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163A - 비상방송장치 - Google Patents

비상방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163A
KR20150140163A KR1020140068618A KR20140068618A KR20150140163A KR 20150140163 A KR20150140163 A KR 20150140163A KR 1020140068618 A KR1020140068618 A KR 1020140068618A KR 20140068618 A KR20140068618 A KR 20140068618A KR 20150140163 A KR20150140163 A KR 2015014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emergency
broadcasting
railway vehicle
norm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368B1 (ko
Inventor
김재현
김사훈
이동진
조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컴
Priority to KR102014006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6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방송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비상방송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철도차량의 량과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 또는 종합사령실 사이에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앰프 또는 인터폰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방송장치{Emergency announce system}
본 발명은 비상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 방송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철도차량 방송시스템(100)은 유선라인(110)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각 량(120_1, .... , 또는 120_n)(n은 2이상 자연수)에서 방송을 할 수 있다. 즉, 유선라인(110)은 각 량(120_1, .... , 또는 120_n)별로 연결되고, 각 량(120_1, .... , 또는 120_n)의 앰프(AMP)로 전달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를 통하여 각 량 내부에 방송되게 된다.
현재 대부분의 철도차량은 이와 같은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을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유선상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발송을 할 수 없거나 철도차량에 문제가 생겨 각 량에 방송을 할 수 없는 경우 현재로써는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 철도차량에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송을 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유선망이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철도차량을 무선망으로 모두 교체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유선망을 전면적으로 무선망으로 교체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열차의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1830호 등이 있으나, 상기 특허의 경우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대체할 수 있는 비상전원을 별도로 구비하여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로, 본 발명과 같이 방송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방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방송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철도차량의 량과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 또는 종합사령실 사이에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앰프 또는 인터폰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전원라인, 통신라인, 오디오 입력라인, 오디오 출력 라인, 네트워크 통신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 또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연결된 전원라인을 통하여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연결된 통신라인을 통하여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의 앰프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라인과 오디오 출력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는 오디오 입력신호와 오디오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의 앰프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라인의 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라인의 임피던스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허브를 통하여 LAN 신호선과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기존 앰프 또는 별도의 비상용 앰프와 연결하고, 상기 기존 앰프 또는 별도의 앰프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량과 상기 운전실 또는 상기 종합사령실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인터폰이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운전실 또는 상기 종합사령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상방송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인 경우 비상용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비상방송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장치는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상황인지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방송이 어려운 비상상황에만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을 제공함으로써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승객에게 적절한 안내를 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사고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장치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인터폰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 시 승객과 운전사 사이 또는 승객과 종합사령실 담당자 사이에 의사 소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장치는 비상상황에서 유선통신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아 방송을 할 수 없거나 인터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도 방송을 하거나 인터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대처가 가능하고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 방송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장치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방송시스템(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비상방송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감지부가 상기 비상상황인지 감지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감지부가 상기 비상상황인지 감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장치(300)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방송시스템(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철도차량 방송시스템(200)은 평시에는 도 1의 종래의 철도차량 방송시스템(100)과 같이 유선라인(110)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각 량(220_1, ... , 또는 220_n)(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앰프(210)로 전달된 후 스피커(SP)를 통하여 방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유선방송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철도차량에 문제가 발생하여 종래의 시스템으로 방송을 할 수 없는 경우, 비상방송장치(300)는 이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된 신호를 앰프(210)로 전달하여 방송을 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 량의 인터폰(220)으로 운전실 또는 종합사령실과 연결할 수 있다. 비상방송장치(300)는 각 량(220_1, ... , 또는 220_n)마다 설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비상상황에서 정상적인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면 비상방송장치(300)는 다른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앰프(210)는 유선방송시스템에서 사용하던 앰프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비상용 앰프를 설치한 후 비상상황의 경우 상기 비상앰프를 이용하여 방송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상방송장치(300)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비상방송장치(3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방송장치(300)는 감지부(310), 제어부(320) 및 무선송수신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감지부(310)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220_1, ... , 또는 220_n)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310)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220_1, ... , 또는 220_n) 별로 적어도 하나의 량에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제공되지 않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10)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220_1, ... , 또는 220_n) 별로 장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느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철도차량의 량(220_1, ... , 또는 220_n)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면 반드시 상기 철도차량의 량(220_1, ... , 또는 220_n) 별로 장착될 필요는 없다.
감지부(310)는 전원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신호, 오디오 입력라인의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 오디오 출력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 네트워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310)가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판단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송수신부(330)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220_1, ... , 또는 220_n)과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 또는 종합사령실 사이에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330)는 평시에는 동작하지 않다가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감지부(310)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무선송수신부(3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320)는 무선송수신부(330)를 동작하도록 하는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송수신부(330)로 전달할 수 있고, 무선송수신부(330)는 상기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감지부(310)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무선송수신부(330)가 앰프(210) 또는 인터폰(220)과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앰프(210)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기존에 사용하던 앰프일 수도 있고 비상상황에서만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된 별도의 비상용 앰프일 수도 있다. 즉, 제어부(320)는 감지부(310)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무선송수신부(320)를 스피커(SP)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기존 앰프 또는 상기 별도의 비상용 앰프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감지부(310)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량(220_1, ... , 또는 220_n)과 상기 운전실 또는 상기 종합사령실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폰(220)이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인터폰(220)과 무선송수신부(3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감지부(310)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무선송수신부(330)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운전실 또는 상기 종합사령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비상방송장치(300)는 상기 철도차량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인 경우 비상용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공급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용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철도차량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비상용배터리는 평시에는 상기 철도차량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감지부(310)가 상기 비상상황인지 감지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감지부(31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410이 상기 철도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이고 420이 상기 철도차량의 하나의 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인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420)을 통하여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감지부(310)에서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310)는 라인(420)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평시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410과 420이 통신라인(예를 들어, 통신용 RS-485 제어라인 등)인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통신라인(410)과 연결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하나의 량에 통신관련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420)을 통하여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지 감지부(310)에서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310)는 라인(420)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가 평시와 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410이 상기 철도차량의 오디오라인이고 420이 상기 철도차량의 하나의 량에 오디오 관련 신호를 전송하는 오디오 입력라인(420)인 경우, 오디오 입력라인(420)의 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지 감지부(310)에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10)는 오디오 입력라인(420)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임피던스 변화량이 임피던스변화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410이 LAN 신호선이고 420이 LAN 신호선과 허브를 통하여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 라인인 경우, 네트워크 통신 라인(420)을 통하여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부(310)에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10)는 네트워크 통신 라인(420)을 통하여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감지부(310)가 상기 비상상황인지 감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510과 520이 상기 철도차량의 량의 앰프(AMP)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라인이고 530이 앰프(AMP)와 스피커(SP) 사이에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라인인 경우, 오디오 입력라인(520)과 오디오 출력라인(530)을 통하여 전송되는 오디오 입력신호와 오디오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10)는 제 1 검출부(540), 제 2 검출부(550) 및 비교부(5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검출부(540)는 상기 오디오 입력신호를 검출하고 제 2 검출부(550)는 상기 오디오 출력신호를 검출하며, 비교부(560)에서 제 1 검출부(540)의 검출값과 제 2 검출부(550)의 검출값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검출부(540)에서는 오디오 입력신호가 정상적으로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이 되는데 제 2 검출부(550)에서는 오디오 출력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감지부(310)는 상기 비상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앰프(AMP)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기존의 앰프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비상용 앰프를 사용하도록 제어부(32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감지부(310)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감지부(310)의 동작이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열차차량이 비상상황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장치를 열차차량에 탑재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유선통신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아 방송을 할 수 없거나 인터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고가 발생하여도 빠른 대처가 가능하고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에서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방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철도차량의 량과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 또는 종합사령실 사이에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앰프 또는 인터폰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전원라인, 통신라인, 오디오 입력라인, 오디오 출력 라인, 네트워크 통신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 또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연결된 전원라인을 통하여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연결된 통신라인을 통하여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의 앰프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라인과 오디오 출력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는 오디오 입력신호와 오디오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의 앰프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라인의 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라인의 임피던스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허브를 통하여 LAN 신호선과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 라인을 통하여 상기 철도차량의 량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기존 앰프 또는 별도의 비상용 앰프와 연결하고,
    상기 기존 앰프 또는 별도의 앰프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량과 상기 운전실 또는 상기 종합사령실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인터폰이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운전실 또는 상기 종합사령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방송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방송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비상상황인 경우 비상용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방송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량 별로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장치.
KR1020140068618A 2014-06-05 2014-06-05 비상방송장치 KR10159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618A KR101599368B1 (ko) 2014-06-05 2014-06-05 비상방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618A KR101599368B1 (ko) 2014-06-05 2014-06-05 비상방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63A true KR20150140163A (ko) 2015-12-15
KR101599368B1 KR101599368B1 (ko) 2016-03-03

Family

ID=5502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618A KR101599368B1 (ko) 2014-06-05 2014-06-05 비상방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530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한터기술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
CN109274447A (zh) * 2018-09-06 2019-01-25 天津七二通信广播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电台450m无线通信单元及其实现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598B1 (ko) * 2019-06-28 2020-04-23 (주)바이컴 철도 차량의 무선기반 비상방송 통신 시스템
KR102268600B1 (ko) * 2020-11-19 2021-06-24 (주)에스엔케이미디어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010A (ko) * 1999-12-24 2001-07-09 유승렬 살균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JP2002204464A (ja) * 2000-12-28 2002-07-19 Satoshi Saito Catvシステム
KR20040041729A (ko) * 2002-11-11 2004-05-20 주식회사 씨엔씨프로젝트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KR20080055212A (ko) * 2006-12-14 2008-06-19 주식회사 한터기술 전동차량의 동영상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010A (ko) * 1999-12-24 2001-07-09 유승렬 살균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JP2002204464A (ja) * 2000-12-28 2002-07-19 Satoshi Saito Catvシステム
KR20040041729A (ko) * 2002-11-11 2004-05-20 주식회사 씨엔씨프로젝트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KR20080055212A (ko) * 2006-12-14 2008-06-19 주식회사 한터기술 전동차량의 동영상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530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한터기술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
CN109274447A (zh) * 2018-09-06 2019-01-25 天津七二通信广播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电台450m无线通信单元及其实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368B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368B1 (ko) 비상방송장치
US11142871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US20140042279A1 (en) Train-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rain-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2103598B1 (ko) 철도 차량의 무선기반 비상방송 통신 시스템
US11548540B2 (en) Train control system, ground control apparatus, and on-board control apparatus
JP2003217074A (ja) 車両専用道路における車両運行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80173A (ko) 무선통신시스템과 폴백시스템을 이용한 열차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14207792A (ja) 列車制御システム
RU2583011C1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ях о приближен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AU20092728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railroad security system
US1175305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ail vehicle network
KR101856850B1 (ko) 철도차량의 비상방송장치
KR101357806B1 (ko)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77587B1 (ko) 지피에스와 대차 불안정 감지센서를 이용한 열차의운행안내 및 안전운행 지원시스템
JP6091385B2 (ja) 列車無線システム
KR20160071645A (ko) 열차의 분리-결합 시스템
JP5628070B2 (ja) 地震時における列車制動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60054908A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14495A (ja) 劣化検知システム、中央制御装置、路側通信装置および劣化検知方法
KR200402834Y1 (ko) 시리얼 광 원거리 전송장치
JP5858713B2 (ja) 列車位置検知システム
JP2003306146A (ja) 列車制御システム、及び、列車制御方法
KR101800863B1 (ko) 터널용 방송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EP3395641A1 (en) Automatic detection of train derailment
KR101532676B1 (ko) 철도차량 서비스기기의 통합제어시스템과 그 철도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