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011B1 -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 Google Patents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011B1
KR101406011B1 KR1020120097853A KR20120097853A KR101406011B1 KR 101406011 B1 KR101406011 B1 KR 101406011B1 KR 1020120097853 A KR1020120097853 A KR 1020120097853A KR 20120097853 A KR20120097853 A KR 20120097853A KR 101406011 B1 KR101406011 B1 KR 10140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late
sealing
incision
circular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995A (ko
Inventor
한봉수
김영범
전명훈
배병규
안성원
Original Assignee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0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068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02G15/046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with bores or protruding portions allowing passage of cabl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비산됨 없이 터짐을 유도할 수 있는 실링판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링판은,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으로,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와, 그리고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Sealing plate and termination for voltage power cab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선을 일정한 가닥으로 서로 모아서 합성 수지로 주 절연층을 형성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와 이의 절연을 위한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지중 혹은 지상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전선이다.
상술한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함이 사용된다. 접속함은 종단 접속함(terminal box)과 중간 접속함(joint box)으로 구분된다. 종단 접속함은 기중 종단 접속함, 가스(gas)중 종단 접속함, 및 유(oil) 중 종단 접속함 등으로 구분되며, 중간 접속함은 보통 접속함(normal joint)과 절연 접속함(insulation joint) 등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종단 접속함은 케이블 도체와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고 그 접속부를 절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절연을 위해 자기, 유리, 합성수지 또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 형상의 애관(insulator)(다른 말로 "애자"또는 "절연통"이라고도 함)과, 애관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밀봉시키기 위해 실링판을 각각 포함하는 상부 밀봉 조립체 및 하부 밀봉 조립체와, 상부 밀봉 조립체에 구비되어 외부 수분으로부터 종단 접속함을 보호하는 우복과, 그리고 하부 밀봉 조립체에 구비되며 종단 접속함으로 인입된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단 접속함의 내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발생되면 종단 접속함이 터지면서 종단 접속함을 이루는 애관을 비롯한 부품들이 주변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산에 의해 종단 접속함의 주변에 피해가 우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비산됨 없이 터짐을 유도할 수 있는 실링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이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은,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으로, 상기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방사형 절개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는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 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상기 실링판 몸체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기기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기기를 향하는 면의 반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판 몸체는 타프피치동(tough pitch copp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중공 형상의 애관; 및 상기 애관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는 밀봉 조립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애관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을 포함한다.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애관과 상기 실링판 사이에 구비되는 애관고정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관고정금구에는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애관고정금구의 외곽부와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애관고정금구 중 상기 실링판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실링판이 안착되는 실링판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애관고정금구 중 상기 실링판을 향하는 면에는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기 실링판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의 내경측 모서리부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기 실링판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경측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전력 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인출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기 실링판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는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의 상기 외경측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형성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과 같은 기기가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비산에 의한 주변 피해의 우려를 끝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을 포함한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실링판 중 하부 실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하부 실링판을 I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하부 애관고정금구를 III-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지지판 중 하부 지지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하부 지지판을 IV-I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하부 플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하부 플랜지를 V-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실링판 중 상부 실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상부 실링판을 VI-V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부 애관고정금구를 VII-V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지지판 중 상부 지지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부 지지판을 VIII-V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도체 인출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을 포함한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실링판 중 하부 실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2b는 도 2a의 하부 실링판을 I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은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을 위해 자기, 유리, 합성수지 또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 형상의 애관(10)과, 그리고 애관(10)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는 밀봉 조립체(300 또는 4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조립체(300 또는 400)는, 애관(10)을 기준으로 애관(10)의 하부를 밀봉시키기는 하부 밀봉 조립체(300)와, 애관(10)의 상부를 밀봉시키는 상부 밀봉 조립체(400)로 구분된다. 이 중, 하부 밀봉 조립체(300)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의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하부 실링판(310)을 포함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하부 실링판(310)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실링판(31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그리고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를 포함한다.
하부 실링판 몸체(311)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하부에 구비되며, 그 소재로는 타프피치동(tough pitch copper)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하부 실링판 몸체(311)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내압이 커질 경우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여,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는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의 시작점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는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서 절개가 시작되면 보다 원활하게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서 먼저 절개되면서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의 두께는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의 말단은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테두리 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의 말단을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테두리까지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비산 없이 터짐이 유도되므로 홈의 형성을 최소화하여 홈 형성에 따른 비용 및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는 하부 실링판 몸체(311) 중 애관(1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에 외부의 이물 또는 오염원이 끼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과 하부 실링판(310)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 실링판(310)이 애관(10)에 고정되도록 도와주는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3b는 도 3a의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III-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하부 애관고정금구(320)에는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321)는 하부 애관고정금구(320)의 외곽부와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이러한 원호 형상의 제1 개구(321)는 6개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가 하부 실링판 몸체(3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술한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를 포함할 경우,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의 일부는 원호 형상의 제1 개구(321)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321)를 통해 하부 실링판(310)의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로 원활하게 압을 전달 수 있다. 특히,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 압력이 최대로 미치도록,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는 원호 형상의 제1 개구(321)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실링판(310)을 애관(10)의 하부에 수월하게 조립하기 위해, 하부 애관고정금구(320) 중 하부 실링판(310)을 향하는 면에는 하부 실링판(310)이 안착되는 하부 실링판 안착홈(3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실링판 안착홈(322)에 의해 하부 실링판(310)의 위치가 하부 애관고정금구(320)에 바로 셋팅되므로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링판(310)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며 하부 실링판(310)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하부 지지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하부 지지판(3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의 지지판 중 하부 지지판(33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4b는 도 4a의 하부 지지판(330)을 IV-I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하부 지지판(330)의 내경측 모서리부(331)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실링판 몸체(311)가 그 중심에 형성된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에서 제1 방사형 절개 유도부(312b)를 따라 외측으로 찢어진 후 하부 지지판(330)의 내경측 모서리부(331)에 접하더라도 모서리부(331)에 의한 2차 찢어짐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결국, 하부 실링판 몸체(311)의 일부가 하부 실링판 몸체(311)로부터 떨어져 완전히 분리되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 밀봉 조립체(300)는, 도 1,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링판(310) 중 하부 애관고정금구(3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하부 지지판(330)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부 플랜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하부 플랜지(34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 1의 하부 플랜지(34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5b는 도 5a의 하부 플랜지(340)를 V-V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하부 실링판(310)의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가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하부 플랜지(340)의 외경측 모서리(341) 중 하부 실링판(310)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실링판(310)의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가 보다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제1 원형 절개 유도부(312a)는 하부 플랜지(340)의 외경측 모서리(341)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부 밀봉 조립체(4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도 1의 실링판 중 상부 실링판(41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6b는 도 6a의 상부 실링판(410)을 VI-V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의 상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상부 실링판(410)을 포함한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부 실링판(410)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실링판(41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그리고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를 포함한다.
상부 실링판 몸체(411)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소재로는 타프피치동(tough pitch copper)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상부 실링판 몸체(411)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다시 참조하여,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는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의 시작점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는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서 절개가 시작되면 보다 원활하게 사방으로 절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서 먼저 절개되면서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의 두께는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는 상부 실링판 몸체(411) 중 애관(10)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도면상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의 말단은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부 실링판(410)에 유입되거나 생기는 외부 수분(예를 들어, 빗물, 이슬, 응축수 등)이 상부 실링판(410)에 고이지 않고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관(10)과 상부 실링판(410)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실링판(410)이 애관(10)에 고정되도록 도와주는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도 1의 애관고정금구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7b는 도 7a의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VII-V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는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421)는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의 외곽부와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이러한 원호 형상의 제2 개구(421)는 6개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412)가 상부 실링판 몸체(411)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술한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를 포함할 경우,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의 일부는 원호 형상의 제2 개구(421)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구(421)를 통해 상부 실링판(410)의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로 원활하게 압을 전달 수 있다. 특히,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 압력이 최대로 미치도록,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는 원호 형상의 제2 개구(421)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실링판(410)을 애관(10)의 하부에 수월하게 조립하기 위해, 상부 애관고정금구(420) 중 상부 실링판(410)을 향하는 면에는 상부 실링판(410)이 안착되는 상부 실링판 안착홈(4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실링판 안착홈(422)에 의해 상부 실링판(410)의 위치가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 바로 셋팅되므로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애관고정금구(420) 중 상부 실링판(410)을 향하는 면에는 배수로(4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 유입되거나 생기는 외부 수분(예를 들어, 빗물, 이슬, 응축수 등)이 상부 애관고정금구(420)에 고이지 않고 배수로(423)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 실링판(410)의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따라 배수되는 외부 수분은 이 배수로를 통해 완전히 외부로 배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410)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부 실링판(410)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상부 지지판(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상부 지지판(4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도 1의 지지판 중 상부 지지판(43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8b는 도 8a의 상부 지지판(430)을 VIII-VIII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상부 지지판(430)의 내경측 모서리부(431)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실링판 몸체(411)가 그 중심에 형성된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에서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412b)를 따라 외측으로 찢어진 후 상부 지지판(430)의 내경측 모서리부(431)에 접하더라도 모서리부(431)에 의한 2차 찢어짐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결국, 상부 실링판 몸체(411)의 일부가 상부 실링판 몸체(411)로부터 떨어져 완전히 분리되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부 밀봉 조립체(40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실링판(410) 중 상부 애관고정금구(4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전력 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인출봉(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도체 인출봉(44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도체 인출봉(44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 실링판(410)의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가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도체 인출봉(440)의 하단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부 실링판(410)과 접촉되는 모서리(441)는 각지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실링판(410)의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가 보다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제2 원형 절개 유도부(412a)는 도체 인출봉(440)의 하단의 상기 외경측 모서리(441)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참고로, 미 설명된 도면부호 "100"은 종단 접속함으로 인입된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보호관이고, 도면부호 "200"은 외부 수분으로부터 종단 접속함의 상부를 보호하는 우복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또는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312 또는 412)가 형성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종단 접속함과 같은 기기가 터지더라도 그 부품들의 비산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비산에 의한 주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애관 100: 보호관
200: 우복 300: 하부 밀봉 조립체
310: 하부 실링판 311: 하부 실링판 몸체
312: 하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 312a: 제1 원형 절개 유도부
312b: 제1 방사형절개 유도부 320: 하부 애관고정금구
330: 하부 지지판 340: 하부 플랜지
400: 상부 밀봉 조립체 410: 상부 실링판
411: 상부 실링판 몸체 412: 상부 실링판 절개 유도부
412a: 제2 원형 절개 유도부 412b: 제2 방사형 절개 유도부
420: 상부 애관고정금구 430: 상부 지지판
440: 도체 인출봉

Claims (24)

  1.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으로,
    상기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기기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실링판.
  2. 제1항에서,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는 실링판.
  3. 제2항에서,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방사형 절개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실링판.
  4. 제3항에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는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두께보다 작은 실링판.
  5.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으로,
    상기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방사형 절개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 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실링판.
  6.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으로,
    상기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에 연이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개의 방사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방사형 절개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방사형 절개 유도부의 말단은
    상기 실링판 몸체의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상기 실링판 몸체의 측면에 노출되는 실링판.
  7. 삭제
  8.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으로,
    상기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이 상기 기기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는
    상기 실링판 몸체 중 상기 기기를 향하는 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는 실링판.
  9. 제1항에서,
    상기 실링판 몸체는 타프피치동(tough pitch copper)으로 이루어지는 실링판.
  10.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에 있어서,
    중공 형상의 애관; 및
    상기 애관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는 밀봉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애관의 하부 또는 상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판은
    상기 애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실링판 몸체; 및
    상기 실링판 몸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애관의 내압이 커질 경우 상기 실링판 몸체의 절개를 유도하는 실링판 절개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1. 제10항에서,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애관과 상기 실링판 사이에 구비되는 애관고정금구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2. 제11항에서,
    상기 애관고정금구에는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3. 제12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애관고정금구의 외곽부와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4. 제13항에서,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의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노출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5. 제11항에서,
    상기 애관고정금구 중 상기 실링판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실링판이 안착되는 실링판 안착홈이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6. 제11항에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애관고정금구 중 상기 실링판을 향하는 면에는 배수로가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7. 제11항에서,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기 실링판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8. 제17항에서,
    상기 지지판의 내경측 모서리부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19. 제17항에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20. 제19항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기 실링판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21. 제20항에서,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경측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위치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22. 제17항에서,
    상기 밀봉 조립체가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밀봉 조립체는
    상기 실링판 중 상기 애관고정금구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중심부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전력 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인출봉을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23. 제22항에서,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의 외경측 모서리 중 상기 실링판과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지게 처리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24. 제23항에서,
    상기 실링판 절개 유도부가
    상기 실링판 몸체와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원형 절개 유도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원형 절개 유도부는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의 상기 외경측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위치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20120097853A 2012-09-04 2012-09-04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140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53A KR101406011B1 (ko) 2012-09-04 2012-09-04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53A KR101406011B1 (ko) 2012-09-04 2012-09-04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95A KR20140030995A (ko) 2014-03-12
KR101406011B1 true KR101406011B1 (ko) 2014-06-11

Family

ID=5064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853A KR101406011B1 (ko) 2012-09-04 2012-09-04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0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322B1 (ko) * 2005-11-01 2006-03-27 윤하원 럽쳐 디스크 어셈블리
KR20100125951A (ko) * 2009-05-22 2010-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322B1 (ko) * 2005-11-01 2006-03-27 윤하원 럽쳐 디스크 어셈블리
KR20100125951A (ko) * 2009-05-22 2010-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95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256B1 (en) Insulated grounding hub locknut unit
CA2845603C (en) Class i and class ii modular wiring system
US10554034B2 (en) Cold shrinkable cable terminal, cold shrink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terminating cable
JP5554632B2 (ja) 電線用カバー
KR20180135394A (ko)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101406011B1 (ko) 실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1464474B1 (ko) 우복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KR101406012B1 (ko)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US20150357085A1 (en) Insulated electric cord
US11362501B2 (en) Insulator insert for weatherhead and methods of installing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JP5813714B2 (ja) 電力ケーブルの終端接続部
KR200462882Y1 (ko) 전주에 설치되는 스위치
JP4498319B2 (ja) アース装置
JP2023105010A (ja) コンクリート製ポール
JPH02188109A (ja) 高圧引下げ線の装柱方法及び保護管端末キャップ
EP3199726B1 (en) Utility pole
EP3722599B1 (en) Electromagnetic grounding arrangement
JP5334906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0457895Y1 (ko) 관로 설치용 케이블 보호구
KR101473238B1 (ko) 전력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의 내부 아크 시험을 위한 지그
KR200229020Y1 (ko) 리드선 일체형 피뢰기
JP2016219234A (ja) ワイヤハーネス
JP5955892B2 (ja) ケーブル挿通口保護カバー
KR200228997Y1 (ko) 전주 애자용 고장 표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