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582B1 -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582B1
KR102120582B1 KR1020190031671A KR20190031671A KR102120582B1 KR 102120582 B1 KR102120582 B1 KR 102120582B1 KR 1020190031671 A KR1020190031671 A KR 1020190031671A KR 20190031671 A KR20190031671 A KR 20190031671A KR 102120582 B1 KR102120582 B1 KR 10212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railway vehicle
control unit
vehicle ai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102019003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 Y02T3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철도 차량 별로 설치되는 철도 차량의 공조 장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되는 철도 차량 공조 장치 별로 설치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는, 제1 철도 차량에 설치되는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과, 상기 제1 철도 차량에 인접한 제2 철도 차량에 설치되는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의 고장 발생시,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의 고장 발생시,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상기 제2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AIR 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OF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도 차량에서 하나의 차량 단위로 설치되어 있는 공조 제어 장치의 고장 발생의 결과로 인한 불편함이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접 차량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복수 개의 차량들이 연결되어 운행되고 있으며, 복수의 챠량들은 운전실을 선두 또는 후미로 하여 연결되며, 철도 차량의 차량별로 실내를 쾌적한 승차 환경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난방, 냉방, 및/또는 환기 등을 위한 공조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조 장치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시스템들이 계속해서 제안되어 왔다
도 1은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4785(2014년 05월 30일 등록)에 개시된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시스템의 경우, 해당 철도 차량(객차)의 환경에 따라서 온도, 습도, CO2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송출 냉기량 등을 증감시킴으로써 철도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고, CO2 농도가 기준량을 넘어서는 경우 적절히 환기를 시키는 시스템이며, 운전실에 설치된 중앙제어부의 제어하에서 철도 차량 별로 별도로 설치된 공조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철도 차량 별로 제어하고 있다.
이러한 공조 제어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차량 별로 실내 특성에 맞게 온도, 습도 및 CO2 농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공조 제어 장치가 각각의 철도 차량 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량 별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요소들, 제어 장치 내의 제어 연산부나 메인 통신부 등의 고장 발생 또는 제어 전원에서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직접 해당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에 접근하여 메뉴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각각의 철도 차량에 복수 개 세트의 공조 제어 장치를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 그로 인한 배선의 복잡함이나 비용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 방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와 같이 철도 차량 별로 구비된 공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철도 차량 별 공조 제어 장치 내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수반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하나의 철도 차량 내에 복수 개의 공조 제어 장치를 탑재할 경우의 비용 상승 문제를 해소하는 개선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는, 철도 차량 별로 설치되는 철도 차량의 공조 장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되는 철도 차량 공조 장치 별로 설치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로서, 제1 철도 차량(1)에 설치되는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및 상기 제1 철도 차량에 인접한 제2 철도 차량(2)에 설치되는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의 고장 발생시,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의 고장 발생시,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상기 제2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은 제1-1 제어부(111), 제1-2 제어부(110), 및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은, 제2-1 제어부(211), 제2-2 제어부(210), 및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제어부(111)는,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고장 발생시, 상기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를 통해 제1 제어 신호(CS1)를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제2-2 제어부(210)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2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1 제어부(211)는,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고장 발생시, 상기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통해 제2 제어 신호(CS2)를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제1-2 제어부(110)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1 제어부(111)는,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이 정상 상태인 경우, 제1 내부 제어출력부(121)를 통해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2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고장 발생시, 상기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CS2)로,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은, 제1 철도 차량 내부에 설치된 온도 및 습도 센서, CO2 센서 및 미세 먼지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철도 차량 별로 구비된 공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철도 차량 별 공조 제어 장치 내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수반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하나의 철도 차량 내에 복수 개의 공조 제어 장치를 탑재할 경우의 비용 상승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와 관련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인접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의 설명을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하나의 철도 차량 내에서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철도 차량들이 복수 개인 경우의 구현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철도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실 및 승무원실에서 일괄 제어가 가능하여야 하고, 각 차량의 단부 또는 부속실 근처에 냉·난방 제어반이 설치되고 량별 제어가 되어야 하며, 또한 제어 방식은 자동 및 수동 모두 가능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각 철도 차량의 공조 제어 유닛의 고장시, 인접 차량의 제어 유닛이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어야 하며, 고장이 발생한 제어 유닛은 차량 기지에서 유지보수될 수 있도록 알림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의 설명을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하나의 철도 차량(1) 내에서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100)는, 철도 차량(1, 2) 별로 설치되는 공조 장치(미도시)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되는 철도 차량 공조 장치 별로 설치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200)을 포함한다.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은 제1 철도 차량(1)에 설치되어 제1 철도 차량(1)의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은 제2 철도 차량(2)에 설치되어 제2 철도 차량(2)의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제1 철도 차량(1)과 제2 철도 차량(2)은 서로 이웃하는 인접 철도 차량들이다. 물론, 제1 철도 차량(1)과 제2 철도 차량(2)은 모두 운전실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서 직접적으로 제1 철도 차량(1)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인접한 제2 철도 차량(2)의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이 제1 철도 차량(1)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미도시)를 제어한다. 이와는 반대로,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직접적으로 제2 철도 차량(2)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인접한 제1 철도 차량(1)의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서 제2 철도 차량(2)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또는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고장은, 예컨대, 제어 유닛들(예컨대,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1 제어부(111)) 내의 제어 연산부나 메인 통신부 또는 통신 포트 불량, 또는 제어 전원에서의 고장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철도 차량 공조 장치의 제어를 자체 제어 유닛으로 제어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은 제1-1 제어부(111), 제1-2 제어부(110), 및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은, 제2-1 제어부(211), 제2-2 제어부(210), 및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포함한다.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고장 발생시, 제2-1 제어부(211)는,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고장에 관한 정보를 제2 통신 라인(TS/RS2)을 통해 전달받아서(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통해서 또는 직접적으로), 제1 철도 차량(1) 내 공조 장치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통해서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제1-2 제어부(110) 측으로 제2 제어 신호(CS2)를 출력함으로써 제1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고장 발생시, 제1-1 제어부(111)는,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고장에 관한 정보를 제1 통신 라인(TS/RS1)을 통해 전달받아서(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를 통해서 또는 직접적으로), 제2 철도 차량(2) 내 공조 장치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를 통해서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제2-2 제어부(210) 측으로 제1 제어 신호(CS1)를 출력함으로써 제2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철도 차량(1)에 설치된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은, 제1 파트(100a)와 제2 파트(100b)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제1 파트(100a)는,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 제1 내부 제어 출력부(121), 표시 및 키 입력 인터페이스부(140), 제1 센서통신부(150a), 및 외부제어통신부(160)를 포함하며, 제2 파트(100b)는 제1-1 제어부(111), 제1-2 제어부(110), 제2 센서통신부(150b), 냉방장치 구동부(180a), 난방장치 구동부(180b), 환기장치 구동부(180c), 공기청정기 구동부(180d)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파트(100a)와 제2 파트(100b) 이외에, 제1 차량(1)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및 습도 측정 센서, CO2를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 미세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미세 먼지 센서 등이 제1 차량(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 및 키 입력부(190)가 더 구비되어, 표시 및 키 입력부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제1 파트(100a)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 및 키 입력부(190)는 제1 공조 제어 유닛(100) 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원격으로 설정하거나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서 외부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들은 배전반(10a)을 통해 제1 차량(1)의 공조 장치(10b), 예컨대, 냉방장치, 난방장치, 환기장치 및 공기청정기 등으로 제공된다.
우선, 제1 파트(100a)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는 인접 차량인 제2 철도 차량(2)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고장 발생시, 제1 통신 라인(도 2의 TS/RS1)을 통해 고장 관련 정보를 받아서, 제2 철도 차량(2)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S1)를 내보냄으로써 제2 철도 차량(2)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는 제2 파트(110b)의 제1-1 제어부(111)의 제어를 받아서 제2 철도 차량(2)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S1)를 출력한다. 인접 차량인 제2 철도 차량(2)에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제어 신호(CS1)는 출력되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에도, 고장 관련 정보는 제1 통신 라인(TS/RS1)을 통해서 계속해서 전달된다.
제1 내부 제어 출력부(121)는 제1 철도 차량(1) 자신의 공조 장치(10b)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부분으로서,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는, 제1-1 제어부(111)의 제어를 받아서 제1 철도 차량(1) 내의 공조 장치(10b)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내보내는 부분이다.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의 고장 발생시에는,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 도 2)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제어 신호(CS2)를 이용하여 제1 철도 차량(1) 내의 공조 장치(10b)를 제어한다.
표시 및 키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표시부 및 키입력부(190)를 통해 작업자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제1 센서통신부(150a)는 온도 및 습도 센서, CO2 센서, 및 미세 먼지 센서 등을 통해서 측정되는 정보들을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측으로 수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센서통신부는 제2 파트(100b)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제2 센서통신부(150b) 참조).
외부제어통신부(160)는 운전실과 통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다음으로 제2 파트(100b)를 살펴보면, 제1-1 제어부(111)는,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제1 내부 제어 출력부(121)를 통해 상기 제1 철도 차량(1) 내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고,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의 고장 발생시,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를 통해 제2 철도 차량(2)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S1)를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 측으로 내보낸다.
상기 제1-2 제어부(110)는,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으며,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 내의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제어 신호(CS2)를 이용하여, 제1 내부 제어 출력부(121)를 통해 제1 철도 차량 내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제2 센서통신부(150b)는, 온도 및 습도 센서, CO2 센서, 및 미세 먼지 센서 등을 통해서 측정되는 정보들을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측으로 수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1 파트(100a) 측의 제1 센서통신부(150a)를 대신하여 제2 파트(100b) 측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제1 센서통신부(150a)는 제1 파트(100a) 측에 구비되고 이와는 별개로 제2 파트(100b)에 제2 센서통신부(150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파트(100b)에는 제1-1 제어부(111) 또는 제1-2 제어부(110)의 제어하에서 제1 내부 제어 출력부(12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배전반(10a)를 통해 공조장치(10b)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들 공조장치(10b)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들(180a, 180b, 180c, 180d)은 제1 파트(100a) 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효율적인 배선을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제2 파트(100b) 측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냉방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냉방장치 구동부(180a), 난방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난방장치 구동부(180b),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환기장치 구동부(180c), 및 공기청정기를 구동하기 위한 공기청정 구동부(180d)를 각각 제2 파트(100b) 측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철도 차량(1) 측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 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철도 차량(2) 측의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도 실질적으로 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접한 제1 철도 차량(1)과 제2 철도 차량(2) 각각의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200)을, 어느 한 쪽의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여 해당 공조 제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곤란한 원격 제어 불능 상황이 발생한 경우, 직접 해당 차량에 들어가서 매뉴얼로 제어할 필요없이, 인접한 차량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4는 N 개의 철도 차량이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인접한 한 쌍의 철도 차량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경우이다. 즉, 철도 차량 1과 2, 철도 차량 3과 4, ..., 및 철도 차량 N-1과 철도 차량 N이 각각 쌍을 이루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인접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철도 차량들(1, 2, 3, 4, ..., (N-1), 및 N)은 각각의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200, 300, 400, ..., (N-1)00, N00)을 포함한다.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200, 300, 400, ..., (N-1)00, N00) 각각의 구성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100 :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
200 :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
111 : 제1-1 제어부
110 : 제1-2 제어부
120 :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
121 : 제1 내부 제어 출력부
211 : 제2-1 제어부
210 : 제2-2 제어부
220 :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

Claims (5)

  1. 철도 차량 별로 설치되는 철도 차량의 공조 장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되는 철도 차량 공조 장치 별로 설치된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로서,
    제1 철도 차량(1)에 설치되고, 제1-1 제어부(111), 제1-2 제어부(110) 및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를 포함하는,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 및
    상기 제1 철도 차량에 인접한 제2 철도 차량(2)에 설치되고, 제2-1 제어부(211), 제2-2 제어부(210), 및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를 포함하는,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와 상기 제2-2 제어부(210)는 제1 통신 라인(TS/RS1)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와 상기 제1-2 제어부(110)는 제2 통신 라인(TS/RS2)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200)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제2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제2 철도 차량(2)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1 제어부(111)가 상기 제1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120)와 상기 제1 통신 라인을 통해 제1 제어 신호(CS1)를 상기 제2-2 제어부(210)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1 제어부(111)가 상기 제2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철도 차량(1)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1 제어부(211)가 상기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와 상기 제2 통신 라인을 통해 제2 제어 신호(CS2)를 상기 제1-2 제어부(110)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2-1 제어부(211)가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이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1-1 제어부(111)는,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 내의 제1 내부 제어 출력부(121)를 통해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100)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철도 차량(1) 내의 철도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2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인접차량 제어 출력부(220)와 상기 제2 통신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CS2)로, 상기 제1 내부 제어 출력부(121)를 통해 상기 제1 철도 차량 내의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유닛은, 철도 차량 내부에 설치된 온도 및 습도 센서, CO2 센서 및 미세 먼지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KR1020190031671A 2019-03-20 2019-03-20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KR10212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71A KR102120582B1 (ko) 2019-03-20 2019-03-20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71A KR102120582B1 (ko) 2019-03-20 2019-03-20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582B1 true KR102120582B1 (ko) 2020-06-08

Family

ID=7108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71A KR102120582B1 (ko) 2019-03-20 2019-03-20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04B1 (ko) * 2021-06-08 2022-04-08 한국크노르브레이크(주) 철도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철도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법
EP4091901A1 (fr) * 2021-05-20 2022-11-23 SpeedInnov Système de conditionnement d air, ensemble associé et vé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comportant un tel ensemb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004A (ja) * 2002-12-09 2004-07-08 Toshiba Corp 空調装置
KR100620060B1 (ko) * 2005-03-31 2006-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용 객실 공기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404785B1 (ko) * 2012-09-10 2014-06-1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004A (ja) * 2002-12-09 2004-07-08 Toshiba Corp 空調装置
KR100620060B1 (ko) * 2005-03-31 2006-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용 객실 공기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404785B1 (ko) * 2012-09-10 2014-06-1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1901A1 (fr) * 2021-05-20 2022-11-23 SpeedInnov Système de conditionnement d air, ensemble associé et vé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comportant un tel ensemble
FR3123034A1 (fr) * 2021-05-20 2022-11-25 Speedinnov Système de conditionnement d’air , ensemble associé et vé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comportant un tel ensemble
KR102380104B1 (ko) * 2021-06-08 2022-04-08 한국크노르브레이크(주) 철도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철도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582B1 (ko) 철도 차량 공조 제어 장치
EP2290979B1 (en) In-train monitor system
US8766814B2 (en) Motorman's cab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motorman's cab display apparatus
AU2011238702B2 (en) Visual data collection system for a train
US20080237406A1 (en) Communication system in trains
KR101322609B1 (ko) Ats와 atc 통합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40017157A (ko) 철도차량용 무인운행시스템
KR101404785B1 (ko) 열차의 차량별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KR101414527B1 (ko) 승객 맞춤형 객실 제어 시스템
JP5988703B2 (ja) 車両用空調装置管理システム
WO2014188486A1 (ja) 列車情報管理装置および列車乗務員支援方法
WO2016047433A1 (ja) 車両操作装置、及び車両
RU2704952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жарном состоянии в секциях тягов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при работе по системе многих единиц
KR20060054908A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0163A (ko) 비상방송장치
US20040036594A1 (en) Light bar control system
KR101064746B1 (ko) 한국형 고속철도의 화재감시 경보 제어방법
KR20220133687A (ko) 철도차량 조명 제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N115195793A (zh) 架空旅游车
KR20090119369A (ko) 철도차량의 배전반 제어시스템
JP5679712B2 (ja) 車両用機器制御装置
JP2011240737A (ja) 車内案内表示システム
KR101532676B1 (ko) 철도차량 서비스기기의 통합제어시스템과 그 철도차량
KR20140032626A (ko) 열차 운행을 위한 통합 운영시스템
US20230202538A1 (en) End of train device with self-alignment and mounting integrity monitoring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