 고정 위치로 전환해서 발거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상기 (2)의 특징을 더 가지는 것에 의해, 고리 형상부가 통부측 돌기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통부 내로 더 삽입되면, 다리부를 시트부에 의해 통 형상부 지름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을 해제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3)의 특징을 더 가지는 것에 의해, 그로밋이 고리 형상부와 다리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가지며, 통부측 돌기에 오목부를 걸어맞춘다. 이들은, 가이드 장치의 간이성을 유지하면서, 양호한 조립 조작성 및 안정된 걸어맞춤성을 확실히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상기 (4)의 특징을 더 가지는 것에 의해, 그로밋이 가이드 본체의 본 고정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었을 때, 고리 형상부가 통 형상부의 제 1 걸림부에 맞닿아서 가이드 본체의 삽입을 규제하거나, 다리부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어깨부가 통 형상부의 제 2 걸림부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가이드 본체에 대한 그로밋의 일체화를 전체의 길이를 억제하면서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상기 (5)의 특징을 더 가지는 것에 의해, 제 2 걸림부를 시트부에 연접한 상태로 형성하면, 시트부에 의한 다리부의 확개(擴開) 상태 즉 통부측 돌기에 대해서 걸어맞춤 해제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를, 다리부의 걸림 어깨부와 통 형상부의 제 2 걸림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상기 (6)의 특징을 더 가지는 것에 의해, 급유구측 통부 내에 있어서, 밴트 튜브로부터 상승되는 연료 베이퍼를 가이드 본체의 판 형상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가이드 본체의 날개부끼리의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흐르기 쉽게 하여, 그것에 의해 통부 안쪽 즉 필러 파이프의 연료 공급 통로 내로 도입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를 사용한 급유 노즐 삽입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급유 노즐 삽입부에 있어서의 급유구측의 구성과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를 그로밋의 가이드 본체에 대한 임시 조립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를 그로밋의 가이드 본체에 대한 임시 조립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3(c)는 도 3(a)의 A-A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4(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를 그로밋의 가이드 본체에 대한 본 고정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를 그로밋의 가이드 본체에 대한 본 고정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A1-A1 단면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5(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를 사용한 급유 노즐 삽입부에 있어서의 급유구측에 형성되는 통부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B-B 선 단면도
도 6(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본체를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6(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본체를 단체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본체를 단체로 나타내는 하면도
도 7(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그로밋을 단체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그로밋을 단체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7(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그로밋을 단체로 나타내는 하면도
도 8(a)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급유 노즐 삽입부의 내부 구조를, 급유 노즐을 삽입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급유 노즐 삽입부에 사용되는 가이드 장치(노즐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가이드 장치의 요부 구조를 명확히 한 후, 필러 파이프의 급유구측 통부에의 조립 조작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구조)
실시형태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의 급유구에 있어서 급유 노즐(5)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급유구 측에 형성된 통부(30)의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급유 노즐(5)을 통부(30)로부터 필러 파이프{3(31)} 내로 삽입할 때에 급유 노즐(5)을 안내한다. 본 실시형태의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의 구조 특징은, 통 형상부(13) 및 급유 노즐(5)을 센터링 가능한 도입부(10)를 가진 가이드 본체(1)와, 통 형상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임시 고정 위치로부터 본 고정 위치로 전환 가능한 그로밋(2)을 구비하고, 그로밋(2)이 통 형상부(13)의 임시 고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통부(30)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통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35)와 걸어맞춰지고, 가이드 본체(1)의 통부 내로 더 삽입되는 것에 의해 그 걸어맞춤을 유지하고 본 고정 위치로 전환되어 발거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러 파이프(3)는, 연료 탱크에 연료를 급유하기 위한 파이프이며, 지름이 큰 급유구측의 통부(30)를 제외한 파이프부(31)를 나타내는 경우와, 통부(30)를 포함해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전자(前者)의 사용 방법으로 설명한다. 즉, 급유구측 통부(30)는, 도 1,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단부가 플랜지 형상인 플랜지부(32)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내주면에 형성된 링 형상 보스(33)와, 측면에 접속되어 연료 베이퍼를 배출하는 벤트 튜브(4)와, 벤트 튜브(4)의 출구측 단부(4a)와 대향하는 내주면에 형성된 받침면(34)과 단부(4a) 및 받침면(34)보다 안쪽에 형성된 돌기(35)를 가지고 있다.
돌기(35)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3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복수(본 예에서는 3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35)는, 통부(30)의 내주면을 3 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기(35)는, 필러 파이프(3)를 구성하고 있는 파이프부(31)의 앞쪽에 형성되어, 통부(30)의 내주 방향으로 약간 길게 형성된 볼록 형상이다. 또, 통부(30)의 개구 단부측에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플랜지부(32)및 보스(33) 등을 이용해서 연료 캡 나사맞춤용의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는 통체가 장착된다.
가이드 본체(1) 및 그로밋(2)은 모두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본체(1)는, 도 3(a), 도 3(b), 도 3(c),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상이 깔때기와 같은 도입부(10)가 입구측(급유구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 형상부(13)가 출구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입부(10)는, 소정의 간격(12)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날개부(11)로 구성되어 있다. 각 날개부(11)는, 통 형상부(13)의 단면으로부터 깔때기 형상으로 벌여져 있다. 이 도입부(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이 통부(30)의 내주면(30a)에 압접되어 있으며, 급유 노즐(5)을 급유구에 삽입했을 때에, 통 형상부(13)에 센터링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 형상부(13)는, 원통 형상의 내면(14)를 가진다. 또, 통 형상부(13)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평평한 판 형상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 통 형상부(13)에 있어서의 도입부(10)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단면의 직경이 작게 되어 있는 배치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통 형상부(13)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판 형상부(16)를 제외한 부분에는, 통 형상부(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브(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 형상부(13)의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15b)가 더 형성되어 있다. 판 형상부(1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벤트 튜브(4)의 출구측 단부(4a)와 대향한 상태로 단부(4a)와 간극을 유지하고 배치된다. 판 형상부(16)에는, 임시 고정용의 규제 리브(16a, 16b)가 후단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규제 리브(16a, 16b)는, 소정 간격을 두고 있으며,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17)에 끼워맞춰진 그로밋(2)을 규제 리브(16a)와 규제 리브(16b)의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임시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치부(17)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단차에 의해 제 1 걸림부(17a)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로밋(2)을 제 1 걸림부(17a)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치부(17)의 후단 외주는, 지름이 일단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지름이 큰 부분에 형성된 복수{본 예에서는 판 형상부(16)의 양측 근방과, 판 형상부(16)와 대향하는 하측의 3개소}의 시트부(19)와, 각 시트부(19)에 연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걸림부(18)를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배치부(17)의 후단 외주를 지름이 큰 부분으로 하고, 그 지름이 큰 부분 중, 시트부(19)끼리의 사이의 내측 부분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제 2 걸림부(18)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그로밋(2)은, 도 3(a), 도 3(b), 도 3(c),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부(13)의 외주에 끼워맞춰지는 고리 형상부(20)와, 고리 형상부(20)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간격(25)을 두고 있는 복수의 탄성 다리부(23)로 이루어진다. 고리 형상부(20)는, 일부가 판 형상부(16)에 대응한 직선 형상의 편부(片部, 21)에 형성되어 있다. 편부(21)는, 규제 리브(16a와 16b)의 사이에 끼워지는 굵기이다. 각 다리부(23)는, 고리 형상부(20)의 단면에 지름이 작은 목부(22)를 통해서 돌출되어, 선단 내측에 단차 형상의 걸림 어깨부(2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편부(21)에는 다리부(23)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조립 조작)
이상의 그로밋(2)은, 가이드 본체(1)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통부(30)에 조립 조작된다.
(1)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본체(1) 및 그로밋(2)이 차체 조립 라인 내지는 필러 파이프 주변의 조립 라인에 투입되기 전의 단계에서, 그로밋(2)이 가이드 본체(1)에 대하여 임시 조립된 상태로 관리되거나 반송되기 때문에 취급성이 우수하다. 물론, 임시 조립 조작은 원터치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예를 들면, 그로밋(2)을 들어, 고리 형상부(20)를 가이드 본체(1)의 배치부(17)의 후단에 대향 배치하고, 또한 끼워맞춘 상태에서 밀어넣는다. 그러면, 그로밋(2)은, 편부(21)가 규제 리브(16a)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규제 리브(16a)와 규제 리브(16b)의 사이에 끼워져 가이드 본체(1)에 임시 조립된다. 도 3(b) 및 도 3(c)는, 이와 같이 해서 그로밋(2)이 가이드 본체(1)의 통 형상부(13)에 형성된 임시 고정 위치에 배치된 임시 조립 상태(이하, 이 상태의 가이드 장치를 그로밋을 부착한 가이드 본체라 함)를 나타내고 있다.
(2)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이상의 임시 조립 상태에서 통부(30)에 원터치 조작에 의해 조립된다. 이 작업에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을 부착한 가이드 본체(1)를, 판 형상부(16)가 벤트 튜브(4)의 출구측 단부(4a)를 향하도록 배치해서, 통부(30) 내에 그로밋(2)측으로부터 삽입하면, 도입부(10)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부(11)의 선단측이 링 형상 보스(33)에 맞닿는다. 그로밋을 부착한 가이드 본체(1)를 통부(30) 내로 더 밀어넣으면, 각 날개부(11)가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해서 보스(33)를 통과하고, 완전히 통과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또, 그로밋을 부착한 가이드 본체(1)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30)의 안쪽으로 더 이동되면, 각 다리부(23)가 통부(30) 내의 돌기(35)와 맞닿은 후,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하면서 돌기(35)가 목부(22)에 걸어맞춰진다.
(3) 이 구조에서는, 가이드 본체(1)가 통부(30)의 안쪽으로 더 눌리면, 그로밋(2)이 각 돌기(35)에 목부(22)를 걸어맞추고, 그것에 의해 통부(30)에 대해서 위치 규제 내지는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본체(1)만이 단독으로 안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1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1)는, 통부(30)에 위치 고정되어 있는 그로밋(2)측 고리 형상부(20)의 외단면에 제 1 걸림부(17a)가 맞닿아서 이동이 규제된다. 이 과정에서는, 그로밋의 다리부(23)가 내면에 압접하는 시트부(19)보다 지름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그로밋(2)의 걸림 어깨부(24)가 제 2 걸림부(8)와 걸어맞춰진다.
즉, 시트부(19)는, 그로밋(2)이 배치부(17)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제 1 걸림부(17a)에 맞닿은 본 고정 위치에서, 다리부(23)를 확개 방향 내지는 통 형상부 지름 방향으로 변형시키고, 그것에 의해 돌기(35)에 대한 목부(22)의 걸어맞춤을 해제 불가능하게 한다. 제 2 걸림부(18)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2)이 상기한 본 고정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다리부(23)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어깨부(24)와 걸어맞춰져서 그로밋(2)의 배치부(17)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4)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통부(30)에 대해서 그로밋(2)이 부착된 가이드 본체(1)를 급유구측의 통부(30) 내로 삽입 조작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2)측의 목부(22)와 통부(30)측의 돌기(35)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이 걸어맞춤 상태는, 가이드 본체(1)의 통부(30) 내로 더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2)을 배치부(17)의 임시 고정 위치로부터 본 고정 위치로 전환해서 해제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상기 삽입 조작 시의 조작성이 양호하며, 또한 그로밋(2)과 통부(30)의 걸어맞춤의 안정성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따라서, 큰 충격을 받아도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일이 없다.
또, 이상의 가이드 장치는, 그로밋(2)이 가이드 본체(1)의 본 고정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었을 때, 고리 형상부(20)가 통 형상부측 제 1 걸림부(17a)에 맞닿아서 가이드 본체(1)의 삽입을 규제하거나, 다리부(23)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어깨부(24)가 통 형상부측 제 2 걸림부(18)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가이드 본체(1)에 대한 그로밋(2)의 일체화를 전체의 길이를 억제하면서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가이드 장치는, 통부(30) 내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본체(1)가 각 날개부(11)가 통부 내주면(30a)에 압접되어 있는 것, 통 형상부(13)가 통부 내의 받침면(34)에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상기한 안정된 걸어맞춤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상의 가이드 장치에서는, 급유구측 통부(30) 내에 있어서, 벤트 튜브(4)로부터 상승되는 연료 베이퍼를 가이드 본체(1)의 판 형상부(16)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가이드 본체(1)의 날개부(11)끼리의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흐르기 쉽게 하고, 그것에 의해 연료 베이퍼를 통부(30)의 안쪽 즉 필러 파이프(3)의 연료 공급 통로 내로 도입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으며, 세부는 상기 실시형태 및 당업자의 기술 상식에 의거해서 변경 가능하다. 그 예로서는, 연료 베이퍼를 필러 파이프(3)의 연료 공급 통로 내로부터 도입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 판 형상부(16) 중 밴트 튜브측 단부(4a)보다 안쪽에, 필러 파이프(3)측과 단부(4a)측을 칸막이하는 벽 등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12월 2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특원2010-269036)에 의거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 - 가이드 본체 2 - 그로밋
3 - 필러 파이프 31 - 파이프부
4 - 밴트 튜브 4a - 출구측 단부
5 - 급유 노즐 10 - 도입부
11 - 날개부 12 - 간격
13 - 통 형상부 14 - 내면
15a, 15b - 리브 16 - 판 형상부
16a, 16b - 규제 리브 17 - 배치부
17a - 제 1 걸림부 18 - 제 2 걸림부
19 - 시트부 20 - 고리 형상부
21 - 편부 22 - 지름이 작은 목부
23 - 다리부 24 - 걸림 어깨부(오목부)
25 - 간격 30 - 급유측 통부
31 - 파이프부 32 - 플랜지부
33 - 링형상 보스 34 - 받침면
35 - 돌기

Claims (6)

  1. 급유구측에 형성된 통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급유 노즐을 상기 통부로부터 필러 파이프 내로 삽입할 경우에 상기 급유 노즐을 안내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통부의 안쪽에 배치되는 통 형상부, 및 상기 통 형상부의 입구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급유 노즐을 센터링 가능한 도입부를 가지는 가이드 본체와,
    상기 통 형상부의 외주에 끼워맞춰져서 당해 통 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임시 고정 위치로부터 본 고정 위치로 전환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임시 고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상기 통부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당해 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가이드 본체의 상기 통부 내로 더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을 유지하고 상기 본 고정 위치로 전환되어 발거(拔去) 불가능하게 되는 그로밋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통 형상부의 외주에 끼워맞춰지는 고리 형상부와, 상기 고리 형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탄성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통 형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 형상부가 상기 돌기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통부 내로 더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부를 통 형상부의 지름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부와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상기 돌기를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가이드 본체의 본 고정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고리 형상부가 상기 통 형상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맞닿아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삽입을 규제하며, 또한 상기 다리부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어깨부가 상기 통 형상부에 형성된 제 2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부는, 상기 시트부에 연접(連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날개부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통 형상부는 상기 통부에 접속된 밴트 튜브의 개구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된 판 형상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KR1020137016643A 2010-12-02 2011-11-30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KR101406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9036A JP5581191B2 (ja) 2010-12-02 2010-12-02 給油ノズル用ガイド装置
JPJP-P-2010-269036 2010-12-02
PCT/JP2011/077667 WO2012074003A1 (ja) 2010-12-02 2011-11-30 給油ノズル用ガイ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322A KR20130081322A (ko) 2013-07-16
KR101406665B1 true KR101406665B1 (ko) 2014-06-11

Family

ID=4617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643A KR101406665B1 (ko) 2010-12-02 2011-11-30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81191B2 (ko)
KR (1) KR101406665B1 (ko)
WO (1) WO20120740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5508A (zh) * 2015-09-28 2017-07-14 丰田合成株式会社 燃料供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4115B2 (ja) * 2012-10-12 2017-06-28 フタバ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
JP6054131B2 (ja) * 2012-10-16 2016-12-27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管継手
CN105121206B (zh) * 2013-04-16 2018-04-13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一种不当燃料喷嘴插入抑制系统
JP6110729B2 (ja) * 2013-05-28 2017-04-05 株式会社キーレックス 自動車の燃料給油装置
CN103481771B (zh) * 2013-09-09 2018-01-19 江苏奥力威传感高科股份有限公司 偏转套
US9393866B2 (en) * 2013-09-20 2016-07-19 Honda Motor Co., Ltd. Fuel filler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JP6188547B2 (ja) * 2013-11-08 2017-08-30 株式会社Fts フィラーパイプ
JP6177152B2 (ja) * 2014-01-31 2017-08-09 株式会社Fts フィラーパイプ
US10029560B2 (en) * 2015-03-19 2018-07-24 Toyoda Gosei Co., Ltd. Fuel supply apparatus
US9694675B2 (en) 2015-03-19 2017-07-04 Toyoda Gosei Co., Ltd. Fuel supply apparatus
JP6337814B2 (ja) * 2015-03-19 2018-06-06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561893B2 (ja) 2016-04-01 2019-08-21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CN107934900B (zh) * 2017-11-16 2020-06-0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加注导向结构及其加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943A (ja) * 2006-03-09 2007-09-20 Honda Motor Co Ltd 給油口装置
JP2010000976A (ja) * 2008-06-23 2010-01-07 Nissan Motor Co Ltd 給油ノズル差込部構造
JP2010188867A (ja) * 2009-02-18 2010-09-02 Nissan Motor Co Ltd 給油ノズル差込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943A (ja) * 2006-03-09 2007-09-20 Honda Motor Co Ltd 給油口装置
JP2010000976A (ja) * 2008-06-23 2010-01-07 Nissan Motor Co Ltd 給油ノズル差込部構造
JP2010188867A (ja) * 2009-02-18 2010-09-02 Nissan Motor Co Ltd 給油ノズル差込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5508A (zh) * 2015-09-28 2017-07-14 丰田合成株式会社 燃料供给装置
CN106945508B (zh) * 2015-09-28 2020-03-24 丰田合成株式会社 燃料供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16380A (ja) 2012-06-21
KR20130081322A (ko) 2013-07-16
JP5581191B2 (ja) 2014-08-27
WO2012074003A1 (ja)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665B1 (ko) 급유 노즐용 가이드 장치
WO2012120983A1 (ja) 給油ノズル用ガイド装置
KR101387278B1 (ko) 커넥터
US9377144B2 (en) Release tool for quick connector
EP2332766A1 (en) Structure for fuel filling opening of automobile
US20110210223A1 (en) Clip and Support Member
EP1624241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connector
US20110247172A1 (en) Grommet
US20220176812A1 (en) Filler pipe and vehicle fuel filler port structure
US20150217638A1 (en) Support structure for fuel lid
US9826927B2 (en) Blood lancet device
US9829135B2 (en) Pipe joint
EP2511144A2 (en) Vehicle lamp washer system and nozzle cover
US20100148497A1 (en) Connector drop-off prevention structure and connector drop-off prevention method
US20120000134A1 (en)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11585440B2 (en) Hole plug attachment structure
KR20160094412A (ko) 밸브 스템 실
US20220026003A1 (en) Quick connector
JP2016011651A (ja) 車両用部品の取付構造
JP2010188867A (ja) 給油ノズル差込部構造
CN114341540B (zh) 管接头构件
US20210387489A1 (en) Valve core
EP3282134B1 (en) Exterior fixing mechanism for analysis device
US11351857B2 (en) Sleeve member for filler pipe and fuel supply portion forming device
US10328791B2 (en) Dual cap assembly having multiple pass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