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250B1 -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250B1
KR101406250B1 KR1020120149985A KR20120149985A KR101406250B1 KR 101406250 B1 KR101406250 B1 KR 101406250B1 KR 1020120149985 A KR1020120149985 A KR 1020120149985A KR 20120149985 A KR20120149985 A KR 20120149985A KR 101406250 B1 KR101406250 B1 KR 101406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ze
sound source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석
김억수
강선두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8Driver interactions by enquiring 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 중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엔진 유사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크기를 측정하고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하여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여, 보행자가 출력되는 음향에 따라 차량을 쉽게 인식할 뿐 아니라, 음향만으로도 차량의 크기에 대해서도 가늠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vehicle and method}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므로, 일반적인 자동차와는 차이점이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가 연료를 공급받아 엔진이 구동하여 주행하므로, 그에 따른 엔진 구동음이 발생하는 반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는 이러한 엔진 구동음이 기존의 차량 비교하여 매우 작으므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그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엔진 구동음이 상이하여,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주의하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크기를 자체 측정하고, 차량 주행 시, 차량 크기에 대응하는 엔진 구동음과 유사한 유사 음향을 출력하여,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인식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차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차량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하는 음원생성부; 및 상기 음원생성부에 의해 설정된 음원을 입력받아 소정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크기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차량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 주행 시, 차량 크기에 따라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은 엔진 구동음에 유사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데에 따른 이질감을 감소시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측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량 크기 측정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량 크기에 따른 음원 설정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는 음원생성부(170), 음향출력부(160), 데이터부(120), 감지부(130), 표시부(140), 입력부(150), 측정부(180) 그리고 차량 주행 및 동작에 따른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자동차(100)는 동력원인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가 내부에 구비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모터 및 배터리가 구비됨은 물론 엔진이 동시에 구비되어 운전자는 동력원을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고, 운전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 엔진으로 동작하는 등 동력원이 자동 변경되기도 한다.
전기자동차(100)는 모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모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부, 컨버터, 배터리, 배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감지부(130)는 차량 주행, 또는 소정 동작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입력하고 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감지부(130)는 차량 내부 및 외부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센서의 종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스위치 버튼,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150)는 차량 주행에 따름 방향지시등, 테일램프, 헤드램프, 브러시 등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 버튼 등을 포함하며, 스티어링 휠,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와 같은 운전을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표시부(140)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정보를 나타낸다.
음향출력부(160)는 음악, 효과음 및 경고음을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됨은 물론, 차량의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출력수단으로써 표시부(140) 및 음향출력부(160)는 주행 중 차량 상태를 출력함은 물론 이상 발생 시, 그에 따른 경고음, 경고등, 경고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측정부(180)는 차량의 하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크기를 측정한다. 측정부가 설치되는 위치는 차량의 크기를 인지 하기 위한 곳으로, 차량의 하부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부(180)는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등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설치된 위치로부터 특정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영역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차폭 및 전장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측정부(180)가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측정된 거리와 비교하여 차폭 및 전장길이를 연산하여 차량의 크기를 산출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음원을 생성 및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하여,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그에 대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엔진 구동음에 유사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멜로디를 갖는 음향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부(120)에는 차량 주행을 위한 제어데이터, 운전자의 차량이용에 따른 설정데이터 또는 주행기록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20)에는 음원생성부(170)를 통해 생성 및 변환되는 음원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부(120)에는 음원생성부(170)에서 사용되는 음원 샘플, 또는 별도로 기록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감지부(13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소정 명령을 생성하여 모터로 인가하여 차량이 주행하도록 하며, 표시부(140) 및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차량의 동작상태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측정부(18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의 크기를 산출하고,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여 음원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음원을 설정하여 음원생성부(170)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차량 크기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으로 차량을 구분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음원생성부(170)로 인가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에 의해 설정된 음원에 대응하여 해당 음원이 음향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여, 음원의 종류, 음원에 사용되는 주파수, 음원의 크기가 각각 상이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크기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가변제어하거나, 또는 소형의 경우 높은 주파수의 음원, 대형인 경우 낮은 주파수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음원의 비트, 음원의 장르를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음원생성부(170)는 데이터부(120)에 기 저장된 음원샘플 또는 별도로 기록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변조 및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는 특정 음향을 출력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음원을 차량의 내부 또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음향출력부(160)에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소정 음향이 차량의 내부에만 출력되거나 외부에만 출력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차량의 내부 및 외부에서 동시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측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부(180)는 차량으로부터 하향, 즉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부(180)는 승강구조를 더 포함하여, 차량의 내부로부터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상승하여 차량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80)는 차량의 바퀴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80)는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여,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에 대한 각도를 측정하여, 거리데이터와 각도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측정부의 위치를 바탕으로 입력된 거리와 각도 데이터를 연산하여 차량의 크기를 산출한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량 크기 측정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측정부가 설치되는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80)의 제 1 실시예로써, 제 1 측정부(181)는 차량의 하부에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측정부(181)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중심부, 전면부 하단, 후면부 하단, 좌측 및 우측 중 어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측정부(181)의 센서가 차량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는 다른 돌출된 구조물이 없다면 어디라도 설치 가능하다.
측정부(181)는 구비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등의 송출하고, 되돌아 오는 신호에 따라 거리를 측정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정부(181)는 설치된 위치로부터 전면부 하단 끝까지의 제1 거리(211), 설치된 위치로부터 후면부 하단 끝까지의 거리 제 2 거리(212)를 각각 측정한다. 또한 전면부 및 후면부 하단까지의 각도를 측정한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정부(181)는 설치된 위치로부터 좌측 하단 끝까지의 제3 거리(221), 설치된 위치로부터 우측 하단 끝까지의 거리 제 4 거리(222)와 각각의 각도를 측정한다.
이때, 제 1 측정부(181)가 돌출되는 정도는 미리 데이터부에 저장된다.
제 1 측정부(181)는 측정된 거리 데이터와, 측정된 각도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입력하고, 제어부(110)는 각 거리데이터와 각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장길이(201)과, 차량 폭(202)를 산출하여 차량의 크기를 설정한다.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80)의 일 예로, 차량의 바퀴의 어느 일 측에 제 2 측정부(18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퀴의 휠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단, 제 2 측정부(182)는 차량의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차량 하단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고, 경우에 따라 제 2 측정부(182)가 차량의 크기를 측정할 수 없는 위치에서 바퀴의 회전이 정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크기는 초기 1회 측정으로 설정이 완료되므로, 차량의 주행에 따른 위치의 변화는 차량 크기 측정에 무관하다.
또한, 제 2 측정부(180)는 바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측정된 데이터는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부(110)로 송신할 수 있고, 또는 메모리 형태로 구성되어, 메모리 단자를 통해 입력 가능하다.
1회 차량의 크기를 측정한 후, 탈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면, 다른 차량에 부착하여 다른 차량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측정부(182)가 바퀴의 휠에 설치됨에 따라, 제 2 측정부(182)는 차량 하단부까지의 거리와,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부 끝단 까지의 거리와 각도를 산출한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측정부(182)는 설치된 위치로부터 차량의 전면부 하단 끝, 그리고 후면부 하단 끝까지의 거리와 각도를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거리와 각도데이터는 제어부(110)로 입력되고, 제어부(110)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차량의 크기를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산출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여 설정 할 수 있다.
이때, 소, 중, 대로 구분하는 것은 차량의 크기를 3단계로 구분하는 예일 뿐, 차량의 크기를 구분하는 단계는 4내지 10단계로 설정할 수 있고, 차량에 크기를 보다 세분화 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차량의 주행 전, 차량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0), 차량이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음원 설정 또한 완료되어 있는 경우, 차량 크기 세팅이 완료된 것으로 한다.
차량 크기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측정부(180)를 제어하고, 측정부(180)는 차량의 크기를 측정한다(S320).
측정부(180)는 구비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설치된 위치로부터 전면부 하부 끝단, 후면부 하부 끝단, 좌,우측 하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각도를 측정한다. 측정부(180)에 의한 거리 및 각도 측정은 앞서 설명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차량에 대하여 설치된 위치로부터 전면부 하부 끝단, 후면부 하부 끝단과, 좌,우측 하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각도 중 어느 하나만을 측정할 수도 있다.
측정부(180)는 측정된 거리데이터와 각도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측정부(180)로부터 입력된 거리데이터와 각도데이터를 이용, 측정부(180)의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전장길이, 차량의 폭 을 연산하여 산출하고, 그에 따른 차량의 크기를 설정한다.
차량의 크기는 구분 단계에 따라 3단계인 경우, 소, 중, 대로 구분할 수 있고, 1내지 4단계, 또는 10단계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소, 중, 대의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에 의해 설정된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여 각각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설정한다(S340).
음원생성부(170)는 데이터부에 저장된 음원 중 차량 크기에 따른 음원을 설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저장된 음원 샘플로부터 새로운 음원을 생성하거나, 음원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음원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 차량 주행 시, 음원생성부(170) 및 음향출력부(160)를 제어하고, 음원생성부(170)는 설정된 음원을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하고,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로부터 소정 음향이 출력된다(S350).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차량 크기에 따라 설정된 음원을 바탕으로 상이한 음향을 출력한다.
한편, 차량의 크기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어부(110)는 차량의 주행은가능하고, 차량 주행 시에는 기본 설정된 음원이 음향으로 출력된다.
제어부(110)는 차량의 크기가 설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고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별도의 경고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크기에 따른 음원이 설정된 경우에도, 입력부(150) 설정에 따라, 음원을 새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크기는 다시 측정하지 않고 그 설정된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 가능한 음원 리스트를 표시부에 출력하여 어느 하나의 음원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180)가 탈부착 가능한 경우, 차량의 거리 및 각도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부(180)를 탈착하여 측정부(180)가 차량의 입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입력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량 크기에 따른 음원 설정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측정부(18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차량의 크기를 설정한다(S360).
제어부(110)는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결과데이터를 기분으로 차량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연산된 결과데이터가 복수의 단계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크기를 최종 설정한다.
차량의 크기를 소, 중, 대 의 3 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각각 차량의 전장길이 및 차량의 폭에 따라 차량의 크기에 따른 단계 구분을 위한 기준데이터가 데이터부에 기 저장되어, 기준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의 크기를 판단한다.
연산된 결과데이터가 소, 중, 대의 3 단계 중 소, 즉 소형에 해당하는 경우(S370), 제어부(110)는 차량의 크기를 소형으로 설정하고, 음원생성부(170)는 소형에 해당하는 고음대역의 음원을 기본 음원으로 설정한다(S380).
또한, 제어부(110)는 결과데이터가 중형에 해당하는 경우(S390), 차량의 크기를 중형으로 설정하고, 음원생성부(170)는 중음 대역의 음원을 기본 음원으로 설정한다(S400).
한편, 제어부(110)는 결과데이터가 대형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의 크기를 대형으로 설정하고, 음원생성부는 저음대역의 음원을 기본 음원으로 설정한다(S410).
이때, 음원생성부(170)는 하나의 음원을 각각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여 음원을 설정할 수 있고, 음역 대역뿐 아니라, 음원의 크기를 차량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음원생성부(170)는 소형의 경우 빠른 비트의 경쾌한 음원, 중형의 경우, 중간 비트의 음원, 대형의 경우 비장함이 느껴지는 음원을 설정하는 등 음원의 종류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의 크기를 설정하여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바탕으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보행자가 차량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어부 120: 데이터부
130: 감지부 140: 표시부
150: 입력부 160: 음향출력부
170: 음원생성부 180: 측정부

Claims (14)

  1. 차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차량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하는 음원생성부; 및
    상기 음원생성부에 의해 설정된 음원을 입력받아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하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탈부착 가능하여, 복수의 바퀴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차량의 전면부 하부 끝단와 후면부 하부 끝단까지의 거리, 및 차량의 좌, 우측 하부 끝단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거리 측정 시, 설치된 위치로부터 전면부 하부 끝단와 후면부 하부 끝단 및 좌,우측 하부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측정부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의 전장길이 또는 차량의 폭을 연산하여 차량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크기를 소형, 중형, 대형의 3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차량의 크기를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여, 음원의 음역대역, 주파수, 음악의 장르, 음원의 크기, 음원의 비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차량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 고음대역의 음원을 설정하고,
    차량의 크기가 중형인 경우 중음대역의 음원을 설정하며, 차량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 저음대역의 음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 가능한 음원 중 어느 하나를 기본 음원으로 설정하고, 또는 기 저장된 음원샘플로부터 차량 크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11. 차량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크기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차량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크기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 주행 시, 차량 크기에 따라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설정 시, 차량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 고음대역의 음원을 설정하고,
    차량의 크기가 중형인 경우 중음대역의 음원을 설정하며, 차량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 저음대역의 음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설정 시, 상기 차량의 크기에 따라 차량 크기에 대한 단계 별로 음원의 음역대역, 주파수, 음악의 장르, 음원의 크기, 음원의 비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거리데이터 및 각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차량 크기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연산하고,
    차량의 크기를 구분하는 복수의 단계 중, 상기 결과 데이터가 포함되는 단계를 상기 차량의 크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20120149985A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85A KR101406250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85A KR101406250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250B1 true KR101406250B1 (ko) 2014-06-13

Family

ID=5113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985A KR101406250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2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201A (ja) * 1999-04-28 2000-11-14 Reeben:Kk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JP2002233001A (ja) * 2001-01-31 2002-08-16 Fujitsu Ten Ltd 擬似エンジン音制御装置
JP2010155507A (ja) * 2008-12-26 2010-07-15 Yamaha Corp エンジン回転数算出装置及びエンジン音生成装置
KR20100094429A (ko) * 2010-06-28 2010-08-26 이상범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201A (ja) * 1999-04-28 2000-11-14 Reeben:Kk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JP2002233001A (ja) * 2001-01-31 2002-08-16 Fujitsu Ten Ltd 擬似エンジン音制御装置
JP2010155507A (ja) * 2008-12-26 2010-07-15 Yamaha Corp エンジン回転数算出装置及びエンジン音生成装置
KR20100094429A (ko) * 2010-06-28 2010-08-26 이상범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4229B2 (en) Apparatus for warning pedestrians of oncoming vehicle
JP6346239B2 (ja) 車両サウンドジェネレーター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JP5399561B2 (ja) 電動車両またはハイブリッド車両用の歩行者警告システム
JP6153647B2 (ja) エコカーサウンドジェネレータ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5802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運転者支援システム。
CN103052530B (zh) 电动汽车及其控制方法
CN102770329B (zh) 用于支持泊车过程的方法
CN102481885A (zh) 驾驶辅助装置
CN106199613A (zh) 驻车辅助装置及车辆
KR20120114604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속도제어방법
CN204116955U (zh) 基于磁场对称性的磁导航智能车定位装置
KR101481238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02262404A (ja) 電気自動車
KR20130068993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5736398B2 (ja) 車両接近報知装置
KR101406250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49151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61128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WO2013035167A1 (ja) 車両接近通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移動体
KR10136305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1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54869A1 (en) Vehicle blind spot detecting system
JP2006195623A (ja) 車両および車両駆動力制御方法
KR101406256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4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