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055B1 -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055B1
KR101363055B1 KR1020120149997A KR20120149997A KR101363055B1 KR 101363055 B1 KR101363055 B1 KR 101363055B1 KR 1020120149997 A KR1020120149997 A KR 1020120149997A KR 20120149997 A KR20120149997 A KR 20120149997A KR 101363055 B1 KR101363055 B1 KR 10136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und source
motor
uni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하
박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 중 모터의 진동을 감지하여, 모터의 진동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데에 따른 이질감을 감소시켜 만족도를 향상시키면서 차량 주변의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vehicle and method}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 소정 음향을 출력하여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 차량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소정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보행자가 보다 쉽게 차량의 접근을 인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므로, 일반적인 자동차와는 차이점이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가 연료를 공급받아 엔진이 구동하여 주행하므로, 그에 따른 엔진 구동음이 발생하는 반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는 이러한 엔진 구동음이 없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그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엔진 구동음이 상이하여,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주의하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행 시,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엔진 구동음과 유사한 유사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보행자가 차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의 제공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모터를 제어하여 차량이 주행하도록 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모터에 설치되어, 모터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 상기 진동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음원을 설정하는 음원생성부; 및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차량 주행 중 모터의 진동을 감지하고 모터 진동에 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모터의 진동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 또는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은 엔진 구동음에 유사한 음향을 출력하고, 차량 주행 시 모터의 진동을 측정하여 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진행 상태 또는 속도에 대응하여 모터의 진동 또한 가변되므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데에 따른 이질감을 감소시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진동 감지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진동감지에 따른 음향출력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는 진동감지부 (180), 모터(195), 모터제어부(190), 음원생성부(170), 음향출력부(160), 데이터부(120), 감지부(130), 표시부(140), 입력부(150), 그리고 차량 주행 및 동작에 따른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자동차(1)는 인버터부, 컨버터, 배터리, 배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미도시)는 복수의 배터리셀로 구성되어, 고전압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이때,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잔여용량, 충전 필요성을 판단하며, 배터리에 저장된 충전전류를 전기자동차의 각 부로 공급하는데 따른 관리를 수행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BMS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사용할 때, 배터리 내의 셀 간의 전압차를 고르게 유지하여, 배터리가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모터(19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전기자동차가 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모터제어부(19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95)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모터제어를 위한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이때 모터제어부(190)는 인버터(미도시) 를 포함하여 인버터를 제어함으로써 모터(19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진동감지부(180)는 모터(195)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진동에 따른 주파수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합니다.
진동감지부(180)는 변위계, 속도계, 가속도계가 사용될 수 있다.
변위계는 외부전원에 의해 센서의 전단면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에 따라 진동을 감지한다.
속도계는 진동에 의해 내부의 코일속 자석이 움직이거나 코일의 움직임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또는 움직이는 속도의 변화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진동을 감지한다.
가속도계는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환에 따라 전류가 변화하여 진동을 감지한다.
감지부(130)는 차량 주행, 또는 소정 동작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입력하고 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감지부(130)는 차량 내부 및 외부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센서의 종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스위치 버튼,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150)는 차량 주행에 따름 방향지시등, 테일램프, 헤드램프, 브러시 등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 버튼 등을 포함하며, 스티어링 휠,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와 같은 운전을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표시부(140)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보행자 감지 시 보행자가 차량 주변에 존재함을 알리는 안내를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차량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60)는 음악, 효과음 및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됨은 물론, 차량의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출력수단으로써 표시부(140) 및 음향출력부(160)는 주행 중 차량 상태를 출력함은 물론 이상 발생 시, 그에 따른 경고음, 경고등, 경고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음원을 생성 및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하여,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그에 대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음원에 따라, 엔진 구동음에 유사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멜로디를 갖는 음향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부(120)에는 차량 주행을 위한 제어데이터, 운전자의 차량이용에 따른 설정데이터 또는 주행기록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20)에는 음원생성부(170)를 통해 생성 및 변환되는 음원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부(120)에는 음원생성부(170)에서 사용되는 음원 샘플, 또는 별도로 기록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감지부(13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소정 명령을 생성하여 모터로 인가하여 차량이 주행하도록 하며, 표시부(140) 및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차량의 동작상태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진동감지부(18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모터의 진동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소정의 음원이 생성되도록 음원생성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감지되는 진동에 대한 주파수를 입력받아,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원이 출력되도록 음원생성부(170)로 주파수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어부(110)는 모터 진동에 따른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구분하여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에 대한 대역에 대한 음원이 출력되도록 음원생성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차량의 주행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그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음원생성부(170)로 인가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음원을 생성하는데, 진동에 따른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 한 후, 변환하여 주파수에 따른 음원을 생성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한다.
또한, 음원생성부(170)는 주파수에 대한 대역이 구분되어 감지된 진동에 대한 주파수 대역이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음원을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가 가변되면 주파수 신호 또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음원을 변경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는 소정의 모터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음원이 입력되면, 음원에 대응하는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한다.
이때 모터의 진동은 차량의 속도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므로, 모터의 진동을 바탕으로 출력되는 음향 또한 차량의 주행 상태 또는 속도에 따라 가변되어 출력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진동 감지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진동감지부(18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모터의 진동에 대한 소정 음원이 설정되도록 한다.
이때, 진동감지부(18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위계, 가속도계, 속도계 등이 사용되는데, 각각 감지하는 진동의 특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진동감지부(180)는 하나의 센서로 모터의 진동을 감지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로 모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감지부(180)는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고주파 진동 감지부(181)와, 저주파 진동 감지부(18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변위계의 경우 0 내지 1.5 kHz의 주파수에 대하여 측정이 가능하고, 속도계는 8 내지 1.5, 가속도계는 1 내지 20kHz에 대해 측정 가능하다.
따라서 변위계는 저주파수 진동 감지부로써 사용될 수 있고, 가속도계는 고주파 진돈 감지부 로써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센서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속도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진동에 관련하여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진동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감지하고자 하는 경우 진동감지부(180)의 센서를 위와 같은 특성에 따라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설치 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각 고주파 진동과 저주파 진동을 각각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10)에서 병합한 후 음원생성부(170)에서 그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주행 시(S310), 모터의 구동을 통해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진동감지부(180)는 모터(195)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모터의 진동을 측정한다(S320).
진동감지부(180)는 모터의 진동에 따른 주파수를 측정하여 그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모터 진동에 따른 진동 주파수를 산출하여 음원생성부(170)로 인가한다(S330).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입력되는 진동 주파수에 따른 음원을 생성하거나, 기 저장된 음원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고, 음원을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한다(S340).
이때, 음원생성부(170)는 모터의 진동을 감지한, 진동 주파수를 필터링 한 후,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함으로써, 모터의 진동에 대한 주파수를 그대로 음원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원생성부(170)는 진동 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음원을 설정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60)는 제공되는 음원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한다(S350).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진동감지에 따른 음향출력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진동감지부(18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모터 진동에 따른 주파수신호를 검출한다(S410).
모터 진동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그대로 음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주파수 신호를 음원생성부(170)로 인가한다.
반면, 주파수에 대응하는 음원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에 따른 진동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분하고(S420),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음원생성부(170)로 입력한다(S420).
음원생성부(170)는 입력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음원을 각각 설정하고(S430) 음원을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는 모터 진동에 따라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면, 모터의 진동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음향을 모터의 진동에 따라, 즉 차량의 속도에 따라 가변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어부 120: 데이터부
130: 감지부 140: 표시부
150: 입력부 160: 음향출력부
170: 음원생성부 180: 진동감지부
190: 모터제어부 195: 모터

Claims (13)

  1. 모터를 제어하여 차량이 주행하도록 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모터에 설치되어, 모터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
    상기 진동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음원을 설정하는 음원생성부; 및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모터의 진동을 감지하여 주파수 대역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부는 고주파 진동 감지부 및 저주파 진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부는 변위계, 속도계 및 가속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 한 후 변환하여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여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음원생성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주파수 신호와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파수 대역 별로 음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신호를 상기 음원생성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9. 차량 주행 중 모터의 진동을 감지하고 모터 진동에 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모터의 진동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 또는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를 고주파 진동과 저주파 진동에 대한 감지신호가 각각 감지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 한 후,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하고, 주파수 대역에 따른 음원을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주행 중, 소정 주기로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의 진동이 가변됨에 따라 음원을 설정하여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20120149997A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36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97A KR101363055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97A KR101363055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055B1 true KR101363055B1 (ko) 2014-02-14

Family

ID=5027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997A KR101363055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0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557A (ko) * 2015-01-30 2016-08-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구동제어장치
KR101725667B1 (ko) * 2015-10-13 2017-04-26 주식회사 만도 경고음 발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201A (ja) 1999-04-28 2000-11-14 Reeben:Kk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JP2002233001A (ja) 2001-01-31 2002-08-16 Fujitsu Ten Ltd 擬似エンジン音制御装置
JP2006199109A (ja) 2005-01-19 2006-08-03 Toyota Motor Corp 車両の警報装置
KR20100109197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201A (ja) 1999-04-28 2000-11-14 Reeben:Kk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JP2002233001A (ja) 2001-01-31 2002-08-16 Fujitsu Ten Ltd 擬似エンジン音制御装置
JP2006199109A (ja) 2005-01-19 2006-08-03 Toyota Motor Corp 車両の警報装置
KR20100109197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전기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557A (ko) * 2015-01-30 2016-08-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구동제어장치
KR101693210B1 (ko) * 2015-01-30 2017-01-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구동제어장치
KR101725667B1 (ko) * 2015-10-13 2017-04-26 주식회사 만도 경고음 발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0932B (zh) 电动车辆的显示系统及具备该显示系统的电动车辆
CN103052530B (zh) 电动汽车及其控制方法
CN103459190B (zh) 电动汽车及其速度控制方法
KR20120081824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4193364B2 (ja) 電気自動車
US9043068B2 (en) Display device of electric vehicle
KR20130068993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36305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093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9002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49151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61128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81238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2651A (ko) 전기자동차 및 그 크루즈기능 구동방법
KR20130069000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27624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8986A (ko) 전기 자동차의 고 전압 측정장치
KR20130101893A (ko) 전기자동차 및 그 동작방법
KR101693210B1 (ko) 전기자동차의 구동제어장치
KR101499745B1 (ko) 운동에너지 등가연료지수를 이용한 차량 연비 계산 방법
KR101611289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5781A (ko) 전기 자동차의 고 전압 측정장치
KR101406250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1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