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98B1 - 리디렉터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 Google Patents

리디렉터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98B1
KR101403998B1 KR20127024017A KR20127024017A KR101403998B1 KR 101403998 B1 KR101403998 B1 KR 101403998B1 KR 20127024017 A KR20127024017 A KR 20127024017A KR 20127024017 A KR20127024017 A KR 20127024017A KR 101403998 B1 KR101403998 B1 KR 10140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levator
redirector
optim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2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967A (ko
Inventor
테레사 엠. 크리스티
웨이드 몬테규
자나 스탠리
다니엘 윌리엄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2012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66B1/20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and for varying the manner of operation to suit particular traffic conditions, e.g. "one-way rush-hou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0/00Elev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6B1/00 - B66B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100)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각각은 그룹 제어기(103a 및 103b)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101a 내지 101c, 및 102a 내지 102c)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각각은 일 세트의 층들을 제공함- ; 및 목적지 층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리디렉터(104)를 포함하고, 상기 리디렉터는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101, 102)이 목적지 층을 제공하는 경우, 리디렉터(104)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로부터 요청을 서비스하는 최적 그룹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103a 및 103b)는 결정된 최적 그룹 내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101a 내지 101c, 및 102a 내지 102c)로부터 최적 차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리디렉터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BEST GROUP SELECTION IN ELEVATOR DISPATCHING SYSTEM INCORPORATING REDIRECTOR INFORM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상(subject matter)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그룹이 일 세트의 층들을 서비스(service)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승객은 자신의 목적지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엘리베이터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목적지 층들은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목적지를 제공하는 경우, 승객은 로비가 붐비는 정도나 엘리베이터 그룹의 물리적 위치와 같은 인자들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승객은 엘리베이터 그룹을 선택한 후, 서비스 요청을 입력(enter)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의 수신 시, 선택된 그룹과 연계된 그룹 제어기가 선택된 그룹에서의 각 차체를 평가하여, 승객에게 서비스하기 위해 그룹 내의 어느 차체가 할당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서비스하기 위한 최적 차체(best car)는 정의된 일 세트의 기준들을 이용하여 그룹 제어기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최적 차체가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하지만, 그룹 제어기는 단지 그 특정 엘리베이터 그룹 내의 차체들 사이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그룹이 승객에 의해 이미 선택되었고, 그룹 정보가 그룹 내의 각 차체에 대해 동일하기 때문에, 그룹 정보는 최적 차체를 선택하는 경우의 인자가 아니다.
본 발명은 리디렉터 정보에 기초한 최적 그룹 선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그룹 제어기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일 세트의 층들 각각에서 서비스를 제공함- ; 및 목적지 층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리디렉터(redirector)를 포함하고, 상기 리디렉터는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목적지 층을 제공하는 경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중 요청을 서비스하는데 있어서 최적 그룹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는 결정된 최적 그룹 내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로부터 최적 차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그룹 제어기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일 세트의 층들 각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리디렉터에 의해 목적지 층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목적지 층을 제공하는 경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리디렉터에 의해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중 최적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 최적 그룹의 최적 차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최적 그룹 내의 최적 차체에 서비스 요청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그룹 제어기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일 세트의 층들 각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리디렉터에 의해 목적지 층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목적지 층을 제공하는 경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리디렉터에 의해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중 최적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 최적 그룹의 최적 차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최적 그룹 내의 최적 차체에 서비스 요청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특징, 및 기술이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해질 것이다.
이제, 동일한 요소들이 여러 도면들에서 동등한 번호로 매겨진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리디렉터 정보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은 리디렉터 정보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디렉터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실시예들이 제공되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은 1 이상의 전역적인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destination entry device)들을 포함하여, 승객으로 하여금 다-그룹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먼저 특정한 엘리베이터 그룹을 선택하지 않고 서비스 요청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은 요청을 서비스할 최적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그룹들 간의 운행 밸런스를 유지하고, 요청을 서비스할 수 있는 덜 붐비는 엘리베이터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에 붐비는 엘리베이터 그룹으로는 승객들을 보내지 않기 위해, 요청을 서비스할 수 있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가 최적 그룹을 결정하도록 평가될 수 있다. 최적 그룹은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단 최적 그룹이 선택되면, 최적 그룹으로부터 최적 차체가 선택될 수 있다.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덜 붐비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운행을 지시하는 것(directing traffic)은, 붐비는 것을 감소시키고 다수 엘리베이터 그룹들 사이에서 운행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승객들은 덜 붐비는 로비 및 차체의 상태를 경험할 수 있고, 건물 소유주들은 로비의 대기줄(lobby queuing)이 감소되어 즐거울 수 있는데, 이는 로비의 대기줄이 눈에 잘 띄는 문제점이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성능을 인지할 수 있는 비공식 측도(informal measure)이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차체들(101a 내지 101c)은 제 1 엘리베이터 그룹(101)을 구성하고, 제어기(103a)에 의해 제어된다. 차체들(102a 내지 102c)은 제 2 엘리베이터 그룹(102)을 구성하고, 제어기(103b)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들(103a 및 103b)은 리디렉터(104)에 연결된다. 제어기들(103a 및 103b)은 제어기의 각 그룹의 개별적인 차체들 중 하나에 위치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100) 내의 여하한의 적절한 물리적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승객들은 그들의 목적지에 대한 층 값을 입력함으로써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DED)들(105a 내지 105d) 중 하나로 서비스 요청들을 입력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들은 먼저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을 서비스할 최적 엘리베이터 그룹을 결정하도록 리디렉터(104)에 의해 처리된다. 리디렉터(104)에 의해 최적 그룹이 결정된 후,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에 의해 최적 그룹 내의 최적 차체가 결정된다. 승객에 의해 요청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었던 DED들(105a 내지 105d) 중 하나가 승객에게 선택된 최적 그룹 및 최적 차체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및 102), 차체들(101a 내지 101c, 및 102a 내지 102c), 제어기들(103a 및 103b), 및 DED들(105a 내지 105d)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도시된다;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은 여하한의 적절한 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차체들, 제어기들 및 D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및 102)과 같은 엘리베이터 그룹이 건물 내 층들의 여하한의 서브세트(subset)를 서비스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1 이상의 층들이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그룹 선택은 리디렉터(104) 내에 위치된 그룹 선택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리디렉터 내의 그룹 선택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는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블록 201에서, 리디렉터(104)는 DED들(105a 내지 105d) 중 하나로부터 목적지 층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 블록 202에서, 리디렉터(104)는 요청을 서비스할 최적 그룹을 결정한다. 최적 그룹은 그룹 제어기들(103a 및 103b)로부터의 입력 없이 리디렉터(10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리디렉터(104)는 최적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리디렉터(104)에 저장된 데이터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하루 중 특정 시간에 대해 저장된 서비스 요청 데이터, 특정한 그룹에 할당된 서비스 요청들의 횟수, 특정한 그룹에 할당되었던 특정한 시간 주기에 수신된 총 서비스 요청들의 비율, 또는 특정한 그룹에 할당되는 특정한 시간 주기에 수신될 예상되는 서비스 요청들의 비율(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두 특정 그룹들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층들에 대한 모든 목적지 요청들이 8 AM 내지 9 AM 시간 주기 동안 그룹들 중 하나에만 할당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그룹이 통상적으로 그 시간에 지역적 운행(local traffic)으로 분주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최적 그룹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구성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 그룹을 선택하기 위해 시각(time of day)을 사용할지가 구성가능할 수 있다. 시각이 사용되는 경우, 특정한 시간 주기들도 구성가능할 수 있다. 새로운 서비스 요청에 대한 최적 그룹을 선택하기 위해 리디렉터(104)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는 가중 파라미터(weighted parameter), 퍼지 논리(fuzzy logic), 가중 평균, 또는 이용가능한 정보의 여하한의 다른 평가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최적 그룹을 결정하는 방법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표 1 내지 표 4에 예시된 실시예들은 그룹 제어기(들)로부터 어떠한 정보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예시들 각각에 대해, 그룹(101)은 로비, 및 1층 내지 10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3 개의 저층 차체(101a 내지 101c) 그룹이다. 그룹(102)은 로비, 5층, 및 10층 내지 18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3 개의 고층 차체(102a 내지 102c) 그룹이다. 5층은 카페테리아 층이다; 하루 중 소정 시간 동안 운행의 대부분이 이 층을 향할 것이다. 그룹들(101 및 102) 간의 운행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목표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리디렉터(104)는 1 이상의 그룹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목적지 요청들에 대한 그룹 할당들을 교번함으로써 운행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의 일 예시가 표 1에 예시된다.
표 1 - 그룹 선택 교번
Figure 112012074349026-pct00001
몇몇 실시예들에서, 구성가능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된 동일한 목적지에 대한 다수의 연속 요청들은 리디렉터(104)에 의해 동일한 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 이 접근법의 일 예시가 표 2에 예시된다.
표 2 - 경과 시간 방법, 경과 시간 주기는 10초임
Figure 112012074349026-pct00002
몇몇 실시예들에서, 리디렉터(104)는 표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가능한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최적 그룹 선택을 교번한다. 다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 층에 대해 별도의 타이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그룹들에 대해 상이한 시간 주기들이 존재할 수 있다.
표 3 - 구성가능한 시간 주기는 20초임
Figure 112012074349026-pct00003
몇몇 실시예들에서, 리디렉터(104)는 각 그룹에 할당되는 요청들의 횟수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한 그룹에 할당된 요청들의 한계 수(threshold number)에 도달한 경우, 리디렉터(104)는 다음 요청을 또 다른 그룹에 할당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타이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구성가능한 시간 주기가 만료한 경우, 요청들이 할당되는 그룹이 교번될 수 있다. 이 방법의 일 예시가 표 4에 예시된다.
표 4 - 구성가능한 시간 주기는 15초이고, 한계값은 3명의 승객임
Figure 112012074349026-pct00004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방법들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나타낸다; 리디렉터(104)는 최적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여하한의 적절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여하한의 방법들은 서로 함께, 또는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리디렉터(104)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은 하루 중 시간, 또는 특정 시간 주기 내에 상대적으로 많은 요청(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리디렉터(104)는 최적 그룹의 평가의 일부로서 다양한 엘리베이터 그룹들의 물리적 구성, 예를 들어 그룹 내 차체들의 개수, 그룹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층들의 개수, 다수 그룹들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 내 차체들의 개수, 특정 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들의 개수를 고려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정적이며,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해 리디렉터(104)에 저장될 수 있다. 리디렉터(104)가 사용하는 정적 데이터는 상황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에 속한 차체가 고장인 경우, 그 정보가 리디렉터(104)에 저장된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다. 그 후, 리디렉터(104)는 차체가 다시 서비스된다는 통신이 수신될 때까지 그룹에 대한 저장된 차체들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리디렉터(104)는 각각의 그룹 스코어들이 상이한 선택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한 그룹이 다른 그룹을 제치고 선택되게 할 수 있는 우선 조건(override condition)을 고려할 수 있다. 우선 조건들은: 특정한 엘리베이터 그룹이 이미 서비스 요청과 동일한 출발지로부터 동일한 목적지로 가는 대기 승객을 포함하는 것이나, 특정한 그룹이 이미 서비스 요청과 동일한 출발지로부터 가는 대기 승객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었던 DED로부터 각 그룹 내에서 가장 먼 차체로의 거리가 고려될 수 있다; 장애를 가진 승객들은 리디렉터가 특정 DED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측정된 것으로서 요청을 서비스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그룹에 그 서비스 요청을 할당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 203에서 서비스 요청은 블록 202에서 리디렉터(104)에 의해 결정된 최적 그룹에 할당된다. 블록 204에서, 결정된 최적 그룹으로부터의 최적 차체는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다. 블록 205에서, 승객은 결정된 최적 그룹 및 최적 차체에 할당된다; 상기 할당은 DED들(105a 내지 105d) 중 하나를 통해 승객에게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3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리디렉터 정보를 이용한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300)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다양한 작동들이 컴퓨터(300)의 기능(capability)들을 이용할 수 있다. 컴퓨터(300)의 기능들 중 1 이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하한의 요소, 모듈,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구성요소에 통합될 수 있다.
컴퓨터(300)는 PC, 워크스테이션, 휴대용 컴퓨터, PDA, 팜 디바이스, 서버, 스토리지, 및 그 밖의 유사한 것들(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구조에 관하여 컴퓨터(300)는 로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1 이상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1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I/O) 디바이스들(370)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1 이상의 버스,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연결부들(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일 수 있다. 로컬 인터페이스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기, 버퍼(캐쉬), 드라이버, 리피터, 및 수신기와 같은 추가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로컬 인터페이스는 앞서 언급된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적절한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주소, 제어, 및/또는 데이터 연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이다. 프로세서(310)는 실질적으로 여하한의 주문제작 또는 상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컴퓨터(300)와 연계된 수 개의 프로세서들 사이의 보조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310)는 반도체 기반 마이크로프로세서(마이크로칩 형태) 또는 매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320)는 휘발성 메모리 요소들[예를 들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비휘발성 메모리 요소들[예를 들어,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테이프,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디스크, 디스켓, 카트리지, 카세트,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는 전자, 자기, 광학 및/또는 다른 타입의 저장 매체들을 통합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되지만 프로세서(31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분산 구조(distributed architecture)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메모리(320) 내의 소프트웨어는 1 이상의 분리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논리 함수들을 구현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순서 리스팅(ordered listing)을 포함한다. 메모리(320) 내의 소프트웨어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적절한 운영 체제(O/S)(350), 컴파일러(340), 소스 코드(330), 및 1 이상의 어플리케이션(3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36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징 및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36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연산 유닛(computational unit), 로직(logic), 기능 유닛(functional unit), 프로세스, 연산자(operation), 가상 개체(virtual entity), 및/또는 모듈을 나타낼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360)이 제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운영 체제(350)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고, 스케줄링, 입력-출력 제어, 파일 및 데이터 관리, 메모리 관리, 및 통신 제어 및 관련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발명자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360)이 모든 상용 운영 체제들 상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어플리케이션(360)은 소스 프로그램, 실행가능한 프로그램(목적 코드), 스크립트, 또는 수행될 명령들의 일 세트를 포함한 여하한의 다른 개체일 수 있다. 소스 프로그램인 경우,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컴파일러(340)와 같은] 컴파일러, 어셈블러, 인터프리터, 또는 메모리(320) 내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그 밖의 유사한 것을 통해 해석되어, O/S(350)와 관련해서 적절히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360)은 방법들 및 데이터의 클래스(class)들을 갖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루틴, 서브루틴, 및/또는 함수를 갖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예를 들어 C, C++, C#, 파스칼, BASIC, API 콜, HTML, XHTML, XML, ASP 스크립트, FORTRAN, COBOL, 펄, 자바, ADA, .NET, 및 그 밖의 유사한 것들(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서 기록될 수 있다.
I/O 디바이스들(370)은,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 디바이스들(370)은 예를 들어 프린터, 디스플레이 등(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I/O 디바이스들(370)은 입력 및 출력 모두로 통신하는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NIC 또는 변조기/복조기(원격 디바이스, 다른 파일,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접근함), 무선 주파수(RF) 또는 다른 트랜스시버, 전화 인터페이스(telephonic interface), 브리지, 라우터 등(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 디바이스들(370)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들에 걸쳐 통신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컴퓨터(300)가 PC, 워크스테이션, 지능형 디바이스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인 경우, 메모리(320) 내의 소프트웨어는 (간명함을 위해 생략된)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IOS는 시동(startup) 시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테스트하며, O/S(350)를 시작하고,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하는 필수적인 소프트웨어 루틴들의 일 세트이다. BIOS는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과 같은 몇몇 형태의 읽기-전용-메모리에 저장되어, 컴퓨터(300)가 작동되는 경우 BIOS가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컴퓨터(300)가 작동 중인 경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메모리(320)로 그리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고,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에 따라 컴퓨터(300)의 작동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360) 및 O/S(35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프로세서(310)에 의해 판독되고, 아마도 프로세서(310) 내에서 버퍼링(buffer)된 후 실행된다.
어플리케이션(360)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360)은 실질적으로 여하한의 컴퓨터 관련 시스템 또는 방법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여하한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관련 시스템 또는 방법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전자, 자기, 광학, 또는 다른 물리적 디바이스 또는 수단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60)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들을 페치(fetch)하여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기반 시스템, 프로세서-포함 시스템, 또는 그 외 시스템과 같이,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여하한의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여하한의 수단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디바이스, 또는 전파 매체(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더 특정한 예시들(총망라하지 않은 리스트)은: 1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 연결부(전자),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자기 또는 광학), RAM(random access memory)(전자), ROM(read-only memory)(전자), 삭제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읽기-전용 메모리(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전자), 광섬유(광학), 및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메모리(CDROM, CD R/W)(광학)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심지어 프로그램이 프린트되거나 펀칭(punch)되는 종이 또는 또 다른 적절한 매체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며, 이때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종이 또는 다른 매체의 광학 스캐닝을 통해 전자적으로 캡처된 후, 컴파일, 해석, 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다르게 처리되고, 그 후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60)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어플리케이션(360)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다음 기술들: 즉,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논리 함수들을 구현하는 논리 게이트들을 갖는 이산 논리 회로(들), 적절한 조합 논리 게이트들을 갖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GA(programmable gate array(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기술적 효과들 및 이점들은 엘리베이터 차체 혼잡 및 대기줄의 감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시되었으며, 이것이 빠짐없이 기재된 것이라거나 기재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은 많은 수정, 변형, 변경, 대체 또는 균등한 구성을 분명히 알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설명된 실시예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선 설명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8)

  1.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elevator dispatching system: 100)에 있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각각은 그룹 제어기(103a 및 103b)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101a 내지 101c, 및 102a 내지 102c)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각각은 일 세트의 층들 각각에서 서비스를 제공함- ; 및
    목적지 층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리디렉터(redirector: 104)를 포함하고, 상기 리디렉터는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101, 102)이 상기 목적지 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리디렉터(104)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중 상기 요청을 서비스하는데 있어서 최적 그룹(best group)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103a 및 103b)는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 내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101a 내지 101c, 및 102a 내지 102c)로부터 최적 차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destination entry device: 105a 내지 105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105a 내지 105d)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리디렉터(104)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리디렉터(104)로부터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 및 최적 차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 및 최적 차체를 보여주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는: 하루 중 특정 시간에 대해 저장된 서비스 요청 데이터, 특정한 그룹에 할당된 서비스 요청들의 횟수, 특정한 엘리베이터 그룹에 할당되었던 특정한 시간 주기에 수신된 총 서비스 요청들의 비율, 또는 특정한 그룹에 할당되는 특정한 시간 주기에 수신될 예상되는 서비스 요청들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104)에 저장된 정보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 상기 리디렉터(104)가 상기 최적 그룹으로서 선택되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교번하도록 구성되게 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할당되는 서비스 요청들의 횟수를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들의 횟수가 사전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리디렉터(104)가 상기 최적 그룹으로서 선택되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교번하도록 구성되게 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104)는 우선 조건(override condition)에 기초하여 상기 최적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우선 조건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중 한 엘리베이터 그룹이 상기 서비스 요청과 동일한 출발지로부터 동일한 목적지로 가는 대기 승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101, 102) 중 한 엘리베이터 그룹이 상기 서비스 요청과 동일한 출발지로부터 가는 대기 승객을 포함하는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한 승객이 장애를 갖는 경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
  7.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을 위한 방법(20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그룹 제어기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각각은 일 세트의 층들 각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리디렉터에 의해 목적지 층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201);
    1 이상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상기 목적지 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디렉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중 최적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202);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의 그룹 제어기에 의해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의 최적 차체를 결정하는 단계(204); 및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 내의 최적 차체에 상기 서비스 요청을 할당하는 단계(205)를 포함하는 최적 그룹 선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에서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리디렉터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디렉터로부터 상기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 및 최적 차체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결정된 최적 그룹 및 최적 차체를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적 그룹 선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는: 하루 중 특정 시간에 대해 저장된 서비스 요청 데이터, 특정한 엘리베이터 그룹에 할당된 서비스 요청들의 횟수, 특정한 엘리베이터 그룹에 할당되었던 특정한 시간 주기에 수신된 총 서비스 요청들의 비율, 또는 특정한 그룹에 할당되는 특정한 시간 주기에 수신될 예상되는 서비스 요청들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최적 그룹 선택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 상기 리디렉터가 상기 최적 그룹으로서 선택되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교번하도록 구성되게 되는 최적 그룹 선택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할당되는 서비스 요청들의 횟수를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들의 횟수가 사전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리디렉터가 상기 최적 그룹으로서 선택되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교번하도록 구성되게 되는 최적 그룹 선택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디렉터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디렉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중 최적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우선 조건에 기초하고, 상기 우선 조건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중 한 엘리베이터 그룹이 상기 서비스 요청과 동일한 출발지로부터 동일한 목적지로 가는 대기 승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들 중 한 엘리베이터 그룹이 상기 서비스 요청과 동일한 출발지로부터 가는 대기 승객을 포함하는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한 승객이 장애를 갖는 경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최적 그룹 선택 방법.
  13.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200)을 구현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20127024017A 2010-02-19 2010-02-19 리디렉터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KR101403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24701 WO2011102837A1 (en) 2010-02-19 2010-02-19 Best group selection in elevator dispatching system incorporating redirector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967A KR20120129967A (ko) 2012-11-28
KR101403998B1 true KR101403998B1 (ko) 2014-06-05

Family

ID=4448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24017A KR101403998B1 (ko) 2010-02-19 2010-02-19 리디렉터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96588B2 (ko)
JP (1) JP2013520377A (ko)
KR (1) KR101403998B1 (ko)
CN (1) CN102753464B (ko)
GB (1) GB2489904B (ko)
IN (1) IN2012DN05918A (ko)
WO (1) WO2011102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675B1 (ko) * 2009-11-10 2014-04-0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분산 디스패칭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2753464B (zh) 2010-02-19 2016-06-22 奥的斯电梯公司 结合重定向器信息的电梯调度系统中最佳群选择
KR20120137372A (ko) * 2010-02-26 2012-12-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그룹 스코어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FI20116170L (fi) * 2011-11-23 2013-05-24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5050929B (zh) * 2013-04-05 2017-03-08 通力股份公司 具有目的地控制系统的电梯分组控制器
EP3188996B1 (en) * 2014-09-05 2020-01-15 KONE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based on different counterweight ratios
US9896305B2 (en) * 2015-05-07 2018-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ized elevator dispatch
CN107176511B (zh) * 2016-03-09 2021-03-16 奥的斯电梯公司 呼梯控制装置、呼梯控制系统及其呼梯控制方法
US10640329B2 (en) 2017-06-05 2020-05-05 Otis Elevator Company Reassignment of elevators for mobile device users
US10647544B2 (en) 2017-06-05 2020-05-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notifications on mobile device associated with user identification device
US10723585B2 (en) * 2017-08-30 2020-07-28 Otis Elevator Company Adaptive split group elevator operation
US11383954B2 (en) 2018-06-26 2022-07-12 Otis Elevator Company Super group architecture with advanced building wide dispatching logic
US11292690B2 (en) * 2018-07-25 2022-04-05 Otis Elevator Company Capacity shifting between partially-overlapping elevator groups
AU2019204807A1 (en) * 2018-07-31 2020-02-20 Otis Elevator Company Super group architecture with advanced building wide dispatching logic - distributed group archite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92A (ko) * 1994-09-20 1996-04-20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 및 장치
KR970074618A (ko) * 1996-05-20 1997-12-10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KR20060127914A (ko) * 2004-01-26 2006-12-13 코네 코퍼레이션 승강장에 행선지 입력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8374A (ja) 1986-03-19 1987-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呼び登録装置
US4792019A (en) * 1988-02-12 1988-12-20 Otis Elevator Company Contiguous floor channeling with up hall call elevator dispatching
US5183981A (en) * 1988-06-21 1993-02-02 Otis Elevator Company "Up-peak" elevator channeling system with optimized preferential service to high intensity traffic floors
JP2664782B2 (ja) * 1989-10-09 1997-10-2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475978A (ja) 1990-07-18 1992-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装置
JP2639265B2 (ja) 1991-12-17 1997-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多群制御装置
JP3650150B2 (ja) * 1993-09-20 2005-05-1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瞬時的なセクタ割り付け方法
CN1093834C (zh) * 1996-04-03 2002-11-06 因温特奥股份公司 用终点呼号进行多组电梯的控制
JPH09315708A (ja) * 1996-05-29 1997-12-09 Otis Elevator Co 群管理エレベーター
FI111929B (fi) * 1997-01-23 2003-10-15 Kone Corp Hissiryhmän ohjaus
KR100430230B1 (ko) 1997-11-29 2004-09-18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KR100498552B1 (ko) 1998-06-12 2006-02-13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JP2000272851A (ja) 1999-03-25 2000-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表示装置
CN1201993C (zh) * 2001-02-12 2005-05-18 因温特奥股份公司 将电梯轿厢分配成目标呼叫控制组的方法
US6655501B2 (en) 2001-06-29 2003-12-02 Inventio Ag Method for selection of the most favorable elevator of an elevator installation comprising at least two elevator groups
FI113259B (fi) * 2002-06-03 2004-03-31 Kone Corp Menetelmä hissiryhmän hissien ohjaamiseksi
SG119203A1 (en) * 2002-12-13 2006-02-28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zonally operated elevator installation
DE502004010757D1 (de) * 2003-06-27 2010-04-01 Inventio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im Zonenbetrieb betriebenen Aufzugsgruppe
US7490698B2 (en) * 2003-10-08 2009-02-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traffic control
JP5138864B2 (ja) * 2004-01-06 2013-02-06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ネルギー節約型エレベータコントロール法、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
US7328775B2 (en) * 2004-09-27 2008-02-12 Otis Elevator Company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delayed elevator car assignment
CN101980942B (zh) * 2008-03-31 2014-06-04 奥蒂斯电梯公司 电梯轿厢分配控制策略
JP4663755B2 (ja) 2008-04-23 2011-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CN102753464B (zh) 2010-02-19 2016-06-22 奥的斯电梯公司 结合重定向器信息的电梯调度系统中最佳群选择
KR20120137372A (ko) * 2010-02-26 2012-12-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그룹 스코어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92A (ko) * 1994-09-20 1996-04-20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 및 장치
KR970074618A (ko) * 1996-05-20 1997-12-10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KR20060127914A (ko) * 2004-01-26 2006-12-13 코네 코퍼레이션 승강장에 행선지 입력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89904A (en) 2012-10-10
CN102753464A (zh) 2012-10-24
WO2011102837A1 (en) 2011-08-25
US9296588B2 (en) 2016-03-29
JP2013520377A (ja) 2013-06-06
GB2489904B (en) 2014-06-25
US20130168190A1 (en) 2013-07-04
KR20120129967A (ko) 2012-11-28
IN2012DN05918A (ko) 2015-09-18
GB201214677D0 (en) 2012-10-03
CN102753464B (zh)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998B1 (ko) 리디렉터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KR101651533B1 (ko) 그룹 스코어 정보를 통합한 엘리베이터 디스패칭 시스템에서의 최적 그룹 선택 방법
US7849974B2 (en) Method of dispatching an elevator car
US10766737B2 (en) Destination control system
US7921968B2 (en) Elevator traffic control including destination grouping
GB2555747A (en) Group-control elevator device, and method for assigning boarding car numbers using group control
JP2019081622A (ja) 外部システム連携配車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040509A (ja) 車両の配車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49882B2 (ja) 車両の配車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82400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中継装置、ビルシステム、中継方法、および中継プログラム
CN114229632A (zh) 一种乘梯控制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JP7169448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JPS62121186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7359340B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かご割り当て方法
KR102568652B1 (ko) 서버 및 서버가 공간내 로봇들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JP6759417B1 (ja) エレベータ割当装置
JP3428522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装置
CN113044684A (zh) 运载设备调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JPH032667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H05229753A (ja) エレベータの割当装置
JPS59177271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