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394A -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394A
KR20180135394A KR1020170157818A KR20170157818A KR20180135394A KR 20180135394 A KR20180135394 A KR 20180135394A KR 1020170157818 A KR1020170157818 A KR 1020170157818A KR 20170157818 A KR20170157818 A KR 20170157818A KR 20180135394 A KR20180135394 A KR 20180135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ble
cover body
distribution lin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7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커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감전, 절연, 부식 및 전압누설 등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물질의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커버에 적용되는 자기융착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작업 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리브가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고압케이블이 인입되는 제1 케이블 인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커버 몸체;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의 내측에 부착되어 이물질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하는 자기융착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에 일측면이 부착된 상기 자기융착테이프의 타측면에 부착된 이형지에는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커버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식별부재;가 연결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Insulating cover for power line}
본 발명은 절연 커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감전, 절연, 부식 및 전압누설 등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물질의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커버에 적용되는 자기융착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작업 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및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선 도체는 재질에 따라서는 알루미늄(AL)이나 동(CU)으로 되어있고 그 외부를 둘러싼 부분은 절연물질인 고무 등의 피복으로 되어 있다. 그러면 전선과 전선의 연결과 분기를 위해서는 전선을 분리하여 절단 후, 전선 상호간 외부 피복을 벗겨낸 후 슬리브로 접속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슬리브는 구리 합금 등의 전기를 잘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압착부위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관계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슬리브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이어지는 감전사고나 선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연 특성이 좋은 절연 커버(직선슬리브커버, 분기슬리브커버, 분기고리커버, 부싱단자커버, 인류클램프커버를 통칭함)를 덮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절연 커버는 고압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밀봉이 완벽하게 되지 않아 빗물, 이물질, 벌레 등이 침투함에 따라 절연 사고가 발생하는 우려가 있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입부에 절연테이프를 일일이 감아서 부착(테이핑 작업)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시간이 늘어남은 물론 기밀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절연 커버는 내외부의 기온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 및 침투되는 물을 배출할 수가 없어서 절연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절연 커버는 고압케이블의 다양한 규격을 단일 커버 규격으로 작업하므로 시공효율이 낮음은 물론 이에 따른 수분침투 등의 품질 문제점 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또한, 활선 교체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고압케이블의 2미터 하부에서 작업하도록 규정된 작업지침에 따라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작업용 집게를 이용하여 슬리브에 절연 커버를 덮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종래의 절연 커버는 작업용 집게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 없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감전, 절연, 전압누설 사고를 효율적으로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작업용 집게를 이용하여 슬리브에 절연 커버를 덮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절연 커버가 절실히 요구되는 바 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81972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이물질의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커버에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자기융착테이프를 또는 스펀지테이프를 적용시켜 작업시간을 단축 및 기밀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절연 커버에 적용되는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 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작업 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다른 목적은, 내외부의 기온차에 의해 커버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 및 제1케이블 인입부를 통하여 절연 커버의 내부로 침투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또 다른 목적은, 작업용 집게를 이용하여 절연 커버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들어올려 슬리브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고압케이블을 용이하게 제1케이블 인입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리브가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고압케이블이 인입되는 제1 케이블 인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커버 몸체;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의 내측에 부착되어 이물질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하는 자기융착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에 일측면이 부착된 상기 자기융착테이프의 타측면에 부착된 이형지에는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커버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식별부재;가 연결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 몸체의 양단부 하부에는 침투되는 물과 내외부의 기온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가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몸체의 일측면에는 활선 교체작업시 작업용 집게를 이용하여 커버를 들어올려 슬리브에 거치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몸체 내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고압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의 양단부에는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에는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고압케이블을 용이하게 제1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케이블 어댑터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어댑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움 장착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고압케이블이 인입되는 제2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케이블 인입부의 내측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테이프를 적용하므로써, 벌레나 이물질, 빗물 등이 내측으로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함은 물론 기존에 기밀유지를 위해 절연테이프를 일일이 감아서 부착(테이핑 작업)을 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에 식별부재를 연결하므로써,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작업 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실수로 이형지를 미제거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커버에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써, 내외부의 기온차에 의해 커버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 및 제1케이블 인입부를 통하여 절연 커버의 내부로 침투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켜 산화부식의 촉진을 예방함은 물론 절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에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활선 교체시 카바를 작업용 집게를 이용하여 커버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들어올려 슬리브에 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커버의 내측에 겔(Gel) 타입의 컴파운드를 도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화부식의 촉진을 예방함에 따라 전기적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제작된 케이블 어댑터를 제1케이블 인입부에 장착시키므로,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고압케이블을 용이하게 제1케이블 인입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격벽을 나타낸 측면도로, (a)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격벽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된 격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적용된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에 식별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가 고압케이블이 접속된 슬리브에 감싸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적용된 자기융착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가 제거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이형지가 제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이형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의 제1 케이블 인입부에 케이블 어댑터가 장착된 상태에서 고압케이블이 접속된 슬리브에 감싸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의 제1케이블 인입부에 어댑터가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제1케이블 인입부에 케이블 어댑터가 분리된 상태이고, (b)는 제1케이블 인입부에 케이블 어댑터가 장착된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적용되는 케이블 어댑터의 사용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외경이 큰 고압케이블이 직접 제1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된 상태이고, (b)는 외경이 작은 고압케이블이 케이블 어댑터를 통하여 제1케이블 인입부에 인입된 상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나타낸 평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격벽을 나타낸 측면도로, (a)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격벽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된 격벽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적용된 자기융착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에 식별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가 고압케이블이 접속된 슬리브에 감싸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적용된 자기융착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가 제거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이형지가 제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이형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하기에서 설명되는 커버 몸체(1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결합된 상태를 뜻하는 것이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커버 몸체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커버 몸체를 '제1커버 몸체'라 표현하고 부호를 '110-1'로 표기하며, 하부에 해당하는 커버 몸체를 '제2커버 몸체'라 표현하고 부호를 '110-2'로 표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100)는 배전선로의 고압케이블(10)을 압착 접속시킨 슬리브(20)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덮어주어 절연 및 보호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절연 커버(100)는 커버 몸체(110), 자기융착테이프(120) 및 식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로 구성되고, 제2커버 몸체(110-2)에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112)가 형성되며, 제1커버 몸체(110-1)에는 체결돌기(112)가 끼움 체결되는 체결홈(113)이 형성되어 제1커버 몸체(110-1)를 180도 회전시켜 체결홈(113)에 체결돌기(112)를 끼움 체결하므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의 양쪽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115)과 격벽(115)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격벽(115)에는 고압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케이블 인입부(1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개구홀(115a)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격벽(115)과 격벽(115)의 사이에는 겔 타입 컴파운드(130)가 도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절연 커버(100) 결합시 도포된 컴파운드(130)가 고압케이블(10)이 접속된 슬리브(20)의 양단부 전체에 도포되어 산화부식의 촉진을 예방함에 따라 전기적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의 외측면에는 활선 교체작업시 작업자가 고압케이블(10)의 2미터 하부의 위치에서 작업용 집게(도면에 미도시함) 등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용 집게(도면에 미도시함)를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16)가 각각 복수 개 형성된다.
한편, 도면상에는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커버 몸체(110-1) 또는 제2커버 몸체(110-2) 중 어느 하나에만 파지부(116)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파지부(116)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길게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케이블 인입부(111)의 내측에는 양면이 접착력을 가지며 절연성능이 우수한 자기융착테이프(120)가 부착되는 부착홈(114)이 형성된다. 부착홈(114)에는 자기융착테이프(120)의 일측면이 부착되어 절연 커버(100)를 결합시 자기융착테이프(120)의 타측면이 고압케이블(10)의 외측 둘레부에 부착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전압누설방지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이때, 자기융착테이프(120)의 양면에는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홈(114)에 자기융착테이프(120)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한 후 부착홈(114)에 부착시킨 후 나머지 다른 이형지를 제거한 후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에 각각 자기융착테이프(120)가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케이블 인입부(111)에 고압케이블(10)을 인입시킨 후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를 결합시키면 자기융착테이프(120)가 고압케이블(10)의 외측 둘레에 면밀히 밀착되어 부착되므로 확실한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케이블 인입부(111)의 기밀유지를 위해서 자기융착테이프(120)가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펀지테이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식별부재(140)는 자기융착테이프(120)의 양면에 부착된 이형지 중 어느 하나의 이형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작업 후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커버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식별부재(140)는 용이하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광색상을 갖는 띠로 이루어지며, 띠에는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도록 경고용 제거문구가 적혀있을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서는 식별부재(140)를 원형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에 각각 형성된 부착홈(114)에 자기융착테이프(120)의 일측면을 각각 부착시킨 후 자기융착테이프(120)의 타측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한 다음 슬리브(20)에 거치하여 제1커버 몸체(110-1)와 제2커버 몸체(110-2)를 결합시키므로 작업이 완료되는데, 만약 작업을 끝마친 후에도 절연 커버(100)에 식별수단(140)이 보인다면 이형지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았다는 것을 파악하여 바로 미제거된 이형지를 제거하여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커버(100)는 제1케이블 인입부의 내측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테이프를 적용하므로써, 벌레나 이물질, 빗물 등이 내측으로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함은 물론 기존에 기밀유지를 위해 절연테이프를 일일이 감아서 부착(테이핑 작업)을 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에 식별부재를 연결하므로써, 자기융착테이프 또는 스펀지테이프에 부착된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작업 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실수로 이형지를 미제거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커버에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써, 내외부의 기온차에 의해 커버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 및 제1케이블 인입부를 통하여 절연 커버의 내부로 침투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켜 산화부식의 촉진을 예방함은 물론 절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에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활선 교체시 카바를 작업용 집게를 이용하여 커버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들어올려 슬리브에 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커버의 내측에 겔(Gel) 타입의 컴파운드를 도포함으로써, 산화부식의 촉진을 예방 및 부식에 의한 단선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의 제1 케이블 인입부에 케이블 어댑터가 장착된 상태에서 고압케이블이 접속된 슬리브에 감싸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의 제1케이블 인입부에 어댑터가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제1케이블 인입부에 케이블 어댑터가 분리된 상태이고, (b)는 제1케이블 인입부에 케이블 어댑터가 장착된 상태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적용되는 케이블 어댑터의 사용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외경이 큰 고압케이블이 직접 제1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된 상태이고, (b)는 외경이 작은 고압케이블이 케이블 어댑터를 통하여 제1케이블 인입부에 인입된 상태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일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케이블 인입부(111)에 장착되어 다양한 규격의 고압케이블(10)을 제1케이블 인입부(111)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케이블 어댑터(150)가 포함된다.
이때, 제1케이블 인입부(111)의 양단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케이블 어댑터(150)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152)가 끼움 장착될 수 있도록 끼움공(111a)이 각각 형성된다.
케이블 어댑터(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는 끼움공(111a)에 끼움 장착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152)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압케이블(10)이 인입되는 제2케이블 인입부(151)가 형성된다.
이때, 제2케이블 인입부(151)의 내경 크기는 제1케이블 인입부(151)의 내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압케이블(10)의 외경이 큰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어댑터(150)를 미장착시킨 상태, 즉 제1케이블 인입부(111)에 바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고압케이블(10)의 외경 크기가 제1케이블 인입부(111)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인입부(111)에 형성된 끼움공(111a)에 케이블 어댑터(150)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152)를 끼움 고정시켜 제1케이블 인입부(111)에 케이블 어댑터(150)를 장착시키므로 케이블 어댑터(150)의 제2케이블 인입부(151)에 제1케이블 인입부(111)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고압케이블(10)이 기밀유지가 가능한 상태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커버(100)는 별도로 제작된 케이블 어댑터(150)를 제1케이블 인입부(111)에 장착시켜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고압케이블(10)을 용이하게 제1케이블 인입부(111)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고압케이블(10)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 절연 커버를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 했으므로 생산 및 시공효율이 낮음은 물론 제작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나타낸 평단면도인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1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적용된 케이블 인입부(111)에 단턱(111b)을 형성하여 일단부의 내경은 작고 타단부의 내경을 크게 형성시키므로, 고압케이블의 규격에 따라 도 12의 A-A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만이 다를 뿐 나머지 구조 및 작용효과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류클램프커버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6항에 적용된 제1케이블 인입부(111)와 케이블 어댑터(150)의 구조와 연결관계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 등은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인 인류클램프커버, 직선슬리브커버, 분기슬리브커버, 분기고리커버 및 부싱단자커버 등과 같이 고압케이블의 절연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커버 전체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적용 분야를 상기 열거된 항목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 : 고압케이블 20 : 슬리브
100 :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110 : 커버 몸체
111 : 제1케이블 인입부 111a : 끼움공 111b : 단턱
112 : 체결돌기
113 : 체결홈
114 : 부착홈
115 : 격벽 115a : 개구홀
116 : 파지부
117 : 배수구
120 : 자기융착테이프
130 : 컴파운드
140 : 식별부재
150 : 케이블 어댑터
151 : 제2케이블 인입부 152 : 끼움돌기

Claims (7)

  1. 배전선로의 압착된 슬리브를 절연하기 위한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가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고압케이블이 인입되는 제1 케이블 인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커버 몸체;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의 내측에 부착되어 이물질 침투 및 전압누설을 방지하는 자기융착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에 일측면이 부착된 상기 자기융착테이프의 타측면에 부착된 이형지에는 이형지의 제거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커버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식별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의 양단부 하부에는 침투되는 물과 내외부의 기온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가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의 일측면에는 활선 교체작업시 작업용 집게를 이용하여 커버를 들어올려 슬리브에 거치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 내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고압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의 양단부에는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 인입부에는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고압케이블을 용이하게 제1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케이블 어댑터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어댑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움 장착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고압케이블이 인입되는 제2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는 직선슬리브커버, 분기슬리브커버, 분기고리커버, 부싱단자커버, 인류클램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1020170157818A 2017-06-12 2017-11-24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20180135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112A KR102063700B1 (ko) 2017-06-12 2018-06-20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3369 2017-06-12
KR1020170073369 2017-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394A true KR20180135394A (ko) 2018-12-20

Family

ID=649527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818A KR20180135394A (ko) 2017-06-12 2017-11-24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1020180071112A KR102063700B1 (ko) 2017-06-12 2018-06-20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112A KR102063700B1 (ko) 2017-06-12 2018-06-20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353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196A (ko) 2019-08-27 2021-03-09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 바이패스 작업용 절연커버
KR20210043137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전력공사 커버 개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KR102358265B1 (ko) * 2021-08-10 2022-02-08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변 힌지 타입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KR102384778B1 (ko) * 2021-11-19 2022-04-11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변 힌지 타입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985B1 (ko) * 2020-08-13 2022-07-25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절연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15B1 (ko) * 2003-04-14 2005-09-01 정숙희 커넥터
JP5250353B2 (ja) * 2008-09-18 2013-07-31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架空配電線の組立構造及び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の取付方法
JP5859083B1 (ja) * 2014-09-29 2016-02-10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セルフラミネート回転ラベル
KR101754811B1 (ko) * 2017-01-16 2017-07-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196A (ko) 2019-08-27 2021-03-09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 바이패스 작업용 절연커버
KR20210043137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전력공사 커버 개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KR102358265B1 (ko) * 2021-08-10 2022-02-08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변 힌지 타입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KR102384778B1 (ko) * 2021-11-19 2022-04-11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변 힌지 타입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700B1 (ko) 2020-01-09
KR20190060645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5394A (ko)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101754811B1 (ko)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US5329065A (en) Electrical cable
US8134071B2 (en) Apparatus for a connection point between two electrical high-voltage cables
CA2823130A1 (en)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KR10085076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548358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US5936200A (en) Easy junction box
KR102386729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US3322883A (en) Prefilled cable termination system
KR20170099604A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
JP2015142486A (ja) 高圧ケーブルの端部構造
KR101556755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US8866015B2 (en) Power cable with conducting outer material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US2827508A (en) 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s
US10498049B2 (en) Assembly as a junction box replac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said assembly
KR101484922B1 (ko) 주상변압기용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의 제조방법
KR102177153B1 (ko) 배전선로 절연 커버용 케이블 어댑터
CN202183585U (zh) 应力锥组件、高压电缆连接器组件
JPH02188109A (ja) 高圧引下げ線の装柱方法及び保護管端末キャップ
JPH0119332Y2 (ko)
JP3154154U (ja) ケーブルの結線構造
JP5878099B2 (ja) 電力用同軸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CN215267603U (zh) 一种水汽阻断接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