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785B1 -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785B1
KR101404785B1 KR1020120099759A KR20120099759A KR101404785B1 KR 101404785 B1 KR101404785 B1 KR 101404785B1 KR 1020120099759 A KR1020120099759 A KR 1020120099759A KR 20120099759 A KR20120099759 A KR 20120099759A KR 101404785 B1 KR101404785 B1 KR 10140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control
control unit
senso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3665A (ko
Inventor
임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Priority to KR102012009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7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각각의 특정 객차의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와 각각의 객차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센서와 각각의 객차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센서를 구비하는 객차 센서부; 상기 객차 센서부로부터 센서감지값을 수신하고, 제어설정값에 따라 공기 조화용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객차마다 설치되어 있는 객차 제어부; 및 상기 객차 제어부로부터 각각 상기 센서감지값을 수신받고, 수신된 센서감지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따라 조정된 새로운 제어설정값을 상기 객차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객차 내 승차 인원의 차이에 따른 객차 실내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객차 내 공조 장치를 운전실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Remote Air Control System of Train}
본 발명은 열차의 객차 내 공조 장치를 운전실에서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운전실에 연이어서 복수의 객차가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에서, 운전실에서 복수의 객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장치(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al)를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차 내 승차 인원의 차이에 따른 객차 실내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객차 내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객차들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에 의해 일률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객차별로 최적의 환경이 되도록 개별적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즉 운전실에 연이어서 복수의 객차가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에는 각각의 객차의 실내를 쾌적한 승차 환경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난방, 냉방, 및/또는 환기 등을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종래 이러한 공조장치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시스템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10-0949742호(2010년 1월 28일 등록)에는 전동차의 객차의 실내 분위기와 함께 외기 분위기를 고려하여 해당 객차의 냉방온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한 냉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각각의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콘유닛에서 방출되는 냉기의 온도, 에어콘유닛으로 흡기되는 공기의 온도, 해당 객차 실내의 온도, 및 해당 객차 외부의 온도를 각각의 온도센서로 감지한 후, 이들 온도값들을 평균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온도값과 비교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송출냉기량을 증감시킴으로써 객차 내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개별 객차 내 냉방장치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온도값을 기초로, 객차별로 실시간 자동 제어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열차는 운행되는 동안에 역마다 정차하고 승객들이 하차하고 승차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객차에 승차하고 있는 승객들의 수가 계속 변화할 뿐만 아니라 객차마다 서로 다른 수의 승객들이 탑승하고 있다는 등의 이유 때문에, 운전실에서 전체적인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운전자에 의해, 각각의 객차에 대하여 미세한 조정을 해주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종래에 전동차 냉난방장치를 원격조절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10-0999861호(2010년 12월 3일 등록)에는 운전실에 중앙제어부를 설치하고, 중앙제어부에서 각각의 객차에서 전송된 객실 내부의 온도측정치,전동차 외부온도 측정치, 및 냉방장치의 상태를 체크한 후, 각 객실의 내부 온도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객실 내 콘트롤러에 전송하여 냉방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객실 내부의 온도와 열차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객실의 온도를 운전실에서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위의 두 기술의 경우 모두 단지 객실 내외의 온도만을 고려하여 객실 내 냉방장치를 가동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객실 내 온도의 경우는 객실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위치에 따라 그 편차가 심하다. 그러므로 객실 외부의 온도를 참조하고는 있으나, 객실 외부의 온도의 경우에도 열차가 지하를 통과하는 경우, 역사에 정차한 경우, 지상 구간을 지나는 등의 다양한 사정 때문에 온도조절의 기준으로서 사용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열차 또는 전동차의 운행 상의 특성은,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열차 운행 중 각각의 객차에 승차하고 있는 승객들의 수가 계속 변화할 뿐만 아니라 객차마다 서로 다른 수의 승객들이 탑승한다는 사실 때문에 객차 내 온도가 계속해서 변화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복수의 객차가 운전실에 일렬로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의 객차 실내 공조장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 객차별로 승차 인원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공조장치를 제어한다면 쾌적한 승차 환경을 제공하는데 보다 적절한 제어 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 및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실에 연이어서 복수의 객차가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에서, 운전실에서 복수의 객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장치(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al)를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차 내 승차 인원의 차이에 따른 객차 실내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객차 내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차별로 최적의 환경이 되도록 개별적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운전실에 설치된 중앙제어부가 각각의 객차 내에 설치된 객차제어부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객차의 실내외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사람이 많고 적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센서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센서에 의한 센서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객차 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승차인원의 차이에 따른 환경 차이를 고려하여 객차별로 최적의 환경이 되도록 개별적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객차제어부 내에 중앙제어부로부터 최종적으로 수신한 제어설정값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객차와 운전실 간의 통신 장애가 발생하거나 운전실 내의 중앙제어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설정값에 기초하여 객차 내 공조 제어를 독립적으로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운전실의 중앙제어부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관제실 등에 설치된 외부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외부 시스템에서 특정 객실 내 공조장치를 원격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은, 운전실에 연이어서 복수의 객차가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에서, 운전실에서 복수의 객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공조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특정 객차의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와, 각각의 객차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센서와, 및 각각의 객차 내 습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센서를 구비하는 객차 센서부; 상기 객차 센서부로부터 센서감지값을 수신하고, 제어설정값에 따라 공기 조화용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객차마다 설치되어 있는 객차 제어부; 및 상기 객차 제어부로부터 각각 상기 센서감지값을 수신받고, 수신된 센서감지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따라 조정된 새로운 제어설정값을 상기 객차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객차제어부는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최종적으로 수신한 제어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미리 한정된 시간 내에 새로운 제어설정값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새로운 제어설정값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설정값을 기준으로 객차 내 공조장치를 계속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해당 열차 외부의 관제실 또는 역사 내에 설치된 외부 제어시스템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외부용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제어시스템으로부터 공조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객차 제어부는 객차 송풍기의 회전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여 실질적인 실내환경을 유지하도록 인버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실에 연이어서 복수의 객차가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에서, 운전실에서 복수의 객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장치를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차 내 승차 인원의 차이에 따른 객차 실내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객차 내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차별로 최적의 환경이 되도록 개별적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운전실에 설치된 중앙제어부가 각각의 객차 내에 설치된 객차제어부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객차의 실내외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사람이 많고 적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센서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센서에 의한 센서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객차 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승차인원의 차이에 따른 환경 차이를 고려하여 객차별로 최적의 환경이 되도록 개별적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기관사의 제어를 통하지 주변 환경에 따라서 객차별로 자동 공조 제어가 가능하므로 안전운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차제어부 내에 중앙제어부로부터 최종적으로 수신한 제어설정값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객차와 운전실 간의 통신 장애가 발생하거나 운전실 내의 중앙제어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설정값에 기초하여 객차 내 공조 제어를 독립적으로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운전실의 중앙제어부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관제실 등에 설치된 외부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외부 시스템에서 특정 객실 내 공조장치를 원격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이 열차에 적용된 예를 전체적으로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더 상세히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은, 운전실(1)에 연이어서 복수의 객차(2)가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에서, 운전실에서 복수의 객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객차의 실내 공기를 난방, 냉방, 또는 환기하기 위한 공조 제어 시스템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운전실에 설치된 중앙제어부와 각각의 객차마다 설치된 객차제어부를 구비하며, 승차 인원의 차이에 따른 객차 내 환경의 차이를 온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이 센서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된 객차별 제어설정값을 생성한 후, 이 객차별 제어설정값을 객차마다 설치된 각각의 객차 제어부에 제공한다. 그리고, 각각의 객차 제어부에서는 객차마다 서로 다른 값일 수 있는 각자가 수신한 제어설정값에 따라 냉방장치의 송풍기의 회전속도 또는 난방장치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각각의 객차 내 환경이 승차 인원에 따라 최적의 환경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운전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운전자가 중앙제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을 키보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수동으로 새로운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객차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객차 제어부는 운전실과의 통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스스로 독립적으로 제어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은, 열차 외부에서 객차 내 공조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조 제어 시스템(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의 운전실(1)에 설치된 중앙제어부(11), 열차의 객차(2) 마다 설치된 복수의 객차제어부(12), 열차 객차(2) 마다 설치된 복수의 객차 센서부(14), 및 열차의 객차(2) 마다 설치된 복수의 공조장치{도 2에서는 이 공조장치 중 송풍기(15) 만이 도시되어 있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객차 센서부(14)는 특히 특정 객차(2) 내에 탑승하고 있는 승차인원 수에 많고 적음에 따라 영향을 받는 객차 실내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객차 센서부(14)는 온도, 이산화탄소, 및 습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특정 객차(2)의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41)와, 각각의 객차(2)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센서(143)와, 및 각각의 객차(2) 내 습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센서(145)를 구비할 수 있다.
객차제어부(12)는 객차(2) 마다 설치되며, 팬제어부(123), 송수신부(121), 및 메모리(125)를 구비할 수 있다.
객차제어부(12)의 팬제어부(123)는 객차 센서부(14)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온도, 이산화탄소, 습도와 관련한 센서감지값을 수신하고 제어설정값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인버터(13)를 경유하여, 공기 조화용 송풍기(15)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버터(13)는 객차 제어부(12)로 하여금 객차 송풍기(15)의 회전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여 실질적인 실내환경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인버터(13)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몇개의 단계에 걸쳐 제어하는 계단식 제어 방식이 아니라 세밀한 비례제어를 구현할 수 있게 하므로, 실내 온도 등의 환경을 아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며, 부수적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게 한다.
객차제어부(12)의 송수신부(121)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11)로 센서감지값을 전달하고 중앙제어부(11)로부터 제어설정값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객차제어부(12)는 기본적으로는 예컨대 10초, 20초, 30초, 또는 객차 승차문이 열린 후마다 등과 같이 미리 한정되어 있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센서감지값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갱신된 새로운 제어설정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제어설정값에 따라 공조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제어부(12)는 중앙제어부(12) 또는 그 이상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받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객차 실내의 난방이나 냉방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객차제어부(12)의 메모리(125)는 중앙제어부(11)로부터 최종적으로 수신한 제어설정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통신장애나 운전실 내의 오류 때문에, 중앙제어부(11)로부터 미리 한정된 시간 내에 새로운 제어설정값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새로운 제어설정값이 수신될 때까지, 메모리(115) 내에 저장되어 있는 최후에 수신하였던 제어설정값을 기준으로 객차 내 공조장치를 계속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객차제어부(12)가 중앙제어부(11)와는 독립적인 제어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1)는 객차 송수신부(111), 콘트롤러(113), 및 외부용 송수신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전실(1)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제어부(11)의 콘트롤러(113)는, 객차 제어부(12)로부터 각각 객차 송수신부(111)를 경유하여, 예컨대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센서감지값을 수신받고, 수신된 센서감지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따라 조정된 새로운 제어설정값을 다시 객차 송수신부(111)를 경유하여 객차 제어부(12)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러(11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은, 온도와 이산화탄소 및 습도에 관련되어 객차 내의 환경이 최적으로 쾌적한 환경으로 되는 값으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기준값은 또한 운전자와 같은 인간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예컨대 키보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된 새로운 값으로 갱신 또는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차 내 공조장치는 열차 외부의 시스템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앙 제어부(11)는 해당 열차 외부의 관제실 또는 역사 내에 설치된 외부 제어시스템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외부용 송수신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외부용 송수신부(115)는 예컨대 Wifi 및/또는 3G 또는 LTE와 같은 상용통신망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및/또는 대열차화상전송용 18.86 GHz용 RF통신 모뎀을 탑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제어부(11)는 객차제어부(12)로부터 수신한 센서감지값을 이 외부용 송수신부(115)를 통해, 관제실(3)이나 역사 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 외부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제어시스템은, 중앙제어부(11)로부터 수신한 센서감지값을 일정한 기준값과 비교한 후, 공조 제어를 위한 신호, 즉 제어설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중앙제어부(1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중앙제어부(11)는 이를 다시 객차제어부(12)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시 관제실 또는 역사에서 직접 철도 차량의 공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 : 제어 시스템 11 : 중앙 제어부
111 : 송수신부 113 : 콘트롤러
115 : 외부용 송수신부 12 : 객차 제어부
121 : 송수신부 123 : 팬제어부
125 : 메모리 13 : 인버터
14 : 객차 센서부 141 : 온도센서
143 : 이산화탄소센서 145 : 습도센서
15 : 객차 송풍기

Claims (4)

  1. 삭제
  2. 운전실에 연이어서 복수의 객차가 연결되어 운행되는 열차에서, 운전실에서 복수의 객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공조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특정 객차의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와, 각각의 객차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산화탄소센서및 각각의 객차내 습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센서를 구비하는 객차 센서부;
    상기 객차 센서부로부터 센서감지값을 수신하고, 제어설정 값에 따라 공기 조화용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각각의 객차마다 설치되어 있는 객차 제어부; 및
    상기 객차 제어부로부터 각각 상기 센서감지값을 수신받고, 수신된 센서감지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따라 조정된 새로운 제어설정값을 상기 객차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차제어부는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최종적으로 수신한 제어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미리 한정된 시간 내에 새로운 제어 설정 값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새로운 제어설정값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설정 값을 기준으로 객차 내 공조장치를 계속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해당 열차 외부의 관제실 또는 역사 내에 설치된 외부 제어시스템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외부용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제어시스템으로부터 공조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객차 제어부는 객차 송풍기의 회전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송풍 량을 조절하여 실질적인 실내환경을 유지하도록 인버터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KR1020120099759A 2012-09-10 2012-09-10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KR10140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59A KR101404785B1 (ko) 2012-09-10 2012-09-10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59A KR101404785B1 (ko) 2012-09-10 2012-09-10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65A KR20140033665A (ko) 2014-03-19
KR101404785B1 true KR101404785B1 (ko) 2014-06-12

Family

ID=5064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59A KR101404785B1 (ko) 2012-09-10 2012-09-10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582B1 (ko) * 2019-03-20 2020-06-08 박현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548B1 (ko) * 2014-12-23 2016-12-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81786B1 (ko) * 2018-01-25 2019-08-28 김정열 공기 조화 효율을 향상시킨 공기조화시스템 및 방법
DE102018123551A1 (de) * 2018-09-25 2020-03-26 Man Truck & Bus Se Modulare Klimatisier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entsprechenden modularen Klimatisierungsvorrichtung
KR102296541B1 (ko) 2019-12-20 2021-09-02 한국철도공사 철도 차량 객차의 냉난방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60B1 (ko) 2005-03-31 2006-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용 객실 공기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JP2009007006A (ja) 2008-10-17 2009-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空調管理システム
KR20100122995A (ko) * 2009-05-14 2010-11-24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철도차량용 공기조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2834A (ko) * 2011-02-14 2012-08-22 (주)정은테크 열차승차환경 개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60B1 (ko) 2005-03-31 2006-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용 객실 공기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JP2009007006A (ja) 2008-10-17 2009-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空調管理システム
KR20100122995A (ko) * 2009-05-14 2010-11-24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철도차량용 공기조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2834A (ko) * 2011-02-14 2012-08-22 (주)정은테크 열차승차환경 개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582B1 (ko) * 2019-03-20 2020-06-08 박현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65A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85B1 (ko)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CN105946505B (zh) 车载空调的控制方法及车载空调
US9725101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US5104037A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plurality of mass transit vehicles
KR20120092834A (ko) 열차승차환경 개선장치
WO2017212630A1 (ja) 車両用空調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の目詰まり検知システム
US20100250009A1 (en) Control of conditioned environment by remote sensor
CN103386937A (zh) 汽车温度预调节控制系统及调节车厢内温度的控制方法
CN105799569A (zh) 一种座椅及对座椅进行温度控制的方法
JP5988703B2 (ja) 車両用空調装置管理システム
CN108609025A (zh) 基于乘客分布的高速列车智能空调调节系统
KR20180028336A (ko) 차량용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553936B1 (ko) 응하중을 이용한 철도차량의 냉방 및 난방 자동제어장치
JP5819028B2 (ja) 列車情報管理装置および列車乗務員支援方法
JP2005082088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ITRM980447A1 (it)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ella temperatura dell'evaporatore di un climatizzatore in dipendenza dal punto di rugiada esterno
JP6168972B2 (ja) 鉄道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6147049B2 (ja) 鉄道車両用換気制御システム
CN110001688A (zh) 基于乘客分布的高速列车智能空调调节系统
CN112793393A (zh) 一种车载空调的出风控制系统及方法
WO2017212631A1 (ja) 車両用空調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の異常検知システム
CN112976988A (zh) 用于车辆的空调系统的控制方法以及车辆的空调系统
JPS634696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56118B1 (ko) 열차의 공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6774A (ko) 전동차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