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429A -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429A
KR20100094429A KR1020100060973A KR20100060973A KR20100094429A KR 20100094429 A KR20100094429 A KR 20100094429A KR 1020100060973 A KR1020100060973 A KR 1020100060973A KR 20100060973 A KR20100060973 A KR 20100060973A KR 20100094429 A KR20100094429 A KR 20100094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lectric vehicle
sound
rpm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이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범 filed Critical 이상범
Priority to KR102010006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4429A/ko
Publication of KR2010009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60L3/0015Prevention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장치는 엔진 소음이 없는 전기자동차의 운행에 있어 보행자가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알려주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음향안전장치
전자 음향을 제작하고 재생하는 기술은 이미 상당수 발전 되어 있고 오늘날 많이 사용하고도 있다. 각종 멜로디, 동물소리, 전자음악 등등 우리 생활 속에 응용 기기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기본적 기술을 배경으로 일반 자동차의 엔진소리를 전자음향 장치를 응용하여 전기자동차에 소음을 출력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이다.
전기자동차의 가속페달 또는 조이스틱 조작으로 차량이 이동할 때 전기자동차는 엔진소리가 나지 않는다. 이때 골목길 등 위험구간에 보행자가 있다면 보행자는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위험한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장치는 차량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엔진소리를 휘발유 또는 디젤차량의 엔진소리와 비슷하게 나도록 해야한다.
본 발명장치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엔진의 RPM에 따른 엔진소리의 변화와 소리 크기를 가변해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엔진소음은 RPM과 속도와의 관계가 있으며, RPM은 전기차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와 연관이 있으며 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는 전기차의 가속페달 또는 조이스틱 조작에 따라 변화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이스틱 및 가속페달 등등 차량속도 조작을 위한 기능을 가속페달로 정의하기로 한다.
전기자동차의 차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속페달의 상태를 검출하여 마이컴 제어장치에서는 상기 가속페달의 상태에 따라 RPM 변환 연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속도를 인지하기 위한 차량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연산 된 RPM과 차량의 속도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적절한 차량 소음(엔진소리)을 출력할 수 있도록 음향변환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음향변환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앰프를 통해 증폭하여 스피커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는 가운데 매연이 없는 전기자동차가 최근 열기가 매우 뜨겁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엔진이 없다 보니 소음이 거의 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보행자는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해 사고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장치는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에 자동차 엔진 소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줌에 따라 보행자는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쉽게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전기자동차 엔진소음 발생장치 전체 블록도.
본 발명장치는 실제 디젤 또는 휘발유 차량과 동일한 엔진 소음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내용으로 차량의 가속페달과 차량의 속도에 따른 적절한 차량소음이 발생하도록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장치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장치의 기술적 사항은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 있다. 당 분야에 종사자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고 본다.
실시 예 1) 가속페달(RPM) 검출
전기자동차의 가속페달은 도 1의 101 전기자동차 PRM 검출부 내에 전압 또는 전류 또는 가변저항의 변화(102)로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차량의 속도를 가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가속페달의 전압 또는 전류 또는 가변저항의 상태를 검출하여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RPM을 연산할 수도 있고, 구동모터에 RPM 센서(103)를 부착하여 이 센서를 입력받아 가속페달의 상태를 역으로 연산할 수도 있다. 실제 유류차량의 경우 RPM에 따라 엔진 소음의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전기자동차의 구동 모터에 RPM 센서를 부착하여 검출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차량의 구조에 따라 상기의 어떤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한다.
상기 가속페달 상태를 전압 또는 전류 또는 가변저항에 의한 검출을 한다면 마이컴 제어부(104)에서 RPM으로 환산하기 위한 연산기능을 부가하도록 하고, 만약 전기자동차 구동모터로부터 직접 RPM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한다면 마이컴에 RPM 센서를 연결하여 RPM 값을 판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RPM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실시 예2) 음향 발생 장치
상기 구동모터의 RPM에 따라 음향발생기(105)에서 소리의 변화를 주어야 엔진소리와 유사하게 만들어진다. 엔진소리는 사전에 각종 음향(엔진소리) 데이터를 다양하게 마이컴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구동모터의 RPM(101)과 차량의 속도센서(109)로부터 차량속도를 연산하여 상기 두 가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소리를 출력하도록 한다. 물론 꼭 엔진소리에 국한할 필요는 없지만 가장 사람이 위험성을 인지하기 좋은 것은 엔진소리에 해당함으로 본 발명에서는 엔진소리를 출력하도록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엔진의 RPM에 따라 소리의 변화가 발생함으로 이와 유사한 엔진소리 표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나 간단한 방법으로 기본 엔진소리를 마이컴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 엔진소리를 RPM에 따라 소리의 반복주기를 변화를 주면 된다. 또한, 차량의 속도의 단계별 차량의 소리를 다양하게 마이컴 메모리에 저장하고, 차량의 속도에 따른 소리를 상기 엔진소리와 함께 출력하면 된다. 또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여도 좋을 것으로 본다. 상기 음향발생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앰프(106)를 통해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07)로 보행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기어 단수에 따라 속도, RPM의 변화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것은 기어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도 있지만 설치가 불편함으로 구동모터의 RPM과 차량의 속도로 연산처리하면 간단히 해결된다. 따라서, 엔진소리를 출력하는 데는 별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의 RPM과 차량의 속도를 인지하여 차량의 음향발생기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여기서 소리를 마이컴에 저장하고 재생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보편화 된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 3) 지능형 음향출력
전기자동차의 특징 중 하나가 소음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매우 정숙한 운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장치를 불필요하게 지속적으로 엔진소음을 출력할 필요가 없을 경우도 있다. 본 발명장치는 차량의 전후방에 인체 감응센서(108)를 부착하여 보행자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음향발생기가 작동되어 보행자로 하여금 전기차가 운전중임을 알리도록 한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중일 때도 음향발생장치가 큰 도움이 되지 못함으로 차량속도에 따라 음향장치를 작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마이컴 제어부에서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조작스위치(110)를 통해 자동 동작, 수동 동작, 동작 정지 등등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고 조작 스위치의 상태와 동작 상태를 알기 위한 표시 장치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음향발생기의 작동 여부를 지능형으로 인체 감응센서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스스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장치는 소음이 없는 전기자동차의 운행에 있어 보행자가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알려주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이다.
구동모터: 본 발명에서 구동모터의 표현은 전기자동차의 추진을 위한 모터를 의미하며, 휘발유 또는 디젤 차량의 경우 엔진에 해당된다.
음향발생장치: 본 발명에서 음향발생장치는 엔진의 소음과 차량이 달릴 때 발생하는 소음을 의미한다.
재래식 차량: 휘발유 자동차 및 디젤자동차를 의미한다.

Claims (2)

  1. 전기자동차의 보행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의 RPM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검출된 PRM에 따라 음향발생을 할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와,
    상기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증폭장치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보행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체 감응센서를 차량에 부착하고,
    상기 인체 감응센서는 보행자 인식 여부에 따라 음향발생장치가 작동을 하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KR1020100060973A 2010-06-28 2010-06-28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KR20100094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73A KR20100094429A (ko) 2010-06-28 2010-06-28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73A KR20100094429A (ko) 2010-06-28 2010-06-28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429A true KR20100094429A (ko) 2010-08-26

Family

ID=4275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973A KR20100094429A (ko) 2010-06-28 2010-06-28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44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87B1 (ko) * 2010-11-29 2012-04-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작동음 발생장치
KR101406254B1 (ko) * 2012-12-20 2014-06-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0B1 (ko) * 2012-12-20 2014-06-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N104704554A (zh) * 2012-10-12 2015-06-10 大众汽车有限公司 具有至少一个用于产生人造发动机噪音的发声系统的汽车
CN111439202A (zh) * 2020-04-24 2020-07-24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电动汽车行人警示方法及系统
KR20220089279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의 소음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6884A (ko) 2022-02-24 2023-08-31 (주)대한솔루션 전기차용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87B1 (ko) * 2010-11-29 2012-04-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작동음 발생장치
CN104704554A (zh) * 2012-10-12 2015-06-10 大众汽车有限公司 具有至少一个用于产生人造发动机噪音的发声系统的汽车
US9613606B2 (en) 2012-10-12 2017-04-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sound-generating system for producing an artificial engine noise
KR101406254B1 (ko) * 2012-12-20 2014-06-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0B1 (ko) * 2012-12-20 2014-06-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N111439202A (zh) * 2020-04-24 2020-07-24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电动汽车行人警示方法及系统
CN111439202B (zh) * 2020-04-24 2021-11-26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电动汽车行人警示方法及系统
KR20220089279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의 소음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6884A (ko) 2022-02-24 2023-08-31 (주)대한솔루션 전기차용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4429A (ko) 전기자동차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장치.
CN104185574B (zh) 车辆接近预警装置的通知音控制单元
JP4529701B2 (ja) 車両の警報装置
US20090080672A1 (en) Synthetic engine sound for electronic vehicle
CN102639359A (zh) 模拟音控制装置、模拟音发生装置、及具有上述装置的电动移动体
KR101526602B1 (ko)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
JP3149916U (ja) 低駆動音車両用の接近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車両
WO2009011763A1 (en) External sound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EP1562177A3 (en) Dummy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dummy sound generating method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duct
CN101565017A (zh) 带行车提醒装置的电动车及其工作方法
JP2011042348A (ja)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DE60324111D1 (de) Trainingsgerät zur Steuerung eines Motorfahrzeuges
JPH0732948A (ja) 電気自動車用疑似走行音発生装置
WO2019061595A1 (zh) 一种电动车的智能加速及音效控制系统
JP2011011662A (ja) 車接近警告装置
CN107031501A (zh) 用于安静车辆的增强声音生成
JP4794699B1 (ja) 擬似音制御装置、擬似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移動体
CN208602398U (zh) 一种车辆低速行驶提示装置
JP2011143775A (ja) 車両用音量調整システム
JP2011051446A (ja) 音発生システムおよび音発生装置
CN105383377A (zh) 行人警示装置和车辆
JP2012121518A (ja) 車両接近通報装置
WO2014184828A1 (ja) 車両接近通報装置
CN107097717A (zh) 喇叭装置、其控制方法及应用其的汽车
KR101271865B1 (ko) 엔진음/배기음 발생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