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012B1 -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 Google Patents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012B1
KR101406012B1 KR1020120097854A KR20120097854A KR101406012B1 KR 101406012 B1 KR101406012 B1 KR 101406012B1 KR 1020120097854 A KR1020120097854 A KR 1020120097854A KR 20120097854 A KR20120097854 A KR 20120097854A KR 101406012 B1 KR101406012 B1 KR 10140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late
incision
circular
protectiv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996A (ko
Inventor
한봉수
김영범
전명훈
배병규
안성원
Original Assignee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0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068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2Connections to an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02G15/046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with bores or protruding portions allowing passage of cabl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비산됨 없이 터짐을 유도할 수 있는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보호관은, 기기의 하부로 인입된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으로, 기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을 하는 보호관 몸체와, 그리고 보호관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보호관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보호관 절개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cable protector and termination for voltage power cab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선을 일정한 가닥으로 서로 모아서 합성 수지로 주 절연층을 형성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와 이의 절연을 위한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지중 혹은 지상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전선이다.
상술한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함이 사용된다. 접속함은 종단 접속함(terminal box)과 중간 접속함(joint box)으로 구분된다. 종단 접속함은 기중 종단 접속함, 가스(gas)중 종단 접속함, 및 유(oil) 중 종단 접속함 등으로 구분되며, 중간 접속함은 보통 접속함(normal joint)과 절연 접속함(insulation joint) 등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종단 접속함은 케이블 도체와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고 그 접속부를 절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절연을 위해 자기, 유리, 합성수지 또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 형상의 애관(insulator)(다른 말로 "애자"또는 "절연통"이라고도 함)과, 애관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밀봉시키기 위해 실링판을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밀봉 조립체 및 하부 밀봉 조립체와, 상부 밀봉 조립체에 구비되어 외부 수분으로부터 종단 접속함을 보호하는 우복과, 그리고 하부 밀봉 조립체에 구비되며 종단 접속함으로 인입된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단 접속함의 내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발생되면 종단 접속함이 터지면서 종단 접속함을 이루는 애관을 비롯한 부품들이 주변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산에 의해 종단 접속함의 주변에 피해가 우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비산됨 없이 터짐을 유도할 수 있는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이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은, 기기의 하부로 인입된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으로, 상기 기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을 하는 보호관 몸체; 및 상기 보호관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보호관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보호관 절개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관 절개 유도부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선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형의 라인은 제1, 제2 및 제3 선형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선형의 라인은 상기 보호관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 절개 유도부는 그 두께가 얇아질수록 점점 뾰족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 절개 유도부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은 상기 보호관 몸체에 용접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를 접지시키는 접지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보호관 몸체에 아르곤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중공 형상의 애관; 상기 애관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는 밀봉 조립체; 및 상기 애관의 하부에 상기 밀봉 조립체를 통해 구비되어 상기 종단 접속함으로 인입된 상기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을 포함한다.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애관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은 상기 애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종단 접속함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방사형 절개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는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 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상기 실링판 몸체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애관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애관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몸체는 타프피치동(tough pitch copp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애관과 상기 실링판 사이에 구비되는 애관고정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관고정금구에는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애관고정금구의 외곽부와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애관고정금구 중 상기 실링판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실링판이 안착되는 실링판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애관고정금구 중 상기 실링판을 향하는 면에는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기 실링판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의 내경측 모서리부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보호관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기 실링판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경측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전력 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인출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기 실링판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는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의 상기 외경측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관 절개 유도부가 형성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과 같은 기기가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비산에 의한 주변 피해의 우려를 끝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더 형성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과 같은 기기가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보다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을 포함한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보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보호관을 I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실링판 중 하부 실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하부 실링판을 III-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하부 애관고정금구를 IV-I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지지판 중 하부 지지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하부 지지판을 V-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하부 플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하부 플랜지를 VI-V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의 실링판 중 상부 실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부 실링판을 VII-V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부 애관고정금구를 VIII-V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1의 지지판 중 상부 지지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상부 지지판을 IX-IX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도체 인출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을 포함한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보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2b는 도 2a의 보호관을 I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은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을 위해 자기, 유리, 합성수지 또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 형상의 애관(10)과, 애관(10)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는 밀봉 조립체(300 또는 400)와, 그리고 애관(10)의 하부에 밀봉 조립체(300 또는 400)를 통해 구비되어 종단 접속함으로 인입된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1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보호관(100)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보호관(10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 몸체(110)와, 그리고 보호관 절개 유도부(120)를 포함한다.
보호관 몸체(110)는 원통 형상을 하며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하부에 밀봉 조립체(300)를 통해 구비되며, 그 소재로는 동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관 절개 유도부(120)는 보호관 몸체(110)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종단 접속함의 내압이 커질 경우 보호관 몸체(110)의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여, 보호관 절개 유도부(1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보호관 절개 유도부(1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선형 절개 유도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선형의 라인(L)은 제1, 제2 및 제3 선형의 라인(L1)(L2)(L3)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1, 제2 및 제3 선형의 라인(L1)(L2)(L3)은 보호관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고 세 개의 지점에서 절개가 유도되므로 종단 접속함의 내부 압력에 의해 보호관 몸체(110)가 터지더라도 어느 정도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종단 접속함이 어느 쪽으로 심하게 기우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호관 절개 유도부(120)는 그 두께가 얇아질수록 점점 뾰족한 형상을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보호관 몸체(110)가 원통 형상을 함에 따라 평평한 부재에 비해 압력을 잘 견디므로 후술하는 평평한 부재인 하부 실링판(310) 및 상부 실링판(410)과 거의 동시에 절개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보호관 절개 유도부(120)는 보호관 몸체(11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관 절개 유도부(120)에 외부 이물 또는 오염원이 끼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100)은 보호관 몸체(110)에 용접되어 보호관 몸체(110)를 접지시키는 접지단자(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접지단자(130)가 보호관 몸체(110)에 용접되므로, 보호관 몸체(110)가 터질 때 그 터지는 힘에 의해 접지단자(130)가 보호관 몸체(110)에서 떨어져 단독 비산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접지단자(130)는 보호관 몸체(110)에 불활성 기체를 이용하는 아르곤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밀봉 조립체(300 또는 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조립체(300 또는 400)는, 애관(10)을 기준으로 애관(10)의 하부를 밀봉시키기는 하부 밀봉 조립체(300)와, 애관(10)의 상부를 밀봉시키는 상부 밀봉 조립체(400)로 구분된다. 이 중, 하부 밀봉 조립체(300)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의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하부 실링판(310)을 포함한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하부 실링판(310)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실링판(31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그리고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를 포함한다.
하부 실링판 몸체(311)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하부에 구비되며, 그 소재로는 타프피치동(tough pitch copper)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하부 실링판 몸체(311)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내압이 커질 경우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다시 참조하여,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는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의 시작점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는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서 절개가 시작되면 보다 원활하게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서 먼저 절개되면서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의 두께는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의 말단은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테두리 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의 말단을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테두리까지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비산 없이 터짐이 유도되므로 홈의 형성을 최소화하여 홈 형성에 따른 비용 및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하부 실링판 몸체(311) 중 애관(1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에 외부의 이물 또는 오염원이 끼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과 하부 실링판(310)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 실링판(310)이 애관(10)에 고정되도록 도와주는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4b는 도 4a의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IV-I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하부 애관고정금구(320)에는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321)는 하부 애관고정금구(320)의 외곽부와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이러한 원호 형상의 제1 개구(321)는 6개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가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술한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를 포함할 경우,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의 일부는 원호 형상의 제1 개구(321)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321)를 통해 하부 실링판(310)의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로 원활하게 압을 전달 수 있다. 특히,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 압력이 최대로 미치도록,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는 원호 형상의 제1 개구(321)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실링판(310)을 애관(10)의 하부에 수월하게 조립하기 위해, 하부 애관고정금구(320) 중 하부 실링판(310)을 향하는 면에는 하부 실링판(310)이 안착되는 하부 실링판 안착홈(3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실링판 안착홈(322)에 의해 하부 실링판(310)의 위치가 하부 애관고정금구(320)에 바로 셋팅되므로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링판(310)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며 하부 실링판(310)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하부 지지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하부 지지판(3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 1의 지지판 중 하부 지지판(33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5b는 도 5a의 하부 지지판(330)을 V-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하부 지지판(330)의 내경측 모서리부(331)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실링판 몸체(311)가 그 중심에 형성된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서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를 따라 외측으로 찢어진 후 하부 지지판(330)의 내경측 모서리부(331)에 접하더라도 모서리부(331)에 의한 2차 찢어짐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결국,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일부가 하부 실링판 몸체(311)로부터 떨어져 완전히 분리되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100)을 체결하기 위해 하부 실링판(310)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하부 지지판(330)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부 플랜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하부 플랜지(34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도 1의 하부 플랜지(34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6b는 도 6a의 하부 플랜지(340)를 VI-V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하부 실링판(310)의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가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하부 플랜지(340)의 외경측 모서리(341) 중 하부 실링판(310)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실링판(310)의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가 보다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는 하부 플랜지(340)의 외경측 모서리(341)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부 밀봉 조립체(4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도 1의 실링판 중 상부 실링판(41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7b는 도 7a의 상부 실링판(410)을 VII-V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의 상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상부 실링판(410)을 포함한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부 실링판(410)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실링판(410)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그리고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를 포함한다.
상부 실링판 몸체(411)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소재로는 타프피치동(tough pitch copper)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상부 실링판 몸체(411)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다시 참조하여,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는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의 시작점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는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서 절개가 시작되면 보다 원활하게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서 먼저 절개되면서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의 두께는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상부 실링판 몸체(411) 중 애관(10)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도면상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의 말단은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부 실링판(410)에 유입되거나 생기는 외부 수분(예를 들어, 빗물, 이슬, 응축수 등)이 상부 실링판(410)에 고이지 않고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과 상부 실링판(410)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실링판(410)이 애관(10)에 고정되도록 도와주는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8b는 도 8a의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VIII-V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는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421)는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의 외곽부와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이러한 원호 형상의 제2 개구(421)는 6개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가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술한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를 포함할 경우,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의 일부는 원호 형상의 제2 개구(421)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구(421)를 통해 상부 실링판(410)의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로 원활하게 압을 전달 수 있다. 특히,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 압력이 최대로 미치도록,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는 원호 형상의 제2 개구(421)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실링판(410)을 애관(10)의 하부에 수월하게 조립하기 위해, 상부 애관고정금구(420) 중 상부 실링판(410)을 향하는 면에는 상부 실링판(410)이 안착되는 상부 실링판 안착홈(4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실링판 안착홈(422)에 의해 상부 실링판(410)의 위치가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 바로 셋팅되므로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애관고정금구(420) 중 상부 실링판(410)을 향하는 면에는 배수로(4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 유입되거나 생기는 외부 수분(예를 들어, 빗물, 이슬, 응축수 등)이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 고이지 않고 배수로(423)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 실링판(410)의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따라 배수되는 외부 수분은 이 배수로를 통해 완전히 외부로 배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410)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부 실링판(410)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상부 지지판(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부 지지판(4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는 도 1의 지지판 중 상부 지지판(43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9b는 도 9a의 상부 지지판(430)을 IX-IX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상부 지지판(430)의 내경측 모서리부(431)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실링판 몸체(411)가 그 중심에 형성된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서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따라 외측으로 찢어진 후 상부 지지판(430)의 내경측 모서리부(431)에 접하더라도 모서리부(431)에 의한 2차 찢어짐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결국,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일부가 상부 실링판 몸체(411)로부터 떨어져 완전히 분리되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410)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전력 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인출봉(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도체 인출봉(44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도체 인출봉(44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 실링판(410)의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가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도체 인출봉(440)의 하단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부 실링판(410)과 접촉되는 모서리(441)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실링판(410)의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가 보다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는 도체 인출봉(440)의 하단의 상기 외경측 모서리(441)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미 설명된 도면부호 "200"은 외부 수분으로부터 종단 접속함의 상부를 보호하는 우복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관 절개 유도부가 형성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과 같은 기기가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비산에 의한 주변 피해의 우려를 끝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더 형성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과 같은 기기가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보다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애관 100: 보호관
110: 보호관 몸체 120: 보호관 절개 유도부
121: 선형 절개 유도부 130: 접지단자
200: 우복 300: 하부 밀봉 조립체
310: 하부 실링판 311: 하부 실링판 몸체
312: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 312a: 제1 원형 절개 유도부
312b: 제1 방사형절개 유도부 320: 하부 애관고정금구
330: 하부 지지판 340: 하부 플랜지
400: 상부 밀봉 조립체 410: 상부 실링판
411: 상부 실링판 몸체 412: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
412a: 제2 원형 절개 유도부 412b: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
420: 상부 애관고정금구 430: 상부 지지판
440: 도체 인출봉

Claims (16)

  1.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있어서,
    중공 형상의 애관;
    상기 애관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는 밀봉 조립체; 및
    상기 애관의 하부에 상기 밀봉 조립체를 통해 구비되어 상기 종단 접속함으로 인입된 상기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은,
    상기 애관의 하부에 상기 밀봉 조립체를 통해 구비되는 원통 형상을 하는 보호관 몸체; 및
    상기 보호관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애관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보호관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보호관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2. 제1항에서,
    상기 보호관 절개 유도부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선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3. 제2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형의 라인은 제1, 제2 및 제3 선형의 라인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선형의 라인은 상기 보호관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4. 제2항에서,
    상기 보호관 절개 유도부는 그 두께가 얇아질수록 점점 뾰족한 형상을 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5. 제1항에서,
    상기 보호관 절개 유도부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6. 제1항에서,
    상기 보호관은
    상기 보호관 몸체에 용접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를 접지시키는 접지단자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7. 제6항에서,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보호관 몸체에 아르곤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애관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은,
    상기 애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종단 접속함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
    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0. 제9항에서,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1. 제10항에서,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방사형 절개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2. 제11항에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는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보다 작은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3. 제11항에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 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4. 제11항에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상기 실링판 몸체의 측면에 노출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5. 제9항에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애관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6. 제9항에서,
    상기 실링판이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애관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20120097854A 2012-09-04 2012-09-04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140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54A KR101406012B1 (ko) 2012-09-04 2012-09-04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54A KR101406012B1 (ko) 2012-09-04 2012-09-04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96A KR20140030996A (ko) 2014-03-12
KR101406012B1 true KR101406012B1 (ko) 2014-06-11

Family

ID=5064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854A KR101406012B1 (ko) 2012-09-04 2012-09-04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0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858A (ja) * 1991-03-27 1994-05-2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避雷器等の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絶縁筒
KR19980061186U (ko) * 1997-03-21 1998-11-05 유금종 피뢰기용 내압절연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858A (ja) * 1991-03-27 1994-05-2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避雷器等の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絶縁筒
KR19980061186U (ko) * 1997-03-21 1998-11-05 유금종 피뢰기용 내압절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96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381B2 (ja) シールド導電路
ES2689673T3 (es) Pala de rotor de turbina eólica con un conductor de protección de rayos y un elemento de compensación de potencia
ES2609517T3 (es) Cable óptico con capacidad de desforrado mejorada
US9705256B1 (en) Insulated grounding hub locknut unit
JP5554632B2 (ja) 電線用カバー
KR20180135394A (ko)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101464474B1 (ko) 우복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1406012B1 (ko)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1406011B1 (ko)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US9905092B2 (en) Bipolar lightning protection apparatus having light emitting unit
JP2007026802A (ja) アース線付き電線
JP2009016193A (ja) 電気機器用樹脂ブッシング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JP5583485B2 (ja) 電線ヒューズ
JPH02188109A (ja) 高圧引下げ線の装柱方法及び保護管端末キャップ
JP2023105010A (ja) コンクリート製ポール
EP3199726B1 (en) Utility pole
KR101461396B1 (ko) 전력 케이블의 종단부 마감 보조기구
KR200457895Y1 (ko) 관로 설치용 케이블 보호구
KR102654539B1 (ko) 전력선의 외물근접 방지장치
KR200229020Y1 (ko) 리드선 일체형 피뢰기
JP4498319B2 (ja) アース装置
JP5334906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150005792A (ko) 점퍼 지지장치
JP6964420B2 (ja) 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